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랑다발 동충하초(Cordyceps bassiana )는 자연에서 매 우 드물게 채집되며 인공자실체를 잘 형성하지 않는다. 이러 한 특성은 노랑다발 동충하초(C. bassiana )의 연구와 이용을 어렵게 만든다. 이번 연구는 국내에서 채집된 노랑다발 동충 하초(C. bassiana )로부터 분리된 균주를 이용하여 교배형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인공재배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 자 하였다. 강원대학교 동충하초 은행; Entomopathogenic Fungal Culture Collec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EFCC)에서 보존중인 노랑다발 동충하 초(C. bassiana ) C_1과 C_2로부터 분리된 단포자 균주를 이 용하여 교배(mating)실험을 하였고, 이로부터 CS_1을 포함 한 12개의 균주를 선발하여 위의 실험을 반복하였다. 총 132 개의 단포자 균주를 이용하여 교배실험을 실시한 결과, 전 체균주의 82%는 A, a 대립교배형 균주의 mating에 의하여 인공자실체를 형성하였다. 단독으로 인공자실체를 형성한 CS_1을 포함한 4개의 균주를 선발하여 단포자 분리 후 교 배실험을 실시한 결과 A, a type으로 구분되었고, A와 a 단 포자 균주의 mating에 의하여 인공자실체를 형성하였다. 이 것은 단포자 분리과정에서 다포자(multi_ascospore)를 분 리하였음을 의미한다. 위의 실험에서 노랑다발 동충하초(C. bassiana )는 자웅이체성(heterothallic)균의 특성을 보였으 며 이를 다시 확인하고자 Shurestha(2003)의 방법에 근거 하여 CS_1_2×6을 포함한 4개의 균주를 선발하여 자성과 웅성을 조사한 결과, 한쪽배지에서만 인공자실체를 형성하 였으며 이때 먼저 접종된 단포자 균주는 자성이며, 나중에 접종된 단포자 균주는 웅성으로 볼 수 있다. 이로써 노랑다 발 동충하초(C. bassiana )는 자성과 웅성이 따로 존재하는 heterothallic균임을 증명하였다.
As the population of the silver generation is increasing, the importance and effects of the market for the silver generation are also growing. We segments the categories of the silver generation into six sub-segments using based on the factors like life s
전남산림자원연구소에서 시험 재배한 JF02-06 꽃송이버 섯 시료 200g에 Milli Q water 1ℓ를 혼합하고 정량분석을 위 해 내부표준물질로 n-butylbenzene 1㎕(851.4μg, Aldrich, USA)를 첨가하여 Schultz 등(A)의 방법에 따라 개량된 연속 수증기증류추출장치(Likens&Nickerson type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apparatus, SDE)에서 재증 류한 n-pentane과 diethyl ether 혼합용매(1:1, v/v) 100 ㎖ 를 사용하여 상압 하에서 2시간 동안 향기성분을 추출하였 다. 이 추출액에 무수 Na2SO4를 가하여 -4℃에서 12시간 방치시켜 탈수시키고 유기용매층은 Vigreux column을 사 용하여 약 0.5㎖ 까지 농축 후 GC/MS 분석시료로 사용하였 고 휘발성 향기성분의 정량분석을 위해 GC/MS는 HP 5973 Mass selective detector(Agilent technologies Inc., USA)가 연결된 HP6890 Series gas chromatograph를 사용하였으며 GC/MS에 의해 total ionization chromatogram(TIC)에 분리 된 각 peak의 성분 분석은 mass spectrum library(WILEY 275&7N, NBS 75K)와 mass spectral data book의 spectrum과의 일치(B,C), 문헌상의 retention index와의 일 치(D-F) 및 표준물질의 분석 data를 비교, 확인하였다. 확 인된 휘발성 향기성분의 정량은 내부표준물질로 첨가된 n-butyl benzene과 동정된 향기성분의 peak area를 이용하 여 시료 1kg에 함유된 휘발성 향기성분을 상대적으로 정량 하였으며, 정량을 위해 사용한 내부표준물질과 동정된 각 화 합물의 검출기 내에서의 response factor 등은 고려하지 않 았다. 시험재배한 생자실체에서 동정된 향기성분은 총 49종으 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안 등(1986)이 송이버섯에서 13종 의 향기를 분석한 결과보다, 그리고 조 등(1999)이 송이버 섯에서 분리한 향기성분 25종보다도 다양하게 분석되었 다. 한편 Maga(1981)는 1-octanol, 3-octanol, 1-octen- 3-ol과 같은 C8화합물이 버섯의 가장 특징적인 향기 성분 이라 보고한 바 있고 또한 홍 등(1986)의 느타리버섯 향 기성분 분석결과에서도 총 27종의 향기성분 중 1-octen- 3-ol을 포함하여 3-octanone, 3-octanol, 2-octenol 및 2, 4-decadienal이었으며 C8화합물이 전체량의 약 80% 를 차지하였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꽃 송이버섯에 가장 많이 함유된 향기성분이 2-acetyl-5- methylfuran 성분으로 21.10%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은 limonen으로 20.65%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홍 등(1986)이 느타리버섯의 주요 향기성분이라고 보고하 였던 3-octanol과 3-octanone 성분이 16.45%, 7.37%순으 로 나타났다. 또한 꽃송이버섯의 동정된 향기성분 중 관능기 별로 그룹화해 본 결과 alcohols그룹은 25.35%로 12개의 성 분이 검출되었고, hydrocarbons그룹은 11개의 성분으로 총 25.35%를 차지하였다. 이 중 miscellaneous 그룹으로 8개의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가장 많은 비율인 36.01%를 차지하였 다. 이러한 결과는 윤 등(2004)이 검은비늘버섯의 향기성분 중 aldehydes그룹이 8개 성분으로 가장 많은 32.70%를 차 지하였던 것과는 달리 꽃송이버섯은 aldehydes그룹이 6개 성분으로 1.04%를 차지하여 버섯의 종류에 따라 함유하고 있는 화합물이 다소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버섯(Mushroom)은 분류학상으로 고등균류 중 진균류(Eu m y c e t e s ) 에 속하며, 대부분 담자균류 (Basiodiomycetes)에 속한다. 이러한 버섯은 독특한 맛과 향이 뛰어나 기호성이 높은 식품으로 이용되어 왔고, 당질, 단백질, 비타민, 아미노산, 무기질 등과 같이 인체에 중요한 각종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으며, 광범위한 약리 작용 도 나타내므로 예로부터 전통식품 및 민간약의 제제로서 널 리 이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항암활성, 면역증강 등의 효능 작용 때문에 최근에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많이 이 용되고 있다. 표고버섯은 다당류에 의한 항암효과 및 항바이러스, 혈장 콜레스테롤 함량저하, 동맥경화, 고혈압, 등과 같은 성인병 치료 및 예방의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표고버섯 추출물은 항 산화성,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세계 적으로 식용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표고버섯(Lentinus edodes ) 자실체 추출물을 분석하 여, 성인병 예방 및 면역증강에 관련된 물질을 분석하였다. 항산화 실험은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방 법을 통하여 진행되어 ‘가을 수확’이 가장 높은 항산화 효 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천연 식품에 존재하는 영양성분 중 의 하나인 페놀류(polyphenol)는 항산화 역할을 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이를 Folin ciocalteu 방법을 통한 실험결과 에서도 마찬가지 결과가 나타났다. 한편, 면역기능부분에서 는 β-glucan 함량 측정을 하였다. 다당류의 일종인 베타글 루칸은 인간의 정상적인 세포조직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 켜 암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고 면역세포의 기능을 활 발하게 하는 인터루킨(interleukin), 인터페론(interferon) 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그 결과 ‘가을수확 동고자루’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항고혈압 실험부분에서는 ACE 저해활성 측정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고혈압의 치료제 로 사용되는 ACE 억제제는 관상동맥질환과 심근경색의 발 생을 감소시키며, neyrohomonal effect 에 의해 혈관벽에 가 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여줌으로써 심혈관계 질환에 효과를 나타낸다. ACE 저해활성 측정은 Cushman 과 Cheung 의 spectrophotometric assay 방법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봄수확 동고갓’에서 비교적 높은 ACE 저해활성능 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혈전 실험은 혈전용해활성 을 이용하였다. 혈전용해활성은 Astrup 과 Mullertz 의 fibrin plate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봄수확 동고갓, 자루’에 서 가장 높은 혈전용해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항 당뇨 실험에서는 α-amyloglucosidase를 이용한 실험을 진 행하였다. 우리나라 당뇨환자의 대부분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치료약물에 대한 연구는 당의 소화 및 흡수를 제어할 목적으로 전분분해효소 저해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이에 따라 α-1,4 및 α-1,6 글루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 하는 효소인 α-amyloglucosidase를 이용해 버섯시료가 이 효소를 저해함으로써 단당류의 소화흡수를 저해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을수확 동고자루’에서 가장 높은 저해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표고버섯이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효과 및 면역력증강, 혈장콜레스테롤 함량저하,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 치료 및 예방의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근거로 의약품 개발 및 건강기능성 식품에 응용을 한다면 그 부가가치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In continuous review inventory model, (Q, r) system, order quantity(Q) and reorder point(r) should be determined to calculate inventory-related cost that consists of setup, holding, and penalty costs. The procedure to obtain the exact value of Q and r is
본 연구에서는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활동 유형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脫추격형 혁신활동 유형은 기술심화형, 신기술기반형, 아키텍처 혁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례연구 결과를 보면, 기술심화형의 경우 모방 기술에 의거한 지속적인 능력축적이 혁신활동의 토대가 되었다. 신기술기반형은 배태조직에서 수행한 기초연구, 아키텍처형은 배태조직에서 획득한 시스템 아키텍처에 대한 지식이 脫추격형 혁신활동의 기반이 되었다. 또 기술심화형의 경우 수요자·공급자 기업, 생산지향형 연구소가 지식획득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신기술기반형은 대학과 수요자 기업, 아키텍처 혁신형은 수요자 기업과의 관계가 脫추격형 혁신을 추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脫추격형 기술혁신의 일반적인 특성으로서, 신기술의 등장과 확산이 이루어지는 기술·경제패러다임의 전환기에 열리는 기회의 창을 효과적으로 활용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The use of national R&D reports becomes a difficult task due to the different level of service being provided and the different way used for its construction by the institute in management. One-stop service of its contents is impossible and there is a lac
해안방제정보지도는 해양오염사고에 의한 해안 환경 오염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제전략수립을 위한 지도이다. 해안방제정보지도는 기본적으로 해안선의 형태, 생물자원의 분포, 사회경제자원의 분포, 방제자원의 현황으로 구성되며, 특정 해안에 대해 이러한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방제전략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해안방제전략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서 해안선과 해안자원의 기름 오염에 대한 민감도 정보로 제공하고, 방제자원의 신속한 동원을 위한 방제자원 분포 및 방제능력을 함께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안방제정보지도의 구성, 제작 및 배포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게임의 인트로 영상, TV 씨리즈 물 등에서의 ‘디지털 액터’들의 연기는 물론이거니와, 근래에 와서 표현방법들을 기준으로 애니메이션과 영화를 구분하기가 상당히 어려워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다. 이전의 영화에서는 반드시 실제의 배우가 등장하여 연기를 하는 방향으로 전개가 되어졌었다. 그렇지만 최근에는 영화에서도 '디지털 액터'가 등장하는 빈도가 증가되어, 그 역할과 표현의 한계에 대해서 언급이 되고 있는 바, 다양한 소재의 장르를 소화 할 수 있는 연기력을 기반으로 획기적인 제작 프로세스를 가져다 줄 것이며, 제작비 또한 큰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연기학적 측면과 생리학적 측면과 동시에 실사적 동작의 특징, 카툰적 동작의 특징 및 실사적 동작과 카툰적 동작의 차이점 등을 기준으로, 이미 개봉이 되었던 <헐크(Hulk, 2003 / 감독: 이안)>에서 '디지털 액터'의 '표정연기'에 관해서 슬픈 장면과 분노의 장면을 위주로 다루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oretical features of the three leading sociolinguists, Dell Hymes, William Labov, and John Gumperz.On the basis of meta-theoretical terms, which help one to se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given theoretical viewpoints, this study attempts to delineat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sociolinguistic approaches of the scholars.They are discussed by getting answers to questions such as how they see language or language use, how they perceive sociolinguistics as a discipline in relation to linguistics,to what extent they differ regarding their sociolinguistic approaches and where they can be positioned in the tradition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as well as that of language study.Dell Hymes' approach, along with his view on the ethnography of speaking, is characterized as featuring sociolinguistic relativism. His major concern is to understand and describe socioculturally-bound ways ofspeaking or communication.In contrast, William Labov's approach,along with his study of sound change at social and regionallevel,is characterized as featuring sociolinguistic realism. This means that he is concerned with scientific description of language shifts as they happen as a whole in the context of actual language use. In addition,John Gumperz's approach is characterized as sociolinguistic interactionism. Unlike the previous two scholars, his sociolinguistic approach is uniquely microscopic in thathis main focus is placed on communicative interactions at the level of individual encounter, like interviewsorface-to-faceconversation.
본 연구에서는 코칭연구 및 실천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찾아내기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된 코칭에 관한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을 시점으로 2009년 2월까지의 코칭에 관한 연구들을 연구분석틀에 따라 검토하고, 분석함으로써 코칭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코칭에 관한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며, 코칭실천과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시기별 연구 경향을 분석한 결과,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연구된 2000년부터 2009년 2월까지 총 167편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이 중에 2004년까지 논문이 52편으로 31.1%이고, 2005년부터 2009년까지의 논문이 115편으로 68.9%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형태별 연구 경향을 살펴보면, 석․박사 학위논문의 비율이 43.7%였고, 이중 박사논문은 12건으로 7.2%로 나타났고, 학술지는 94건으로 56.3%였다. 셋째, 연구 대상별 연구경향은 운동지도자와 선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39.6%로 가장 많았고, 코칭에 대한 문헌연구가 19.2%였으며, 조직관리자 및 일반 사원을 포함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15.6% 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별 연구경향은 코칭의 실제에 관한 주제가 41.9%로 가장 많았으며, 2005년 이후에는 코칭의 실제 중에 코칭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들이 여러 대상을 중심으로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다섯째, 종속 변인별 연구 경향은 종속 변인이 있는 경우가 40.0%였고, 60%의 연구에서는 종속 변인이 없었다. 세부 변인별로는 만족도 관련 변인이 13.5%로 가장 많았고, 자아관련 변인, 성과 변인, 조직 관련 변인, 정서 및 적응 관련 변인, 리더십 관련변인 순으로 나타났다.
1999년 이후 농업인 홈페이지 지원사업 실시 이래 2008년까지 농업인이 운영하는 홈페이지는 전국적으로 1만개소에 달하고 있다. 전자상거래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농업인들의 경우 고객관리에 대한 중요성 인식도가 높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모션을 전개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농촌진흥청에서 진행하고 있는 농업인 전자상거래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고객관리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 고객확보를 위한 활동, 고객관리의 방법, 고객관리의 유형과 기준, 확보된 고객의 관리를 위한 활동 등을 조사하였다.농업인들은 전자상거래를 수행하면서, 고객과 직접 접하게 되고, 상품의 판매과정에서 고객관리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블로그 개설 등 온라인 활동으로 폭을 넓혀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당수의 농업인들이 고객관리의 필요성 인식에 비해 이를 실천할 구체적 활동방식과 실행방법에 대해 구체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정부의 시스템 지원과 교육사업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The safety & health can not be accomplished by only one side's effort of labor and management. To establish high level of occupational safety & health system, we have to recognize the extent of participance and need to study about how to keep the labor-management cooperation in good condi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better suggestions such as how to improve the labor-management cooperation and how to establish the efficient occupational safety & health law through studying the labor-management cooperation system in the occupational safety & health.
Hakbongjongtaek(The head house of Uisong Kim family, 鶴峯宗宅), firstly built in the early 17th century, was moved to its neighboring place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man who led the relocation(移建) of the house was the eldest grandson of the family, Jong-soo, Kim. He made an overall plan and also participated in building the house. There remain four Gados(family paintings, 家圖) related to the relocation plan. This paper aims to make an analysis of these Gados, and through the analysis, to find what was the essential point of the relocation plan and how the point was represented in the paintings.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1. The main focus of relocation plan was the form of Anchae(the inner house). Anchae was designed as asymmetrical form, and restricted to four kan. Only Andaechung needed to be 6 kan size for religious ceremonies. 2. For the design of Sarangchae, the displacement of large Sarangbang and small Sarangbang was an important issue. There were two ways of layout: parallel type and facing type. The latter was chosen. 3. The representation and techniques of Gado is quite concrete, in spite of differences among them. The expression of doors, windows, attic and kitchen wa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pace. Also the spatial division, which was expressed line on the grid, was based on the scaled ruler. As we've seen before, painting the relocation plan was a kind of endeavors to make the housing type as a realization of Garye. Also, we can find out that the role of the eldest grandson of the family was quite important to carry out the plan. As well as, it was meaningful to examine Sadaebu (the aristocrat of Chosun)'s perception of housing.
최근 외환위기 이후 기업 R&D 투자의 실질증가율이 외환위기 이전의 절반에 가까운 평균 약 7.1%로 떨어지고 있으며,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R&D 투자지원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데도 중소기업의 R&D 투자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중반부터 상위 3개 기업을 제외한 대기업 R&D 투자는 증가하지 않고 있어 대기업 간의 R&D 투자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기업의 R&D 투자 현상의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의 R&D 직접 보조금 정책이나 조세지원 정책의 당위성에 대해서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 그 필요성이 인정되더라도 정책의 효율성에 대해서는 검증해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정부가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R&D 보조금 지원제도와 조세 지원제도가 과연 효과가 있는지를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해 보려고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재정지원제도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에 차별적으로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기업 규모에 따른 정책 효과를 구분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의 실종 분석에 이용한 개별 기업의 R&D 데이터는 2002년에서 2005년까지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에 대해 서베이 한「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 조사보고」의 기업별 원시 패널 데이터 중에서 활용한 불균형(unbalanced) 패널 데이터이다. 각 기업의 보조금과 관련한 데이터는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의 서베이 데이터를 사용했으며, 조세지원을 나타내는 사용자 비용에 관한 데이터는 이론적 모형에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패널 데이터 분석은 고정효과 모형을 대기업, 중소기업 및 모든 기업에 각각 적용했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부의 직접 보조금 지원은 대기업의 경우 R&D 투자를 늘리는 유인효과(crowding-in effect)를 보인데 반해, 중소기업은 R&D 투자를 줄이는 구축효과(crowding-out effect)가 나타났다. 그러나 대기업이나 중소기업 모두 정부의 보조금 지원정책에 대한 반응이 매우 비탄력적으로 추정되었기 때문에 R&D 보조금 지원정책이 기업의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정부의 R&D 조세지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R&D 투자를 유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의 R&D 촉진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세지원으로 사용자 비용이 1% 감소하면 대기업은 R&D 투자를 0.99% 증가시키고, 중소기업은 0.054%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서 시사하는 정부의 R&D 재정지원제도의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정부의 R&D 보조금은 기업의 R&D 투자를 구축하지 않도록 기업과 중복되지 않는 기초연구와 공공기술 지원에 국한해야 하며,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R&D 인프라 구축과 기술정보지원 등 R&D 서비스(extension service) 지원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대기업에 대한 R&D 조세지원은 한시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4개 연도의 기업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는데, 앞으로 정책의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 분석할 수 있는 거시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의 보완이 필요하디; 또한 기업의 R&D 투자 촉진 외에도 일반 투자나 기타 목적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정부의 재정 정책들과의 대제 혹은 보완 관계의 여부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중소기업의 시설투자 세액 공 제와 R&D 투자 세액공제 제도의 혜택은 단기투자와 장기투자를 선택해야 하는 기엽의 의사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The port, differently from general working place, is a closed area to execute security, customs, and quarantine procedures. The loading and unloading is being done differently by cargoes, ships, berths, and equipments. To load and unload a lot of equipments and different types of labor are required, in which work flow is very complicated. As above mentioned the port is very unique and deteriorated working place including danger. Now frequency of cargo handling accidents in port is highest for the second time among all indus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analyze and establish the preventive measure for cargo handling accidents in port. We have collected 45 accidents happened at Incheon Port during the period from 2007 to 2009. And the result of analysis, we proposed the new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safety education to reduce cargo handling accidents and to promote the quality of cargo handling in Incheon Port. Within the framework of effective safety management of cargo handling in port, this study will help to revise and establish system, education, and standard working manual with respect to the port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본 연구는 선형 단순화(line simplific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된 지도 일반화(map generalization) 결과를 실증적으로 비교×검토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즉, 더글라스-패커(Douglas-Peucker) 알고리즘을 실제 사례연구에 적용하여, 상이한 허용오차(tolerance) 적용에 따른 결과를 라인의 총 길이와 선분의 수를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미국 뉴욕주 서부 지역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USGS에서 제공되는 1:24,000 축척의 DLG 포맷의 수문 선형 지도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허용오차가 커짐에 따라총 길이가 완만하게 줄어드는 반면, 구성 선분의 수는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또한 이들 간의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탐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