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04

        24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preparation education implemented with smart glasses in augmented reality on the performance ability, performance confide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clinical nurses at B hospital—2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in the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 tools were performance ability (24 items), performance confidence (11 item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9 items). The experimental group intervention used augmented reality with smart glasses, and the control group used video resour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x2-test, and ANCOVA using the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25.0. Results: Th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F = 104.83, p < .001). Performance confidence was considerab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F = 2.09, p = .041). Finally,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F = 4.52, p < .001).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ECMO education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with smart glasses is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performance ability, performance confide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mong clinical nurses.
        4,200원
        24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생에서 사회경제적으로 성취한 것에 대한 만족도’를 의미하는 사회적․경제적 성취만족도(협의의 성취만족도)를 다루고 있다. ‘성취동기’는 성취를 이끌어 내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비해, ‘성취만족도’는 성취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와 의미에 초점을 두는 개념이다. 성취만족도는 성취와 성취동기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연결고리의 역할을 하며 성취와 성취동기에 대한 입체적 분석을 가능케 한다. 또한, 성취만족도는 사회인구학적 변수들(소득, 재산, 학력 등)이 생활만족도나 성평등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때에도 매개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변수이다. 이런 효용에도 불구하고 아직 성취만족도에 대한 학술적 차원의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성취만족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통계청에서 진행한 2018~2020 년 사회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만 19세 이상의 성인 35,3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술적 분석과 t-test, ANOVA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성취만족도는 성별·연 령집단 내에서 코로나19 전후로 차이를 보였고, 주거점유 형태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교육정도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다.
        6,600원
        24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계림 환성수계(環城水系)는 중국 계림 자연경관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며, 국제적 관광 명소 건설을 위한 계림시의 중요한 공정이자 대외적으로는 계림의 대표적인 관광 브랜드다. 본 연구는 중국 계림 환성수계의 야경 디자인을 평가대상으로 야경 만족도를 평가한 것이다.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탐방객의 관광행태 및 환성수계와 환성수계 야경에 대한 만족도 요인을 살펴보았다. 또한 델파이 조사와 AHP 분석을 통해 확정된 최종 30개 평가지표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을 전제로 IPA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Deng(2007)의 방법을 적용하여 성취도 측정항목을 자연로그로 변환한 후 전반적 만족도 변인들의 평균값과 편상관분석치를 상대적 중요도로 한 수정 IPA를 통해 계림 환성수계 야경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전통적 IPA와 수정된 IPA 분석 결과 약간의 차이가 보였는데 특히 1사분면 핵심우세구역과 4사분면 현황유지구역 중 지표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점개선구역인 제2사분면에 있는 조명쇼의 창의적 예술성(C13), 인터랙티브 쇼의 품질(C24), 민속축제의 공연(C28) 등 주로 조명예술의 콘텐츠와 연출 관련된 지표들은 전통적 IPA와 수정된 IPA 분석 결과 모두 관광객의 기대와 중요도는 높지만, 실제 연출력과 만족도가 낮으므로 개선의 여지가 큰 지표들로 향후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항목으로 부각되었다.
        4,500원
        244.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consumer selective attributes by home meal replacement (HMR) types using local ingred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4 to December 8, 2020. A total of 380 responses organized according to preferred types of HMR (100 for Ready to Eat (RTE), 92 for Ready to Heat (RTH), 88 for Ready to Cook (RTC), 100 for Ready to Prepared (RTP)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descriptive analysis, paired t-test, and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by HMR typ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er selective attributes by HMR type. RTE and RTC need to improve quality while RTH needs to improve quality and packaging. Notable selective attributes were quality, packaging, and information. They were located in different quadrants of each HMR type. All other attributes appeared in the same quadran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quality, packaging, and information for each HMR typ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ducts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each type of HMR products using local ingredients.
        4,300원
        24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stitutional foodservice is a type of meal provided to workers in industry and affects the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workers and productivity. Thus, research on customer satisfaction with institutional foodservice is important. In addition to food industry and food culture developments, the requirements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customers are diversifying due to COVID-19.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with institutional foodservice using a user-based approach. In this study, the quality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was defined using customer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and by using in-depth interview and open cod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e derived qualities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from the user’s perspective and compared these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quality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was analyzed using a user-based approach, in-depth interview, and open coding and compares results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4,500원
        246.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Disabled people have a low employment rate and poor working conditions,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get a job compared to non-disabled peopl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ting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because they experience many difficulties in the commuting environment owing to the physical influence of the disabled. METHODS : Disabled people are expected to have a higher meaning in commuting satisfaction than commuting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commuter satisfaction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an ordered logit model was used because it was composed of a five-point scale. RESULTS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factors in salary,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 around the residence, work characteristics, and public transportation. The main difference was that disabled people were affected by the household income, length of residence, and commuting area, whereas non-disabled people were affected by the personal income, home ownership, and area of residence. Therefore, it appeared that the household income, stability of residence, and short-distance commuting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the commuting environment of the disabled.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that if we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commut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t is expected that effective policies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of the disabled can be determined.
        4,000원
        247.
        202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인의 사회활동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강조되고 있으며 노인의 사회활동을 통해 갖 는 효과성과 만족도는 정부에 대한 복지의식으로 귀결됨을 알아봄으로써 노인의 사회활 동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복지의식의 향상과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60세 이상 노인 45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참 여만족도가 높을수록 복지의식의 정책평가는 높은 것으로 참여효과가 높을수록 복지의 식의 성장과 분배는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에 따른 참여 만족도는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미약하지만 참여효과는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노인은 지역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사회적 역 할에 대한 인식을 고양하고 삶의 만족도를 증진함으로써 성공적 노후에 이바지하고 다 양한 분야에서 사회구성원의 일원으로 노인의 역할을 강화하고 복지정책과 제도 및 수 행기관의 다각도의 연구와 변화가 요구된다 할 것이다.
        5,700원
        248.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바일 환경의 발달은 사람들이 SNS를 대인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의존하도록 만들고 있으며 SNS를 통해 타인의 상태에 대한 논평을 하거나 언급하는 성 향을 형성하면서 이용자들간의 관계를 형성하거나 유지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한 개인이 다른 특정한 개인과 지속적인 정서적 유대를 가지는 경향을 애착이라 하는데, 특정 미디어나 브랜드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애착이 발생한다는 연구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SNS와 이용자의 애착정도를 살펴보고 애착 관계에 따라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을 통해 203명의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SNS의 하위요인 중 안정감과 분리불안 요인 사회적 효능감과 대인 관계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정감의 경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분리불안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리불안의 부정적인 영향은 SNS중독 연구들과 비슷한 연구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안정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SNS 이용 동기인 관계 측면에서의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연 구 결과라 할 수 있다.
        5,500원
        249.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력 패러다임은 조직중심에서 개인중심으로 이동하며 개발 주체의 역할을 부각하고 있으나, 사회적 상호작용의 공간인 조직에서 대인관계와 관련된 개인 자원의 경력개발에 관한 역할을 고려할 필요가 있 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대인 간 상호작용에 효과적으로 평가되는 대인관계기술과 행동 주체로서의 행위의 자발적 조절에 주목하는 자기관리, 경력에 대한 호의적 평가인 경력만족, 경력의 결과 인식에 주요 조건부 변수로 평가되는 성별을 주요 변수로 설정하여 이들 간의 영향력 관계, 영향력 메커니즘, 영향력 메커니즘에서 조건부 요인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대상은 제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서비스 업종과 공기업 종사자이고, 335명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에는 SPSS Macro가 활용되었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Model 4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Model 7이 적용되었다. 분석결과, 대인관계기술은 자기관리와 경력만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자기관리는 대인관계기술과 경력만족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며, 이 경로에서 조건부 간접효과의 영향력은 성별에 의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시사점은 개인 자원이 경력개발과 자기조절 활동을 촉진 하는 주요 자원으로 적용될 수 있고, 자기조절 과정의 영향력 메커니즘에 있어 개인 자원이 주요 동인이 됨을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주요 변수들의 매개과정에서 조건부 요인인 성별의 역할이 규명되어 경력개 발 과정에서 남성과 여성의 자원을 활용한 영향력 지각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5,800원
        250.
        202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실용음악 학원과 관련한 선행연구에서 효율적 경영에 대한 방법론의 모색이 미비한 실정임을 파악하고, 교육 대상자인 수강생(학령기학생 및 성인)의 현장감 있는 목소리를 반영하는 실효성 높은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전국 실용음악 학원의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여 실용음악 학원의 교육 서비스가 수강생의 자기효능 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2021년 9월 1일 ~ 2021년 9월 15일까지 전국의 실용음악 학원 수강생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241부의 내용을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SPSS V.2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요인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사회적, 인지적, 정서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으로, 교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는 인지적, 사회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으로, 인식만족에서는 인지적, 사회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 으로, 진로동향에서는 인지적, 정서적에서 유의미한 정(+)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수업만족, 교과 만족, 인식만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수업만족, 교과만족, 인식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진로동향의 경우 수업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5,400원
        255.
        202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과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원구성원의 직업정체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학원교육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원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395명)와 심층면 담(12명)을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에서는 생리적 욕구가, 직무환경에서는 학생환경이, 직무만족에서는 직무자체 만족이, 직업정체성에서는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원구성원의 개인배경 에 따라 욕구수준, 직무환경, 직무만족, 직업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원구성원의 직 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원장환경, 동료환경, 시설환경, 업무환경이고, 직업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생리적 욕구, 애정소속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직무만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학원 차원에서는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을 고려한 인사관리와 직무환경에 대한 개선을 통해 학원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학원구성원 차원에서는 전문성 향상 및 사명감 제고를 통해 직업정체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6,700원
        256.
        202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기영어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원어민 강사를 대상으로 조기영어교육기관의 특성과 근무환경, 직무 만족 및 직무몰입에 대한 인식과 차이를 조사하고, 원어민 강사의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원어민 강사의 업무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원어민 강사가 제공하는 교육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조기영어교육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기영어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원어민 강사 2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15명에게 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영어교육기관 특성에 대한 원어민 강사의 인식은 아동의 애착과 존경이 가장 높고 협력수업에 대한 인식이 뒤를 이은 반면, 의사결정형태 및 직무연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어민 강사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어민 강사의 근무환경과 개인배경에 따른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은 조기영어교육기관의 근로자 수와 원어민 강사의 한국어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어민 강사의 직무만족에는 조직공정성, 상사의 직무역량, 상사의 의사결정형태, 동료지원, 아동의 애착과 존경이 영향을 미치고, 직무몰입에는 상사의 의사결정형태, 아동의 애착과 존경, 직무만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어민 강사의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 수준을 높이고, 이를 통해 조기영어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수준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조기영어교육기관, 기관 내 상사 및 협력강사, 원어민 강사의 노력이 요구된다.
        6,600원
        257.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사대학 학생들은 실무를 파악할 수 있는 1년간의 승선실습을 통해 향후 자신이 근무하게 될 직종에 대한 이해도 향상 및 장기승선을 기대할 수 있다. 해사대학 재학의 만족도는 졸업 후 해운업 종사에 대한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각 학년별 직무만족도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진로선택에 필요한 교육과정이나 요소를 분석하고 개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진로계획을 통해 해사대학 학생의 자기효능감, 팀워크, 자기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학년별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학생들이 매년 필요로 하는 요소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기효능감이였고, 팀워크와 자기리더십의 효과는 규모면에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58.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활동 만족도, 청소년활동 참여정도, 자아존중감 및 공동체의식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의 2018년도 자료 중 고등학생 3,410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활동 만족도, 청소년활동 참여정도,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및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자아 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았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은 청소년활동 만족도와 참여정도에 영향을 받아 청소년활동 만족도가 높고 청소년활동 참여정도가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공동체의식이 높게 나타나청소년활동 만족도 및 참여정도는 청소년 주관적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나 관련 정책의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5,700원
        259.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해군을 대상으로 방문자의 관광지 속성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를 평가하고 농촌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문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배경, 인식, 행태, 경험, 속성 만족도, 재방문 의도를 분석하였다. 속성 만족도는 관광자원, 체험프로그램, 접근성, 시설, 숙소, 위생·청결, 홍보·정보, 친절, 가격·서비스로 구분하였고, 재방문 의도는 재방문 의도, 홍보 의도, 추천 의도로 구분하였다. 방문동기는 자연경관 감상(36.9%), 가족/친구와 시간 보내기(34.8%), 회복(13.9%) 등이었다. 목적지 이미지는 바다, 독일마을, 마늘, 갯벌체험이 주요하였고, 금산 및 보리암, 상주해수욕장, 독일마을이 남해군 속성을 나타내는 주요한 매력적인 목적지였다. 주요한 정보원은 인터넷과 주변 사람들이고, 동반자는 가족 또는 친구/연인이며, 재방문율은 57.8%이고(평균 5.4회), 남해군이 직접적이고 중요한 목적지였다. 체류기간은 2~3일이고, 여행경비는 평균 400,100원이었다. 전반적으로 관광자원, 체험프로그램에서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았고, 가격·서비스, 접근성, 시설에서 낮게 나타났다. 재방문 의도, 홍보 의도, 추천 의도 모두는 모든 속성 만족도와 매우 유의성 있는 양(+)의 상관(p<.01)을 나타냈다. 속성 만족도 모두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단계입력 방식으로 다중회귀분석한 결과에서 재방문 의도는 위생·청결, 숙소, 가격·서비스, 접근성에 의해서, 홍보 의도는 관광자원, 가격·서비스, 위생·청결에 의해서, 추천 의도는 관광자원, 시설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추정되었고, 각각에서 열거된 순서대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영향력을 가졌다. 남해군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해서, 관광자원, 숙소, 편의시설에서 위생·청결, 가격·서비스의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제안할 수 있었다.
        4,500원
        260.
        2021.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재활병원에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작업기반 임파워먼트 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회복탄력 성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단일군 사전-사후 비교검사 설계이다.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MSE-K) 로 대상자를 선별한 후 대상자 15명을 선정하였다.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은 4주간, 주2회 30분씩 진행하였다. 중재 전·후 측정을 위한 도구로 임파워먼트 척도(Empowerment Scale), 한국형 회복탄력성 척도(Korean Version of Connor- Davidson Resilience Scale), 생활만족도조사(Life Satisfaction Survey)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1.0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 작업기반 임파워먼트 증진프로그램 중재 전, 후 평균을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통하여 중재 전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 첫째, 임파워먼트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 자기존중-자기효능, 힘-무기력, 지역사회참여 및 자율성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강인성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생활만 족도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 의식주, 인간관계, 사회생활 및 여가생활, 행복감, 자율성 및 자아감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작업기반 임파워먼트 증진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의 치료에 있어 임파워먼트와 회복탄력성, 생활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며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중재법으로 작업치료 영역에서 고려해볼 수 있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