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9

        14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인범죄의 원인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측면에 맞춰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연구들은 범죄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개인이나 가족차원에 한정 시킨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노인문제, 특히 노인범죄는 개인과 가족 차원에서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역사회나 국가적 차 원에서 해결해야 할 수밖에 없다. 즉 노인범죄를 비롯한 노인문제는 노인 개개인의 문제처럼 보이지만 본질적으론 개인적 차원을 넘어선 사회적 차원의 문제로 그 대책 역시 사회적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노인범죄의 원인을 사회적 소외와 빈곤 같은 사회구조적 요인에서 찾고 그 해결책 역시 사회정책적 측면에서 모색해 보고자 한다.
        4,800원
        142.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까지 우리나라 벼 재배에서 sulfonylurea계 제초제들에대한 저항성 잡초로 보고된 잡초들은 간척지 벼 재배지에서물옥잠이 처음으로 확인된 다음 일년생 잡초 10초종, 다년생잡초 4초종이 발생하여 모두 14종이다. 그리고 2009년Acetolactate Synthase 및 Acetyl-CoA Carboxylase 억제제들에 대한 강피가 저항성으로 처음 보고되었다. 저항성 잡초 발생 초창기에는 sulfonylurea계 제초제들에 대한 저항성초종들인 광엽 및 방동사니과 잡초들 중에서 하나의 저항성 잡초 초종이 논에 주로 우점하였으나 현재에는 한 논에 여러 가지 잡초 초종들이 함께 복합적으로 우점하고 있다. 저항성 잡초 생체중 50%를 억제하는 약제 농도(GR50)는 저항성 잡초가 감수성 잡초 보다 훨씬 높았다. Acetyl-CoA Carboxylase 및 AcetolactateSynthase 억제제들에 대한 저항성 강피도 GR50은 감수성 강피 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벼 재배지에서제초제 저항성 잡초들의 우점 원인은 잡초 생태적 및 제초제작용기작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잡초 생태적 측면에서는종자생산량과 생육이 빠른 잡초들이 저항성으로 변이한다. 제초제 작용기작 측면에서 저항성잡초 발생의 주원인은 약효가길고 선택성이 매우 좋은 sulfonylurea계 제초제들의 높은 선호 때문이다. 국내 논에서 sulfonylurea계 제초제들의 사용 비율은 약 96%이다. 벼 직파재배지에서 Acetolactate Synthase 및Acetyl-CoA Carboxylase 억제제들의 계속적 사용은 저항성강피 발생을 가능하게 하였다. Sulfonylurea계 제초제들에 대한 저항성 물옥잠의 acetolactate synthase 활성을 50% 억제하는 제초제 농도인 I50은 감수성 물옥잠에 비해 훨씬 높았는데이것은 흡수 및 이행에 의한 차이보다는 Acetolactate Synthasegene의 돌연변이(mutation)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Acetolactate Synthase gene amino acid 197번째 proline이serine로 치환되었기 때문이다. 저항성 잡초 관리를 위하여 벤조비싸이크론(benzobicyclon) 등은 물달개비 및 올챙이고랭이를 함께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Acetolactate Synthase및 Acetyl-CoA Carboxylase 억제제들에 대한 저항성 강피의관리는 메페나세트(mefenacet) 등이 2.5엽기까지 가능하다. 그리고 우리나라 벼 재배지에서 제초제 저항성잡초들을 방제하는데 적지 않은 난관들이 있다. 첫째, 지금까지 저항성 발생제초제들인 Acetolactate Synthase 및 Acetyl-CoA Carboxylase억제제들의 판매량이 늘고 있기 때문에 저항성 잡초들은 꾸준히 발생하고 번질 것이다. 둘째, 미국 등의 선진국들과 같은연구인력 및 기관이 많이 부족하다.
        4,000원
        146.
        2015.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플랜트 공사 저장탱크 붕괴 사고사례 원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장탱크란 기 름, 물, 가스 기타 약품등과 같은 유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지상의 저장 시설을 총칭해서 말하는데, 일부 업체들은 군집된 저장소(Tank Farm)를 보유하고도 있다. 저장탱크 시 공 방법을 보면 저장물의 성분 및 종류에 따라서 탱크 종류가 결정되는데 대부분 작업이 중량물을 건설 중장비를 동원하여 높은 곳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형태를 갖추고 있어 일반 공종 작업에 비해 훨씬 많은 위험 요인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들어 저장탱크 붕괴 등의 중대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 는 바, 구조물 특성상 자칫 대형 인명사고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표에서는 최근 들어 발생한 저 장탱크 붕괴 사고사례을 통하여 이에 대한 원인을 파악 하고자 한다.
        4,000원
        147.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피해가 확산되고 있는 돌발성 잔디병인 잔디잎말림병의 발생실태를 조사해 본 결과 난지형 잔디로 식재된 국내 골프장의 60% 이상 발생이 확인되었다. 이 병은 잔디의 밀도저하와 황화현상을 일으켜 품질저하를 초래하는데 잔디관리에 심각한 피해를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잔디잎말림병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안양, 안성, 부산, 경북, 장성에 골프장 5곳의 잔디를 채집하였고 채집된 모든 샘플에서 응애가 집단 서식하고 있는 것을 관찰했으며 형태적 종 동정 결과 잔디혹응애(Aceria zoysiae)로 판단되었다. 잔디혹응애는 체장이 180-280μm로 육안 관찰이 불가능하며 잎을 말아 군집을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기예찰 및 진단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 개체에서 DNA 추출하여 ribosomal DNA ITS2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Aceria guerreronis와 88% 일치하였다. 또한, 건전한 잔디에 잔디혹응애를 접종하여 관찰한 결과 약 2-3주 후에 잔디잎말림 현상이 100% 관찰되었다. 잔디혹응애는 잔디잎말림병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판단이 되며 잔디혹응애 발생시기의 조기예찰을 통하여 잔디잎말림병 발생을 억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148.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난해 6월말경 제2롯데월드 건축공사장 주변에서 작은 규모의 도로침하가 발생했다. 이런 사례가 외국의 싱 크홀 사례와 대비되어 SNS, 매스컴 등을 통해 전파되면서 시민불안이 확산되었고, 이에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지난해 8월말에 도로함몰 특별관리대책을 수립하고 노후하수관, 지하수, 굴착공사, 노면하부 동공 등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시행해 오고 있는 바, 현 시점에서 노면하부 동공탐사는 도로함몰 예방의 유일한 대책이다. 이에 서울시는 세계 최고수준의 노면하부 동공탐사기술을 보유한 지오서치(주)를 2014.11에 초빙하여 주요 도로 4개 권역, 차로연장 61㎞에 대해 2014.11.30.~12.4에 무상으로 시범탐사를 실시했고 19일까지 분석을 완료한 결과 총 41개소의 동공이 탐지되었다. 또한 도로함몰 대응기술이 고도로 축적된 도쿄도를 2015.2에 방문하여 다양한 관리정책을 소개 받았고,「도로함몰 대응업무 기술협력에 관한 행정 합의서」 를 체결(2015.2.2) 하여 인적교류를 통해 서울시는 조기에 개념적인 도로함몰 예방대책을 갖추게 되었다. 도로함몰 발생과정과 원인을 규명하고 서울시 여건에 맞는 실질적인 도로함몰 방지대책을 수립하기 위 하여 탐지된 동공 41개소 중 위험등급 A급과 B급 29개(A급 18개, B급 11개, C급 12개)를 대상으로 2015.3.28까지 굴착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25개는 동공으로 나머지 4개는 동공이 아닌 것으로 확인 되었다. 동공이 아닌 4개는 특정물체에 대한 GPR 반사신호의 데이터를 잘못 분석한 사례이거나 일본의 노면하부 구조와 다른 특성으로 인한 분석사례 미보유로 동공 판단이 어려웠던 것으로 추정된다. GPR 자 료를 통해 분석오류가 있었던 지반의 매개체는 매립된 순수 자갈층, 아스팔트덩이, 흙시멘트, 전력관보호 커브 등이다. 동공으로 확인된 25개에 대해서 원인별로 나누어 보면 ʻ물이 흐르는 관로의 결함ʼ(11개, 44%)과 ʻ굴착복구 미흡으로 인한 장기침하ʼ(14개, 56%)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물이 흐르는 관로 의 결함은 하수관이 9개(36% 전체구성비), 전력관과 통신관이 각각 1개였다. 그리고 굴착복구 미흡으로 인한 장기침하는 전력관 복구 4개, 지하철 복구 4개, 상수관 복구 4개, 하수박스 복구 1개, 통신관 복구가 1개였다. 확인된 동공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동공의 구성은 동공의 함몰을 좌우하는 상부의 토피, 동공 대부분을 차지하는 몸체, 동공의 발생 근원지로 연결되는 꼬리로 되어 있다. 동공 위험등급 A급과 B급 중 동공 토피는 대부분 아스팔트 혼합물층이였고 아스팔트 혼합물층(평균두께 30cm)보다 두꺼운 토피는 3개(12%)였다. 동공 몸체는 투수계수가 높고 유실이 쉬운 모래‧자갈층인 기층 및 보조기층에 주로 형성되어 있었다. 동공 꼬리는 대 부분 토사유실 속도가 느린 점질토층에 형성되었으며 본 조사결과에 의하면 꼬 리 길이는 원형관 구간 0.2m, 하수박스 구간 0.8m, 지하철 박스구조물 구간 1.9m 등 매설물의 심도와 지반의 토질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는 2014.6.30 이후 발생한 도로함몰 발생사례 37건도 참고하였다. 동공이 생성되는 형태, 즉 흙이 유출되는 경로의 형태를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그 네개 유형은 ʻ하수관 유입형ʼ, ʻ매설관로 공간하부 유입형ʼ, ʻ매립재 공간 유입형ʼ, ʻ구조물‧공사장 배면에서의 유입형ʼ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동공발생에 따른 도로함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신규공사의 경우 하수관 연결, 맨홀과의 접합, 지반조사, 차수대책, 복구재료, 다짐 등 의 시공법을 의무준수하고 유지관리의 경우 포장면을 통한 물 침투 방지, 각종 매설관 또는 박스 구조물의 정기조사를 실시하여 손상부나 틈새를 상시 보수하고 관리하는 것이 가 장 중요하다.
        149.
        201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번 증례를 통해 혈액 담즙증의 원인으로서 혈관 병변을 간과해서는 안되며 신속한 색전술에 이은 담낭절제술을 통해 성공적인 치료를 시행할 수 있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 한다.
        4,000원
        150.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of the cause of button mushroom production decrease of Gyoengbukprovince. In 1978, Agaricus bisporus was produced 48,000 ton and exported more than $50 millions. But since 2000, Domesticproduction of button mushroom was decreased by 70%, and button mushroom farm was also decreased by 37%. Cultivationarea was increased by 6%, but Gyeongbuk Province was decreased by 30%. Especially, Production per 3.3ߊ was dramaticallydecreased more than half. There were several causes such as rising labor and material cost, climate changes, and aging ofmushroom cultivation farmers. And there was no effort to develop of domestic button mushroom cultivation equipments. One ofthe main reasons for this reduction was supplied to low quality of button mushroom compost to the farm.
        4,000원
        15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dor arising from the Cheong-ju industrial complex area for odor materials confirmation, and to predict the impact of the odor in the residential area using the CALPUFF Model. Among the odor causing substances in the area with a rising number of collective complaints due to odor, methyl sulfide, acetaldehyde, propionaldehyde, n-buthylaldehyde, n-valeraldehyde and styrene were detected. Odor causing substances detected in the area surrounding the industrial complex include ammonia, hydrogen sulfide, n-buthylaldehyde, toluene, xylene, benzene and styrene. Using the CALPUFF Model, it was predicted that 1hr average was 3.981~7.553 OU/m3 and 24hr average was 1.753~2.359 OU/m3. In terms of odor intensity, the predicted 1hr average was 0.6~0.9 and the 24hr average was 0.2~0.4.
        4,000원
        155.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iversal Design involves designing products and spaces so that they can be used by the widest range of people possible. Universal Design evolved from Accessible Design, a design process that addresses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paper introduces the universal design concept through analysis of causes of railway accident within the urban railway station. Railway accident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internal facilities. We analyzed the standard of accident type, accident cause and accident subject such as elevator, escalator, stairs etc.
        4,000원
        156.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are many different causes of air drum brake judder noise in commercial vehicles.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those causes from the perspective of brake structure, not taking the environment into account.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measured vibrations and noises in case of brake judder noise and analyzed their causes. The structural vibrations of the brake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causes with an experimental method involving O.D.S. (Operational Deflection Shape) analysis and model testing. In an effort to fi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with an analytical method, the investigator modeled the brake system in an analytical manner, correlated it with the experiment results, and tested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an analytical fashion.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brake that had been tested analytically was increased so that the generation frequency and structural vibration frequency of brake judder noises would not be contiguous. The parts of high structural rigidity were tested for brake judder noises with a model test and vehicle test.
        4,000원
        15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추출 용매의 선택은 작두콩과 대두, 서리태의 추출 수율과 실험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메탄올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작두콩의 항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용매별, 콩 종류별 항균활성과 최소저해농도에 따른 항균활성 및 작두콩 추출물의 항균활성 효과가 가장 높은 V. parahemolyticus에 대한 증식억제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용매별 항균활성에서 클로르포름, 핵산,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 추출물은 항균활성을 확인할 수가 없었으나,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V. parahemolyticus 10 mm, S. sonnei 9 mm,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V. parahemolyticus 22 mm, S. sonnei 21 mm, L. monocytogenes 20 mm 순으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콩 종류별 항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V. parahemolyticus, S. aureus, S. sonnei, S. Enteritidis 등의 식중독 원인균에 시험결과, 서리태와 대두에서는 항균활성이 없는 반면, 작두콩에서는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두콩의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최소저 해농도는 12종의 식중독 원인균에 대해 200 mg/mL에서는 대부분 항균활성이 나타났고, 50 mg/mL에서는 V. parahemolyticus, S. sonnei, S. Typhimurium만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작두콩 메탄올 추출물의 V. parahemolyticus 균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는 작두콩 메탄올 추출물 0%의 경우 30시간 배양기간 동안 약 7.5 log CFU/mL로 증가하였다. 0.5%인 경우, 접종 후 1-2시간에는 2 log CFU/mL 정도 증가하다가 6시간 이후에는 더 이상 세균수가 감소하지 않고 30시간까지 접종하는 시점보다 약 0.5 log CFU/ mL를 유지하였다. 1%인 경우, 접종 후 1-2시간까지는 0.5- 1.0 log CFU/mL 정도 증가하다가 접종 5-6시간 이후부터 지속으로 감소하기 시작해서 배양 후 30시간에는 접종하는 시점보다 약 5.5 log CFU/mL로 감소하였다. 1.5%인 경우, 접종 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해서 30시간에 는 V. parahemolyticus균의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2.0% 인 경우에는 접종 후부터 급속히 감소하여 약 9시간이 경 과했을 때는 V. parahemolyticus균의 생육이 완전히 억제 되었다. 따라서 작두콩에서 추출된 항균활성물질이 V. parahemolyticus, S. sonnei, S. Typhimurium 등 다양한 식중독균의 생육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5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QMRA)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9종의 식중독 세균, 2종의 바이러스, 1종의 원생동물에 대한 최소 감염량(minimum infective dose)을 선정한 연구이다. 주요 식 중독 미생물들의 최소 감염량을 선정하기 위하여, 1980년부터 2012년까지 PubMed, ScienceDirect database 등에서 주요 식중독 미생물들의 최소 감염량 및 위해평가 자료 82종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메타분석(mata-analysis) 에서 사용되고 있는 relative frequency(fi, 상대빈도 값)를 계 산하여 가장 적정한 최소 감염량을 추정 및 선정하였다. 주요 식중독 미생물들의 최소 감염량은, B. cereus 105 cells/g (fi = 0.32), C. jejuni 500 cells/g (fi = 0.57), Cl. perfringens 107 cells/g (fi = 0.56), Pathogenic E. coli 중 EHEC 10 cells/ g (fi = 0.47), ETEC 108 cells/g (fi = 0.71), EPEC 106 cells/g (fi = 0.70), EIEC 106 cells/g (fi = 0.60), L. monocytogenes 102~103 cells/g (fi = 0.23), Salmonella spp. 10 cells/g (fi = 0.30), Shigella spp. 100 cells/g (fi = 0.32), S. aureus 105 cells/g (fi = 0.45), V. parahaemolyticus 106 cells/g (fi = 0.64), Hepatitis A virus 10~102 particles/g (fi = 0.33), Noro virus 10 particles/g (fi = 0.71), C. pavum 10~102 oocyst/g (fi = 0.33)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QMRA를 통한 위해수준 추정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5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QMRA)에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국내의 경우 관련 정보 및 자료가 부족한 주요 식중독 원인 미생물에 대한 용량-반응모델(dose-response models) 관련 자료를 수집·정리하여 가장 적합한 용량-반응 모델을 분석 및 선정하였다. 1980년부터 2012년까지 식중독 발생과 관련이 있는 26종의 세균, 9종의 바이러스, 8종의 원생동물 관련 용량-반응 모델 및 위해평가 자료들을 중심으로 국내 NDSL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국외 PubMed, ScienceDirect database에서 총 193개의 논문을 추출하여 정리하였다. 조사된 자료로부터 세균별, 바이러스별, 원생 동물별 용량-반응 모델의 미생물 위해평가 활용여부를 확인하고, 위해평가에 활용된 모델들을 메타분석(meta-analysis) 에서 사용되고 있는 Relative frequency (fi, 상대빈도 값) 를 계산하여 가장 적정한 용량-반응 모델을 제시하였다. 주요 식중독 원인 미생물들인 Campylobacter jejuni, pathogenic E. coli O157:H7 (EHEC / EPEC / ETEC),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hig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Vibrio cholera, Rota virus, Cryptosporidium pavum의 적정 용량-반응 모델 은 beta-poisson (α = 0.15, β = 7.59, fi = 0.72), beta-poisson (α = 0.49, β = 1.81 × 105, fi = 0.67) / beta-poisson (α = 0.22, β = 8.70 × 103, fi = 0.40) / beta-poisson (α = 0.18, β = 8.60 × 107, fi = 0.60), exponential (r = 1.18 × 10−10, fi = 0.14), betapoisson (α = 0.11, β = 6,097, fi = 0.09), beta-poisson (α = 0.21, β = 1,120, fi = 0.15), exponential (r = 7.64 × 10−8, fi = 1.00), beta-poisson (α = 0.17, β = 1.18 × 105, fi = 1.00), betapoisson (α = 0.25, β = 16.2, fi = 0.57), exponential (r = 1.73 × 10−2, fi = 1.00), and exponential (r = 1.73 × 10−2, fi = 0.17) 로 각각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용량-반응 모델 들은 향후 국내 QMRA 관련 연구 및 진행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6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중증 외상환자나 급성 뇌졸중 환자와 같이 호흡이 불안정한 환자에 대한 MRI 검사가 증가하면서 인공호흡기 사용 환자의 영상 quality를 높이기 위한 여러 방법이 논의되었고, 연장관을 이용한 수동식 인공호흡기에 one-way valve를 기관지 삽입관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 가장 우수한 영상 quality를 만들어 낸다는 연구결과도 있었다. 하지만 기존의 연장관 연결 방식 사용 시 시간이 지날수록 환자의 호흡상태가 불량해지는 원인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부족하였고, 수동식 인공호흡기(Ambu)에 연결되어 있는 one-way valve를 분리사용 시 연장관과의 직경이 맞지 않는 등, 연결에 불편을 초래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의 중증외상센터에 입원 중인 인공호흡기 치료 환자를 대상으로 수동식 인공호흡기에 연장관만을 연결하여 MRI검사를 시행하면서 동맥혈가스검사(ABGA)를 검사 초기에 3회 시행하였고, 검사 시작 30분후에 본원에서 제안한 연장관(one-way valve일체형)에 수동식 인공호흡기를 연결하여 동맥혈가스검사(ABGA)를 2회 재시행하여 전후의 혈액 속 산소량과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였다. (동맥혈가스 검사는 본원의 중증외상팀의 협조 아래 A-Line이 연결되어 있는 환자에게 시행되었다.) 결 과 : 기존의 수동식 인공호흡기에 연장관을 연결한 방법이 사용된 30분에서는 혈액 속 산소량과 이산화탄소량이 각각 300~200, 45~80으로 정상범위인 85~100, 35~45를 벗어나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볼 수 있었고, 호흡불안정으로 인해 영상의 quality가 떨어지는 결과가 나왔다. 이후 본원에서 제안한 one-way valve일체형 연장관이 사용된 검사에서는 혈액 속 산소량과 이산화탄소량이 모두 정상치를 보임을 알 수 있었고, 환자의 호흡이 안정되어 보다 높은 quality의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결 론 : 잘못된 연장관 사용에 의해 환자가 배출한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다시 환자에게 공급되면서, 혈액 속에 이산화탄소의 증가로 환자의 PH는 산성으로 바뀌며, 환자는 고통을 느끼게 되어, 뇌에서는 호흡 횟수를 증가시키도록 지시한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Retention에 기인한 Expiration Time의 감소가 호흡불안정과 움직임에 의한 영상 quality의 저하로 이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본원에서 제안한 개선 방식에서는 혈액 속 산소량과 이산화탄소량이 적정하게 유지됨으로써 환자의 호흡도 안정되고, 영상의 quality 또한 높아 졌으며, 수동식 인공호흡기에 연결되어 있는 one-way valve의 위치를 바꾸는 경우보다 쉽고 빠르게 수동식 인공호흡기를 연결할 수 있어 환자의 안전과 영상의 quality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