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nelitian ini bertujuan untuk menganalisis kekeliruan yang terdapat dalam kamus bilingual bahasa Indonesia-Korea, mengingat kepentingan kamus bilingual dalam pendidikan bahasa asing. Secara lebih terperinci, penelitian ini secara mendalam menyelidiki ‘Kamus Besar Bahasa Indonesia-Korea’ yang diterbitkan pada 2016 sebagai sebuah kamus yang dipandang representatif di antara kamus sejenis, berdasarkan anggapan bahwa penyusunan kamus bilingual pada dasarnya tidak berbeda dengan proses penerjemahan kamus monolingual/bilingual. Hasil penelitian ini menunjukkan bahwa terdapat beberapa tipe kekeliruan dalam ‘Kamus Besar Bahasa Indonesia-Korea,’ yaitu kekeliruan makna yang tidak tepat, kekeliruan makna yang tidak memadai, kekeliruan penggunaan kata yang tidak baku atau berasal dari bahasa Melayu, kekeliruan karena salah ketik, kekeliruan gramatikal, dan kekeliruan contoh penggunaan. Tambahan pula, penelitian ini juga membuktikan bahwa kebanyakan kekeliruan tersebut diakibatkan oleh kekeliruan penerjemahan, khususnya dalam menerjemahkan nama flora, fauna, serta istilah. Lagi pula, terdapat banyak kekeliruan penerjemahan yang diakibatkan hanya oleh kelalaian dan kesembronoan penyusun kamus.
목적 : 본 연구는 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한 집단작업치료가 치매환자의 우울, 불안감, 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치매환자 19명을 모집하였고 실험군 10명, 대조군 9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실험군은 집단작업치료와 교육 프로그램을 병행하였고, 대조군은 집단작업치료만을 실시하였다. 중재기간은 8주간 주 2회, 하루 2시간씩 동일하였으나 실험군의 치매환자와 보호자에게는 4가지 주제의 교육 프로그램을 하루 30분, 8회기 동안 추가로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의 비교를 위하여 한국판 노인 우울척도(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해밀톤 불안검사(Hamilton Anxiety Scale; HAM-A), 상태-특성 불안검사(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X-1), 한국형 활동분류카드 (Korean-Activity Card Sort; K-ACS)를 사용하였다.
결과 : 중재 전·후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시, 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한 집단작업치료군의 우울과 불안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p<.05).
결론 : 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한 집단작업치료는 치매환자의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향후에는 치매환자의 심리·정서적 측면을 강화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보호자 교육에 중점을 둔 작업치료 영역에서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pre-briefing in simulation-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simulation. Method: A quasi-experimental post-test study was applied with 174 senior nursing students at a private university in South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n=88) underwent a pre-briefing program, whereas the control group (n=86) did not. During pre-briefing, students had time to study simulation scenarios, discuss nursing processes related to simulation scenarios, and experience a simulation environment before simulation practice. Satisfaction scores were measured using the Satisfaction with Simulation Experience scale(SSE). Results: The mean scores in satisfaction with simulation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4.23, p<.001).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pre-briefing in simulation-based learning is important in increasing students’ satisfaction and should be included in the planning of simulation-based learning programs.
As an interest in the Chinese language, culture, society, and economy increases in Korea, a large amount of spoken and written narrative texts in Chinese are encountered in daily life and occupational areas. During the interaction process between the Chinese and Korean cultures, many difficulties can arise in understanding the definitions of Chinese vocabulary.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is an essential search tool for Koreans who wish to look up the definitions of Chinese texts. There are many things to consider when compiling a Chinese-Korean dictionary for native Korean speakers or those who study Chines through Korean: which vocabulary must be included, how to arrange them, how to select and explain their definitions and examples, etc. Among the vocabulary listed in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this study analyzed the definitions of those that appeared less than 10 times in the Chinese corpus, and focused on determining the propriety of the vocabulary selections, as well as the accuracy of their definitions. Moreover, this study is the third study of section D and focused on the vocabularies included in D3 for our analysis.
유교국가였던 조선은 중국의 개량형이라 할 만큼 중국의 문화를 수용하는데 적극적이였다. 그러나 그것은 수용의 단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창의적으로 계승 발전시킨 점에 주목해 해석한 의미이다. 중국과 한국이 대륙과 반도라는 지정학적 위치와 한자문화권의 영향으로 한·중간의 외교와 문물왕래를 통한 문화교류가 학문과 예술사조 전반에서 나타난다. 원나라때 성리학의 계승이나 송대 목조건축에 의한 우리 목조건축의 발달, 당대 남종화풍의 영향은 우리 미술사에서도 발견된다. 과거 중국의 유교사상으로 인해 문인들은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를 매우 중시했기 때문에 원림의 소재가 되는 꽃과 나무의 경우도 중국의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발달한 백과사전류에서 나타나는 꽃과 나무에 대한 출전분석을 통해 중국의 것을 인용한 사례에 주목하여 그 현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나름대로 독자성을 추구했던 농서분야의 경우에도 농사 직설은 중국의 풍토와 다른 우리나라에 실정에 맞게 편찬된 농서였으나 우리나라 역시 지역의 풍토가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면 양반사회 의 전유물이다시피 했던 꽃과 나무들에 대한 내용들을 포함 한 백과사전류에서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홍만선의 산림경제에서는 꽃을 다룰 때 대부분 송대의 화훼서가 인용의 주를 이루고 있는데 중국 송대는 당대에 등장한 화훼서의 영향으로 민간인들에게도 화훼가 가장 유행했던 시기이다. 대나무 심는 법을 자세히 기록한 월암종 죽법에 보면 “도랑을 깊고 넓게 파고 말린 마분과 고운 진흙 을 고루 섞어 높이 1자 정도로 메운다. 마분이 없으면 간겨를 대용해도 된다. 여름철에는 성글게, 겨울에는 빽빽이 채운 다음에 대나무를 심는다.” 고 기술되어 있는데 이러한 자세한 재식방법의 서술은 조선시대 양반들이 따라할 만한 비법으로까지 통했다. 또 양반의 서화취미와 관련되어 꽃과 나무의 격을 품평하는데 있어 해당 종의 생육조건을 아는 것은 형태와 그 의미를 발굴하는 기초적 소양이 되었다.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예원지편에는 명나라 왕상진의 군 방보, 박주목단사, 낙양목단기 등이 가장 많이 인용되었다. 낙양에서 유명한 모란의 인기는 조선시대에도 유행하였다. 특히 임원경제지에는 금화경독기의 인용도 많이 등장하는데 이 책은 중국의 것이 아닌 서유구의 저작으로 중국 것과 비교하여 우리 풍토에 맞도록 새롭게 적용한 것이다. 과실수와 조경수목을 다룬 임원경제지 만학지에는 역대 중국 약학서를 집대성한 명나라 이시진의 본초강목, 명나라 왕상진의 군방보, 당나라 곽탁타의 종수서, 양안 상순의 화 한삼재도회, 명나라 광번의 편민도찬, 명나라 서광계의 감 저소 등이 주요 인용서로 제시되었다. 백과사전류의 집필유 행에 의해 해당분야 지식기반이 풍부해지자 당시 관련 중국 책자와의 비교를 통한 현지적용이 발달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꽤 오래전 부터 있었던 사실이다. 일찍이 15 세기에 화훼류를 집성한 작은 백과사전이라 할 수 있는 강 희안의 양화소록에는 원나라 거가필용사류전집이 다수 인용되었다. 강희안의 양화소록은 중국의 출전을 그대로 인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오랫동안 관찰한 우리나라 환경을 적용해 자세히 그 차이점을 일러주고 있다. 동생인 강희맹도 같은 경향을 띤다. 그들은 식물에 대해 설명할 때 먼저 폭넓게 수집한 전거들을 인용했다. 이는 당시 학문의 성향이 출전에 의해 그 근거를 대는 것을 기본교양으로 삼았기 때문에 보여지는 현상이기도 하다. 조선시대에 화목을 가꾸는 것과 감상하는 것은 인간의 심성을 도야하는데 필요한 수단이였으며 유학의 격물치지와 그 맥을 함께 한다. 당시 중국의 꽃과 나무에 대한 책자들의 인용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먼저 지식인층이 중국에서 유행한 문화와 그 본보기로 책자들을 수용한 후, 이를 탐독하여 현지풍토에 맞춘 창의적 개량을 한 것을 세상에 백과사전류의 편찬을 통해 내놓는 수순을 밟은 것이다. 임원경제지와 같은 시기에 유희의 물명고와 같은 사전형 식에도 초와 목이 소재로 등장한다. 백과사전류의 편찬유행에 영향을 준 것은 이용후생의 실 학적 사상의 영향을 들 수 있다. 당시 조선은 공법과 도량형이 표준화되지 않았고 모든 행위와 공정에 체계가 없는 상태 였고 재료에 대한 지식 또한 없었던 점은 중국의 것을 적극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가 되었다. 중국에서 먼저 유행 한 문물에 대해 관심이 많았고 이러한 지식을 조선에 먼저 전하려 한 선구자적 입장도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문물을 전문으로 수입하는 상인세력과 함께 발달하게 된다. 실학파의 입장에서는 실사구시의 형태로 본격화 되면서 꽃과 나무의 이름 붙이기와 품종의 구별, 의미를 따지는 품 평이외에도 파종이나 접붙이는 법, 재배나 재식 등과 관리 도 총망라되는 실용적 전문서 경향도 보이게 된다. 조선시대 꽃과 나무를 다룬 백과사전류들은 중국책에서 얻은 견문을 활용하고 당대의 관련 정보를 집대성하면서 이를 통해 우리환경에 맞춘 독특한 식생이나 전통지식을 덧붙이는 도구로 사용되어 그 편찬과정을 반복하면서 당시 정원경영과 원예유행의 지식기반으로 작용되기도 했다.
테러는 특정목적을 가진 개인 또는 단체가 살인, 납치, 파괴 등 다양한 방법의 폭력을 행사하여 사회적 공포상태를 일으키는 행위를 말한다. 즉 테러는 국가 등의 권행행사를 방해하거나 공중을 협박할 목적으로 사람 을 살해하거나 각종 시설물을 파괴・전복시키는 등 매우 위험한 행위이다. 테러방지법에서는 테러의 예방 및 대응 활동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 함으로써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국가등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우리 사회는 테러로부터 늘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현행 테러방지법에서도 테러방지에 현실적으로 부합되지 않은 사항들이 지적되고 있다. 우선 현행법상 테러행위의 사전방지를 위해서는 대테러활동을 규정하고 대테러조사를 하고 있지만, 그 범위와 한계, 대책수립, 테러취약 요인 제거등 그 개념과 기능이 명백하지 않고 모호한 측면이 많다. 그리고 테러 관련 법률 간의 불균형과 부조화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테러 관련 정보법률 간의 분산・중복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 대테러 업무를 관 장하는 기관의 분산으로 업무의 통일성이 부족하고 테러업무의 특성상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에 있어 소통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즉 전문적인 테러업무 콘트롤 타워가 없고 더우기 테러 전문가 조직이 부재한 실 정이어서 테러업무의 소통도 원활하지 않다. 그 밖에 대부분의 국제 테 러행위자들은 공항이나 항만을 통해서 입국하는 만큼 출입국 관리가 여 전히 불안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는 테러의 사전방지와 유사시 테러행위의 즉각적인 진압이 우선적이다. 현실적으로 발생되는 테러 행위에 대한 테러방 지법상의 제도적 개선방안으로서는 우선적으로 대테러의 주체인 국가와 국민의 협력의무가 중요하다. 특히 국가의 대테러 활동으로서 인적관리와 각종 시설의 안전관리가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는 대테러 절차로서 사 전정보 수집・관리가 중요하고, 테러의 사전대비를 위한 교육과 훈련이 중요하며, 국제간의 공조체제 또한 중요하다. 따라서 테러방지를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체계가 중요하다. 즉 대테러를 위한 정부의 각 기구의 조직체계의 연동성은 각 기관간 신속한 지휘체계의 확립을 위해 매우 필요하므로 전문적인 콘트롤 타워가 필요하다. 또한 테러방지를 위한 법률체계의 통합화 내지 융합화가 필요하다. 최근 사이버 테러가 매우 빈번한 만큼 우선적으로 사이버 테러에 대한 명확한 발생 원인, 공격 양상 에 따른 신속하고도 효과적인 대응력 확보를 위한 통합관리기관과 시스템이 필요하다. 즉 사이버 테러 대응력 강화를 위한 범 정부차원의 사이버안보 역량 강화, 사이버안보 핵심기술의 개발 및 정예요원 육성, 국가와 산업간, 그리고 국제간 공조체제 확대 등이 중요하다. 또 국제 테러 위험인물에 대한 철저한 출입국 관리가 중요하며, 국내에서의 테러 용의 자(외국인)에 대하여는 즉시 강제퇴거 조치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상 현행 테러방지법상 테러행위의 사전방지 내지 신속한 대응을 위 해서는 테러방지법을 토대로 각 법률간의 통합 내지 융합, 사이버 테러 법규화 내지 대응력 확보, 대테러 활동의 철저 등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행 테러방지법의 보완 내지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음성인식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최근 몇 년 사이 대화형 에이전트는 스마트폰, 인공지능 스피커 등을 통해 널리 보급되었다. 음성인식 기술의 인식의 정확도는 인간의 수준까지 발전하였으나, 여전히 말의 의미나 의도를 파악하는 것과 긴 대화를 이해하는 것 등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대화형 에이전트를 사용함에 있어 다양한 오류 상황들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목소리를 주 인터페이스로 하는 인공지능 스피커의 경우, 대화형 에이전트의 기능 및 한계에 대한 피드백의 부족은 지속적 사용을 저해하는 요소로 꼽히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대화형 에이전트의 기능 및 한계를 보다 잘 이해하고 오류 상황에서 부정적인 감정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높으나, 아직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사회적 전략 중 ‘사전 양해’와 ‘사과’를 대화형 에이전트에 적용하고 이러한 전략이 사용자가 에이전트에 대해 느끼는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 양해와 사과 여부를 나누어 사용자가 대화형 에이전트와 대화하는 데모 영상을 제작하였고, 실험참가자들에게 영상을 보여준 뒤 느끼는 호감도와 신뢰도를 설문을 통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총 104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문헌조사를 토대로 한 우리의 예상과는 상반되는 결과를 얻었다. 사전 양해는 오히려 사용자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주었으며, 특히 에이전트에 대한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오류 상황에서의 사과는 사용자가 느끼는 호감도나 신뢰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원인을 파악한 결과, 실험참가자들은 인공지능 스피커를 사람과 같은 인격체보다는 단순한 기계에 가깝다고 인식했기 때문에 인간관계에 작용하는 사회적 전략이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자가 에이전트를 얼마나 기계, 혹은 사람에 가깝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오류 상황에 대한 에이전트의 대처 방식 또한 달라져야 함을 보여준다.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made law for Pre-Hazard Risk Analysis in December 31, 2014 to protect researchers from continuing accidents in laboratory. Conducted before an experiment, Pre-Hazard Risk Analysis finds hazards of the experiment and rules to manage the hazards.So the Pre-Hazard Risk Analysis can support laboratory safety system by prevent accidents in laboratory. Pre-Hazards Risk Analysis is newly created system so that executors need Guidelines to perform this analysis properly. This study is to develop guide tool for Pre-Hazard Risk Analysis by analyzing other risk assessment systems; PSM, Off-site Consequence Assessment, laboratory safety system. Also, this study suggested how to establish database for Pre-Hazard Risk Assessment by analyse KRAS.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후진국 및 개발도상국의 저가공세와 원자재 가격인상, 환율의 변동과 같은 대외적문제와 임금인상, 물가인상, 금리 및 주가의 불안정과 같은 대내적 문제로 어려움을 격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교적 단기간에 경쟁력을 확보하여 치열한 국내외적 기업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최선의 방안은 원가 절감이라 할 수 있다. 대부분 중소기업의 경우 사전원가관리의 장점을 알고 있음에도 활용하지 않는 원인 중 가장 큰 부분이 전문 인력의 부족과 투자의 어려움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성이 부족한 인력도 활용할 수 있고, 원가 정보의 축적이 가능하며, 저비용으로 도입할 수 있는 사전원가관리 툴의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연구를 통해 Active Cost Table System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지식 수준이 어떠한 조절요인을 통해서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을 하는지를 검 토하였다. 정치쟁점 ‘사드’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이 관여도와 뉴스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한 결과, 관여도 구성 요소중 이슈관여, 가치관여 측면에서 차이를 보였고, 뉴스신뢰도에는 영향 을 미치지 않았다. 정치쟁점 ‘사드’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이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 향을 검토한 결과, 정보전달과 정보공유행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정치쟁점 ‘사드’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과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의 관계에서 관여도와 뉴스신뢰도가 조절 요인으로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두 조절요인으로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좋아요’에는 뉴스신뢰도와 가치관여가 조절변인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달기’는 가치관여가 가장 높게, 정치관여가 조절효과를 보였다. ‘공유하기’의 경우엔 뉴스신 뢰도, 이슈관여, 정치관여, 가치관여등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 baggage handling system (BHS) in airport is an unified system for moving the passengers’ baggage in designated time. Input baggage from the check-in counter travels to the baggage claim area or cargo handling terminal through this system. In particular, entryway BHS consists of conveyors, X-ray and sorters such as tilt-tray to send the baggage to departing airplane and it could have various problems for handling certain amount of baggage in restricted time such as baggage jamming at certain merge point. This causes systemic error such as delay of the time, omissions of the baggage and even breakdown of the equipment and inefficiency. Also the increasing maximum time of the baggage passing through the BHS could delay the flight schedule and finally decrease the service level. Thus, the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merge is essential to the system. The window reservation algorithm is the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s to control the merge configuration. Above all, the reserve location, so called reserve ahead point, that allocates the window is important for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We propose the modified window reservation algorithm and the best reserve locations by changing the reserve ahead point in the induction conveyors. The effect of various reserve ahead points such as the capacity and utility of the system were analyzed and the most effective reserve ahead point combination was found. The total baggage processing time and the utilization of the tilt-tray are properly considered when choosing the optimal Reserve ahead point combination. In the layout of this study, the configuration of four conveyors merged into one tilt-tray is studied and simulation analysis is done by AutoMod®, 3D simulation software. Through the simulation, the window reservation algorithm is effectively operated with the best combination of reserve ahead point which reduces the maximum baggage travel tim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ublic awareness level of the Korean population on the hazards of radon. Its purpose was to serve a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risk communication program suited to Korean domestic conditions. An in-house developed questionnaire was used as an awareness surveying tool. Five thousand people (adults) from the general population, randomly selected regardless of their age, academic background, income level, and regional distribution were surveyed.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December 2015 and February 2016, and completed in a self-reporting format.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public awareness of the radon risk was very low, as indicated by more than roughly 85% of the respondents saying that they did not know what radon was. Moreover, survey results for those who knew what radon was showed a very low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the physical properties and hazards of radon. Through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wareness of radon hazards among the residents of Korea needs urgent improvement and that the development of a radon risk communication program accounting for age, income, region, occup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delivery routes is also needed.
목 적 : 안와(orbit)의 자기공명영상검사(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시 위상부호화방향(phase encoding direction)으로 발생하는 불수의적(involuntary)운동을 자체 제작된 안대와 사전교육을 통하여 이를 경감시키고 영상의 질을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11월 01일부터 2016년 01월 31일까지 자발적 참여자 20명(평균 연령: 28.31 ± 0.12세)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장비는 MRI 3.0T(magnetom trio; Simens Medical solutions, Erlangen, Germany)기기와 Head coil (4 channel)을 사용하였다. 영상 변수는(TR: 4300 ms, TE: 93 ms, thickness: 4 mm, NEX : 1, FA : 150°, Slice : 20, TA: 92 sec)이며, 연구방법은 표적응시법(Red Circle응시법), 안대착용법, 사전교육법을 적용하여 각각의 관심영역에서 SNR과 CNR을 비교분석 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Anova test를 사용하였으며 p<0.05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 하였다.
결 과 : 정량적 분석의 결과로 신호대 잡음비는 일반검사(normal)시 SNR(vitreous body, retrofatty-tissue, nerve): 60.54, 71.86, 26.07, 표적응시(focus)시 SNR(vitreous body, retrofatty-tissue, nerve): 65.35, 74.45, 26.74, 안대(eye band)사용시 SNR(vitreous body, retrofatty-tissue, nerve) : 95.61, 106.87, 40.66, 사전교육(prior education)시 SNR(vitreous body, retrofatty-tissue, nerve): 91.01,100.27, 42.75를 나타내었다(p<0.05). 대조도비는 일반검사시 CNRV-RFT, CNRV-N: 0.914, 2.908, 표적응시는 CNRV-RFT, CNRV-N: 0.742, 3.461, 안대 적용시 CNRV-RFT, CNRV-N: 1.267, 6.519, 사전교육시 CNRV-RFT, CNRV-N: 1.032, 5.45를 나타내었다(p<0.05). 사전교육과 안대에서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 론 : 안대착용법과 사전교육법의 적용으로 관심영역의 모든 부위에서 일반검사법에 비해 높은 SNR과 CNR값을 나타내었다. 안대 착용 후 안와 검사 시가 가장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수면상태와 비슷한 환경을 유도하여 불안정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움직임 인공물이 저감화 된 것으로 사료된다. 안와의 외상 등으로 안대착용이 불가능한 경우 사전교육법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의식이 없는 환자 등의 경우는 안대착용법을 활용하는 등 환자의 상태에 따라 상호보완적으로 두 방법을 적절히 적용한다면 영상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OBJECTIVES : Visibility at night can be improved by using retroreflection for short distances and phosphorescent line markings for long distanc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sphorescent line marking through a laboratory luminance test. Field performance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ests conducted on the road. We also examined the luminance measurement methods using the digital image obtained during the phosphorescent visibility evaluation. METHODS : In this study, the laboratory luminance test of the phosphorescent line marking was conducted using seven specimens to characterize the luminance chang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glass beads, the thickness of the phosphorescent line marking, and the brightness and irradiation time of the light source. Phosphorescent and general line markings were made at 150 m to investigate the field luminance performance. A preliminary review of the luminance measurement methods was made using a digital image from a digital singlelens reflex (DSLR) camera. The measured luminance ratio of the general and the phosphorescent line markings was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luminance ratio using luminance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laboratory luminance test, it was seen that the change in luminance, which corresponds to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appears large but the influence of the thickness and irradiation time is low. The field performance test of the phosphorescent line marking conducted on the road involved measuring the luminance on the day the marking was made and 7 days after the marking was made. The luminance was found to be 190 mcd/m2 at 30 min after sunset and approximately 10-12 mcd/m2 4h after sunset. The results of the luminance test were captured using a digital image for each time group. The luminance ratio of the phosphorescent line marking,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general line marking, showed a similar trend within a 13% maximum error. Additionally, when this luminance ratio is compared to the direct field measuremen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luminance ratio, as captured in the digital image, showed a similar tendency. CONCLUSIONS : 1) The change in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is significant in comparison with tha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and the irradiation tim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field test for the phosphorescent line marking satisfied the phosphorescent fire protection standard. 2) We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luminance measurement method using a digital image and we concluded that the change in the luminance ratio shows a similar tendency in both the cases. The results can form the basis for luminance measurement methodology for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phosphorescent line markings.
오늘날의 기술경쟁은 매우 역동적(Dynamic Competition)이어서 새로운 영역에서 신기술 탄생이 점차 가속화되고 있다. 그리고 하나의 상품에 수백 수천 개의 특허가 사용되어 각각의 기술을 한데 모아서 활용할 필요성이 강화되었다. 특허풀(Patent Pool)은 이러한 시대적 도전에 대응할 적절한 수단이 될 수 있다. 특허풀을 통하여 기 술혁신을 위한 표준화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표준 보유자의 특허권남용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적절히 강구할 필요가 있다. 혁신기업들이 특허풀을 구성하는 단계에서 애초에 부당한 공동행위에 해 당하지 않도록 국가가 사전에 안내하거나 유도해 준다면 해당 기업에게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특허풀의 유용성을 살펴보고 그 경쟁제한성 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에 대하여 고찰해 보기로 한다.
The research was completed on quantitative analysis to 92 rare Characters in a new-edition full medical dictionary. It shows there are two reasons which make a lot of rare Character come out from the appendix of the dictionary. One is not handling well the relations (simplified vs. traditional,variants,homophony) among characters. The other is insufficient corporation between computer science and related branch of learning, which makes the rare characters can’t be displayed and inputted. Good foundations of Philology will help distinct on relations among rare Characters. Fontlab software and MoveFileEx Windows API function etc can make characters display and unified update in the network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