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론의 관비재배시 고품질 과실을 생산하기 위해 과실비대기 이후 관수시점을 20~25#, 30~35 그리고 45~50(-kPa)로 각각 설정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관수량은 관수개시점 45~50(-kPaa)구가 115mm로 20~25(-kPa)구보다 2배 적었다. 줄기의 길이는 45~50(-kPa)구에서 144cm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다소 짧았으나 절간장은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잎 생체중 및 건물중은 45~-50(-kPa)구에서 각각 512, 58.3g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벼웠다. 과중은 관수량이 적은 45~50(-kPa) 처리구가 1,634g로 관수량이 많은 20~25(-kPa)구에 비해 다소 가벼웠다. 괴경은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과고는 유의성 있게 작았다. 총수량은 관수량이 많은 처리구에서 다소 많으나 상등품수량은 관수량이 적은 45~50(-kPa)구가 2,531kg/10a로 가장 많았다. 과실의 당도는 관수량이 적은 45~50(kPa)구가 15.2˚Bx 20~25(-kPa)구보다 0.9˚Bx 정도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멜론의 관비재배시 개화 후부터 과실비대기 까지는 관수개시점을 15~20(-kPa)으로 설정하여 과실의 비대에 수분이 부족하지 않게 관리하고 과실비대기 이후에는 관수량을 줄여 45~50(kPa)로 관리하면 당도가 높은 과실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분 공급을 제한하여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상추식물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MDHAR)의 활성도, 엽록소 함량, 과산화수소의 함량 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생육배지의 수분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식물체내 과산화수소의 생성량이 증가(R2=0.8851)하였으며, 수용성단백질 함량은 점차 감소(R2=0.9826)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엽록소함량은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공시작물에서의 함량이 정상 생육시 보다 그 함량이 대체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엽록소 a와 엽록소 b함량 변화도 총 엽록소의 함량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총 엽록소에 대한 카로티노이드의 비율은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식물에서 정상생육 시 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분 부족 스트레스가 진행됨에 따라 아스코브산의 함량은 정상 생육 시 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환원형인 디하이드로아스코브산의 함량은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초기에 정상생육 시 보다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MDHAR의 활성도는 사이토졸(cytosolic) 분획과 엽록체(chloroplastic) 분획에서 공히 크게 증가하였으며 MDHAR의 mRNA 전사 정도도 수분 부족 스트레스가 진행됨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다. 수분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MDHAR의 활성도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또한 과산화수소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도 MDHAR의 활성도가 크게 증가(R2=0.9937과 0.8645)되어 수분 부족 스트레스로 나타나는 요인들과 MDHAR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조건을 달리하였을 때 양파의 pyruvic acid와 당함량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하였다. 보광처리에 따른 양파의 수확 시 생육과 pyruvic acid 및 당 함량을 비교해 본 결과, 무처리구에 비해 보광처리구가 생육이 좋았으며 pyruvic acid 함량은 낮고 당 함량은 높았다. 품종 및 보광정도에 따른 수확 시 생육은 조생종은 광량이 증가할수록 좋았으나 만생종은 12μmol·m-2·s-1 PAR 이상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pyruvic acid와 당 함량은 조생종에 비해 만생종이 훨씬 높았다. Pyruvic acid 함량은 조생종은 24μmol·m-2·s-1 PAR 처리에서 가장 낮았고 만생종은 12μmol·m-2·s-1 PAR 이상의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다. 당 함량은 조생종은 18μmol·m-2·s-1 PAR 이상의 처리에서, 만생종은 12μmol·m-2·s-1 PAR 이상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단 양파 육종을 위한 개체선발에 있어 지향하는 지표는 pyruvic acid 함량이 낮으면서 감미도가 높은 개체를 선발하는 것인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조생종 품종은 18μmol·m-2·s-1 PAR 이상으로 보광처리를 해주고 만생종 품종은 12μmol·m-2·s-1 PAR 이상으로 보광처리를 해 주게 되면 총당 함량에 대한 pyruvic acid 함량(PA/TS rate) 비율이 낮아지므로 단 양파 생산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용인 지역의 구비문학 자료는 개별 연구자들과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나 용인문화원 같은 정부 혹은 민간 기관·단체의 집중적 채록과 보고를 통하여 그 실상이 어느 정도는 드러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료의 채록과 정리를 위해 기울여온 노력에 비할 때, 용인 지역의 구비문학, 특히 구전설화에 대한 연구는 영성하기 짝이 없다. 기존 연구는 대부분 채록 자료의 개관 내지 소개에 머물고 있어, 용인 지역의 설화가 갖는 전반적 특징이나 독자적 면모를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본고는 韓國精神文化硏究院에서 펴낸『韓國口碑文學大系』 1-9 龍仁篇과 『韓國口碑文學大 系別冊附錄Ⅰ 韓國說話類型分類集』을 기본 자료로 활용하여 용인 지역 구전설화의 특징을 개괄적으로 파악하고, 그 의미에 대한 관견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구비문학대계』 1-9 용인편에 수록된 82편을 대상으로 한 유형 분류 결과, 용인 지역에서는 <4 바르고 그르기> 유형의 설화가 가장 많이 채록되었으며, <2 알고 모르기>, <3 속이고 속기>, <7 잘되고 못되기>, <6 오고 가기> 유형이 그 다음으로 많이 채록되었다. <5 움직이고 멈추기>나 <1 이기고 지기> 유형은 상대적으로 많이 채록되지 않았고, 형식담에 해당하는 <8 잇고 자르기>는 채록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을 근거로 할 때, 용인은 첫째 긍정적인 현실 인식과 수준 높은 윤리 의식을 지닌 고장이라는 사실, 둘째 용인은 변혁과 혁신을 꾀하기보다는 안정과 점진적 발전을 추구하는 보수적 성향의 고장이라는 사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인의 설화 전승집단은 민중의 잠재적 역량에 대하여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용인에서는 신화적 이야기보다 현실적 이야기들이 널리 전승되고 있고, 둔갑해서 가족 노릇하는 짐승 물리치기(유형 ‘631’) 설화인 <여우 누이동생> 및 <옹고집전> 유형의 전국적인 분포를 고려할 때, 용인은 경기도의 여타 지역과는 다른 독자적인 특성을 보인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이밖에도 용인에는 지명 전설이 널리 전승되고 있다는 점, 그러나 풍수설화나 명당설화는 기대만큼 많이 전승되고 있지는 않다는 사실도 밝혀낼 수 있었다.
Eliot seems to have been much impressed by Yeats's poetics and poetic techniques, in particular the union of emotion and reason. Not only is Yeats a supreme Romantic - he is a poet of mysticism. To Eliot, Yeats is not just a great poet, but a great craftsman; Yeats's reputation as such a poet has remained strong, from the beginning up until now, as Eliot has foreseen. In Yeats's works, there are both aesthetic and mysterious elements, and just as we could call him a romantic-mystic poet.
Eliot thinks highly of Yeats's pure poetry, with poetics based on the principle of art for art's sake. He praises Yeats as a great poet-craftsman, as we have seen in his works above.
Yeats has been under the influence of French symbolists's poetic techniques, such as those of Baudelaire, Mallareme,. Neval, Verlaine. In Yeats's works, there is their influen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 find out the efficient guiding device during teaching based on the datum what were calculated kinematic and kinetic variable about the vertical jump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in elementary school. Four male, five
이 논문은 중국의 개혁 개방 30년 이래 혼인 영역이 중국 사회 변화의 거센 물결 속에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중국 대표 여성작가인 왕해림의 작품인 『신 결혼시대』를 통해 조명하고자 한다. 왕의 소설은 중국 도시의 두 세대간 3가지 특이한 혼인 유형 즉, 도시-농촌 커플, 연상녀-연하남 커플, 노교수-파출부 커플을 다루는 과정에서 개혁 개방 전후의 신구 가치관의 충돌이 혼인 영역에서 어떻게 비춰지는데 집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신구 가치관의 대립 및 중국 도시 혼인의 현황은 네 가지 측면에서 관찰된다. 우선, 혼인의 속성에 있어서 모택동 시대의 혁명적인 혼인관이 사라지고 개혁후 사회의 급속한 분화 및 이질성의 증가로 인해 양 결혼 당사자간 집안의 형편이 고려되어야 하는 전통적인 문당호대의 관념이 부활한다. 둘째, 배우자 선택 조건에 있어서 모택동 시대의 금욕주의가 부정되고 물질주의, 외모지상주의 등의 요구가 정당화되는 가운데 전통적인 남재여모의 선택 모델이 주류 관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셋째, 혼인ㆍ성ㆍ사랑 삼자의 관계에 있어서 과거 삼자 일심동체 관계는 개혁 이래 삼자 분리라는 전면적인 도전을 받게 된다. 마지막으로 혼인에서의 여성 이미지는 모택동 시대의 강하고 독립적인 철인여성상이 무너지고 부드러운 현모양처의 의존적인 여인상에 의해 대체되어 가고 있다. 지난 30여 년간 중국 도시의 혼인 문제는 갈등의 소용돌이 속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였으나 왕의 작품은 바로 이러한 신구 관념의 충돌에서 방황하는 중국의 혼인관이 새로운 탈출구를 모색하려는 시도라 할 것이다.
Colors in the poems are non-verbal communication. Colors in the poetry have symbolism and color meanings that go beyond ink.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refore, is to investigate how Yeats chooses colors for his poems and how those colors are related to his poetic imagination. Yeats uses many colors in his poems in order to strengthen his poetic themes.
The color that he uses frequently in The Collected Poems of W. B. Yeats is red. The color red is often related to the word blood in several of his poems. In Yeats’s poems, the color red and blood are connected to Ireland and the Irish people’s devotion to their country. In his poems Yeats tries to praise the beauty of Ireland and those people who dedicated their lives to Ireland. For example, in “To the Rose upon the Rood of Time,” “The Rose Tree,” “To Ireland in the Coming Times” and so on, Yeats uses the red and blood imagery associated with Ireland in order to exalt his own country and his own people just as Christians praise the red blood of Jesus Christ shed on the cross for their salvation.
Finally, grasping the meaning of various colors used in his poetry will help us understand his poems more broadly.
이 논문에서는 한유 시와 불교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한유는 "불도를 배척한다"고 스스로 자임했지만, 그의 행위는 도리어 불교와 깊고 애매하게 유착되어, 자신의 "선언"과 "행동"이 서로 위배되는 태도를 취했다. 그는〈원도〉를 찬술하고 불골 맞는 일을 간언하는 등 결연히 불도를 반대하면서, 한편으로는 승려와 밀접하게 왕래하고 시를 수창하며 정감에 사로잡혔다. 이런 모순적 태도는 후세에 비평을 받았다. 현존하는 한유의 시 사백여수 중 불교와 관련된 시는 겨우 약 20여 수 뿐이지만, 그 영향은 대단하다. 당나라 때 불교는 정치사상면에서 국가와 백성들에게 해를 끼쳤을 뿐 아니라, 경제면에서도 사회를 침식시키는 큰 병폐였다. 당시에 형성된 방대한 무위도식계급 및 그들의 소비경비는 심히 통절한 것이었다. 그는 시에서 이런 불교의 해악을 지적하고 불교를 적극 반대했다. 한유가 불교를 배척한 것은 불교가 백성들의 생산생활에 막대한 파괴를 조성했기 때문이다. 그는 또 시에다 불교의 허망과 거짓을 풍자하였으며, 혹세우민을 폭로하였다. 시승과 진지하게 교류한 시들은 후세사람들이 한유가 변심하여 불가에 귀의했다고 여겨 질책을 받았다. 한유와 승려의 교류는 경제적 능력 때문이거나, 시문의 재능이 출중한데 불교에 입문한 것이 통탄스러웠기 때문이거나, 심지어는 그들을 유가의 문하로 끌어들여 벼슬을 시키기 위해서였다. 무본스님을 환속시킨 것은 한유의 일대공로였다. 韓愈는 불교비판에 힘을 아끼지 않았지만 정작 문학창작방법에서는 불교의 영향을 깊이 받고 있다. 이점은 매우 흥미로운 현상이다. 그는 불교경전을 익숙히 알고 있을 뿐 아니라, 그것을 시에다 화용했고, 그가 시도한 "이문위시" 역시 직접 불경과 불경번역과정에서 얻은 것이며, 시 속의 몇몇 조구방법들도 역시 불경게송의 조구방법을 모방했다. 이로 본다면 한유는 비록 불교를 배척했다지만 그는 여전히 불교경전을 열람했음을 알 수 있는데, 그는 온갖 전적을 박람했으니, 불경도 당연한 포함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lope length and angle at the entrance to fishing pots on the size of captured shrimp was examined to determine the optimal design of pots for use in Hokkaido, Japan.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optimize the design of shrimp pots to allow greater control over the size of captured individuals for the purposes of shrimp resource management. Tank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slope length and slope angle by analyzing the sizes of shrimp entering 10 model pots with combinations of five different slope lengths on slope angle of current shrimp pot, and five different angles on slope length of current shrimp pot.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slope length of the pot increased, the size of individuals which entered the pot increased. In addition, as the slope angle was elevated in each of the five different slope angle treatments, the size of individuals entering was also increased.
코이어 배지(코코넛 분말:섬유=70%:30%, v/v)를 이용한 착색단고추 수경재배에서 공급 배양액의 적정 농도를 구명하자 EC 2.5, 3.0, 3.5 및 4.0dS·m-1의 농도를 공급하였다. 생육 기간 동안 배양액의 급액 농도에 따른 슬라브 내의 EC는 급액 농도가 높아지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분 함량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배액의 pH는 안정적이었으며, EC는 급액 농도 EC 4.0dS·m-1에서 EC 7.3dS·m-1로 높았을 뿐만 아니라 표준편차와 변이계수도 높았다. 초장은 급액농도 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광합성율은 급액 농도 EC 4.0dS·m-1에서 전반적으로 높았다. 과중은 급액 농도 EC 4.0dS·m-1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과형은 급액 농도 EC 3.5dS·m-1에서 정사각형에 가까웠다.
본 실험은 여름작형 착색단고추의 낮은 플라스틱연동하우스 재배시 유인방법 에 따른 수량 및 품질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유인방법은 직립과 경사유인이었고, 과실은 6월부터 11월까지 한달 간격으로 수량, 평균과중, 과육두께, 당도, 경도, 과형, 심실수 등을 조사하였다. 상품수량은 6월에 가장 많았으며, 직립유인이 경사유인보다 더 많았다. 6월의 평균과중은 경사유인이 232g으로 직립유인보다 26g 더 무거웠으나, 7월 이후 직립유인이 경사유인보다 더 무거웠다. 과육두께는 직립유인이 경사유인보다 두꺼웠다. 당도는 온도가 낮아질수록 높아졌으며, 직립유인이 경사유인보다 더 높았다. 직립유인의 과형은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립유인의 심실수는 3.27~3.34개로 수확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사료 생산에 유망한 동계작물 중 보리, 밀, 귀리(월동 가능), 트리티케일(라이밀) 등 4종의 총체맥류에 대하여 보리를 주품종으로 한 혼파재배시 조사료 생산 증대 효과를 요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리 식물체의 건물중과 이삭크기 등으로 볼 때 혼파재배시 보리의 생육이 저하되는 작물은 트리티케일이 가장 심하였고, 다음은 밀이었으며, 귀리는 생육차이가 없었다. 보리를 주품종으로 하고 밀, 트리티케일, 귀리 등과의 혼파재배시 이삭수 증가 또는 보조작물의
Some sports players use dental mouth guards to reduce the risk of orofacial trauma. Althoug mouth guard have been shown to protect against orofacial injury, many players do not use them during training and playing because of discomfort and breathing problem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alteration of respirotory volume during wear the mouth guard. I checked 5 D university male students ventlation with and without mouth guard in steady state. Air flow and volume were decreased during wearing Mouth guards compare to not wering. It suggested that mouth guard would have change the ventilation patter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objects and target location of dominant hand on the non-dominant hand movement kinematics in a bimanual reaching task. Fifteen right-handed volunteers were asked to reach from same starting point to the different target point of right and left hand with grasping the objects of different size. Independent variables were 1) three different object types (small mug cup, name pen, and PET bottle), and 2) three different target locations (shorter distance, same distance, and longer distance than the non-dominant hand) of the dominant hand. Dependent variables were movement time (MT), movement distance (MD), movement mean velocity (MVmean), and movement peak velocity (MVmean) of the non-dominant hand. Repeated measures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test for differences in the non-dominant hand movement kinematics during bimanual re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T of the non-dominant hand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traveling with grasping the mug cup and reaching the far target location, and was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traveling with grasping the PET bottle and reaching the near target location of the dominant hand. 2) MD of the non-dominant han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reaching the far target location, and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reaching the near target location with dominant hand. 3) MVmean of the non-dominant hand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traveling with grasping the PET bottle, and was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traveling with grasping the mug cup of the dominant hand.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hanges of the ipsilateral hand movement have influence on coupling of the contralateral hand movement in bimanual reac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patio-temporal parameters during walking between patients with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and a control group matched for age, height, and weight. Thirty-three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ifteen normal subjects (age, 63.3±5.8 yrs; height, 164.1±8.7 cm; weight, 60.7±17.5 kg) and eighteen patients (age, 64.0±7.7 yrs; height, 164.7±7.3 cm; weight, 63.6±7.7 kg)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Vicon 512 Motion analysis system was used for gait analysis in each group during walking, with and without an obstacle. The measured spatio-temporal parameters were cadence, walking speed, stride time, step time, single limb support time, double limb support time, stride length, and step length. Results in stride length and step length, when walking without an obstacle,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decrease in the pati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During walking with an obstacle, the pati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decrease in the step length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parameters of cadence and walking speed and increases in parameters of stride time, step time, and single limb support time when walking with an obstacle. The patient group had lower cadence and walking speed and higher stride time, step time, and single limb support time during walking with an obstacle than in walking without an obstac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who walk over an obstacle can decrease cadence, stride length, and step length. Further study is needed, performed with more obstacles and combined with other external cues, such as visual or acoustic gui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