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0

        283.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시나무의 클론간 생장 특성(전체 건중량, 줄기 건중량, 잎의 전체 건중량)과 대사물질간의 관계를 구명하여 조기선발을 위한 생장 관련 주요 인자를 구명하고자 사시나무 삽목묘(유묘)를 대상으로 우량클론과 일반클론간의 생장특성을 조사하였고, 수체내의 대사물질을 분석하였다. 사시나무 유묘의 줄기 건중량과 잎 내의 glucose, sucrose, inositol 등 당 함량과 정의 상관관계(p<0.05)가 있었으며, 잎의 건중량과는 줄기 내의 glutamic acid, alanine, threonine등과 같은 아미노산류의 함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사시나무 잎 내의 대사물질은 우량클론에서 glucose, sucrose, inositol 등과 같은 당류가 일반클론보다 고도의 유의 차이(p<0.01)가 있게 높게(1.3배 이상)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rythronic acid, malic acid, pentanedioic acid 및 proline도높게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량클론의 줄기내의 대사물질은 glutamic acid, alanine, threonine등과 같은 아미노산류의 함량이 일반클론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1.2배 이상)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더불어 succinic acid, maleicacid의 함량도 고도의 유의차이(p<0.01)로 우량클론에서 높게 함유하고 있었다. 생장이 우수한 사시나무 클론은 유묘의잎에서는 당류가 줄기에서는 아미노산류가 높게 함유하여 이러한 복합적 인자가 사시나무 우량클론 선발을 위한 대사 표지자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287.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eeding Cordyceps militaris extract on the improvement of the free fatty acid, lipid peroxide, creatinine and enzyme (creatine phosphokinase; CPK, lactate dehydrogenase; LDH, alkaline phosphatase; ALP, lecithin cholesterol acyltransferase; LCAT) activities in the sera of dietary hypercholesterolemic rats (SD strain, male) fed the experimental diets for 5 weeks. Concentrations of free fatty acid, lipid peroxide and CPK, LDH, ALP activities in sera were fairly reduced in the Cordyceps militaris extract administration group (CHE) than in the hypercholesterolemic diet group (CHD). However, no significance was found in the effect of an creatinine concentration among the groups. The LCAT activity in serum was increased in the Cordyceps militaris extract administration (CHE) than in the hypercholesterolemic diet group (CHD). From these results, Cordyceps militaris extracts wer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the lipid components and metabolic enzyme activities in sera of dietary hypercholesterolemic rats.
        288.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시나무의 생장 특성과 대사물질간의 관계를 구명하여 생장추정 관련 주요 인자를 구명하고자 사시나무 18년생을 대상으로 우량 클론과 일반 클론간의 생장특성 및 생장하고 있는 주간 내피조직의 대사물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시나무 생장특성과 주간 내피조직의 전탄소 함량, 전질소 함량, δ15N값 및 sucrose 함량 간에 유의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재적 및 흉고직경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p<0.01)가 있어 수체내의 질소함량이 높을수록 생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GC/MS를 이용하여 사시나무 클론 간의 대사체를 분석한 결과 78종의 대사물질 중 51종이 재적생장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주간 내피조직의 succin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 sucrose 및 phosphoric acid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재적 생장이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사시나무 생장 우량클론은 주간 내피조직의 수용성 sucrose 및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복합적 인자는 사시나무 우량클론 선발을 위한 대사 표지자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289.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rbonic maceration처리 포도주에 있어 유기산 특히 사과산 함량을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을 찾고자 포도를 2주 동안 온도별 carbonic maceration 처리하며 시기별로 산함량 및 사과산대사 관련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온도별 carbonic maceration 처리 포도의 pH는 CM-와 CM-에서 처리 시간이 경과할수록 가장 높았으며, 총산은 초기에는 CM-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지만 처리 6일 이후 서서히 증가하였
        290.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ythrum salicaria L. ethanol extract on anti-obesity effects in rat fed a high fat diet for 8 weeks to induce obese rat model. Male SD rats were divided into normal group, control (high fat diet) group, positive control (Garcinia Cambogia extracts) group, high fat group supplemented with ethanol extracts of Lythrum salicaria L. (EELS). The body weight gain and control (high fat diet) were increased by a high fat diet, but decreased in the EEL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body weight in high fat diet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normal diet group, while the body weights of EELS and positive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16.62%, as compared with that of high fat diet group (p < 0.05). The levels of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in EELS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high fat diet group (p < 0.05). The liver and mesenteric adipose tissue weights of control (high fat diet) increase than that for normal group, whereas EELS and positive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5). Levels of triglyceride in liv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EELS group than those in high fat diet group (p < 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ythrum salicaria L. extract may improve lipid metabolism and reduce fat accumulation and body weight.
        292.
        2011.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xnip는 Thioredoxin (Trx)과 결합하여 그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세포 내의 산화환원 환경을 조절하고, Txnip를 과발현시키면 Trx와는 독립적으로 glucose uptake와 lactate output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난자 내에서의 역할은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RNA interference (RNAi)를 이용하여 난자 내의 Txnip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Txnip가 생쥐 난자 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ICR 생쥐에 PMSG를 주사하고 44시간 후에 cumulus-oocyte complex(COC)형태의 GV 난자를 채취하였다. Cumulus cell을 물리적으로 제거한 후 Txnip dsRNA를 GV난자의 세포질 내에 미세 주입하여 Txnip RNAi를 수행하였다. 0.2mM IBMX가 첨가된 M16 배양액에서 24시간 배양 후 plain M16 배양액에서 16시간 배양하면서 난자의 성숙율과 표현형을 관찰하고, 염색체와 spindle의 모양은 immunofluorescence staining으로 동시에 관찰하였다. Time-Lapse imaging으로 cytoplasmic streaming, polar body emission 등의 표현형 및 시간차 등을 비교하였다. Txnip RNAi 결과, Txnip RNAi 된 난자는 MI 단계에서 정지하는 표현형을 보였고, 세포질이 응축되고, 난자 중심부에 spindle과 염색체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뭉쳐서 존재함을 관찰하였다. IBMX 배양액 안에서 Txnip knockdown이 시작될 때 이미 난자의 세포질 안에 과립형성이 증가하고 cytoplasmic streaming이 어려워지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세포질의 rigidity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Txnip은 lactate의 생산을 억제하기 때문에 Txnip 발현을 억제시키면 반대로 세포 내 lactate 생산이 증가된다고 알려져 있어, 본 연구진은 lactate의 농도를 높인 배양액에서 난자를 배양하였다. 이 때 시간이 지날수록 난자의 중심부에 과립이 형성되는 현상 즉, Txnip RNAi를 수행한 난자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유사한 표현형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Txnip가 난자 성숙과정에서 lactate의 생성과 관련하여 작용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따라서 Txnip의 감소로 증가된 lactate로 인해 glycogen granule이 과형성되고, 그 결과 cytoplasmic streaming이 현저히 줄어들면서 spindle과 염색체의 이동이 방해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생쥐 난자의 포도당 대사와 Txnip의 연관성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생쥐 난자의 대사적 조절기전과 난자 성숙과의 연관 관계를 규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293.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improvements caused by chitosan, sericin and collagen peptide extract complexes (1:1:1, w/w/w, CSC-F-005) in lipid concentrations in the sera of dyslipidemic rats (SD strain) fed on experimental diets for 5 weeks. Serum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ratio of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to total cholesterol, atherosclerotic index, LDL-cholesterol, free cholesterol, cholesteryl ester, triglyceride, phospholipid and blood glucose were effective on the metabolic regulation of dyslipidemic rats. The activities of alkaline phosphat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in serum were remarkably lower in the extract complexes (CSC-F-005) than in the dyslipidemic model. From the above results shows that CSC-F-005 extract complexes wer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the lipid metabolism in sera of dyslipidemic rats.
        294.
        201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허브의 일종인 B. sarmienti를 이용하여 숙취 해소 음료를 개발하고 그에 따른 알콜 대사 및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알코올을 섭취한 쥐에 B. sarmienti 음료군(BSP)을 투여 한 경우 타사 제품군인 PC 그리고 B. sarmienti만을 제외한 음료군인 NBS보다 더 뛰어난 알코올 분해능 및 ADH, ALDH에서도 뛰어난 활성을 보였다. 또한 생화학적 검사를 통해 안전성을 확인하였으며, ALP, ALT 그
        295.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회향종자 물 추출물이 비만과 관련된 지질대사를 조절하는 효소들 가운데 lipoprotein lipase(LPL), acyl-CoA synthetase(ACS), hormone sensitive lipase(HSL)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정상 마우스에서 회향종자 물 추출물의 LPL 활성은 최고 21.9% 억제되었고, ACS와 HSL의 효소 활성은 각각 151.8%, 174.0% 증가되었다.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LPL은 12.0%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ACS와 HSL은 742.0%, 134.4% 활성이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회향종자 물 추출물이 효과적으로 세포내로 지방산의 유입을 억제하며, 유입된 지방산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대사과정을 활성화시킴으로서 항비만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296.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nonylphenol(NP)과 2,2',4,6,6'-pentachlorobiphenyl(PCB104)이 성숙한 그물베도라치의 난소 스테로이드 대사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물베도라치의 성숙란을 방사 표지된 스테로이드 전구물질인 -hydroxyprogesterone()와 함께 NP와 PCB104를 각각 100 ng/의 농도로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과 난모세포로부터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추출하여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29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은 종실 내 20% 이상의 지방질을 가지며, 그 중 필수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높은 작물이다. 특정형질과 관련된 유전자 특이적 분자마커를 개발하는 과정은 육종의 효율을 높이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지만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본 실험에서는 지방산대사 관련 유전자 특이적 분자마 커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미 알려진 특정 유전자 외 전사조절유전자 집단을 이용하여 콩 종실내 지방산 대사관 련 유전자의 다형성을 발굴하였다. 지방산 대사관련 분자마커 개발은 식물의 지방산 대사에 관여하는 주요 유전자를 동정하고, 염기서열을 확보한 후, Phytozome ftp://ftp.jgi-psf.org/pub/JGI_data/phytozome/v4.0/Osativa 의 DB, 콩과식물의 모델인 Medicago truncatula genome sequencing database(http://www.ncbi.nlm.nih.gov/entrez/viewer. fcgi?db=nucleotide &val=146322218) 와 NCBI 의 EST DB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298.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지혈증 흰쥐에 있어서, 숭어(Mugil cephalus) 비늘에서 추출 제조된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의 급여가 혈청 지질개선 효과 및 지질대사 이상 등에 관여하는 지질성분 및 효소의 활성 변동을 검토하기 위하여 Sprague Dawley계 흰쥐 수컷을 사용하여 본 실험을 행하였다. 기본식이만을 급여한 대조군인 BG군을 비롯한 고지혈증 유발군(CW군), 고지혈증 유발에 콜라겐 펩타이드를 섭취시킨 군(CCP군)을 5주간 실험사육하였다. 혈청
        299.
        2009.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숙취해소효과가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약용식물 25종의 열수추출물에 대하여 in vitro에서 ADH와 ALDH의 저해 및 활성작용이 우수한 약용식물 12종을 선발, 일정 비율로 혼합한 약용식물 추출액에 대하여 발효를 행한 후 in vitro 및 in vivo실험을 통하여 숙취해소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감초 -0.3%, 갈근 -3.2%, 구기자 -1.7%, 맥문동 4.8%, 속새 8.3%, 오가피 3.5%, 및 지구자 -2.1%를
        300.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tective roles and mechanism of magnolol, from the stem bark of Magnolia officinalis against potential neurotoxin 3-hydroxykynurenine (3-HK)-induced neuronal cell death. For the evaluation of protective role of magnolol, we examined cell viability, apoptotic nuclei, change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caspase activity in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s. It was found that 3-HK induces neuronal cell death in the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 line. The reduced cell viability produced characteristic features such as cell shrinkages, plasma membrane blebbing, chromatin condensation, and nuclear fragmentation. The cells treated with 3-HK showed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s well as in caspase activity. In addition, both are involved in the 3-HK-induced apoptosis. Magnolol attenuated the cell viability reduction by 3-HK in both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Optical microscopy showed that magnolol inhibited the cell morphological features in the 3-HK-treated cells. Furthermore, the increase in the ROS concentration and the caspase activities by 3-HK were also attenuated by magnolol. These results showed that magnolol has a protective effect on the 3-HK induced cell death by inhibiting ROS production and caspase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