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NT diameters on properties of CNT-polyamide composites was investigated such as electrical conductivity, tensile strength and thermal conductivity. To get different diameter distributions of CNTs, several portions of Mo and Fe in Mo-Fe/MgO catalysts were synthesized by a combustion method at 600℃. And all CNTs growed at 900℃ with 3 SLM methane and 1 SLM hydrogen for 40min. Four kinds of CNTs with different diameter distributions, such as 1~3nm, 3~7nm, 7~13nm, and 10~30nm, were selected to make CNT-polyamide composites. Each composite was manufactured by a solution mixing using bar-type ultra-sonicator in the CNT portions from 1phr to 50phr. And electrical conductivity, tensile strength, and thermal conductivity were measured. Three properties of CNT-polyamide composite, manufactured with 10nm diameter, were more excellent compared to other composites, with electrical conductivity Ω at 7phr, thermal conductivity 2.4.W/mK at 40phr, tensile strength 60MPa at 30phr. CNTs with a diameter of 10nm were superior to other diameters for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ch as CNT-polyamide composites.
Our environment is faced with serious problems related to the air pollution from automobiles in these days. In particular, the exhaust emissions from the diesel engines are recognized main cause which influenced environment strong. In this study, the potential of biodiesel fuel and oxygenated fuel (ethylene glycol mono-n-butyl ether; EGBE) was investigated as an effective method of decreasing the smoke emission. The smoke emission of blending fuel (EGBE 0~20 vol-%) was reduced in comparison with diesel fuel and it was reduced approximately 64% at 2000 rpm, full load in the 20% of blending rate. But torque and brake specific energy consumption (BSEC) didn't have no large differences. But, NOx emissions from biodiesel fuel and EGBE blended fuel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diesel fuel.
Recently, car pump market is positively growing in emerging countries as well as advanced countries. A increasing attention is recently drawn to electric vehicle but, still commercialization is expected to take a long time. This research is to study on the performance analysis for change in number of teeth of internal gear oil pump with three different numbers of teeth in the inner gear. After measuring real design features, modeling, velocity distribution and pressure distribution are conducted numerically. Pressure changes and volumetric efficiencies are compared with three different cases in order to analyze the performance for inner gears. Finally, optimum volumetric efficiency is determined with the sequence of case 1, case 2, and case 3.
이 논문은 비모수적 자료포락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감귤농가의 경영효율성을 추정하였다. 추가적으로 커널밀도함수를 이용하여 경영효율성의 분포가 지난 13년간 어떻게 바뀌었는지도 도식화하였다. 연구를 위해 농촌진흥청에서 조사 발표하는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지난 13년간 경영효율성은 시설 감귤농가와 노지 감귤농가 모두에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수입농산물이 증가하는 상 황 하에서 감귤농가의 경영효율성이 개선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경영효율성을 순수기술적 효율성과 규 모 효율성으로 분해한 결과, 순수기술적 효율성은 점차 개선되는 반면에 규모 효율성은 악화되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효율성 개선의 여지는 순수기술적 효율성 측면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순수기술적 효율성은 꾸준히 계속 향상시키되 적정규모를 찾아가는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으로 보 인다.
A finite element simulation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influences of different post spaces and thicknesses of crash barriers on the dynamic behaviors due to truck crash. Accuracy of the simulation was verified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parisons. Based on in-depth examination of crash simulation recordings, energy distributions occurred in the barrier against the car are determined. In this paper, the existing finite element crash analysis of barriers using the LS-DYNA program is further extended to study the dynamic response of the barrier with various geometries of the guardrail. The numerical results for various parameters are verified by comparing different models.
고창 개방형 조간대는 황해의 동편, 한국 서남해 연안에 위치하며, 대조차, 개방형 연안, 모래 저질의 특징을 보 인다. 본 연구는 고창 조간대에서 표층 퇴적물의 계절별 퇴적상 변화를 연구하였다. 2014년 2월, 5월, 8월, 11월의 사계 절에 3개 측선을 따라 총 252개 지점에서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고 분석하였다. 고창 조간대의 2014년 표층 퇴적물은 주로 세립 사질 퇴적물로 구성되며, 계절별로 겨울에 조립하고, 여름에 세립한 경향을 보였다. 연구 지역 인근의 계절별 파랑과 조위 관측 자료에 근거하여, 고창 조간대의 표층 퇴적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파랑이 조석보다 계절의 변화 효과가 큰 것으로 해석되었다. 겨울에 상대적으로 큰 파고의 파랑 영향으로 표층 퇴적물이 조립한 반면,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파고의 파랑 영향으로 세립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고창 조간대의 2014년 퇴적상 공간 분포는 고조대 의 계절별 편차가 저조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고조대 입도가 조립하고 분급이 불량하게 나타났다. 고 조대에서 저조대 방향으로 갈수록 입도가 세립해지고 분급이 양호해지며 계절별 편차가 작아졌다.
This research presents assessmental FRP plate, one of materials used for reinforcing damage of RC structure caused by deterior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ive bonding length and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material property of epoxy used for bonding between FRP-Concrete, experimental tests for 3 specimens with each bonding length of 50,100,150,200and 250mm respectively are performed. test results indicate frat material property of epoxy can affect effective bonding length of FRP-Concrete.
차나무 표준수확량을 산출하기 위해 하동 차나무재배 지역별 재배방법 및 환경적 요인에 따른 고급수 제차 생산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고급수제차 생산시기별 생산량을 조사하여 차나무 표준수확량을 산출 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지역은 고급수제차 재배지역(정금리, 입석리)과 티백 혼용 재배지 역(부춘리)을 선정 후 생육특성 및 수확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급수제차 수확 위주의 차밭 지역인 정금리와 입석리에서 신초장, 엽장, 엽폭 그리고 수확량이 높은 편이었다. 3개 지점의 수확량을 조사한 결과, 정금리 지역(2,408.3kg/1ha), 부춘리 지역(752.2kg/1ha) 그리고, 입석리 지역(1,224.1kg/1ha) 순 으로 수확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고급 수제차 생산을 위한 차밭 중에서도 비배관리와 수형관 리를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차밭의 경우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 차밭과 비교 하였을 때 수확량에 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초기 우전 채엽시기 보다 세작 채엽시기에 생산량에서 차이가 많 이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전체적으로 관리작업이 잘 이루어진 정금리 차밭이 입석리 차밭보다 고급수제차 수확량이 약 1.5배 높게 나타났으며, 티백 원료생산 목적의 부춘리보다 2배로 높게 나타났 다. 2014년 3지역의 차나무 수확량은 1,461.6kg/1ha으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들을 통해 차나무 재 배지역의 재배방법 및 환경적 요인에 따라 고급수제차 생산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geotextile tube’s performance in strength, dewatering, retaining solid particles and stacked stability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in the past. However, only little research have been done in the observation of stress behavior of geotextile tubes. In this paper, a large-scale apparatus for geotextile tube experiment is introduced. Model tests was conducted using a custom made woven geotextile tubes. Load cells placed at the inner belly of the geotextile tube to monitor the total soil pressure. The pressure sensors are attached to a data logger which sends the collected data to a desktop computer.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geotextile the soil pressure distribution varies at each geotextile tube section.
블루베리 퓨레의 가공과정에서 열처리로써 20 Brix로 농축하는 공정으로 40℃에서 3시간 감압농축을 하였으며 살 균공정으로 90℃에서 30분간 하였다. pH 조절제로 원료인 블루베리 대비 1%(w/w)의 시트르산(citric acid, CA) 또는 0.5% 산성메타인산나트륨(acidic sodium metaphosphate, ASM)을 사용하였다. 대조구, 1% CA 및 1% CA + 0.5% ASM 블루베리 퓨레의 pH는 각각 2.51, 2.53 및 1.60이었다. 색가(Color value)는 각각 111.80, 172.83 및 145.80이었으며 적색 도 a값은 각각 3.40, 3.16 및 4.13이었다. 총 폴리페놀함량은 각각 325.68, 361.55 및 481.72 mg/g이었으며 총 플라보노 이드함량은 각각 489.50, 555.78 및 782.00 mg/mL이었고 총 안토시아닌함량은 각각 128.69, 154.12 및 164.06 mg/100g 이었다. 항산화활성으로써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각각 88.04, 91.81 및 101.18% 이었으며 SOD-like 활성능은 각각 49.83, 50.25 및 68.11% 수준이었고 hydrogen peroxide 소거능은 각각 91.98, 96.33 및 102.04% 수준이었다. Elastase 저 해활성은 각각 34.40, 39.06 및 49.38% 수준이었다. 모든 분석 치에 대하여 대조구와 1% CA + 0.5% ASM 블루베리 퓨 레 간에 5%내에서 유의성차이를 보였다.
농축 블루베리 주스의 가공과정에서 열처리는 40 Brix로 농축하는 공정으로 40℃에서 3시간 감압농축을 하였으며 살균공정으로 90℃에서 30분간 하였다. pH 조절제로써 원료인 블루베리 대비 1%(w/w)의 시트르산(citric acid, CA) 또 는 산성메타인산나트륨(acidic sodium metaphosphate, ASM)을 사용하였다. 대조구, 1% CA 및 1% CA + 1% ASM 농축 블루베리 주스의 pH는 각각 2.67, 2.60 및 1.61이었으며 색가(color value)는 33.03. 22.08 및 54.67이었고 적색도 a값은 2.88, 4.25 및 4.43이었다. 총 폴리페놀함량은 각각 312.71, 296.15 및 353.82 mg/g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389.00, 306.43 및 377.42 mg/mL이었고 총 안토시아닌함량은 46.02, 30.86 및 65.75 mg/100g이었다. 항산화활성으로써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각각 87.98, 97.63 및 113.01% 이었으며 SOD-like 활성능은 14.52, 14.19 및 23.95% 수준이었 다. Elastase 저해활성은 각각 28.29, 26.34 및 26.06%이었다. 모든 분석 치에 대하여 대조구와 1% CA + 1% ASM 블루 베리 퓨레 간에 5%내에서 유의성차이를 보였다.
In order to use coal tar pitch (CTP) as a raw material for carbon fibers, it should have suitable properties such as a narrow range of softening point, suitable viscosity and uniform optical properties. In this study, raw CTP was modified by heat treatment with three types of polymer additives (PS, PET, and PVC) to make a spinnable pitch for carbon fibers. The yield, softening point, C/H ratio, insoluble yield, and meso-phase content of various modified CTPs with polymer additives were analyzed by changing the type of polymer additive and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operties of CTPs modified by polymer addition with those of a commercial CTP. After the pitch spinning, the obtained green fibers were stabilized and carbonized. The properties of the respective fibers were analyzed to compare their uniformity, diameter change, and mechanical properties. Among three polymer additives, PS220 and PET261 pitches were found to be spinnable, but the carbon fibers from PET261 showed mechanical properties comparable with those of a commercial CTP produced by an air-blowing method (OCI284). The CTPs modified with polymer additive had higher β-resin fractions than the CTP with only thermal treatment indicating a beneficial effect of carbon fiber application.
둥근 마는 전북 정읍지역에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숙취해소, 자양강장, 소화촉진, 혈당저하, 변비해소, 피로회복 등 에 이용되고 있다. 주성분으로 전분, 뮤신, 사포닌, 아르기닌 등 특수성분이 많이 들어있고 일반 마에 비해 뮤신, 디오 신, 섬유질이 2.5~3.5배 정도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주로 생과나 분말로 판매되어 꿀, 우유, 요구르트에 섞어 마시거나 즙 등으로 가공 유통이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둥근 마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한 적정 초산발효 조건 선발을 위한 품질특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초산발효를 실시하기 전 알콜 발효를 먼저 실시하여 마 첨가비율을 선발한 결과 마 첨가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당도, 알콜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마 20% 첨가 시 알콜 함량 16.5%를 나타 내어 대조구 알콜함량 17% 대비 알콜함량 효율이 우수하였다. 마의 주요성분인 디오신 함량이 0.216 mg/g을 나타내었 으며 관능평가에서도 마 첨가량 20%에서 우수하여 초산발효 시 마 첨가량으로 적정 하였다. 마 초산발효를 위한 알콜 함량 선발시험 결과 알콜 함량 6%에서 총산도 4.79%, 당도 3.6°Bx를 나타내었다. 또한 초산균 선발을 위해 자체 선발 균주 17종을 대상으로 16S rRNA로 동정한 결과 A. pasteurianus 2종을 선발하여 초산균으로 이용한 결과 막걸리에서 분리 동정한 A. pasteurianus 초산균 사용 시 총산도 4.41%, 당도 3.7°Bx, pH 3.34를 나타내어 초산발효 조건으로 우수 하였다.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 증가는 농업생태계에서 작물에 대한 해충-천적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변화시켜 해충의 발생과 천적의 생물 방제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고추의 대표적인 해충 복숭아혹진딧물과 목화진딧물, 천적인 칠성무당벌레를 대상으로 각각 기존의 Rosenzweig-Macathur predator-prey모델을 이용하여 244일 동안 평균 온도 상승에 대한 개체군의 밀도 변동을 모의하였다. 기후변화의 온도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모델을 구성하는 각각의 생물 파라미터에 대해 온도 의존 함수가 추가되었고, 수정된 모델의 결과를 바탕으로 dynamic index를 이용하여 상호작용 강도를 산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두 시스템 모두 평균온도가 증가함에 따라(+1°C, +3°C) 해충과 천적의 밀도 변동 주기와 해충의 최대 발생 밀도는 감소하고, dynamic index는 증가하였다. 또한, 온도가 5°C 증가할 경우, 목화진딧물-칠성무당벌레 시스템에서는 강한 상호작용 에 의한 포식자 및 피식자의 과도한 밀도 감소의 영향으로 dynamic index가 급격히 상승하는 구간을 보여주었다. 기후변화에 의해 평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해충의 발생 빈도 증가 및 일부 발생 밀도의 증가가 나타날 수 있지만, 종간 상호작용 증가에 의해 그 영향이 상쇄됨에 따라 생물적 방제 효과는 증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멸강나방(Pseudaletia separata)은 국내에서 월동하지 못하나 해에 따라 다량으로 비래하여 목초지, 옥수수 등에서 큰 피해를 야기 시키는 비래 해충이다. 나방류의 경우 장기간 누대 사육하기가 쉽지 않으며 멸강나방도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의 원인이 사육 개체군의 유전적 변화로 인한 결과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6개의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하여 2012년 2개 지역에서 채집하여 누대 사육한 4개의 집단과 2015년 채집된 3개 집단 총 224개체의 유전자 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AMOVA 검정 결과 집단간 전체 유전적 변이의 10%는 개체 간에, 7%는 집단 간에 그리고 83%는 개체 내에서부터 유래되었다. 집단 간 유전적 거리 차이를 보면 태안 2세대 개체군과 안성 개체군 간 차이가 가장 적었으며 (Fst=0.010), 태안 6세대 개체군과 수원 6세대 개체군 간 차이가 가장 컷다 (Fst=0.094). PCoA 분석결과 첫 두 주요인에 의한 분산이 전체 분산의 74.60%를 차지하였다. Structur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 내 개체들이 가지는 유전자 구조 변화를 분석한 결과 누대 사육 초기에는 여러 유전자 cluster가 일정한 비율로 존재하였으나 6세대 누대 사육 개체군에서는 하나의 cluster가 비율이 급격하게 높은 개체들이 많아지는 방향으로 강력한 선택압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