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32

        2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내에서 외래 곤충인 (가칭)마른나무흰개미(Cryptotermes domesticus)가 서울에 위치한 주택에서 발견되었다. 이 종은 국내에 정착할 경우 잠재적으로 목재나 목조건물에 피해를 줄 수 있어 시급한 국내 발생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종 분포 모델 기법을 활용하여 마른나 무흰개미의 정착 가능성과 관련된 기후적합성을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전세계 분포 정보를 수집하고, 생물기후변 수를 활용하여 4개의 모델링 알고리즘으로 기후적합성 예측 모델을 구동하였다. 개발한 모델들의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마른나무흰개미 의 평균 발생 확률로 표현되는 앙상블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마른나무흰개미는 열대 지방에서에서 해양성 기후를 보이는 연안이나 도서지 역에서 기후적합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국내에서는 기후적합성이 전반적으로 낮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하지만, 마른나무흰개미의 정착 및 확산 가능성을 염두해두고, 최근 발생이 보고된 지점을 중심으로 정밀 역학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22.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ircraft noise is something humans don't want. In this study, based on the Rotax 914 engine used in Korea, the propeller blade angle was changed by 1 degree and the engine RPM was changed to review the three-wing “G Company” propeller and the three-wing GSC wooden propeller. Select the best propeller pitch angle by measuring the change in propeller noise and thrust and the change in engine RPM due to the change in noise and thrust. We would like to present a propeller pitch angle suitable for the location of the airfield and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Based on this, we would like to help resolve noise complaints around the airfiled.
        4,000원
        23.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리산 국립공원 내 구상나무림의 종조성과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상나무 자생지역에 약 400㎡ 면적의 조사구 49개소를 설정하여,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따라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이원지표종분석(TWINSPAN)과 표조작법을 병용하여 군집 분류를 실시했다. 그 후 군집 유형별 중요치를 활용한 종조성 분석, 종다양도 분석, 흉고직경급 분석, 치수 분석 및 유사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군집 분류 결과, 지리산의 구상나무림은 A, B, C, D, E 등 총 5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관중-함박꽃나무-조릿대와 미역취-사스래나무-실새풀에 의하여 2개의 군집으로 구분되며, 전자는 층층나무-산수국에 의하여 A, B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후자는 마가목-진달래 군집과 전형군집인 E 유형으로 구분되고, 가문비나무-곰취와 단풍취에 의하여 C, D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식생 분석을 통해 지리산 구상나무림은 구상나무, 신갈나무, 당단풍나무, 쇠물푸레나무, 사스래나무 등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종다양도의 경우 선행 연구에서 나타난 지리산 구상나무림의 종다양도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흉고직경급 분석 결과 전 층위에서 구상나무가 우점하며 치수 생장도 양호하여 당분간 구상나무의 우점이 유지될 것으로 판단하나, 추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생물다양성의 가치와 기후변화로 인한 위협을 고려하였을 때,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각종 위협에 대응하는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가 요구된다.
        4,600원
        24.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의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에 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생 3학년인 9차(2018년) 자료에서 학 생 2,793명을 연구 대상자로 정하였다. 청소년의 학교만족도와 관련한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SPSS 26.0을 사용하여 의사결정나무모형 분 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학교만족도의 분 류에서 개인적인 요인으로는 성별, 자아개념, 자기평가, 사회적 관계 요 인으로 보호자, 학교교사, 학교 특성/문화 요인으로는 학교에 대한 평가, 학교풍토가 유의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교만족도 분류에 영향 을 주는 변인들 중에서는 학교에 대한 평가가 가장 영향력을 가진 변인 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교사 수치가 높은 집단에서는 학교풍토, 자아 개념이 분류의 중요한 의미 있는 변인이었고, 학교교사 수치가 낮은 집 단에서는 자기평가, 학교풍토, 학교에 대한 평가가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 다. 넷째, 학교에 대한 평가 수준 및 학교풍토가 바람직하고 좋으면 학교 만족도가 긍정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 년의 학교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 모색, 교육정책 수립 및 프로그램 운 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6,900원
        25.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산림생명자원 중 광나무의 대량생산을 위한 기초연구로, Priming 처리에 따른 발아 효율성 및 유묘 생육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종자 Priming처리는 대조구, GA3 (10, 100, 200 ㎎·L-1), Ca (NO3)2 (50, 100, 200 mM), KNO3 (50, 100, 200 mM)를 24시간 처리하여 발아특성을 분석하였고, 순화재배에 따른 생육특성 및 활착률을 조사하여 수확량을 비교·분석하였다. 발아특성은 25℃·KNO3 100 mM에서 발아율이 유의적으로(p<0.001) 높았으며, 평균발아일수는 10.3~18.1일로 15℃에서 대체적으로 빠른 발아일수를 나타냈다(p<0.001). 발아속도 및 발아균일지수 또한 25℃·KNO3 100 mM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01). 생육특성의 경우 2 5℃·KNO3 100 mM 처리에서 유근 길이(5.1±2.4 ㎝), 초장(5.7±0.7 ㎝), 근장(16.6±2.0 ㎝), 건중량(0.079 g)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001). 유묘활력지수 또한 25℃·KNO3 100 mM 처리에서 1418.3으로 높았으며, 가장 높은 수확량(16.8 g/㎡)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25℃, KNO3 100 mM 처리 시 실내발아에서 발아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으며, 순화재배 시 우수한 유묘 생육을 보여 수확량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4,600원
        26.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beverage was developed using the Abeliophyllum distichum leaf (AL). The beverage was prepared by adding it to apple juice by concentration, and physicochemical quality, antioxidant activities, and sensory evaluation were measured. Soluble solid and reducing sugar content of the control were 12.57 °Brix and 11.40%,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difference from the group with addition of the AL extract. However, pH was slightly increased upon addition of AL extract. Light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when AL extract was added. Verbascoside content was not detected in the control, but it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AL extract increased. The contents of ascorbic acid and flavonoids were 5.38 and 20.42 mg%,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content of polyphenol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AL extract increased. DPPH radical and metal ion scavenging activity were increased by addition of the AL extract,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from the control even wihen the AL extract was added; thus, it was considered that there was no problem with the degree of acceptability when added within about 300 ppm.
        4,000원
        27.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후박나무 용기묘를 대상으로 전광, 35%, 55%, 75% 차광수준에 따른 생장 특성 및 생리적 반응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후박나무 묘목은 차광 시 상대적으로 지상부의 생장특성을 보여주는 지표들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전광에서는 뿌리와 관련된 지표인 뿌리건중비, 뿌리생장에 서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전광에서의 낮은 광보상점과 높은 순양자수율은 이미 후박나무가 내음성을 가지고 있고, 광이 부족한 환경에 노출된 차광처리구들에서 암호흡량의 감소, PIABS 및 SFIABS의 증가로 광합성 기구의 활력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전광은 지상부 비율의 증가, 낮은 T/R율과 가장 높은 순광합성속도를 보여 광합성으로 합성되는 탄수화물이 지상부 뿐만 아니라 지하부의 생장 역시 증가시킨 것을 알 수 있는 결과였다. 따라서 후박나무 용기묘는 전광조건에서 생장 및 생리적 특성이 가장 양호한 경향을 보였다.
        4,200원
        35.
        2023.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나무그림 검사가 비행청소년의 자기개념의 반응을 평가하는 심리검사 도구로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직업훈련소년원 255명이며, 연구도구는 나무그림 검사와 자기개념 척도 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 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무그림 검사의 형식적 반응특성에서 크기 와 위치 및 필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나무그림 검사의 내용적 반응특성에서 줄기와 가지 및 상흔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 과를 바탕으로 나무그림 검사가 비행청소년의 자기개념 수준을 판별할 수 있는 검사도구로서 유용한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4,500원
        36.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nhance the efficacy of Abeliophyllum distichum leaves,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different solvents for hydrolytic enzyme-treated Abeliophyllum distichum leaves. Physicochemical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measured. Soluble solids, reducing sugar, ascorbic acid, flavonoids, and polyphenols contents showed the lowest values in the control without enzyme treatment. However, they showed high contents in ethanol extract. In the case of enzyme treatment, their valu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In particular, verbascoside content increased about 220 times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en treated with enzymes and extracted with 50% ethanol. pH was lowered upon enzymatic treatment. Regard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r enzyme-free, 25% 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mong extracts with different solvents. For cellulase and pectinase-treated leaves, water extract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extracts with different solvents. For leaves treated with enzyme combination, 50% 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extracts with different solvents. Regarding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t was generally higher in the 50% ethanol extract than in the water extract and 25% ethanol extract. In particular, verbascoside content was increased when the extract was prepared by co-treatment with enzymes and 50% ethanol.
        4,000원
        37.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많은 생태학자는 식물군락 및 군집이 환경요인과 상호작용하여 나타내는 변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산림식생 보다 역동적인 하천 주변에 형성되는 식물군집은 하천의 교란동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비술나무는 한반도 중부이북에 분포하는 하천의 가장자리에 군집을 형성한다. 우리는 남한강의 상류 지역에서 비술나무 군집이 정착하고 발달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하천의 수면으로부터 군집의 중앙지점의 높이는 수령등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다. 반면에 비술나무의 높이는 수령등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풍부도 (Richness(S)), 균등도(Evenness(J')), 다양도(Diversity(H') 및 최대다양도(Maximum diversity(H'max))도 수령등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개체 당 줄기의 수 및 밀도(Density(D))는 수령등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비술나무의 유묘는 수령등급 중간 단계이상의 군집 내에는 재정착에 성공하지 못했다. 유묘의 재정착은 하천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범람에 의해 생성된 공간에 정착하였다. 재정착 이후 비술나무 군집은 하나의 유기체와 같이 성장하였다. 반면에 비술나무 군집을 구성하는 식물 종은 군집이 발달함에 따라 풍부도 (Richness(S)), 다양도(Diversity(H')는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즉 구성종의 변화는 각각의 종과 군집의 환경변화와 연관된다고 판단되었다. 비술나무 군집의 재생을 위해서는 종자에 의한 유묘의 재정착이 가능한 공간이 공급되어야 한다. 본 조사가 이루어진 남한강의 중상류 지역에서는 비술나무의 재정착에 필요한 공간이 소멸되어 새롭게 생성되는 군집은 매우 드물었다. 따라서 남한강 상류 지역에서 비술나무 군집의 유지를 위해서는 유묘의 재정착 에 필요한 적절한 공간의 확보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5,800원
        38.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는 오직 한반도 일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며, 지구범위 인 IUCN Red List Endangered로 평가·등재되어 있는 이화주성(distyly, 二花柱性) 특성을 가진 희귀식물이다. 본 연구는 미선나무 자생 개체군 8개 지역과 천연기념물 개체군 6개 지역 등 총 14개 지역의 정량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미선나무 이화주성에 따른 개화 특성과 개체군 크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미선나무 개체군에 적합한 현지 내 보전관리방안 정립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개체군별 출현 개체는 전수조사하였으며, 각 개체의 화기 형태로 장주화·단 주화 개체를 식별해 개화 개체를 현장에서 조사·기록 후 분석하였다. 미선나무 전체 출현 개체 수는 총 13,130개체(개화 7,003개체, 미성숙 6,127개체)로 각 개체군의 장주화·단주화 개화 개체 수 적정 균형 상태가 유의적(P<0.05)이지 않고, 불균형한 상태를 나타냈다. 특히, 영동 개체군은 타 개체군 대비 매우 불균형적 형태를 나타내 타 개체군과 비교했을 때 유전다양성이 낮고, 근친교배 가능성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관리 단위별 평균 개화·결실률은 각각 자생 개체군 39.0%, 8.5%, 천연기념물 개체군 89.2%, 55.3%로 천연기념물 개체군이 자생 개체군 대비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상층 수관 울폐 차이에 따른 임내 광유입 변화와 관계된 생식 생장 크기 차이로 사료된다. 한반도 내 미선나무 전체 점유면적은 23,224.5㎡이었고, 천연기념물 개체군이 자생 개체군 대비 개체군 점유 면적은 작으나 밀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정 면적에 대한 보호시설 설치로 개체군 확산에 제약이 있는 천연기념물 개체군 내 주기적인 관리가 천연기념물 개체군 밀도를 높인 주된 요인일 것으로 추정된다. 미선나무 보전을 위해서는 현재 인위적·유전적 교란이 의심되는 천연기념물 집단을 해제하고, 새로운 보호구역을 신규로 지정함으로써 보전 우선 개체군의 확대가 필요하다. 천연기념물 개체군의 경우 문화재청과 지자체에서 자생지 관리가 이뤄지고 있으나 자생 개체군의 경우 관리 주체가 전무한 실정으로 미선나무 전반적 관리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4,300원
        39.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understand functional changes of forest ecosystems due to climate change, correlation between decomposition rate of leaf litter, an important function of forest ecosystems, and microclimatic factors was analyzed. After 48 months elapsed, percent remaining weight of Quercus mongolica leaf litter was 27.1% in the east aspect and 37.0% in the west aspects. Decay constant of Q. mongolica leaf litter was 0.33 in the east aspect and 0.25 in the west aspect after 48 months elapsed. Initial C/N ratio of Q. mongolica leaf litter was 38.5. After 48 months elapsed, C/N ratio of decomposing Q. mongolica leaf litter decreased to 13.43 in the east aspect and 16.72 in the west aspect. Average air temperature and soil temperature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of the research site were 8.2±9.0 and 9.1±9.3 in the east and 8.5±7.4 and 9.3±7.3°C in the west aspect, respectively, with the west aspect showing higher air and soil temperatures. Soil moistu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st and west aspects (average soil moisture: 19.4±11.0% vs. 20.5±5.7%).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decomposition rate and microclimatic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decomposition rate and soil moisture has a positive correlation (r=0.426) in the east aspect but not in the west aspect. Our study show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decomposition rate and microclimatic factors can b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aspect.
        4,000원
        40.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백나무 종자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인 camelliaside B의 표준정량화를 위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DAD)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동백나무 종자에 함유된 주요화합물은 MS/MS 분석, UV 흡광도, 화합물의 유지시간 등을 통해 얻은 결과에 바탕을 두어 camelliaside B를 동백나무 종자 추출물의 지표물질로 선정하였다. Camelliaside B의 HPLC 분석법에 대한 특이성, 정확성, 정밀도 및 정량한계 등을 검증하였다. Camelliaside B 분석을 위해 표준화된 HPLC 분석법은 0.99% 이상의 상관계수(R2)로 높은 선형성을 가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Camelliaside B의 회수율은 100.42-108.00%였으며, 검출한계 (LOD)와 정량한계 (LOQ)는 각각 0.084㎍/㎖, 0.254㎍/㎖였다. 동백나 무 종자 지표물질 (camelliaside B)의 일중 정밀도는 각각 0.09-0.16 RSD였으며, 일간정밀도는 0.123 RSD였다. 표준화된 분석법으로 지역별로 수집한 동백나무 종자의 camelliaside B의 함량은 0.279-2.05㎎/g 으로 다양하였다. HPLC 분석법으로 확인한 모든 매개변수는 기능성 원료 인정을 위한 제출자료 작성 기준을 충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립한 HPLC 분석법은 동백나무 종자 추출물 유래 건강 관련 기능성 제품 또는 의약품 개발의 첫 단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