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4

        2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amages of large embankment dams by recent strong earthquakes in the worl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eismic security of dams. Some of recent dam construction projects for water storage and hydropower are located in highly seismic zone, hence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is an important issue. While state-of-the-art numerical analysis technology is generally utilized in practice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large dams, physical modeling is also carried out where new construction technology is involved or numerical analysis technology cannot simulate the behavior appropriately. Geotechnical centrifuge modeling is widely adopted in earthquake engineering to simulate the seismic behavior of large earth structures, but sometimes it can’t be applied for large embankment dams due to various limitations. This study proposes a dynamic centrifuge testing method for large embankment dams and evaluated its applicability. Scaling relations for a case which model scale and g-level are different could be derived considering the stress conditions and predominant period of the structure, which is equivalent to previously suggested scaling relations. The scaling principles and testing method could be verified by modified modeling of models using a model at different acceleration levels. Finally, its applicability was examined by centrifuge tests for an embankment dam in Korea.
        4,000원
        22.
        2016.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commend the recycling technology from the organic wastes generated in the neighborhood of a dam in Kroea. The order of production of the organic wastes without the suspended materials and energy corps are Chungju-dam(649.9 ton/day), Daechung-dam(525.1ton/day), Hapcheon-dam(485ton/day), Namgang-dam(478ton/day), and Soyang-dam(246.4ton/day). Because livestock excretions and nightsoil were composed of 72 to 93% of the total organic wastes, they should be proferly reflected in the plan of recycling.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biodegradability was 40~80%, biogas production, 0.22~1.70m3/kg VS, methan production, 0.15~1.07m3/kg VS, and methan contents, 63~79%, respectively, in case of the livestock excretions, which constituted over than 50% of organic wastes. Therefore, the appropriate technology for the recycling of organic wastes can be considered anaerobic co-digestion; this technology can create high added value because of using the fuel for new regeneration enery. SCFMR(Semi-Continuously Fed and Mixed Reactor) for an anaerobic digestion reactor was suited for the treatment of organic wastes because the retention time was relatively constant, compared to CSTR(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power consumption was small, and operation and management of reactor was easy and economical.
        4,000원
        2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secure water resources, dams are normally constructed on the upper - middle part of streams, and it generates physical disturbances such as habitat alteration and stream fragmentation. Such construction can restrict movement of aquatic organisms, especially for freshwater fish which is one of top predator in aquatic ecosystem, and cause genetic fragmentation and community change.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impact of habitat alteration after dam construction on freshwater fish, we monitored fish community changes, and compared fish fauna between dam reservoir and inflows. Additionally, movement characteristics and habitat boundaries of four species were identified by radio telemetry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Gunwi Dam which was constructed in December 2010. Radio telemetry was applied to Pungtungia herzi, Zacco platypus (living lotic and lentic), Silurus asotus (lentic preferred species) and Zacco koreanus (lotic preferred species). The number of species was remarkably decreased (4 family, 10 species) comparing with before the dam construction (7 family, 15 species). Specifically, Coreoleuciscus splendidus, Niwaella multifasciata, Liobagrus mediadiposalis, Coreoperca herzi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that inhabit in the lotic environment were not collected in the study area. A total of 8 species were caught in both the dam reservoir and tributaries except 2 species (C. auratus and S. asotus). Sorenson’s similarity between the reservoir and its tributaries was high (0.842). All of the radio tagged species stayed in the reservoir except S. asotus which moved to the tributary. These species mainly utilized the shallow littoral zone as a habitat.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as a baseline data for efficient management of fishes in lakes.
        4,000원
        24.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산지계류를 횡단하여 개설된 작업로가 계류환경의 물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시공된 버트리스식 사방댐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작업로 개설 이후에는 열악한 수문조건, 즉 적은 강우량, 약한 강우강도와 소류력에도 불구하고 작업로 개설 이전에 비하여 극심한 계상변동 및 계상재료의 입경변화가 나타났다. 이는 작업로가 계류를 횡단하여 개설됨에 따라 계상의 저사공간이 파괴됨으로써 자갈이나 호박돌 등의 조립질층과 이들 사이에 분포하던 세립질 토사가 선택적으로 이동 및 재분포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계상변동 및 계상재료의 변화는 버트리스식 사방댐의 존재여부와 이에 포착된 계상재료의 성분별 포착순서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임산물 반출의 편의성을 중심으로 한 작업로 개설의 문제점 해결과 재해에 강한 작업로 개설을 위한 지침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4,500원
        25.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mprove stability of the water resources that were serious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and various environmental effects and to supply the clean water always, continuous efforts are essential. Provision of measures with respect of hardware is basically essential to improve the water resources stability due to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 in Korea. However, building a new dam becomes gradually very difficult because of a hardship in selecting right places, opposition forces such as environment and local residents, negative publicity for large civil engineering projects, and so on. The present study, therefore, proposes the Blue dam as an alternative for securing the water resources of a new concept considering domestic condition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Blue dam, the Hec-ResSim model is used and the probabilistic discharge flow rate is applied. As a result, when Dam Yeongcheon is applied as a study area, securing water resources of 14 million tons are predicted be secured and the flood control of 15.4 million tons is expected, in comparison with operation of the existing dam only. Consequently, Blue dams are supposed to carry out the function of securing water resources, controling flood, maintaining eco-environmental instream flow, generating hydroelectric power, and providing spaces for recreational activities.
        4,000원
        26.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ismic intensity deduced from instrumental data has been evaluated using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intensity and peak ground acceleration (PGA) during an earthquake. The Japan Meteorological Agency (JMA) developed a seismic intensity meter, which can estimate the real-time seismic intensity from seismic motions observed at a local site to evaluate the damage during the earthquake more correctly. This paper proposes a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JMA intensity to dams during the 2013 earthquake in Yeongcheon, Korea. In the present paper, seismic intensity was estimated from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elerations observed at Yeongcheon Dam. Estimated seismic intensities were in the range of 0 to 3, which was verified from the displacements of dams and the variation of the ground water level observed at Yeongcheon dam during the earthquake. The JMA intensity, which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frequency, duration of cyclic loading, etc., was 0 (zero) and there was no damage to Yeoncheon dam during the earthquake.
        4,000원
        27.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23개의 댐 및 관계용 인 공호를 대상으로 표층에서 수질 인자의 경험적 모델, 수질 인자가 장기간 서식하는 어류 섭식 길드 및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표층 수질 인자의 분석은 물환경정보시 스템에서 자료 (2005년 – 2011년)를 획득하였으며 총질소 (TN), 총인 (TP), 엽록소-a (Chl-a), 투명도 (SD) 등 트로픽 변수가 수질 분석에 이용되었다. 경험적 수질 인자의 관계 는 로그 변환된 트로픽 변수를 이용하여 선형회귀분석하였 다. 계절별 분석에는 장마기를 중심으로 장마전기(5-6월, Pr), 장마기 (7-8월, Mo), 장마후기 (9-10월, Po)를 기초로 대별하였다. 어류 섭식 길드의 분석은 충식종 및 잡식종의 상대풍부도 (RA, %)를 산정하여 장기간의 수질 변화에 의 한 이들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트로픽 변수를 이용한 경험적 수질 관계 분석 결과 Chl-a의 변이는 TP (R2 range: 0.57-0.70)에 의해 주로 설명되지만, TN (R2 range: 0.04-0.23)은 거의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 적 수질 관계에서 TP-Chl-a, TP-SD, Chl-a-SD의 결정 계수 (R2)는 장마후기 (Po)에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이 시 기의 부영양화 특성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장기간의 수질 변화에 대한 어류의 섭식 구조에 따르면 수질이 악화 됨에 따라 잡식종은 뚜렷한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 어 저수지의 오염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가기간산업에 대한 곤충상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보현산 다목적 댐을 선정하 여 곤충상을 조사하였다. 다목적 댐 건설지역은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에 위치하 고 있으며, 건설계획은 2010년 1월을 시작으로 2014년 12월에 완공할 예정이다. 본 조사는 보현산 다목적 댐 건설지역에서 총 7개의 조사지점을 선정하고, 각 지 점별 곤충의 분포상을 조사하였으며, 댐 건설로 인한 곤충상의 변화, 출현종의 분 포현황, 보호종, 특산종, 희귀종, 특정개체군 출현 및 서식지 파악과 번식 유무, 이 동성, 서식환경의 특성 조사를 위해 시행하였다. 조사는 환경영향평가와 환경영향 조사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매년 분기 별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환경영향평가는 2009년 3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실시하였으며, 환경영향조사는 2010년 9월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진행중에 있다. 조사 결과 현재까지 총 15목 161과 732종이 조사되었으며, 환경영향조사에서는 15목 123과 537종이 조사되었다. 금회 조사부터는 댐의 담수화가 상당히 진행되어 작년도에 비해 눈에 띄는 곤충상의 변화가 나타났는데, 특히 담수화가 진행되면서 물에 잠겨 서식환경의 특성변화가 나타난 지점이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보현산 다 목적 댐 건설 현장 주변의 곤충분포상과 출현종의 변화가 나타났다.
        29.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1년에 수행된 충청남도 보령시 도시생태현황지도(biotopemap)에서 도출된 정보를 활용하여 야생동물 조사지점을 선정하는 단계에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에 활용된 정보는 야생동물 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으로부터 도출되었으며 6가지 환경변수(Outside distance from food vegetation, Outside distance from farm land, Outside distance from forest, Human density, Outside distance from road, Outside distance from water)로 구현되었다. 6개의 환경변수는 도면중첩방법으로 모형화 되었으며 모형은 출현정보와 비교한 결과 94.72%의 상관관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출현이 많을 것으로 예측된 지역은 농촌지역 산림 계곡부 였으며 조사범위의 한계(면적, 일정, 예산)속에서 양질의 야생동물 조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산림내부가 제외되어있는 점, 모든종이 같은 서식지를 선호하지 않는 다는 점 등의 한계점을 갖고 있었으며 추후 이 부문에 대한 후속연구들이 필요하다.
        4,200원
        30.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성덕댐 건설 과정 중에 육상곤충의 군집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덕댐 건설공사 구간의 5개 지점에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연 4회씩 총 16회에 걸쳐 육상 곤충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총 16목 111과 453종 8,360개체가 채집되었으며, 한국 고유종 25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 31종이 출현하였다. 분류군별 종수 비율은 딱정벌레목(175종, 38.63%), 노린재목(101종, 22.30%), 매미목(41종, 9.05%)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체수는 매미목(2,615개체, 31.28%), 딱정벌레목(2,393개체, 28.62%), 노린재목(1,881개체, 22.50%)의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평균우점도(DI)는 0.439, 다양도(H')는 3.277, 균등도(E')는 0.758, 풍부도(R')는 4.958로 나타났다. 주요 우점종은 돼지풀잎벌레(Ophraella communa), 일본멸구(Stenocranus matsumurai), 애긴노린재(Nysius plebejus) 등으로 조사되었다. 지점별 군집분석 결과, St.3, St. 4지점에서 연차에 따라 우점도가 증가하고 균등도, 다양도, 풍부도가 감소하여 군집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지속적인 공사로 인한 환경교란이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된다.
        31.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안동댐과 임하댐의 최상류 유역부터 최하류 유역 구간 총 12개 지점에 대하여 2012년 8월과 10월, 2013년 6월, 총 3회에 걸쳐 육상곤충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 중 채집된 곤충은 총 13목 106과 379종 4,199개체이며, 분류군별 출현 현황을 분석한 결과, 딱정벌레목이 162종(42.7%)로 가장높은 종수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노린재목 86종(22.7%), 파리목 38종(10.0%), 매미목 32종(8.4%), 메뚜기목 19종(5.0%)의 순으로 출현하였며, 국외반출승인대상종은 1종, 특정종 34종, 한국 고유종 16종으로 나타났다. 주요 우점종은, 안동댐 유역에서는 애긴노린재(Nysius plebejus), 벼메뚜기(Oxya japonica), 검정배줄벼룩잎벌레(Psylliodes punctifrons)등이 출현하였으며, 임하댐 유역에서는 섬서구메뚜기(Atractomorpha lata), 애긴노린재 등으로 조사되었다. 출현한 곤충 종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평균 우점도지수(DI) 0.33, 다양도지수(H') 4.24, 풍부도지수(R1) 7.34, 균등도지수(J') 0.84의 값을 나타냈다. 안동댐 유역의 평균 군집지수는 우점도 0.34, 다양도 4.17, 풍부도 7.03, 균등도 0.84로 나타났으며, 임하댐 유역은 우점도 0.32, 다양도 4.31, 풍부도 7.64, 균등도 0.84로 나타나, 임하댐 유역의 다양도와 풍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2.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보현산 다목적 댐 건설지역은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설 계획은 2010년 1월을 시작으로 2014년 12월에 완공할 예정이다. 본 조사는 환경영 향평가와 환경영향조사로 나뉘는데 매년 분기 별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환경영 향평가는 2009년 3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조사하였으며, 환경영향조사는 2010 년 9월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진행중에 있다. 조사 지점은 댐건설시 영향을 미칠 것 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총 3지점으로 설정, 지점내 정점조사구를 설정하여 실시하 였다. A지점 정점조사구 2개(St. 1, St. 2), B지점 2개(St. 3, St. 4), C지점 3개(St. 5, St. 6, St. 7)를 설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댐 건설로 인한 이 지역의 곤 충상 변화와 주요 출현종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려고 하였으며, 법정보호종, 특산 종, 희귀종, 특정개체군 출현 및 서식지 파악과 번식 유뮤, 이동성, 서식환경의 특성 조사를 하기 위해 실행하였다. 조사 결과 총 15목 143과 628종이 조사되었으며, 환 경영향조사 때는 13목 95과 332종이 조사되었다. 그리고 조사기간 동안 개발된 B 지점과 개발이 안된 A지점, C지점간의 곤충상 변화의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3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진양호 댐 지역을 대상으로 수달의 서식지환경 및 행동 행태에 대해 분석하였다. 2006. 7~2012. 7월까지 수달의 주요 서식지로 예상되는 총 6개소의 지점 (댐 둑을 중심으로 댐 내 5개 지점과 댐 밖 1개 지점)을 대상으로 식생 및 어류상 조사와 이동통로에 무인 열감지 장비를 이용하여 년 중 24시간 촬영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달의 이동시간과 특성을 월별 및 시간대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식생은 총 65종으로서 목본류 33종과 초본류 32종이었고, 어류상은 총 4목 9과 33종으로 조사되었으며, 댐 내에서 서식하는 5개체는 지속적으로 댐 내에 서식하며 먹이 활동 후 다시 댐으로 들어가는 횟수를 년 중 121회, 댐 밖으로 나가는 횟수는 122회로 나타났다. 수달은 먹이공급은 댐 밖에서 하고 보금자리 이용은 댐 안에서 하는 것으로 댐 지역은 수달의 안전한 보금자리와 충분한 먹이가 있는 서식지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수달의 서식환경과 수달의 생태학적 연구는 수달 개체군의 보전과 수달 서식지의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34.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1년 6월부터 10월까지 지리적으로 인접하지만 다른 수계로 분류되는 전라북도 무주군 일대의 용담댐 하류역과 경상남도 합천군 일대의 합천댐 하류역에 각각 댐에 의한 방류의 영향을 보기 위하여 대상지점(YE-1, 2, 3; HE-1, 2, 3) 및 대조지점(YC-1, 2; HC-1, 2)을 선정하여 각 지점에서 출현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구성, 군집분석, 섭식기능군 및 서식기능군, 군집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채집은 각 댐의 하류역에서 Surber net(30cm×30cm)을 이용하여 3회에 걸쳐 정량채집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용담댐 하류지역에서 총 4문 6강 12목 33과 69종 6,369개체가 출현하였고, 하천의 주요 분류군인 EPT-group(Ephemeroptera, Plecoptera, Trichoptera-group)은 46종(66.7%)을 차지하였다. 합천댐 하류지역에서는 총 4문 5강 13목 44과 81종 5,728개체가 출현하였고, EPT-group은 45종(55.6%)을 차지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용담댐 하류지역에서 우점도지수는 0.27~0.50(Mean±SD 0.38±0.09), 다양도지수는 2.22~2.97(2.67±0.29), 균등도지수는 0.63~0.76(0.72±0.06), 풍부도지수는 4.43~7.06(5.69±0.99)으로 분석되었고, 합천댐 하류지역에서 우점도지수는 0.40~0.81(0.59±0.18), 다양도지수는 1.40~2.39(2.00±0.43), 균등도지수는 0.38~0.68(0.56±0.13), 풍부도지수는 4.04~5.80(4.95±0.70)으로 분석되었다. 섭식기능군은 용담댐과 합천댐 하류지역 모두에서 filtering-collectors와 gathering-collectors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서식기능군은 burrowers, clingers, swimmers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군집안정성 분석 결과 용담댐 유역의 대상하천에서 수환경 변화에 저항력과 회복력이 강한 I특성군에 속하는 집단이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합천댐 유역은 대조하천에서 수환경 변화에 대한 저항력과 회복력이 약한 III특성군에 속하는 종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형댐 하류지역의 하천생태계 안정성은 환경 변화 및 오염에 강한 I특성군에 속하는 군집이 좌우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3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09~2010년 동안 한강 수계 인공댐 호소수 8개 지점 및 한강 본류 수계의 하천수 10개 지점 의 총 18개 지점에서 인공댐 및 하류역 하천들에 대한 수 질변이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미 건설된 연속적 인 공댐들이 상류로부터 하류까지 질소 (N), 인(P), 엽록소-a (CHL-a) 등의 화학적 수질 구배특성(Chemical gradient)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수질 변수간의 경험적 모델 (Empirical model)을 적용하여 하절기 몬순강우 특성 및 연별 집중강우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강수계는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수질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점 오염원에 의한 오염물질의 유입은 수질변이에 가장 크게 작용하였으며, 특히 하류부의 중랑천 유입수는 수질을 급 격하게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절기의 몬순 강우는 하류역에서 총인(TP), 총질소(TN) 및 전기전도도 (EC)값을 크게 낮추어 수질향상에 기여하였다. 5개의 인 공댐들에서 총질소(TN), 총인(TP) 및 N:P 무게비에 대한 엽록소-a (CHL-a)의 경험적 모델식 평가에 따르면, 로그 전환된 총인(TP)은 엽록소-a (CHL-a)농도 변이를 33.8% (R2=0.338, p⁄0.001, 회귀식 기울기=0.710) 설명하였으 나, 총질소 (TN) 변이는 21.4% 설명에 그쳤다 (R2=0.214, p⁄0.001). 또한 N:P 무게비의 산정에 따르면, 본 인공호 들에서는 모두 N:P 비가 29 이상으로 인 제한효과로 나타 났으며, 총질소(TN)의 농도는 모든 수체에서 이미 1000 μg L-1을 상회하여 조류성장에 풍부한 것으로 나타나 엽 록소-a (CHL-a)의 증감은 인(P)에 의해 조절되는 인 제한 요인(P-limitation)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엽록소-a (CHLa) 의 증감은 또한 개별적 인공댐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부유물 증가에 의한 광투과도 저하, 수체류시간 감소에 의한 세척효과(Washing-out) 등도 부가적으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강수계에서 하천 및 인공댐의 연속선 상에서 하천에 대한 댐의 이화학적 수 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입 지천과 하천 유역의 점오염원으로부터의 방류수 유 입은 이화학적 수질 변이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속적 인공댐의 수체에서 대형 무척추 동물 및 어류와 같은 생물학적 지표를 이용한 영향평가 도 수질과 같은 측면에서 연구될 필요가 잇는 것으로 사 료되었다.
        4,600원
        37.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9년 8월부터 2010년 4월까지 계절별로 조사된 운 문댐의 식물플랑크톤은 총 121종류였으며, 이들은 녹조 류(47종류)와 규조류(45종류)가 출현종의 76%를 차지하 여 가장 중요한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점별 출현종 수는 동창천과 운문천의 유입부 지 점이 합류부나 취수탑 부근보다 출현종 수가 많았다. 식 물플랑크톤 현존량은 동창천 유입부 지점에서 가장 높은 현존량을 나타내었으며, 계절별로는 봄철에 가장 높은 현 존량을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강별 구성은 가을철에는 와편모조류가 가장 높은 구성비를 차지한 반 면 나머지 계절 동안에는 규조류가 가장 높은 구성비를 나타내었고, 남조류는 여름철에 비교적 높은 구성비를 나 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우점종은 여름철에는 규조류 Aulacoseira granulata가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가을철에 는 와편모조류 Peirdinium voltzii, 겨울과 봄철에는 규조 류 Asterionella formosa가 우점종으로 조사되었다. 운문 댐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지수는 가을철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우점도지수는 봄철에 가 장 높게 나타났다.
        4,000원
        38.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보현산 다목적 댐 건설지역은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에 위치하며, 2009년 12월 7일부터 건설 시작되었다. 본 조사는 댐 건설로 인한 이 지역의 곤충상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댐 건설의 진행에 따른 주요종, 고유종 또는 특이종들의 변화과정과 종 구성 변화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보현산 다목적 댐 건설지역 을 총 3구역 7개 정점조사구를 설정하여 2010년 10월 2일 부터 2012년 3월 17일까지 매년 4회 분기를 나누어 총 7회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주간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조사방법으로는 쓸어잡기법(sweeping), 털어잡기법(beating), 채어잡기법(brandishing), 흡충관 이용, 예상 서식지 조사 및 돌 들추기 등의 임의 채집법 등을 중심으로 조사지역 내의 여러 장소에서 실시하고, 서식 환경에 따라서 적절한 조사방법을 이용하여 가급적 다양한 분류군이 확인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현장에서 쓸어잡기법으로 조사된 채집물은 80% 이상 알코올 액침 또는 지퍼팩에 임시 보관하여 실험실에서 sorting, 실체현미경에서 동정, 분류하였다. 동정시 확인하는데 시일이 걸리는 미소종은 제외하였다. 조사결과 2010년 3분기 8목 26과 44속 47종, 2011년 1분기 6목 12과 24종, 2011년 2분기 9목 59과 149종, 2011년 3분기 10목 50과 121종, 2011년 4분기 10목 35과 84종, 2012년 1분기 5목 17과 33종이 출현하였으며 전체 조사결과는 총 13목 95과 306종으로 조사되었다.
        39.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각 표본집단(토양시료)이 모집단에 대하여 동일한 대표성을 갖게 산출하고 식물유체의 수량 비교시 통계적 유의성을 갖춘 계측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고는 상대오차와 확률에 기초하여 여러 유적에서 채취된 토양시료 표본의 크기를 표준화하는 통계법을 제시하였다. 표본 크기의 표준화는 여러 유적에서 출토된 식물유체 간 수량의 차이가 단지 표본의 크기 차이에서 비롯됨이 아니라 문화적 원인 즉 식물 자원 이용상의 차이를 반영한다고 추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다. 통계적 대표성과 토양시료 채취는 기본적으로 군집표집의 일환이므로 토양시료의 수를 표본의 크기로 각 토양시료에서 추출된 종자의 밀도를 변수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표본 크기 표준화 방법을 남강댐 수몰지구 어은 및 옥방 유적 청동기시대 유구에서 출토된 식물유체에 적용하여 그 실효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또한 여러 표본(예, 유적, 유구)의 변수(종자 밀도)를 비교할 때 상이한 보존율과 복원율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본간 종별 중복비율을 모식도를 통해 제시하였다.
        5,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