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knowledge kinematic and Kinetic differences of Men's progolfer's swing-motion of the type of iron-clubs. and This study will offer to basic data to development of golf -swing analysis system as analyze swing-motion of #3
목적 :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서 상지 운동기능 회복을 위한 기능적 전기자극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신경학적으로 더 이상의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발병 후 12개월 이상이 경과된 만성기 편마비 환자 18명을 대상하였다. 편마비측에 4주 동안 전기자극 치료의 적용 없이 기능의 변화를 평가하였고, 이후 4주간은 전기자극 치료를 1회 20분, 1일 1회, 주 5일간 마비측 상지에 적용하여 기능의 변화, 동작을 분석하였다. 전기자극은 수지의 파악, 주관절의 굴곡, 주관절의 신전, 수지의 이완 등의 순서로 식사동작을 모방하여 작동되도록 조작하였다. 상지의 기능회복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지 근력, 상지의 근력 측정과 Fugl-Meyer 운동기능 평가를 실시하였고, 인지 및 지각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정량 분석을 위하여 삼차원 동작 분석기(CMS10 measuring system)를 이용하여 상지의 동작을 분석하였다. 결과 : 전기자극을 적용하기 전에서는 편마비측 수지 및 상지의 근력과 Fugl-Meyer 운동기능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기능적 전기자극을 적용한 경우에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에 편마비측 견관절과 주관절의 굴곡, 완관절의 신전 근력이 증가하였으며, 수지 근력, Fugl-Meyer 운동기능 평가에서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다(p<.05). 삼차원 동작 분석기를 이용한 상지 기능의 평가에서 회내-회외운동 동작에서 진폭과 진동수의 유의한 증가가 보였으며, 변이도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검지 두드리기와 손바닥 두드리기 동작에서는 진동수의 유의한 증가와 변이도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p<.05). 결론 : 발병 후 12개월 이상이 경과된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서 마비측 상지에 대한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는 상지 운동기능의 호전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John Wesley’s attempt to church renewal in the 18th century England through exploring his ecclesiology. This article deals with patterns of church renewal as it uses Wesley’s ecclesiology and Howard Snyder’s mediated model of church renewal, and attempts to rediscover of the essence of the church, and finds out clues of renewal and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 along with the lessons given to the Korean church today. John Wesley constructed a very creative ecclesiology which was integrated various insights given by innovative renewal movements in the early church and the church history along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church. Therefore John Wesley'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can be understood through his renewal movement. Also his ecclesiology emphasizes the community for renewal of the church. In fact, Wesley's original intention was to form a organic community, that is, “ecclesiola in ecclesia.” In order to achieve his church renewal ministry Wesley suggested a integrated(holistic) renewal model that would keep the balance between institution and movement. Some characteristics of a renewed church is a living organism not just a institution or organization. The renewed church is charismatic community. Church renewal movement can not be separable with the kingdom of God. In this sense, Howard A. Snyder suggests five dimensions of John Wesley’s church renewal movement. First, it is individual renewal as it takes place in believer's personal repentance and conversion. It is spiritual renewal. But it is not just spiritual but communal. Unless there is no true community, individual renewal cannot be taken place. Second, communal renewal means a shared faith in a community as it happened when the church experiences God's transforming work. Third, conceptual renewal(or theological renewal) means a paradigm shift in theology. In this aspect, every great renewal movements are closely related to conceptual renewal. Fourth, structural renewal is to change forms and structures of which the church uses. Thus, the church must be changed in cultural contexts. Institutionalized and rigid structures of the church can often hinder the work of the Holy Spirit. Even though structural change is not the starting point of renewal, it can keep the renewal movement continue. Fifth, missional renewal of the church is about passion of proclaiming the gospel as the essential call of the church. Missional renewal can be accomplished when the church rediscover the essence of mission. This is not for the church itself but for the kingdom of God. The church that is internally renewed must have missional renewal. In this sense, the Korean church can learn from John Wesley’s renewal movement which attempted to renew the church by forming the authentic community connected with the kingdom of God.
Single PPM Quality Innovation Movement is originally developed quality program in Korea for supplier's quality level-up since 1995. The quality target is below the 10ppm(parts per million) in outgoing quality and delivered goods plus field claim. This Single PPM Quality Innovation Movement program was conducted to realize the anticipated results not only due to management result level's increasing, but also the company's confidence and competitivenes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mutual influences on the participation of the constituent members, satisfaction of the constituent members and results of the management from Single PPM Quality Innovation Movement. The reliance analysis for the measurement material on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b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Participation of the constituent members, satisfaction of the constituent member and result of the management, the influences upon Single PPM improvement degree level were verified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by using SPSS statistic package. The influence evaluation among the groups was evaluated by the structure equation.
본 논문은 로터 시스템의 디스크 회전운동을 표현하는데 있어 운동방정식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기존 연구자들이 채택한 오일러 각 사용법이 일관성이 없음을 지적하였다. 기존 연구자들은 오일러 각 순서가 달라서 속도와 운동에너지도 달리 산정하였음은 물론, 운동방정식은 오직 선형 시스템만 취급해 왔다 이러한 오일러 각 사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회전운동을 더욱 단순하게 매개화할 수 있는 4원법(quaternion)과 구 좌표계를 적용하여 비선형 시스템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치해석을 통하여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제안한 방법의 신뢰성과 우수성을 보였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 weekly circuit-group exercise program on functional performance, flexibility of the trunk and lower extremities, and balance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who are living in a community. Thirteen community-living individuals (eleven males and two females) with chronic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group exercise program was set up as a weekly circuit application with four stations aiming to strengthen the muscles, increase endurance, improve flexibility, and enhance functional capacity. The average duration of a session was an hour, and the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six months for a total of 24 sessions. Assessments for functional performance, flexibility of the trunk and lower extremities and balance were conducted four times: before treatment, after one month of treatment, after four months of treatment, and after six months of treatmen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unctional performance and flexibility of the trunk and lower extremities in the given time frame. No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balance abil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a weekly circuit-group exercise program has some benefits in terms of managing the physical symptoms of individuals with mobility problems after stroke. Therefore, this program can be adapted and employed as a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 for such patients. Further studies with various community-based treatments will be conducted to validate these findings.
The range of motion (ROM) of ankle dorsiflexion in older women was associated with gait abnormalities and the risk of fa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stretching exercise on the flexibility of the plantar flexors of the ank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gait in healthy elderly women. Fifteen participants were assigned randomly into an exercise (n=8) or control (n=7) group. The exercise group attended a self-stretching program approximately 30 minutes for 3 days per week for 4 weeks. The active ankle dorsiflexion ROM and gait measurements were taken prior to beginning the stretching program and 1 day after the last stretching day. Results showed that the active ankle dorsiflexion RO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ercis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stretching program (p<.05). However, gait parameters, including gait speed, cadence, and stride lengt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5). The results suggest that a 4-week self-stretching program is capable of provok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ankle dorsiflexion ROM in elderly, community-dwelling women.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it-specific exercise combined with stretching exercise on gait ability.
목적 : 가정환경에서 실시한 강제유도운동치료(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와 건측제한(Forced Used: FU)치료법이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실험 연구방법 중 실험 집단간 다중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다. 뇌졸중으로 편마비 진단을 받은 6인을 3집단(각 집단 2인)으로 분류하였다. CIMT는 건측제한(5시간)과 함께 환측 집중훈련(3시간)을 실시하였다. FU는 하루 중 활동이 가장 많은 5시간 동안 건측에 장갑을 착용하여 사용을 제한하였다. 기초선과 치료과정 동안에는 상자와 나무토막검사(Box and Block Test: BBT), 치료 전·후에는 울프운동기능검사(Wolf Motor Function Test: WMFT)를 사용하여 상지기능을 측정하였다. 일상생활활동은 치료 전·후에 운동·처리기술평가(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와 운동활동지표(Motor Activity Log: MAL)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분석은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분석과 치료 전·후 측정값의 변화를 비교하였다.결과 : WMFT와 BBT에서 모든 대상자의 수행능력이 향상 되었다. AMPS 능력치와 MAL의 환측사용빈도와 움직임 질도 모든 대상자에서 향상을 보였다. 특히 각 집단에서 CIMT 대상자들이 모두 FU 대상자보다 많이 향상되었다.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 of therapeutic exercise with conservative treatment in women with chronic neck pain. Subjects were allocated to control, neck isometric exercise, and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groups consisting of 29, 32, and 31 patients, respectively. The conservative treatment for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hot packs, ultrasound,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and intermittent cervical traction. The neck isometric exercise group performed a neck isometric exercise and the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performed a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To compare the three groups, the levels of perceived pain, neck disability, and psychological depression were assessed on admission, at discharge, and one month after discharge. On admission and at discharge, the pain and neck disability scor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groups. However, one month after discharge, both the neck isometric and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groups had significantly improved perceived pain levels as compared to control (p<.05). The improvement in the degree of neck disability was most significant in the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p<.05). On comparing the changes in the variables at the three assessments for each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groups (p<.05).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apeutic exercises, especially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s, are more effective for improving pain and neck disability than conservative treatment.
목적: 콘택트렌즈 착용시 렌즈가 각막에 부착된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콘택트렌즈 운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중 순목에 수반되는 렌즈의 움직임은 각막에 산소 공급 뿐 아니라 안정된 교정시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방법: 순목시 콘택트렌즈의 위치 이동은 눈꺼풀이 렌즈를 누르는 압력, 안쪽 눈꺼풀과 콘택트렌즈 사이의 미끄럼 마찰, 순목에 소요되는 시간, 눈꺼풀이 움직이는 최대 수직거리 등에 의해 결정되므로 순목 직후의 콘택트렌즈 위치는 이러한 순목 관련 요소와 함수관계에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결과: 눈꺼풀과 렌즈의 마찰력이 관여하는 눈꺼풀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고, 순목시 콘택트렌즈의 직경, 순목시간, 눈꺼풀의 압력 등의 변수에 따른 콘택트렌즈 위치 및 콘택트렌즈 착용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예측할 수 있는 뉴턴의 운동 방정식 모델을 수립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운동방정식 모델을 측정 가능한 변수인 순목 속도와 눈꺼풀 두께를 이용한 선행된 임상연구와 비교한 결과 좋은 일치를 보여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게 손상측 손의 주먹 쥐기 동작을 실시하여 동측 경상 운동 발현 유무를 확인하고, 동측 경상 운동과 손상측 상지 기능의 관계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개의 전자 악력계를 이용하여 손상측 손으로 대상자가 할 수 있는 최대의 힘으로 주먹 쥐기를 10초 동안 유지하는 것을 시행한 후 동측 경상 운동을 측정하고, 동측 경상 운동의 유무에 따라서 경상 운동이 나타나는 환자군 15명과 경상 운동이 나타나지 않는 환자군 15명으로 구분하였다. 경상 운동의 유무에 따른 손상측상지의 기능을 비교하기 위해서 퍼글-마이어 평가, 퍼듀 페그보드 검사, 악력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동측 경상 운동이 나타나는 환자군과 경상 운동이 나타나지 않는 환자군의 집단 간의 손상측 상지 기능의 비교에서 퍼글-마이어 평가, 퍼듀 페그보드 검사, 악력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동측 경상 운동이 나타나는 환자군이 경상 운동이 나타나지 않는 환자군보다 상지의 전반적인 기능에서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뇌졸중 이후에 나타나는 동측 경상 운동은 상지 기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고, 운동 결함이 있는 동측 경상 운동이 나타나는 환자에서 뇌졸중 이후 회복 과정의 임상적 양상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평가와 치료에 있어서 동측 경상 운동을 고려해야 하며, 앞으로 뇌졸중 환자에서 경상 운동의 지속적인 평가와 치료적 중재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적 : 본 연구는 정상성인남성의 마시기 동작을 표면근전도와 삼차원 동작 분석기를 통하여 상지 움직임에 대한 계량적(운동형상학: kinematics, 근활성도: muscle activity) 자료를 수집하여 마시기 과제 수행 시 운동 패턴과 전략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건강한 20대 젊은 남성 30명을 대상으로, 삼차원동작분석기(VICON MX System)와 근전도기(MP-100)를 이용하여 마시는 동작의 관절가동범위, 속도,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물 마시기 수행 중 컵을 잡는 동안 어깨에서 최대 내전과 팔꿈치의 최대 신전이 나타났고, 마시는 동안 어깨에서는 최대 굴곡 및 외전이 팔꿈치에서는 최대 굴곡이 나타났다. 뻗기 단계에서 각 관절의 각도 변화에 대해 피어슨상관계수(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한 결과 어깨와 팔꿈치사이에서 (r=-.904), 어깨와 손목사이에서(r=.722), 팔꿈치와 손목사이에서(r=-.700)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5). 입으로 가져오기 단계에서는 위쪽등세모근(7.31%)과 위팔두갈래근(1.60%)이 가장 높은 활성도를 보였고, 정리하기, 마시기, 뻗기 단계에서 각각 위팔세갈래근(.43%), 중간어깨세모근(1.33%), 긴노쪽손목폄근(2.20%)에서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중추신경계 및 근 골격계 환자의 치료 계획 및 치료 전략을 설정 시 적용 될 수 있으며, 또한 치료적 중재 후 상지 움직임 향상에 대한 평가의 기초자료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 된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편마비 아동에게 수중에서 시행하는 대칭운동이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자는 뇌병변으로 인한 좌측편마비 진단을 받은 8세 아동이었다. 본 연구는 개별사례 실험 연구방법 중 반전연구(ABA)를 사용하였으며, 각각 8회기의 기초선 과정, 치료기간, 그리고 치료 후 관찰기간 동안 상지기능을 평가하였다. 상지기능의 평가는 Bruininks-Oseretsky 운동기능 발달검사 소항목인 동전 옮기기와 Grooved 페그보드 검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또한 팔뻗기 과제에 대한 동작분석은 치료기간 전과 후에 각각 측정되었다. 대상자는 치료선 과정과 치료 후 관찰기간에는 일반적인 물리치료 및 작업치료를 받았으며, 치료기간에는 이에 더하여 40분간의 수중 대칭운동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결과 : 동전 옮기기와 페그보드 검사로 평가된 상지기능은 기초선과정보다 치료기간 동안에 향상되었으며, 이는 치료 후 관찰기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팔뻗기 과제에 대한 동작분석 결과 치료기간 후에 과제 완료시 체간의 굴곡 보상이 감소되었으며 견관절의 굴곡과 주관절의 신전이 움직임이 증가되었다. 또한 견관절과 주관절의 움직임 형태가 안정적으로 변하였다.
결론 : 수중 대칭운동은 편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 및 움직임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향후에는 많은 대상자들을 포함하고 장기간 시행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정액의 보존 기간 동안 정액의 질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돼지 정액을 Beltsville Thawing Solution (BTS)에 희석한 후 17'C 에서 5일 동안 보존하였다. 보존 기간 동안 정자의 운동성(%)과 linearity는 3일째부터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다른 운동 역학 변수에서는 유의적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5일 동안 정액을 보존할 경우 첨체의 온전성에도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제 4일째부터 첨체 변화가 야기된 정자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수정능 획득이 일어난 정자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정액의 보존 기간 동안 첨체의 온전성의 유의적 변화가 없었다. 즉, 보존 기간 3일동안 정자의 질적 운동성 및 첨체 온전성에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므로 상업용 돼지 액상정액은 17'C 에서 적어도 3일간 수정능력을 만족스럽게 유지함을 보여준다.
비선형 구조계의 확률론적 지진해석 방법 중 대표적인 것은 지진 재해도 수준에 해당하는 입력지반운동 모델을 사용한 시간이력을 수행하여 그 응답의 확률분포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두 가지 입력지반운동 모델에 따른 구조계 응답의 분포특성 및 파손확률의 차이와 그 원인을 분석한다 입력지반운동 모델로는 실제 지진기록을 배율 조정하여 사용하는 배율조정 입력지반운동과 설계 응답스펙트럼에 상응하는 인공 지진기록을 사용하는 스펙트럼 맞춤 입력지반운동 두 가지를 고려한다. 동일한 지진재해도 수준을 고려한 해석결과 설계 응답스펙트럼에 상응하는 인공 지진기록을 사용한 입력지반운동 모델은 실제 지진기록을 배율 조정한 입력지반운동 모델보다 평균적으로 응답을 크게 평가하였고 이로 인해 파손확률 또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연약한 지반에서 더욱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입력지반운동 모델에 따른 파손확률의 차이는 스펙트럼 맞춤 입력지반운동의 목표로 사용된 도로교 설계기준의 설계 응답스펙트럼이 실제 지진기록의 응답스펙트럼보다 장주기로 갈수록 응답을 크게 평가하도록 보수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church & beyond movement could be a good term for church renewal. The church & beyond movement revitalizates the kingdom of God by overcoming the boundaries of each church. The local-church-centrality (decentralization of denominational power by a self-governing-local-church) has been an engine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for over a generation now in the Korean church. When, however, it is changed into the egocentricity of the church (extreme selfishness of each local church), it has been a stumbling block to revit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The author suggests the church & beyond movement as an antidote of the egocentricity of the church. Chonja (seeds) is a North Korean term for a poetical imagination or a musical motif. As an effort of developing missiology in a unified Korean context, the author uses ‘seeds’ of church renewal studies instead of ‘inspirations’ of church renewal studies as a part of the title. In chapter 2, the author deals with seeds of church renewal studies using economic terms. The author points out the danger of M&A of the church by using economic terms such as reverse-synergy, multiprocessing, and the monopoly of trade. In chapter 3, the author handles seeds of church renewal studies harvested in a soccer field. Field-vision and teamwork is essential for church renewal as well as for soccer. The author introduces Howard A. Snyder’s 8 marks of a mediating model of renewal, which is a combination of elements of both the institutional and the charismatic model of renewal: 1) The renewal movement exists as an ecclesiola. 2) The renewing movement uses some form of small group structure. 3) The renewal movement has some structural link with the institutional church. 4) The renewal structure is committed to the unity, vitality, and wholeness of the larger church. 5) The renewal structure is mission-oriented. 6) The renewal movement is especially conscious of being a distinct, covenant-based community. 7) The renewal movement provides the context for the rise, training, and exercise of new forms of ministry and leadership. 8) The renewal structure maintains an emphasis on the Spirit and the Word as the basis of authority. The author uses theological methodology of storytelling. The author concludes this article with a high hope that the church & beyond movement would work as disinfected seeds for the Korean church which is diseased with an egocentricity of the church.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disease-specific exercise (DSE) on temporomandibular joint (TMJ) function and neck mobility in TMJ dysfunction associated with ankylosing spondylitis (AS). Ten AS patients (seven males and three females) with TMJ dysfunctio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DSE included exercises to correct head and neck posture and to improve the flexibility of the neck and TMJs. The patients attended treatment three times a week for 4 weeks, averaging 1 hour each session. Assessments were performed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6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treatment. General physical status was assessed by four clinical measures (tragus-to-wall distance, modified Schober test, lumbar side flexion, and intermalleolar distance), the Bath ankylosing spondylitis function index (BASFI), and the Bath ankylosing spondylitis disease activity index. The main outcome measures included TMJ function (craniomandibular index (CMI)), and neck mobility (flexion, extension, rotation, and lateral rotation). None of the measures of general physical status, with the exception of BASFI, were significant1y different between the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6-week follow-up (p>.05). However, CMI and all neck movements, except for extension, significant1y improved after the treatment (p<.05). These improvements were maintain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DSE used in the present study seems to be a clinical1y useful method for managing patients with symptoms from the stomatognathic system in AS. Further studies with more subjects and longer treatment times, including the follow-up period, will be conducted to validate these finding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elf-paced walking exercises in elderly women with hypertension, hyperglycemia, and hypercholesterolemia. Thirty-eight elderly women with hypertension, hyperglycemia, and hypercholesterolemia (16 hypertension, 11 hyperglycemia, 11 hypercholesterolemia), aged between 65 and 80,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Each subject participated in a self-paced walking exercise five times a week for twelve weeks from 26 June to 16 September 2006. The changes between pre- and post-exercise were analyzed using the analysis of a paired t-test with the SPSS version 12.0 package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systolic blood pressure (p<.01)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p<.05), blood glucose(p<.05), and cholesterol in the blood (p<.01). These results show that self-paced walking exercises may be helpful in treating elderly women with hypertension, hyperglycemia, and hypercholesterolem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