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earch presents an application of Balanced ANOVA (BANOVA) by utilizing randomized orders for various Split-Plot Designs (SPDs) which include two cell designs, split-plot with one-way HTC (Hard to Control) factor, split-plot with two-way HTC factor, split-split-plot design and nested design. In addition, four MINITAB examples of 2-level split-plot designs based on the number of blocks and the type of whole-plots are presented for practitioners to obtai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Furthermore, the geometrical interrelated properties among three typical Designs of Experiments (DOE), such as Factorial Design (FD), Response Surface Design (RSD), and Mixture Design (MD) are discussed in this paper.
Recently, by the whole world paradigm shift to “Low Carbon Green Growth", it is required to renovate National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System. Transportation accounts for 21% of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and 20% of the total CO2 emission, and also places its main reliance on fossil fuels. From green point of view, electric railway system is superior to the other transportation alternatives, but also required to develop the innovative technologies for high efficiency and low energy consumption.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railway green operation system by regenerative synchronized driving is presented, including the numerical example and the estimated effect.
In the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manufacturing process, if the pre-cured semi-cake is removed after proper time is passed, it will be hard to retain the moisture and be easily cracked.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took the research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for the prediction the hardness that is the control standard of the removal time. W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V/T(Vibration Time), V/T movement, expansion height, curing time, placing temperature, Rising and C/S ratio and the Dependent variables, the hardnes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is study, first, we calculated regression equation by the regression analysis, then we tried phased regression analysis, best subset regression analysis and residual analysis. At last, we could verify curing time, placing temperature, Rising and C/S ratio influence to the hardness by the estimated regression equation.
현재 서울시는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에 따라 버스전용차로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과거 가로변버스전용차로 설치를 시작으로 현재에는 중앙버스전용차로 설치구간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중앙버스전용차로와 가로변버스전용차로에서 버스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방법으로 교통사고가 확률적으로 극히 드물게 일어난다는 점을 생각하여 포아송 회귀모형과 음이항 회귀모형을 선택하였으며, 과산포 존재여부에 따라 음이항 회귀모형으로 최종모형을 정립하였다. 중앙버스전용차로구간은 버스노선수, 중앙차로 진출입 유형수, 중앙차로 정지선 후퇴유무, 중앙차로 정지선과 횡단보도 이격거리, 교통량, 가변차로 정류장 정차노선수 6개의 변수에서 버스사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로변버스전용 차로구간은 우회전 버스노선수, 상습 불법주정차 유무, 보행신호시간, 토지이용형태 4개의 변수에서 버스사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회전교차로의 운영효율을 다루고 있다. 회전교차로는 일반적으로 높은 용량, 지체감소, 안전개선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원형교차로는 통행우선권에 따라 로터리와 회전교차로로 나눌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나리오에 따른 로터리와 회전교차로의 운영효율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진입교통량과 방향별 교통량에 따른 256개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VISSIM을 사용하여 지체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터리의 평균지체가 회전교차로의 차량지체보다 1.56-8.74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주도로와 부도로의 교통량 비율의 차이가 클수록 운영효율이 더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4지 교차로의 평균지체가 3지 교차로보다 1.77-11.70배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2차로(3지와 4지) 교차로가 1차로(3지와 4지) 교차로에 비해 2.02-2.23배 많은 교통량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로표지는 운전자에게 정보제공의 역할을 하는 도로시설물로서 주행경로에 대한 운전자의 판단을 도와준다. 그러나, 주 야간의 온도, 습도 변화로 인한 도로표지판에 결로발생 시, 정보전달의 결함이 발생하여 교통사고 가능성을 높이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도로표지판의 결로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표지판의 결로발생을 예방하는 대안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단열소재가 삽입된 시편, 결로방지필름이 부착된 시편을 선정하고 결로방지처리가 되지 않은 일반시편과 비교하였다. 분산분석과 사후검정(Tukey HSD)을 통해 각 시편에 발생한 측정시간에 따른 결로량을 비교 했으며, 결로량과 재귀반사도의 관계를 Pearson의 상관분석으로써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결로방지필름이 부착된 시편에서 결로량이 적게 나타났으며, 결로발생 90초 후에는 결로방지필름의 부착 시편과 단열소재가 삽입된 시편에서 나타나는 결로량은 결로방지 처리가 되지 않은 시편에서 발생한 결로량과의 통계적인 차이가 존재하였다. 또한, 상관분석결과로써 결로량과 재귀반사도는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로표지판에 발생된 결로량과 재귀반사 변화율에 대하여, 결로방지필름의 부착과 단열소재의 삽입은 결로방지에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고속도로에서 재령이 20년이 넘는 노후 콘크리트가 늘어남에 따라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보강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노후 콘크리트 포장의 보강 대안으로서 아스팔트 덧씌우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반사균열 및 포트홀 등 체류수로 인한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반사균열 및 체류수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안된 접착식 방수층을 소개하였으며 포장가속시험을 통해 일반 택코팅을 적용한 합성단면포장과 비교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강우를 모사하기 위해 물을 뿌리면서 진행하였고 덧씌우기 포장체의 거동 및 수분 저항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접착식 방수층은 아스팔트 포장과 콘크리트 포장이 일체로 거동하는 것을 도와주기 때문에 아스팔트 포장체에 발생하는 거동이 일반 택코팅 구간과 완전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수분의 유입을 최소화하므로 결과적으로 반사균열의 발생을 약 70%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류수로 인한 손상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본 연구자의 무용작품 <Body’s monologue>를 춤추는 주체로서의 몸의 측면에서 분 석한 논문이다. 무용가인 본 연구자가 이 공연을 통해 어떻게 춤추는 주체로서의 몸을 인식하고 공연하였는지에 대해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무용연구의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실기를 기반으로 한 연구(Practice based Research in Dance)’ 방법론과 란스데일의 무용분석방법으로 연구되었다. PBR은 연구자가 자신의 공연체험을 기초로 하는 연구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본 연구자의 직접적인 공연체험을 근거로 논의가 이루 어진다. 또한 란스데일의 무용분석틀에 의한 분석은 작품의 내적인 요인들인 동작, 시각적 요인, 청 각적 요인 등과 더불어 맥락을 함께 보는 작품 분석법이다. 공연체험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 탐구하 려는 것은 ‘춤추는 몸’을 어떻게 인식해야 하는 것인가 라는 문제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은 극장무 용에서 ‘춤추는 몸’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간주되어 왔는지에 대해서 문헌고찰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Body’s monologue>에서 주체로서의 몸을 위한 방법의 핵심은 기량이나 관념의 전달보다는 자 연스러운 동작으로 몸이 편안하고 행복하게 잘 움직일 수 있는 움직임으로 춤을 구성하였다. 이 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이미 작곡된 음악에 맞추기 보다는 이 춤에 맞는 새로운 음악의 작곡을 의 뢰했다. 음악은 몸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이를 받쳐주는 곡으로써 춤추는 몸과 관람하는 몸이 움 직임 자체에 몰두할 수 있게 의도됐다. 따라서 무용수 자신이 움직임을 느끼고 호흡을 들을 수 있게 세심하게 작곡되었다. 또한 몸의 움직임을 편안히 수행할 수 있고 몸이 하고자 하는 동작과 손과 발, 팔과 다리의 움직임이 그대로 보여지는 의상으로 디자인하였다. 무용작품 <Body’s monologue>의 연습과정과 공연은 본 연구자로 하여금 춤추는 나의 몸이 도 구나 악기가 아닌 주인이자 주체라는 인식을 제공해 주었다. 그리고 공연자가 춤추는 주체가 됨 으로서 관람자와도 소통이 가능했다는 점을 본 연구를 통해서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인 식은 본 연구자 뿐 만이 아니라 다른 무용가들에게 춤추는 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제시할 것이 다. 이 인식은 감성, 지성, 영성이 통합되어 있는 몸에 대한 성찰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 자가 시도한 ‘실기를 기반으로 한 연구’가 무용 예술가들이 자신이 춤을 춘 것에 대해서 연구, 분 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바란다.
최근 들어 감성기술은 제조업(제품), 서비스업(문화, 관광, 의료, 교육, 광고) 등 많은 분야에서 적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차세대 유망기술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문화는 게임, 전시, 공연, 스포츠, 관광, 디자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유통 등 다양한 콘텐츠산업분야에 접목되어 기존산업의 고부가가치화에 기여하고 있다. 감성 기술을 이용한 문화의 콘텐츠산업 접목은 콘텐츠 기획-제작-유통-마케팅 등 프로세스 전반의 혁신을 유도함으로써 미래 국가 성장동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성기술의 콘텐츠 적용 사례 조사와 비즈니스 성공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콘텐츠산업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한 감성콘텐츠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감성, 감성공학, 감성과학, 감성기술, 감성콘텐츠 등에 대한 정의와 분류를 정교화하였다. 또한 CT R&D 6개 분야 중에서 감성기술을 적용하여 성공적인 효과를 창출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심층 분석하였다. 성공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개인 맞춤형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인간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 인간의 정서조절이 가능한 콘텐츠를 개발함으로써 한류문화를 세계적으로 소개할 수 있는 융합형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감성기술의 콘텐츠산업 접목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We compared between an automated most-probable-number technique TEMPO®TVC and traditional plating methods PetrifilmTM for estimating populations of total aerobic bacteria in various livestock products. 257 samples randomly selected in local retail stores and 87 samples inoculated with E. coli ATCC 25922, Staphylococcus aureus ATCC 12868 were tested in this study. The degree of agreement was estimated according to the CCFRA (Campden and Chorleywood Food Research Association Group) Guideline 29 and the agreement indicates the difference of two kinds methods is lower than 1 log base 10(log10). The samples of hams, jerky products, ground meat products, milks, ice creams, infant formulas, and egg heat formed products were showed above 95% in the agreement of methods. In contrast, proportion of agreement on meat extract products, cheeses and sausages were 93.1%, 92.1%, 89.1%, respectively. One press ham and five sausages containing spice and seasoning, two pork cutlets containing spice and bread crumbs, two meat extract product and two natural cheeses and one processing cheese with a high fat content, and one ice cream containing chocolate of all samples showed the discrepancy. Our result suggest that TEMPO®TVC system is efficient to analyses total aerobic bacteria to compare manual method in time-consuming and laborious process except livestock products having limit of detection.
본 연구에서는 심소(心韶) 김천흥(金千興, 1909∼2007) 선생의 첫 번째 창작무용극《처용랑》의
사료를 분석함으로써 복원 및 재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처용랑》에
관련된 사료분석을 시도했으며, 분석대상은 국립예술자료원, 국립국악원, 한국춤문화자료원 등에
분류되어 소장되어 있는 문헌자료, 프로그램, 무보 및 대본, 포스터 및 전단, 신문 및 잡지기사,
영상 및 음악, 의상 및 소품, 사진, 서신 등이며, 구술사료는 국립예술자료원의 채록관과 국악음
반박물관 홈페이지에 탑재되어 있는 김천흥 선생의 구술자료와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학연화대
무> 보유자인 이흥구 선생의 구술자료를 활용했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처용랑》은 극적인 줄거리, 춤, 음악, 창사 등 가·무·희 일체의 총체성을 담은 무용극
의 조건을 갖추었다. 춤은 한국의 전통 설화, 궁중정재, 민속무용 등 전통에 근거해 새롭게 창작
되었으며, 음악은 춤의 종류와 무대구성 그리고 춤의 전개에 맞게 창작되었다. 또한 처용의 애타
는 마음을 담은 창사를 읊는 부분이 삽입되었다. 둘째, 무용극의 줄거리는 등장인물의 배역에 따
라 적절하게 표현되었으며, 각 배역은 처용설화의 내용을 극적으로 표현했다. 헌강왕은 망해사를
지어 불공을 드리며 동해 바다에 사는 용왕의 화를 달래고 나라의 태평성대를 표현했다. 용과 용
자들은 기뻐 춤을 추고, 신라에 남은 처용은 역신과 아내의 간통을 용서하며 대인임을 표현했다.
셋째, 배역에 따른 여러 종류의 춤과 무대의 구성을 새롭게 창작했다. 궁중정재 <무애무> 재현을
비롯해 <용의 춤>, <용자의 춤>, <역신의 춤>, <처용처의 춤>, <처용의 춤>을 창작했으며, 불교작
법의 전통적 요소를 무용극에 도입했다. 넷째, 음악은 새롭게 창작되었으며, 30여명의 아악사들이
실제 무용극 공연에서 삼현육각의 대합주로 연주했다. 다섯째, 무대장치와 조명은 사실적으로 꾸
며 무용극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여섯째, 의상과 소품은 신라시대의 의복을 근거로 새
롭게 제작했으며, 전통적인 소도구를 사용해 배역의 특징과 무대장면을 효과적으로 연출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김천흥 선생 타계 후 그의 첫 번째 창작무용극《처용랑》의 복원 및 재
현을 위한 사료분석으로서 의미가 있다. 또한 김천흥 선생이 가진 조선의 예악사상과 가·무·희
일체의 총체성을 보여준 것으로서, 그의 춤 경험과 신무용의 붐에서 비롯된 창작현상 및 전통춤
의 대중화를 위한 창작 정신을 보여준 데에 의미가 있다. 이는 전통에 근거 한 창작세계의 면모
와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미래 한국춤 창작의 한 틀을 만들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
된다.
본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유 ․ 초등 연계 활동에 제공될 수 있는 적용 가능한 교육활동 구성 요인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분석근거에 의해 대안적 예술융합 교육활 동을 제시함으로써 통합적 접근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예술융합 교육의 기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 였다. Bereday G.Z.F.(1964)의 비교연구방법에 의해 나타난 분석 결과, 연계를 위한 교육활동 구성요 인으로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예술 융합적 요인, 전인교육과 통합적인 학습요인, 단일화된 교육구조, 유․초등 연계를 담당할 교사의 자율영역, 자기주도적, 놀이중심의 교육활동, 소통과 공 감을 통해 온몸으로 체득할 수 있는 교육활동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계교육의 교과활동에 적합 한 대안적 예술융합 교육활동으로 하나로 수업과 미적체험교육을 연계학습 환경으로 마련한다면 교과학습능률향상과 다학제적 연계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예술 융합에 걸 맞는 입체적 학습활동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ntibiotic resistance in animal isolates of enterococci is a public health concern, because of the risk of transmission of antibiotic-resistant strains or resistance genes to humans through the food chain. This study investigated phenotypic and genotypic resistances profile of tetracycline in 245 Enterococcus isolates from bovine milk. A total of 245 enterococci were isolated from 950 milk samples. The predominant strain was E. faecalis (n = 199, 81.2%) and E. faecium (n = 25, 10.2%). E. avium (n = 7, 2.9%), E. durans (n = 6, 2.5%), E. gallinarum (n = 4, 1.6%), and E. raffinosus (n = 4, 1.6%) were also isolated. Of the 245 enterococcal isolates 76.3% (n = 187) displayed tetracycline resistance (≥ 16 μg/ml). Of the 187 tetracycline-resistant isolates, 83.4% (n = 156), 16.1% (n = 30), and 26.7% (n = 50) possessed the genes tet(M), tet(L), tet(S) respectively. While 3.2% (n = 6) of the tetracycline- resistant isolates possessed all three genes tet(M) + tet(L) + tet(S), 8.6% (n = 16), 16.0% (n = 30), and 2.7% (n = 5) of them possessed two genes tet(M) + tet(L), tet(M) + tet(S), and tet(L) + tet(S) respectively. The tetracycline resistance pattern investigated in this study was attributable mainly to the presence of tet(M).
The current standard for testing tetrodotoxin (TTX) in foodstuffs is the mouse bioassay (MBA) in Korea as in many other countries. However, this test suffers from potential ethical concerns over the use of live animals. In addition, the mouse bioassay does not test for a specific toxin thus a sample resulting in mouse incapacitation would need further confirmatory testing to determine the exact source toxin (e.g., TTX, STX, brevotoxin, etc.). Furthermore, though the time of death is proportional to toxicity in this assay, the dynamic range for this proportional relationship is small thus many samples must be diluted and new mice be injected to yield a result that falls within the quantitative dynamic range. Therefore,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in this field to develop alternative assays.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coupled with mass spectrometry (MS) has been emerged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options. A LC-MS-MS method involves solid-phase extraction (SPE) and followed by analysis using an electrospray in the positive ionization mode and multiple reactions monitoring (MRM). To adopt LC-MS-MS method as alternative standard for testing TTX, we performed a validation study for the quantification of TTX in puffer fish. This LC-MS-MS method showed good sensitivity as limits of detection (LOD) of 0.03~0.08 μg/g and limits of quantification (LOQ) of 0.10~0.25 μg/g. The linearity (r2) of tetrodotoxin were 0.9986~0.9997, the recovery were 80.9~103.0% and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RSD) were 4.3~13.0%.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ouse bioassay and LC/MS/MS method was higher than 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