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도시계획의 핵심토대로서 UBM(Urban Biotope Mapping)과 BIS(Biotope Information System)는 총 5단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2단계의 연구로서 독일 도르트문트시를 사례지로 한 도시비오톱 유형분류방법을 규명해 보고 우리 나라 적용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유형분류결과 biotope group complex는 총 12개, biotope group은 총 67개, detail biotope은 총 1,120개로 나타났다. 면적점유율 및 분포현황의 분석결과 습지초원 및 반건초지 초원비오톱(전체 면적 0.8%)이 희귀비오톱으로 분류되었으며, 분구원지역비오톱(전체 면적의 2.8%)의 다양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적용가능성이란 측면에서 볼 때 서로 다른 도시발전형태에 따른 토지이용패턴의 상이성보완이 필요하고, 더불어 기타 도시생태관련자료에서 지형(적)도(1 : 5,000) 및 적외선 칼라항공사진(1 : 5,000)은 최소한의 자료로 준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산화탄소는 기후변화를 야기시키는 주요 온실가스이다. 본 연구는 춘천시, 강릉시, 서울시 강남구 및 중랑구를 대상으로 토지이용유형별 식생관리에 기인한 에너지소비 및 탄소방출을 잔디깎기, 전정, 관수, 시비, 살충제시용 등의 식생관리실태를 면담설문 및 일부 실측을 통해 파악하였다. 동일 토지이용유형 내 식생관리강도는 대체로 도시간 및 구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목관리에 의한 연간 총탄소방출량은 토지이용유형에 따라 단위피도면적당 36.0~209.7g/m2로서 교통용지에서 가장 많았다. 잔디관리에 의한 연간 총탄소방출량은 단위잔디면적당 7.4~69.3g/m2로서 공원에서 가장 많았다. 이들 총탄소방출량 중 수목의 경우 전정이 토지이용유형에 따라 96.8~99.7%를, 잔디의 경우 잔디깎기가 91.9~100%를 각각 차지하였다. 도시식생의 연간 순탄소흡수를 최대화하기 위해서 가로수의 전정과 공원 내 잔디깎기에 의한 탄소방출을 최소화할 식재계획 및 관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patterns of fast food in small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s from March to April in 1997. The object was 500 men and women who were in their teens through fifties and living in Kimchen and Sangju city. A total of 444 subjects(88.8%) excluding incomplete answer were analyzed, all statistical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AS/PC+. 1. The reason why people go to fast food restaurants are quickness, a convenient place, good taste, low prices, good service, and good atmosphere.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element with one exception between taste and prices. 2. On the question about the fast food which was eaten most frequently, responded hamburger to 39.86%, noodles to 29.50%, chicken to 16.67%, pizza to 10.36% and the others to 3.60%. And female, teens and twenties ate hamburger more often and another groups ate noodles more often. 3. The standard of choosing fast food restaurants was taste, prices, sanitation, atmosphere and service.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xception between taste and prices, sanitation and service, atmosphere and service. 4. About propriety of fast food serving size as one meal, it was not enough portion for female and 40s. 5. The awareness that eating foreign-made food was not right,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ge groups, but not sex. 6. Customers was discontented with sanitation, price and service. There was als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element. 7. The frequency of eating fast food was 1-2 times/a month(35.36%), 3-5 times/a month(31.31%), 5-10 times/a month(18.24%), hardly using(11.04%), 10-20 times/a month(2.70%), over 20 times/a month(1.35%).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ex and age groups.
전형적인 도시근교 하천(潮滿江)에서 수질의 오염양상을 93년 6월부터 94년 9월까지 조사하였다. 연평균 BOD 농도는 9.3 mg O2/ l로 5급수였고, TN, TP 및 chl-a 는 각각 4.6 mg N/ l, 239 μg P/ l 및 104 μg/l로 과영양상 태였으며, alkalinity, DO, 투명도, TSS 등 다른 수질인자도 부영양화 특성이 잘 나타났다. 연평균 TN/TP의 비는 19로서 P가 조류의 생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평균 질소화합물 농도에서 무기질소가 66%, 유기질소는 34% 차지하였고 무기질소 중에서 암모니아가 63%, 질산염이 37%였다. 지류 중에서 해반천의 질소와 인부하량이 가장 컸으며 해반천의 NH4는 본류보다 3.5배 이상 높게, TP 농도는 본류보다 2.5배 높은 농도로 유입되었다.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해 반천에서 무기질소 또는 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았다. 담수조류는 여름에 남조류 Microcystis, 겨울에 규조류 Stephanodiscus가 번무하는 등 오염지표성 조류가 대발생하는 수계였다. Chl-a량은 계절에 따른 전형적인 변동을 찾아볼 수 없었고 봄∙가을보다 겨울에 현존량이 더 높았다.
1991년부터 1993년까지와 1995년부터 1997년까지 각각 3년 동안 광주시 근교지역 각 농가에서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 가축위생연구부에 병성감정을 의뢰한 원유를 대상으로 젖소 유방염의 발생양상과 원인균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의 경시변화를 조사분석한 결과, 체세포수검사 양성율은 11.1%로부터 8.0%로 감소되었으며 원인균의 발생율은 Staph. sp.가 49.7%이었고 다음은 E. coli가 23.2%, Strep. sp.가 10.4%, Bac. sp.가 7.2%의 순이었는데, 이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은 전반적으로 크게 저하되었다.
The urban form of Korean cities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influence of commercial development was the main cause of these changes. Commerce became a important function of existing cities, and the new type of commercial towns emerged at the important spots of traffic routes. In both cases streets became dominant element of urban form. Mainly commercial buildings aggregated along the streets, and to obtain higher land use intensity shape of lots became narrow and deep. Koyang(高陽) shows the most significant example of this new type of lot and lot pattern. Approximately 30 narrow and deep type of lots lined on each side of street forming about 390 meters long linear commercial town. Similar examples were found at the outside of south gate of Suwon(水原), Nuwon(樓院), and Pangyo(板橋).
In the meantime, the study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house had been produced so many achievements in korea, but modern house is yet to be solv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esent the basic research data in order to build up an objective study for urban house in the modern age(1910-1945), Following to a study on the foreigner's house in grid-type settlement of Open Ports, in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modern houses of urban areas in korean inland, and then clarify types and changes of them. In the first year(1995~96), the modern houses of Central Inland Districts(arrounding river Kumgang)-Kunsan kanggyong Puyo Kongju Pugang Chongju were investigated by the layout of room, the construction and materials, the design and style, etc. In the second year(1996~97), the modern houses of Open Market(開市場)-Seoul Taegu Kwangju Taejon Chonju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as above. The traditional house transformed by differentiation and addition of room(kan), the various types were respectively adopted for the korean reforming and western cultural house. In the layout of room, the types of plan were gradually concentrated from the single wings of korean traditional house.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was later improv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entrance, corridor, and internal toilet/bathroom. But the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andal) and a series of three rooms had been entirely maintained, composed of master bedroom/living room(daechung)/room. And the traditional town house with shop and storage, being built closely to each other and walled up both sides, it had taken gradually the extensive characteristics in itself. By the displacement of shop/dwelling/ storage. the various types were respectively adopted for the separated, multi-storied, and complex type. The type of them was gradually changed to the narrow and linear form. And so with the stockpile of fundamental datas about modern houses in korean urban areas, we expect these results contribute to the knowledge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house at present which are required to the understanding of transition as well as types.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강화도 지역의 산지형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분석을 통한 관리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총면적 11,331ha에 대한 현존식생 분석 결과 식물군집은 19개 유형으로 분리할 수 있었는데 이중 상수리나무군집,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등 2차림이 전체의 92.32%(10,461ha)를 차지하고 있었다. 아까시나무림 등 인공식재림은 전체의 5.40%(612ha)로서 수도권지역 다른 도시들 보다 적은 면적을 나타내었다. 총 57개 조사구에 대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분석 결과 총 7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는데 그것은 리기다소나무(군집 A), 상수리나무(군집 B),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C), 상수리나무-소나무 (군집 D), 소나무-서어나무-졸참나무-상수리나무(군집 E), 졸참나무-신갈나무(군집 F), 느티나무-고로쇠나무 (군집 G)이었다. 강화도 지역은 온대 중부지방에서의 일반적인 천이진행단계인 소나무림에서 상수리나무림을 거쳐 신갈나무림, 졸참나무림, 서어나무림으로 생태적 천이가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토양 pH는 평균 4.17의 강산성 토양으로서 토양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가 산림식생 관리계획에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ive some help for housewives recognizing the desirable purchase of processed foods and food additives. This results were abtained as follows; In case of purchase action for processed foods of housewives confirmation of manufacturing date was the highest point(4.62). When housewives bought processed foods they considered the taste of them as first, and frequencies of processed foods intake showed the ratio of 46.6%, also it was shown to be used once a week. The order for use of processed foods were milk, milk products(butter, cheese, yoghurt, lactic bacterium beverage) 40.2% >canned foods 22.6% >meat products(ham, sausage, bacon) 20.9% > jelled fish 16.3%. Most of housewives wanted to have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food additives at the highest point(4.11). The interest about food additives of housewives was shown to the order of synthetic preservative 3.86 >chemical seasoning 3.74 >synthetic sweetener 3.59 >synthetic coloring agent 3.53. Also, it was shown to be thought that the hazard factors effected on food safety were agricultural chemical residue(30.9%), environmental pollution(25.2, food additives(23.0%), and microorganism contamination(20.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the perception, and the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 in 487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The students got 6.66/10 points in the knowledge about Korean traditional food. The girl and the student from nuclear families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boy and the student from extended families respectively. Most of the students(95%) responded that Korean traditional food must be in succession and be developed because it suits Korean tradition of our own and our tastes. However, Korean traditional food must be improved in cooking process to more convenient way and in tastes. Especially students in urban area emphasized cooking process, and students in rural area emphasized tastes. Many students(80%) answered that the households may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succeeding and developing Korean traditional food. Most of students(82.5%) thought that the Korean traditional food needs to be made fast food because they need to take it more easily. However, hygiene, taste and nutrition have to be considered. Pulgogi, Mandoo, Rice, Ddeokgook, Chabchae are highly preferred foods while Torantang, Mookuen-Namool, Jutgal, Jeonyoouh are poorly preferred. Some students had never tasted Shinseonro, Goocheolpan, Torantang, Chokpyun and Pyunyook.
본 연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조성된 5개 신도시 공동주택단지의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녹지의 형태와 식재기법, 효과 등을 분석하여 완충녹지 조성시 배식에 이용할 수 있는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지 완충녹지의 형태는 마운딩형, 사면형, 펴연형이었으며 식재된 수종으로는 교목은 상록수 10종, 낙엽수 20종의 총 30종이었고 관목은 총 13종 이었으며 도시공원 등의 관상용수종과 차이가 없었고 식재는 단층적으로 한 상태였다. 완충녹지에 의해 소음완화 효과는 인정되었으나 7개 조사유형중 4유형에서는 공동주택단지의 소음 기준치(65dB) 이하의 완충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소음완화효과는 마운드형이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대상지는 식재밀도, 녹지용적계수는 완충녹지의 기능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자연림과 비교했을 때 식재밀도가 매우 적었고 녹지용적계수도 기준 녹지에 비해 션격히 낮은 값을 나타내어 개선이 요구되었다. 완충녹지는 높이를 2m 이상으로 한 마운딩형으로 조성지역 인근 자연림의 식생구조를 모델로 하는 복층적 식재기법을 이요하여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threads of this thesis are several theoretical issues of modern urban ideals. Modern architects and urban designers conceived their individual artifacts, which assumed to be laid out on the new settings total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urban fabrics derived from inherently medieval ones. In the discussion of modern ideal society,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nlightenment was a pivotal point. Innovations in technology and expanded living territories since the double revolution have been critical factors in the evolution of new ideas of urbanism. The tremendous success in science and technology led a way to the 'science-fiction' environment as a destined apocalyptic world. The dream, whether it was socialist or in any other believes, to a pastoral utopia beyond the capitalist society was represented through the ideal cities, which were modern versions of arcadia in the other approaches. Two sides of revolutionary ideas are presented as a futurist city and a garden city, which are on the separate notions but co-existed or overlapped in a single urban project such as in Le Corbusier urban schemes or even Tchumi's recent work, Parc de la Villette. Urban ideas in the twentieth century are based on urban naturalism, the notion of which was consistant from abbe Laugier to Le Corbusier, as well as machine aesthetics interpreted in terms of archeological research and modern technology.
본 연구는 도시내 친자연공간에서 자연관찰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것으로서 일본 관동지방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요한 자연관찰시설은 비지터센터, 자연관찰로 그리고 자연관찰로 상에 설치된 각종 해설시설이었다. 또한, 친자연공간에서는 자연을 이해하고 체험하게 하는 인터프리테이션이 다양한 유형으로 전개되고 있었다. 인터프리테이션은 레인져, 자연해설원 등 전문가와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자원봉사조직이 있는 대상지에서 자연해설 종류가 다양하였다. 자원봉사자들의 주요활동은 자연해설 이외에도 환경관리와 조사, 소식지 발간이었다. 친자연공간의 셀프가이드룰 위한 학습매체는 2~4종류이었고 홍보방법은 도, 시, 구의 홍보가 가장 많았으며, 인터넷 홈페이지, 지역 전자게시판, 케이블 TV와 Fax를 이용하는 사례도 있었다.
The city of Dalian has been developed under varied geo-political situation since the later part of nineteenth century up to now where a considerable mutation is taking place. In this study we tried to trace the historical evolution process of Dalien as second important port of China playing the role as center of North-Eastern Region in the field of Industry, foreign exchange, finance and tourist industry. The result reveals possibility of the city to excelerate its development under present circumstances toward the opened system of economical polic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be haviors of elders aged 60 or over and factors related to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us to contribute to their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The subjects were 200 elders who had resided at An-Dong city an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collect data,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3 to 23, 1996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by 6 trained student interviewers. Chi-square tes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y use of SPSS/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 average age were 73.6 years old. 21.5% of the subjects were 60-69 years old, while 27.5% were 70-74 years old, 25.0% were 75-79 years old, 26.0% were 80 years old or over. 2) For the degree of the subject's perceptive health condition, the aver age 3.39 point and standard deviation 1.09. The perceptive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s was in the mid point range of health condition. 3) 46.6% of men and 25.8% of women practiced exercise regularly for their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4) For the degree of the subject's perceptive health condition, the difference by sex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5) 51.8% of men and 60.2% of women has idea for interventions to health promotion program by rehabilitation services.
기존 연구 문헌의 고찰로 서울시 야생조류상의 현황 및 관리방안은 다음과 같이 결론지을 수 있다. 1. 서울시 야생조류상에 대하여 물새와 산새를 모두 연구한 결과가 아직 발표되지 않아 정확한 현황은 파악하기 어려우나 번식기에는 약 40 여종, 겨울철에는 40여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앞으로 정교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2. 도시림 뿐만 아니라 주변의 패치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적 접근방식(intergrated approach)으로 도시림을 연구하여 관리해야 할 것이다. 3. 도시림의 면적은 도시림에 번식하는 야생조류의 종 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배적인 인자로써 도시림이 더 이상 다른 토지이용 형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가장 기초적인 관리 지침이다. 4. 대면적의 숲이 세분화 될 경우, 여름철새의 번식에 지장이 있을 수 있으므로 대면적 숲의 세분화를 막아야 하며, 가능한 한 생태통로(eco-corridor)로 세분화 된 숲을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5. 도시림에 생육하는 임목 중 대경급 임목은 나무구멍을 둥지자원으로 이용하는 조류의 중요한 은신처와 둥지이므로 대경급 임목을 대신할 수 있는 인공새집의 설치는 나무구멍을 둥지로 이용하는 조류의 번식 종 수를 높이는 방법이다. 또한, 도시림이 시민에 의해 과도하게 이용될 경우, 관목층이 제거되어 관목층을 둥지자원으로 이용하는 조류의 서식에 불리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등산로 주변에 관목성 수목을 밀식하여 등산로의 확폭과 파괴를 막아야 할 것이다. 풍부한 먹이 자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관목층 보호를 꾀하고 임목의 조림과 무육에 힘써야 할 것이다. 6. 동일한 면적에서 번식 조류 종 수를 높이는 방법은 엽층의 피도량을 늘이는 것이다. 현재 서울의 도시림은 엽층의 분화보다는 우선, 피도량의 증가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후에 엽층의 다양성을 높여 산림의 수직적 구조를 다양하게 만들어야 할 것이다. 7. 들고양이와 들개에 의한 소형 조류의 피해가 늘고 있으므로, 야생조류의 천적인 들고양이와 들개를 구제해야 할 것이며, 이에 앞서 서식실태가 조사되어야 할 것이다. 8. 한각을 비롯한 지천의 하변에 서식, 월동하는 물새류와 서식지에 대한 연구와 관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9. 산불방지와 도시림 정비의 일환으로 실시해 온 관목층과 낙엽 및 죽은 가지를 제거하는 비과학적인 관행과, 하천유지유량을 높이고 하변 정비 및 산불 방지으 ㅣ한 방편으로 진행된 하변 식생 제거는 전문가와 충분히 제고한 후, 없어져야 할 것이다.
공원법이 제정된 이후 40여년 동안 어려운 여건 속에서 공원녹지분야의 양적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면 21세기에는 질적 발전이 이루어져야 되겠다. 도시계획의 틀속에서 최소한의 공원녹지가 지정, 조성되어 관리되고 있으나 지정된 공원녹지가 사유지인 곳이 많기 때문에 공원조성 뿐만 아니라 적절한 녹지관리가 어려워 자연보호식 녹지보호나 식묵행사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변화하는 시민 요구와 도시환경에 발 맞추어 도시환경보전과 경관보전을 위한 녹지체계 수립이나 관리목표를 세분화하지 못하고 체계적이고 선진적인 도시녹지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체계적이고도 질적인 도시농지관리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저확한 녹지실태 조사와 수요를 토대로 녹지체계정립, 녹지종류의 조정, 녹지종류별 생태학적 관리목표설정 및 세부지침이 선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