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96

        24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력 패러다임은 조직중심에서 개인중심으로 이동하며 개발 주체의 역할을 부각하고 있으나, 사회적 상호작용의 공간인 조직에서 대인관계와 관련된 개인 자원의 경력개발에 관한 역할을 고려할 필요가 있 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대인 간 상호작용에 효과적으로 평가되는 대인관계기술과 행동 주체로서의 행위의 자발적 조절에 주목하는 자기관리, 경력에 대한 호의적 평가인 경력만족, 경력의 결과 인식에 주요 조건부 변수로 평가되는 성별을 주요 변수로 설정하여 이들 간의 영향력 관계, 영향력 메커니즘, 영향력 메커니즘에서 조건부 요인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대상은 제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서비스 업종과 공기업 종사자이고, 335명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에는 SPSS Macro가 활용되었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Model 4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Model 7이 적용되었다. 분석결과, 대인관계기술은 자기관리와 경력만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자기관리는 대인관계기술과 경력만족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며, 이 경로에서 조건부 간접효과의 영향력은 성별에 의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시사점은 개인 자원이 경력개발과 자기조절 활동을 촉진 하는 주요 자원으로 적용될 수 있고, 자기조절 과정의 영향력 메커니즘에 있어 개인 자원이 주요 동인이 됨을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주요 변수들의 매개과정에서 조건부 요인인 성별의 역할이 규명되어 경력개 발 과정에서 남성과 여성의 자원을 활용한 영향력 지각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5,800원
        242.
        202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실용음악 학원과 관련한 선행연구에서 효율적 경영에 대한 방법론의 모색이 미비한 실정임을 파악하고, 교육 대상자인 수강생(학령기학생 및 성인)의 현장감 있는 목소리를 반영하는 실효성 높은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전국 실용음악 학원의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여 실용음악 학원의 교육 서비스가 수강생의 자기효능 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2021년 9월 1일 ~ 2021년 9월 15일까지 전국의 실용음악 학원 수강생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241부의 내용을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SPSS V.2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요인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사회적, 인지적, 정서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으로, 교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는 인지적, 사회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으로, 인식만족에서는 인지적, 사회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 으로, 진로동향에서는 인지적, 정서적에서 유의미한 정(+)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수업만족, 교과 만족, 인식만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수업만족, 교과만족, 인식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진로동향의 경우 수업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5,400원
        247.
        202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과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원구성원의 직업정체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학원교육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원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395명)와 심층면 담(12명)을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에서는 생리적 욕구가, 직무환경에서는 학생환경이, 직무만족에서는 직무자체 만족이, 직업정체성에서는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원구성원의 개인배경 에 따라 욕구수준, 직무환경, 직무만족, 직업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원구성원의 직 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원장환경, 동료환경, 시설환경, 업무환경이고, 직업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생리적 욕구, 애정소속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직무만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학원 차원에서는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을 고려한 인사관리와 직무환경에 대한 개선을 통해 학원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학원구성원 차원에서는 전문성 향상 및 사명감 제고를 통해 직업정체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6,700원
        248.
        202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기영어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원어민 강사를 대상으로 조기영어교육기관의 특성과 근무환경, 직무 만족 및 직무몰입에 대한 인식과 차이를 조사하고, 원어민 강사의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원어민 강사의 업무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원어민 강사가 제공하는 교육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조기영어교육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기영어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원어민 강사 2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15명에게 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영어교육기관 특성에 대한 원어민 강사의 인식은 아동의 애착과 존경이 가장 높고 협력수업에 대한 인식이 뒤를 이은 반면, 의사결정형태 및 직무연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어민 강사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어민 강사의 근무환경과 개인배경에 따른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은 조기영어교육기관의 근로자 수와 원어민 강사의 한국어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어민 강사의 직무만족에는 조직공정성, 상사의 직무역량, 상사의 의사결정형태, 동료지원, 아동의 애착과 존경이 영향을 미치고, 직무몰입에는 상사의 의사결정형태, 아동의 애착과 존경, 직무만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어민 강사의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 수준을 높이고, 이를 통해 조기영어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수준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조기영어교육기관, 기관 내 상사 및 협력강사, 원어민 강사의 노력이 요구된다.
        6,600원
        249.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사대학 학생들은 실무를 파악할 수 있는 1년간의 승선실습을 통해 향후 자신이 근무하게 될 직종에 대한 이해도 향상 및 장기승선을 기대할 수 있다. 해사대학 재학의 만족도는 졸업 후 해운업 종사에 대한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각 학년별 직무만족도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진로선택에 필요한 교육과정이나 요소를 분석하고 개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진로계획을 통해 해사대학 학생의 자기효능감, 팀워크, 자기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학년별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학생들이 매년 필요로 하는 요소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기효능감이였고, 팀워크와 자기리더십의 효과는 규모면에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50.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활동 만족도, 청소년활동 참여정도, 자아존중감 및 공동체의식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의 2018년도 자료 중 고등학생 3,410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활동 만족도, 청소년활동 참여정도,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및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자아 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았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은 청소년활동 만족도와 참여정도에 영향을 받아 청소년활동 만족도가 높고 청소년활동 참여정도가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공동체의식이 높게 나타나청소년활동 만족도 및 참여정도는 청소년 주관적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나 관련 정책의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5,700원
        251.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해군을 대상으로 방문자의 관광지 속성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를 평가하고 농촌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문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배경, 인식, 행태, 경험, 속성 만족도, 재방문 의도를 분석하였다. 속성 만족도는 관광자원, 체험프로그램, 접근성, 시설, 숙소, 위생·청결, 홍보·정보, 친절, 가격·서비스로 구분하였고, 재방문 의도는 재방문 의도, 홍보 의도, 추천 의도로 구분하였다. 방문동기는 자연경관 감상(36.9%), 가족/친구와 시간 보내기(34.8%), 회복(13.9%) 등이었다. 목적지 이미지는 바다, 독일마을, 마늘, 갯벌체험이 주요하였고, 금산 및 보리암, 상주해수욕장, 독일마을이 남해군 속성을 나타내는 주요한 매력적인 목적지였다. 주요한 정보원은 인터넷과 주변 사람들이고, 동반자는 가족 또는 친구/연인이며, 재방문율은 57.8%이고(평균 5.4회), 남해군이 직접적이고 중요한 목적지였다. 체류기간은 2~3일이고, 여행경비는 평균 400,100원이었다. 전반적으로 관광자원, 체험프로그램에서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았고, 가격·서비스, 접근성, 시설에서 낮게 나타났다. 재방문 의도, 홍보 의도, 추천 의도 모두는 모든 속성 만족도와 매우 유의성 있는 양(+)의 상관(p<.01)을 나타냈다. 속성 만족도 모두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단계입력 방식으로 다중회귀분석한 결과에서 재방문 의도는 위생·청결, 숙소, 가격·서비스, 접근성에 의해서, 홍보 의도는 관광자원, 가격·서비스, 위생·청결에 의해서, 추천 의도는 관광자원, 시설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추정되었고, 각각에서 열거된 순서대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영향력을 가졌다. 남해군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해서, 관광자원, 숙소, 편의시설에서 위생·청결, 가격·서비스의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제안할 수 있었다.
        4,500원
        252.
        2021.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재활병원에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작업기반 임파워먼트 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회복탄력 성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단일군 사전-사후 비교검사 설계이다.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MSE-K) 로 대상자를 선별한 후 대상자 15명을 선정하였다.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은 4주간, 주2회 30분씩 진행하였다. 중재 전·후 측정을 위한 도구로 임파워먼트 척도(Empowerment Scale), 한국형 회복탄력성 척도(Korean Version of Connor- Davidson Resilience Scale), 생활만족도조사(Life Satisfaction Survey)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1.0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 작업기반 임파워먼트 증진프로그램 중재 전, 후 평균을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통하여 중재 전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 첫째, 임파워먼트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 자기존중-자기효능, 힘-무기력, 지역사회참여 및 자율성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강인성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생활만 족도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 의식주, 인간관계, 사회생활 및 여가생활, 행복감, 자율성 및 자아감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작업기반 임파워먼트 증진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의 치료에 있어 임파워먼트와 회복탄력성, 생활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며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중재법으로 작업치료 영역에서 고려해볼 수 있다.
        4,300원
        253.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marketing using makeup services and theme park users’ satisfaction, loyalty, and revisit intention. This is because it can identify the usefulness of makeup service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effective field marketing strateg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668 users of the theme park were surveyed after convenience screening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main theme was the makeup service for visitors to Lotte world, Everland, and Hapcheon Ghost theme park.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applied them to the makeup service. Based on this,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is were established, and as part of the empirical research,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analysis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empirical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experience marketing using makeup service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customers using theme parks. Second, experience marketing using makeup services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Third, experience marketing using makeup services has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return. Fourth, satisfaction and loyalty were found to affect the intention to return. Based on this research, we hope that the makeup service as experiential marketing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various fields, and that the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make the makeup service into the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s marketing.
        4,500원
        255.
        202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목적은 노인의 노후준비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영향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수 도권 지역에서 은퇴를 준비한 중년 이후 노인 4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 법은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매개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노후준비도는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노인의 노후준비도는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후준비도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천 방안 을 제시하였다.
        6,400원
        256.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veloped countries that have experienced decline in productivity due to the economic crisis in the past have come to recognize the smart factory as an important mean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due to the increase in labor costs, the avoidance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resolution of the shortage of skilled manpower. The necessity of nurturing manpower for self-maintenance was felt through identifying factors for successful smart factory introduction by companies and providing smart factory education. Therefore, the effect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operational competency on self-efficacy as a parameter and self-efficacy as a parameter were analyzed using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n effect between job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operational competency and self-efficacy as parameters, as well a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operational competenc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continuous education and innovation activities are important in order to increas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companies, and through this, the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of SMEs can be improved.
        4,000원
        257.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들의 거주지 주변에 있는 공공재의 이용도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의 공원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원 계획의 기초가 되는 외국인 밀집지역에서 외국인의 공원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 달서구의 외국인 밀집지역에서 외국인들의 공원 이용특성과 공원 만족도가 체류 외국인 이용자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2개의 도시공원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고 172명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분석에 따르면 공원 이용 패턴의 경우 응답자의 45.9% 가 매월 1, 혹은 2회 정도 공원을 방문했다. 그들의 공원 이용목적은 운동이었으며 공원의 체류시간은 1시간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0% 이상이 야간에 공원을 이용하는 것을 선호했으며, 대부분의 외국인 응답자들은 걸어서 20분 이내인 공원 주변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의 이용특성과 만족도가 외국인 거주자들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ANOVA 검정을 통해 조사하였다. 먼저, 삶의 질 지수가 가장 낮은 외국인 응답자는 일주일에 1회 내지는 2회 정도 공원을 이용한다는 응답자였다. 반면 매일 공원을 이용한다는 외국인 응답자의 삶의 질 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에서 공원까지 접근시간이 30~40분 거리인 외국인의 삶의 질 지수가 가장 낮고, 접근시간이 10분 이내인 외국인의 삶의 질 지수가 가장 높았다. 한국에서 거주하는 외국인의 삶의 질과 공원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1% 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공원 시설과 관련된 9개 요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에 따르면, 그 중에서 9개의 요인 중 공원의 ‘자연적 시설’요인이 다른 요인에 비해 외국인 공원 이용자들의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이전까지 없었던 외국인 밀집지역에서 외국인들의 공원이용 특성과 만족도를 분석하였고, 외국인의 공원 이용을 긍정적으로 유도하고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원 계획의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4,000원
        258.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직의 구성원들이 자신의 직무를 주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조직은 목표를 달성하고 지속적인 경쟁우 위를 확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인적자원 관리의 효과적인 방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잡크래프팅 개념에 주목하고 있다. 잡크래프팅은 현대적 직무설계 방식으로 개인이 능동적으로 환경을 예측하고 변화를 주도함으로써 직무를 재설계하는 것으로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잡크래프팅을 증진시키는 선행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외재적 보상과 내재적 보상의 맥락에서, 구성원이 인지하는 보상만족과 개인-직무 적합성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선행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더해 이러한 선행요인들이 잡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조직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 주는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성과변수 중 하나인 맥락적 성과를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충청지역의 4개 대학교에 재직 중인 팀장과 직원의 310쌍의 설문 결과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외재적 보상의 하나인 보상만족은 잡크래프팅을 증가시키는 선행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보상의 측면에서는 개인-직무적 합성이 잡크래프팅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상만족과 개인-직무적합성 모두 잡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맥락적 성과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외재적 보상과 내재적 보상 모두 잡크래프팅의 선행요인이 될 수 있으며, 잡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조직과 개인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조직의 인적자원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잡크래프팅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보상만족과 개인-직무적합성이 잡크래프팅을 증진시키는 선행변수로서 역할을 하며, 조직의 성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를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5,800원
        259.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국내의 기성 돋보기가 광학적 기준에 부합여부와 조제가공 상태의 대칭성에 대하여 측정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국내에 유통 중인 한 종류의 기성 돋보기 100개(+1.00, +2.00,+3.00 와 +4.00 D)를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기성 돋보기의 광학적 품질은 렌즈 굴절력, 광학중심점간 거리, 광학중심점높이가 측정되었다. 측정된 값의 허용오차는 ISO 8980-1, ISO 16034:2002 그리고 RAL-RG-915를 기준으로 분석되었다. 인위적으로 발생한 수평수직 프리즘은 광학중심점간 거리와 남녀 평균동공간 거리의 오차로 프렌티스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추가적으로 기성 돋보기의 조제과정상 오류로 인한 비대칭성은 단안광학중심점간 거리와 두 렌즈간의 광학중심점간 높이의 오차로 측정하였다. 결과 : 100개의 기성 돋보기 중 23%가 ISO 8980-1의 렌즈굴절력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기성 돋보기의 광학중심점간 거리는 62.06±1.41 mm이었으며, 남녀의 평균 동공간 거리와의 오차로 발생하는 수평프 리즘은 남성은 0.53±0.54 △ BI(0.18~1.06 △), 여성은 0.98±0.68 △ BI(0.37~1.78 △). 테의 중심에서 각 렌 즈광학중심점까지의 거리에서는 85%가 최소 1 mm이상의 오차를 보였다. 기성 돋보기 양쪽 렌즈 간 광학중심점 높이 차이는 1.26±0.83 mm이었으며, 이로 인한 발생되는 수직프리즘은 0.12~0.45 △이었다. 결론 : 많은 수의 기성 돋보기가 요구되는 광학적 품질에 미달되었다. 기성 돋보기는 착용자 개인별 안면형상을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광학중심점간 거리와 동공간거리의 오차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많은 정도의 수평프리 즘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광학적으로 잘못된 기성 돋보기의 사용은 시각적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보다는 시각적 부담을 야기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문가를 통한 확인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4,300원
        260.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MIS) is a special purpose information system that is crea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project managers and participants to make effective and efficient decision making during projects. The use of PMIS is increasing in project based industries such as construction, defense, manufacturing, software development, telecommunication, etc. It is generally known that PMIS helps to improve the quality of decision making in project management, and consequently improves the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However, it is unclear what are the difference of PMIS impacts between industries, and still need to be studied fur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mpact of PMIS on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between industries. We assume that the effects of PMIS will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dustry types. Five hypotheses are established and tested by using statistical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from those people who had experience of using PMIS in various project related industries such as construction, defense, manufacturing, software development and telecommunication.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s of 5 point scale items and were distributed through e-mails and google drive network. A total of 181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137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those responses with missing items.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re used to analyze the data. Summarizing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impacts of PMIS quality on the PM performance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dustry types where PMIS is used. System quality seems to be more important for improving the PM performance in construction industry while information quality seems more important for manufacturing industry. As for the ICT and R&D industries, PMIS seems to have relatively lesser impact compared to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