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S(Ideal Production System) is a strategic cost management establishing ideal target cost, innovating cost structure and reduction. However, IPS was commonly used in assembly industry acquiring components and using them to assemble vehicles etc. Applying IPS to steel industry is a new try and not easy because cost elements in flow manufacturing are clustered and obfuscated in a complicated way. This paper proposes ICM (Ideal Cost Management) method adaptive to steel industry. One of the biggest advantages is that ICM could classify and categorize costs in detail according to accounts and manufacturing machines. Based on ICM information, steps of extracting and maximizing ideas are followed effectively. From 2013, ICM was applied successfully to POSCO Pohang Steel Works 38 factories.
This study has intended to analyze the impact of odor perception of residents, who currently live in Ochang industrial complex, on their subjective odor sensitiveness. In addi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and the sensitiveness, odor acceptance was considered as moderating variable in a research model. Korean governments has experienced even great and small civil complaints regarding bad smells throughout the country especially around the industrial complex. The residential areas are getting much closer to industrial complex due to major cities’ expansion. The closer cities are to industrial areas, the bigger the conflicts are growing due to the odor.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t was proven that residents’ concerns on an bad image due to odor, their perception on an administrative agency’s responsibilities and economical values of their living plac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dor sensitiveness. Moreover, odor acceptance perceived by them has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between odor perception and odor sensitiveness. Based on such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included in the research to support the research objectives.
PO 필름 공급이 경북 성주지역 참외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참외 재배면적, 재배 농가수, 수량 및 소득 등을 분석한 결과, PE 필름은 2010년에 비해 2014년도에는 전국, 경북 성주 지역에서 각각 91.5%, 94.9%, 95.2%로 감소한 반면, PO 필름 보급은 각각 342.5%, 500%, 825% 이었다. 2010년에 비해 2015년 재배면적과 농가수는 각각 8.8%, 11.9% 감소하였다. 수량과 생산량은 각각 38.2%, 25.9% 증가하였다. 조수입은 2010년 3,051 억원에서 2015년 4,020 억원으로 1.3배 증가하였고 소득도 2010년 1,936 억원에서 2015년 4,020 억원으로 2.7배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 하면 PO 필름으로 교체되면서, 참외 생산성은 증대되고, 작업 노력 및 유해물질 배출은 감소될 것으로 보여진다.
Basidiomycetous fungi are one of the most potent biodegraders because many of its species grow on dead wood or litter, in environments rich in lignocellulose. For the degradation of lignocellulose, basidiomycetes utilize their lignocellulytic enzymes, which typically include laccase (EC 1.10.3.2), lignin peroxidase (EC 1.11.1.14), xylanase (EC 3.2.1.8), and cellulase (EC 3.2.1.4). In recent years,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basidiomycetes have ranged from the textile to the pulp and paper industries, and from food applications to bioremediation processes and industrial enzymatic saccharification of biomass. Recently, spent mushroom substrates of edible mushrooms have been used as sources of bulk enzymes to decolorize synthetic dyes in textile wastewater. In this review, the occurrence, mode of action, general properties, and production of lignocellulytic enzymes from mushroom species will be discussed. We will also discuss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these enzymes
This study organizes not only the middle-long term developing plan of safety health education to put emphasis on a manufacturing industry, but also the developing plan of activating the domestic safety health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study, current safety health education can be developed. To achieve a goal of implementing domestic safety health education, this study is carried out more deeply as follows.
본 연구에서 우리는 혁신시스템 국제화의 측정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수립하고 한국원자력산업과 우주산업에 적용을 통해서 혁신시스템 국제화와 리더십의 연관관계에 대 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혁신시스템의 국제화 정도와 기술수준과 의 연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한국 원자력산업은 기술수준의 선도그룹으로서 추격그룹인 우주 산업 대비 혁신시스템 국제화의 주요기능에서 국제적 적법성의 생성을 제외하고 높은 수준 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혁신시스템 국제화의 정도는 리더십과 높은 연관관계를 보임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한 국가 내에서 산업간 혁신시스템의 국제화 정도는 차이를 보이며 리더십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혁신시스템 국제화의 흐름의 대응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프레임워크의 적용을 통해서 한국 산업의 국제적인 리더십에 대한 사례를 심층 분석 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전략적 딜레마에 빠진 산업에서의 기술경영을 위한 시사점들을 제공 한다.
Proteolytic enzymes were screened to obtain anchovy protein hydrolysates (APH) with low-bitterness under pressurization. First, the residual proteolytic activity (%) and SDS-PAGE of commercially available food-grade protease (Alcalase® 2.4 L, FlavourzymeTM 500 MG, Neutrase®, ProtamexTM) and mixed enzyme (ME, Alcalase® : FlavourzymeTM = 1 : 5) after treatments of ambient pressure and 100 MPa at 50oC were investigated. The proteolytic activity of enzymes was still largely retained after pressure treatment. The SDS-PAGE on tested enzymes showed that the electrophoretic mobility maps (EMMs) after pressure treatment were similar to those at ambient pressure. With these results, it seemed that tested enzymes were stable at 100 MPa and 50oC. Raw anchovy hydrolyzed with various protease at 50oC under ambient pressure and 100 MPa for 1, 2, 6, 12, and 24 h. The degree of hydrolysis (DH, %) of prepared APHs at 100 MPa was increased, which suggests that the medium pressure treatment accelerates protein hydrolysis. The APH by ME exhibited the best suitable characteristics, which had a relatively higher DH (36.2±1.8- 57.5±2.8), a high content of oligopeptides with a molecular mass lower than 1,100 Da, mildly bitter taste as the bitterness value was lower than that of 0.2 g/L tea alkaloid, and the lowest contents of tryptophan. Thus, ME was selected to obtain APH with low-bitterness under pressurization.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에 의한 신기후체제 출범으로 전세계 195개국이 온실가스 감축을 약속하게 되었다. 한국도 2013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이 7억톤을 기록하고 있으며 BAU대비 37% (3.1억 톤)를 감축해야 하는 의무를 약속하고 있다. 국내외에서 철강, 화학, 환경산업 등에서 대량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회수하여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탄소자원화(carbon resources utilization)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온실가스를 포함한 다양한 조성의 산업부 생가스의 발생현황과 부생가스로부터 고순도의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메탄, 수소 등을 경제적으로 분리회수하여 화학원료가스로 사용할 수 있는 분리기술 의 연구동향과 한국화학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가스 막분리기술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pecialized clothes-sizing system for elderly (aged 60~79) obese women satisfying the following conditions based on the data from the fifth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4): a Rohrer's index of over 1.6, a BMI of over 25, and a WHR of over 0.85. The lower bodies of elderly obese women tends to be shorter and wider than average. Particularly, their torsos from the chest to the waist tend to be more obese than other areas. According to the KS standards, the clothes-sizing system sets up its size intervals as follows: 5cm in stature, 5cm and 3cm in bust, 3cm in waist, and 3cm in hip. Based on the dualistic distribution of each section, the names of the sections indicating high distribution are suggested. For suit tops, 11 sizes are selected as distributed in the 145-155cm stature section and 91-103cm bust section. For casual tops, nine sizes are selected as distributed in the 145-155cm stature section and 90-105cm bust section. For bottoms, 11 sizes are selected as distributed in the 82-97cm waist section and 91-97cm hip section. According to the KS standards, detailed sizes are suggested in the division of basic and reference areas.
With signs of the redevelopment of the domestic sewing industry, national support agencies were established.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domestic sewing industry and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national sewing industry support polic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urvey of 30 sewing companies managers, the biggest factor causing product defects was work being rushed because of tight delivery dates, and the reduction in sales was caused by a lack of orders. Moreover, sewing technicians are aging, and the biggest reason for their decrease in number is that people do not pursue the job because of the common understanding that it is difficult. Managers perceived that the government’s sewing technician training program was not a practical help. They were well aware of the support program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and the sewing equipment support program and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se programs, but they complained that the period for equipment rental was fixed. A majority of them thought that the Korean sewing industry environment had still not improved, and were skeptical about its future outlook. They identified its most urgent needs as the expansion of orders and the securing of manpower. The support programs that they wanted urgently included support for employees’ four major public insurances and the enactment of the increase of toll processing fees.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economical meaning and problems on the industrial differentiation of Korean laver industry. Based on the surveyed data, the export value of korean laver has increased over 28 times for last 20 years($10 million to $300 million) and the separation of farming and processing was an important success factor of rapid growth of korean laver industry. However,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s that the farming profit is 534.1 won out of the total price for a bunch of dried laver, 3,566.3 won. So, farming profit counts for just 15 percent of total price. In contrast, the processing profit is 1,143.5 won and it is 32.1 percent of total price. This means that laver farmers are not being guaranteed their profit properly. This phenomenon is occurred due to lower status of first-hand processors(which produce dried laver) to second-hand processors(which produce seasoned laver) due to advanced payment given by second-hand processors. So, fist-hand processors should provide their product in the price which was designated by second-hand processors. Besides, despite of many business risks caused from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 market price of raw laver has steadily decreased. For sustainable prosperity of korean laver industry, imbalance on korean laver industry concerning profit sharing is need to be changed. In future, self-processing of dried laver in fishery household and enhancing the role of The Fisheries Cooperative Union in laver industry can be considered.
본 연구에서는 항효모 활성 녹차씨 추출물의 항균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식중독 및 식품 부패 미생물 18종에 대 한 항균 활성을 최소억제농도(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측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녹차씨 추 출물은 모든 효모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곰팡이 중 Penicillium roqueforti와 세균 중 Salmonella enterica,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의 3종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효모 활성 녹차씨 추출물의 온도 안정성 실험 결과 121℃에서 15분, 70℃에서 24시간 열처리한 경우 항효모 활성이 다소 저하되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pH 안정성 및 내염성 실험에서는 모든 실험구에서 항효모 활성을 유지하여 안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식품에 서 천연보존제로서 녹차씨 추출물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발효 요구르트, 장아찌 소스, 갈비 양념장에 산막효 모인 Pichia membranifaciens를 접종하고 녹차씨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생육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실제 식품에서 산막효모를 효과적으로 저해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항효모 활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쌀을 이용하여 제조한 쌀국수는 아시아 국가에서 밥과 더불어 주식으로 섭취하는 국수의 일종으 로, 쌀생면 및 베트남쌀국수 등으로 다양한 제품이 생산 판매되고 있다. 쌀국수를 제조하는 방법은 주 원료인 쌀의 가공 물성 차이에 따라 크게 압출식(extruded)과 압연식(flatted)의 두 가지 형태로 분 류할 수 있다. 압출식 쌀국수는 쌀을 물에 침지 분쇄하여 건조한 쌀가루 분말을 제조시에 가수하고 반죽하여 호화시키면서 압출하며, 압연식 쌀국수는 쌀가루와 물을 섞어 분쇄한 미유(米乳) 반죽물 을 증숙 판 위에 sheet 형태로 넓게 펴고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 중에 증기로 찐 sheet를 건조시켜 절 단하는 방식이다. 국내 생산 쌀국수는 압출식 제면방식이 적합하며, 최근에는 국산 쌀 80% 이상의 쌀국수 제품 개발이 증가하고 쌀국수 생산시스템 자동화를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쌀국수 산업은 1998년 프랜차이즈 시장을 도입한 이래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건면, 생 면 및 즉석면류의 형태의 면을 중소기업 중심으로 생산 판매하고 있다. 최근에는 쌀라면, 쌀비빔면, 쌀스파게티, 쌀파스타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쌀 특성의 떡 맛의 문제와 조리, 유통, 가격 등의 문제로 고품질 쌀국수 가공기술 확립이 필요하다. 원료쌀 가공특성에 따른 제면기술을 적용하여 쌀국수 품질 안정성을 확립하고, 다양한 메뉴 모델 개발을 통하여 기호도를 증진시킨다면 한끼 식사대용으로 간편한 편이식 또는 수출용 제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 전망한다.
밀은 우리 국민 1인당 년간 소비량이 약 31kg으로 쌀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년간 국내 밀 소비 량은 약 2백3십만톤 이며 이중 국내산 밀생산은 2만5천톤 정도로 1% 정도이다. 식량 자급률이 23% 인 것을 감안하면 식량안보가 문제 될 수도 있다. 쌀은 재고 처리가 문제시되는 시점에 밀은 99% 가 수입이므로 우리밀 생산량을 늘려 수입밀을 대체하면 식량 자급률에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밀 소비의 방안으로 방충방제를 하지 않으면서 재배 가능한 특성을 살려 우리밀 통밀제품을 제안해본다. 우리밀 통밀 제품도 부드럽고 쫄깃한 특성이 기본으로 하면서 산업화가 이루어 져야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할 것이다. 총 밀소비량의 19%가 제과 제빵용으로 사용되고 50%가 제면용으 로 사용된다. 제면용의 75%가 유탕면류인 라면이고 대략 2조의 시장으로 형성되고 있다. 라면 소비 량이 가장 많은 나라는 중국이고 1인당 소비량은 한국이 72봉으로 가장 높다. 이러한 면은 중국에 서 한국을 거쳐 일본으로 전파되었으나 면의 산업화는 일본에서 시작되어 한국으로 이어졌다. 면산 업화 과정을 살펴보면 저장성 품질 편의성에 따라 건면, 라면으로 시작되어 점차 냉장고의 보급으 로 생면, 냉장우동면, 냉동면으로 전개되었다. 최근에는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웰빙 열풍으로 건강면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간편하고 조리가 용이한 것은 그대로 즐기되 건강을 위해서 기름에 튀긴 유탕라면보다 비유탕라면에 대한 관심이 점차 일어나고 있다, 5조이상의 라면시장을 갖고 있는 일본은 비유탕라면 시장이 이미 40%를 차지 하고 있다. 유탕라면에 사용되는 경화유와 트랜스지방의 인식 그리고 저염식등 건강식에 반하는 문 제제기가 소비자의 새로운 욕구를 형성해가고 있다. 또한 국내 HMR시장이 이제 갓 걸음마를 뗀 단계이지만, 간편식의 대중화로, 집밥의 개념을 바꾸는 문화HMR이 한국인의 식문화를 바꿔 놓고 있다. 나홀로족이나 맞벌이 가구의 증가, 소득수준향상, 라이프스타일의 서구화, 가구당 평균 구성 원 감소, 노령화 사회, 최근에 캠핑문화 확산으로 HMR면시장이 커져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