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렁이에서 유래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하고자, 우렁이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분석 및 고효율 추출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체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함량이 18.4%로 다른 패류(재첩7.1%, 홍합13.5%,다슬기10%)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추출 전처리 공정으로서 분쇄 및 원적외선 처리 결과, 추출 가공할 경우 원료를 분말화 했을 때 추출 효율이 증가되었으며, 원적외선 처리는 추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추출 보조공정인 극초단파처리와 초음파 추출 방식은 가용성 고형분의 추출은 증가시켰으나 콘드로이틴의 추출 수율은 매우 낮았다. 최적 추출공정 선별을 위해 모든 추출 공정의 가용성 고형분, 단백질 그리고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가압처리 방식을 이용해 121℃에서 120min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mechanical property of a phosphore layer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resolution (LP/mm) and by positron annihilation spectroscopy and SEM. Image plate samples containing the phosphore layer were irradiated by X-rays in a hospital numerous times over a course of several years. The LP/mm values of a (Ba,Sr)FBr : Eu image plate irradiated by X-rays varied between 2.2 and 2.0 over a period of four years. Coincidence Doppler Broadening (CDB) positron annihilation spectroscopy was used to analyze defect structures. The S parameters of the samples from hospital use varied from 0.6219 to 0.6232.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of exposure to the X-rays and the S parameters. Most of the defects were found to have been generated by X-rays.
건물군 내의 난류 유동에 의한 오염물질 확산을 LES 기법을 이용해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동기는 복잡한 건물 내의 오염물질 확산을 효과적으로 예측하려는 노력에 기인한다. 결과적으로 확보될 예측 기술은 화학적으로 치명적인 재난을 예방하거나 기발생된 사고에 대한 빠른 대처를 가능케 할 것이다. 우선, 채널 내 난류 유동에 의한 농도 확산 및 단일 큐브 주위의 농도확산에 대한 타 연구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본 코드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다음에 도심 도로변의 배기가스에 의한 대기 오염을 모사하였다. Lagrangian dynamic subgrid-scale model이 유동장 및 농도장에 대한 난류 모델기법으로서 사용되었으며 log-law에 기반을 둔 유동장에 대한 벽모델이 바닥면과 건물 표면에 적용 되었다. 건물의 형상은 가상경계법을 이용해 직교좌표계에서 구현되었다.
본 연구는 수입사료가 우리나라 농업환경의 오염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2005년을 기준년도로 하여 수입사료 품목별 수입량 및 비료성분량, 수입사료로 인한 가축 사양단계에서 비료성분 발생량을 추산하고, 농경지 작물별 재배면적과 양분요구도 분석을 통해 수입사료로 인한 농경지의 오염부하도를 분석하였다. 수입사료를 통해 국내로 도입되는 비료성분량은 질소 371천톤, 인산 140천톤, 가리 143천톤, 주요 수입품목인 곡류 및 식물성 유박류에서 유래하는
The fluidized bed has been used generally for Industrial process such as chemical reaction process, separation process, incineration and etc. It is very efficient for such application because of equitable contact of each fluidized element with fluid passing through it and maximizing active contact area to adsorb and react from the fluid. This study had focus on application of fluidized bed for air purifier as household appliance and analyzed its performance in comparison to typical fixed media type. As a result, fluidized bed performed in this study had higher removal efficiency for acetaldehyde over two times within initial operation term and had lower pressure drop over 0.7mmAq than that of fixed media type.
만가닥버섯(Lyopyllum ulmarium)은 주름버섯목 송이 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동남아시아, 유럽, 북미 등에서 발생하는 버섯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부터에 재 배가 시작되었으나, 재배기간이 길어 농가에서 기피하다 최근들어 재배가 시도되고 있다. 본 시험에서는 노루궁뎅 이, 만가닥, 팽이 그리고 검은비늘버섯을 대상으로 항산화 력과 항산화 성분 그리고 tyrosinase 저해활성 및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을 탐색 하여 유용 식용자원으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고, 만가닥 버 섯 품종의 선발하고자 하였다. 만가닥버섯의 총페놀화합물의 함량은 100g당 506.7mg 이었으며, 총항산화력은 609.2 AEAC(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이었다. 만가닥버섯 열 수추출물의 DPPH 라디칼을 이용한 전자공여능은 34.6% , 금속이온의 제거능은 61.6% 이었다. tyrosinase 활성의 억제효과는 17%,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의 저 해효과는 84%이었다. 만가닥버섯의 품종선발을 위해 15 교배조합에서 808계통의 2핵균주를 얻었으며, 808계통 을 MCM배지에서 12일간 균사생장량을 측정하여 균사생 장량이 높은 120균주를 선발하여 850㎖ PP병에 미송톱 밥+쌀겨(8:2)의 혼합배지에서 자실체를 발생시켜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1757계통의 균배양일수는 34.7일이 었으며, 수량은 107.1g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향후 추가 적인 특성의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CMV)에 이병된 착색단고추(Capsicum annuum var. grossum) 의 휘발성 물질(Volatile organic chemicals, VOCs)에 대해 식물바이러스 매개충인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의 유인반응을 조사하였다. 착색단고추에 CMV를 즙액 접종, 진딧물 보독충을 이용한 접종 및 대조군으로 완충용액만 접종한 처리구와 진딧물 비보독충을 접종한 처리구를 배치하였다. 접종한 CMV와 중복 감염 여부를 우려하여 접종하지 않은 PepMoV를 RT-PCR로 각 단계에서 검정하였다. 분자검정은 상처효과(wounding effect)를 우려하여 유인반응 24시간 이전에 수행하였다. Gas chromatography 분석에 의해 CMV에 이병된 착색단고추는 접종 후 2주 또는 4주에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특이적인 VOCs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접종 후 2주차에 즙액접종과 보독충 진딧물 접종 간에는 발병 특이적인 VOCs의 방출 패턴이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이들 VOCs에 대한 진딧물의 유인 반응을 검정하고자 CMV 이병 식물과 건전 식물에 대한 목화진딧물 유시충의 Y-tube 유인 수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CMV 이병주의 VOCs에 대하여 목화진딧물의 특이적인 유인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다만 식물의 생장에 따른 유인수의 증가만 확인 되었다.
개박하(catnip plant)에서 발견된 물질인 nepetalactol과 nepetalactone이 야외 칠성풀잠자리붙이를 유인하고(Boo et al. 1998), 해충이 식물체를 가해하면 식물체가 천적을 유인하기 위해 분비하는 휘발성물질에 대한 연구보고(Bouwmeester et al., 1999)가 있다. 뿐만 아니라 식물분비 휘발성물질은 초식성 곤충의 기주탐지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초식성 곤충 (Visser, 1986) 뿐만 아니라 이들의 천적(Tumlinson et al., 1992)도 유인하고, 산란행동이 이들 기주가 분비하는 화학물질에 의해 조절됨(Hartlieb et al., 1999)에 따라 이러한 기작을 해충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Agepoulos et al., 1999).
농약살포로 해충의 약제저항성 유발, 천적류 감소, 및 환경오염 등 여러 가지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으며, 농약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농약대체물질 개발 및 그 이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문제해충의 정확한 발생을 예찰하고, 방제를 위해 곤충 자체가 분비하는 성페로몬을 이용하거나 해충과 작물과의 관계에서 해충이 가해한 작물에서 분비되는 휘발성물질이 천적을 유인한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천적을 유인하기 위한 다양한 휘발성물질 탐색에 많은 연구들이 추진되고 있다.
본 소모임에서 해충의 가해를 받은 식물이 분비한 휘발성물질이 천적을 유인한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목화진딧물이 가해를 받은 착새단고추가 분비하는 휘발성 물질이 천적을 유인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결과를 소개함과 동시에 작물-해충-천적 상호작용에 천적유인물질 탐색에 관련된 세부기술들 을 함께 검토해 보고자 한다.
유해물질의 식품기준은 위해성이 인정될 때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위해평가의 절차에 거쳐 정량적 수치로 인정되는 위해성은 정부의 관리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대표성 있는 모니터링자료가 확보되어야 정확한 위해평가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만성적 건강영향을 나타내는 유해물질의 경우 장기적 모니터링결과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대다수 인구집단의 안전에 초점을 두었으나, 최근에는 고섭취에 의한 유해물질 고노출그룹, 동일노출 수준에서도 유해영향을 크게 나타내는 민감그룹, 노약자, 임산부 등의 안전까지도 검토 후 소수그룹까지 안전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는 추세이다. 유해물질 기준검토를 위하여 최신의 독성정보, 통계정보, 분석기술정보, 낮출 수 있는 한 낮출 수 있는 ALARA(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정보들이 필요하다.
상추는 전형적인 광발아 종자로서 품종별, 광질 및 생장조절물질 등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대부분의 품종은 백색광과 적색광 하에서는 85% 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청색광에서는 발아세가 저하되었으며, 초적색광에서는 거의 모든 품종에서 발아가 되지 않아 광에 의한 발아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Cheongguangcheongchima'는 초적색광 하에서도 78%, 'Okdol'은 63%, 'Manchudaecheongchima'도 48%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이들 품종은 광에 둔감한 품종으로 분류되었다. 초적색광의 발아 불량조건 하에서 BAP와 kinetin은 종자발아 및 정상유묘출현율을 촉진시킨 반면, ethephon은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BAP, kinetin, TDZ, zeatin과 같은 cytokinin류는 50mg·L-1 이하로 처리하여 초적색광에 의한 발아억제효과가 상쇄되었으나, IBA, 2,4-D, NAA의 auxin류는 별다른 극복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The systematic information management of chemical accidents is required as a tool for the policy making, system improvement and release of information. However, there isn't yet a systematic chemical accidents tracking system in Korea, which make a confusion that the related statistic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s.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emical accidents data and made the chemical accident codes for the information tracking system prop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ause of offensive odor incident that took place at Shin-Gil district in Seoul on 17. Nov. 2007. Ai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bo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accidental sewage site both at the right after and long after the accident and analyzed by GC/MS method. The results of our initi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39 compounds with sufficiently detectable quantities (e. g., above ~ 1 ppb). These compounds can be classified into 3 classes of chemical groups which include: Benzene, Indene, and Miscellaneous. It further indicated that compounds with benzene(C₆H₆) ring were the most abundant species followed by several compounds with indene(C₉H₈) structure. Based on our analysis, we conclude that the release of industrial solvents with indene resin contributed most significantly to the observed malodor incident.
Recently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and strengthened the environmental polices to manage and enhance indoor air quality as a major assignment. As a result,“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Act”has been activated since May 2004. However, among many multi-usage facilities, the school environment has been excluded from such regulation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indoor aerosol and CO2 concentrations in a university library which is one of major school facilities. Concentrations of PM10, PM2.5, and PM1 were intensively measured every 5 minute interval by means of a dust monitor with light-scattering principle. The mini-volume air samplers were used further to analyze inorganic elemental compositions of PM10 and to inter-compare with the dust monitor. Carbon dioxide was simultaneously monitored by a multi-gas monitor equipped with a non-dispersive infrared system. PM10 concentrations did not exceed the indoor air quality standard(150㎍/㎥) for all the sampling places. However, quick and steep increases of aerosol concentration were observed during the Asian Dust storm period.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PM10(74.1㎍/㎥) in the main university office was the highest among the entire sampling places. Although there was no specific pollution source in the library, the levels of aerosol and CO2 increased quickly due to various outdoor sources and human activities. The average CO2 concentration measured in three reading rooms, where ventilation was not fully operated, exceeded the indoor air quality standard of 1,000 ppm. Based on these case studies, effective management and reduction plans for indoor aerosol and CO2 were suggested for the large scale public buildings including university libraries.
In this study, the removal efficiency of 24 odorous compounds was measured in diverse control process units of 7 individual chemical companies located in Ban-Wall & Shi-Wha Industrial Complex in Gyeonggi-do, Korea from March to August, 2007. To quantify the removal efficiency rates of major odorous compounds, we collected odor samples from the inside process and both the front and rear side of 7 control process unit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oluene, ammonia, trimethylamine (TMA) and acetaldehyde were dominant odorous compounds in the inside process. In addition, VOCs, TMA and acetaldehyde were also detected at higher concentrations in the stacks and 10 (toluene, acetone, ethyl benzene, xylene etc.) out of 24 index compounds were found to have negative removal efficiencies. According to the removal efficiency evaluation of seven odor control facilities, a company equipped with two connected absorption processes was shown to have positive (+) removal efficiencies for 16 odor substances and NH₃, TMA, acetaldehyde, the priority odor substances, which meant the proper control system was installed and operated. Hence, to obtain best removal efficiency of odorous pollutant emission, the database on source characteristics and the development of management techniques of diverse control process units are continually needed.
Mushroom is well known for a safe food for a long time and, what is more, has a lot of useful characteristics related on the pharmacological activities. It is expecte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al food due to its diverse bioactive compounds. Especially, medical potentiality on immunomodulator and antitumor continues to be focused. Recent research trend and commercialization of functional healthy food using mushroom and its bioactive compounds will be herein introduced. Industrialization of mushroom functional substances will b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