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생활수준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노년의 삶이 연장되고 있는 것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에도 베이비 부모들의 은퇴와 빠른 인구 고령화 속도의 증가로 인하여 노인들의 수가 증가하 고 있고, 이로 인해 이러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산업이 발달하고 각종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전국 각지에 위치하고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노인복지관도 이러한 복지산업과 서비스제공 중 하나이다. 의 부분이다. 노인복지관의 효과적인 운영과 관련하여 인적자원관리의 관점에서 수행된 연구가 많지 않 은데,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시설의 교육서비스를 직접 전달하는 강사가 노인들을 진실하게 대하는지 여부가 그 노인들이 인식하는 대인공정성과 조직지원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노인들 이 평가하는 노인복지시설 서비스품질이 이러한 강사의 진실성여부가 미치는 영향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224명을 대상으로 2회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강사 비진실성이 증가할수록 노인들의 대인공정성 인 식수준이 낮아지고 나아가 노인들의 조직지원인식의 수준도 결과적으로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인들이 복지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을수록 강사의 비진실성과 노인들의 조직 지원인식의 간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운영의 효과성을 평가함에 있어 중요한 지표라 할 수 있는 조직지원인식이 어떤 과정과 맥락을 바탕으로 형성되는지 알려 주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높였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우리나라 유아교육현장에서 자연친화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자연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숲이 가지고 있는 산림치유인자들과 요인들을 활용하는 숲에서의 오감체험활동이 유아의 자아효 능감과 생명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청주시 OO동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의 숲특별 반을 주2회 참여하는 실험군과 통제군은 숲활동을 하지 않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만 5세 유아 남녀 각각 20명으로 하였으며 남자아이는 11명, 여자아이는 9명씩이었다. 실험기간은 2016년 8월08일부터 2016년 9월20일까지 매주 2회씩 12회기로 1시간 (60분)씩 실시하였다. 오감체험활동은 숲에서 유아들이 오감을 깨우 고, 오감을 통해 계절의 변화를 알고, 자신의 자아를 확립하고 자연과 친해지는 활동이다.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유아를 대상으로 한 자아효능감 검사와 생명존중인식검사를 실시하고 그 자료는 SPSS 18.0 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인 생각과 자신감을 나타내는 자아효능감, 자연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며 생명을 존중하는 생명존중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5). 오감체험활동을 통해 유아들은 온몸으로 자유롭게 자연을 마음껏 느낄 수 있었고,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에 비해 자아효능감이나 생명존중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vinegar-based sauce and menu for foodservice institution and restaurant. To accomplish thi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adopted as the major research method by analyzing the overall perception and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of vinegar-based sauc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all items except package design for importance and satisfaction (p<0.01). Highest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ere determined for taste and convenience, respectively. Price and additive belonged to quadrant 2, where level of importance is low but satisfaction is high. Preference and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tems (p<0.05). Meat and seafood belonged to quadrant 2 where level of importance is low but satisfaction is high. Developing a variety of vinegar-based sauces that meet consumers' well-being needs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as perceived by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and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provide data concerning efficient job performance of nutrition teachers, to determine effects of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on job satisfaction in nutrition teach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help improve school meals. Major supporters of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were chief administrators (55.3%), principals (27.2%), assistant principals (15.0%), and managers in charge (2.4%).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scored 3.38 for perception of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3.66 for emotional support, 3.27 for informational support, 3.22 for instrumental support, and 3.11 for evaluation support. Support of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by school managers included emotional support (3.66)>informational support (3.27)>instrumental support (3.22)>evaluative support (3.11).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scored 3.37 for job satisfaction, as follows: work performance (4.19)>interpersonal relationships (3.39)>job satisfaction in general (3.37)>job itself (3.29)>job environment (3.07)>performance rating and benefits system (2.70).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perception of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r= .771, p< .01). Therefore, school administrators are necessary to provide evaluative supports to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performance assessment, employee benefit packages, and improvement of school meal plans and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University student’s dietary behavior for processed foods and recognition on food nutrition labelling according to the degree of health concern. For this study, 302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 region was surveyed by questionnaire from May in 2016 and it included the questions about general matters, dietary behavior on processed foods, and the food nutrition label system. It was analysed by SPSS win 23.0 progr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the preference of processed foods were showed 3.21~3.9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lk and milk products preference according to health concern (p<0.05). Also frequency of processed foods w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lk and milk products, noodles, beverage, and fast food (p<0.05),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eat products, snack, bread and frozen food (p>0.05). Also, the processed food purchase consideration according to health concern w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trition, origin, manufacturing company (p<0.05),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aste, price, exterior, brand, and shelf life (p>0.05). Thus, it is necessary to do continuing public relations and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nutrition education so that the University students may obtain right dietary behavior on processed foods and the system of food nutrition indication be established properly.
This paper aimed to discuss the operative aspects of politeness from two perspectives (i.e., social duty and intentional strategy) by examining the Korean public perceptions presented within the Korean literature texts. As the Korean social duties for politeness presuppose the recognition of status, the speech and behaviors of superiors and inferiors are distinct and fixed. Thus, the truth is concealed to respect superiors’ status while inferiors are forced to do self-depreciation. In addition, speech and behavior for solidarity and fellowship are considered as ones that inferiors dare not perform to superiors, and instead are replaced by obedience and permission to superiors. The intentional strategies of inferiors to superiors for individual profits run outwardly in parallel with polite behaviors performing social duties. However, when they do not bring any profits, the polite speech and behavior disappears, thus bringing about relative betrayal. On the other hand, the intentional politeness of superiors to inferiors is marked in Korea. It is performed to trade profits with each other and recognized according to a hearer’s subjective perspective and emotion. In this way, Korean politeness in terms of the social norms operates in the boundary between harmony and betrayal.
We analyzed research trend and public perception related with tap water to identify major factors affecting low consumption of tap water. 805 research articles were collected for text mining analysis and 1,000 on-line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to find social variables influencing tap water intake. Based on the word network analysis, research topics were divided into 4 major categories, 1) drinking water quality, 2) water fluoridation, 3) residual chlorine, and 4) micro-organism management. Compared with these major research topics, scientific studies of drinking behavior, or social perception were rather limited. 22.4% of total respondents used tap water as drinking water source, and only 1% drank tap water without further treatments (i.e. boiling, filtering). Experience of quality control report (B=0.392, p=0.046) and level of policy trust (B=1.002, p<0.0001) were influential factors on tap water drinking behavior. Age (B=0.020, p=0.002) and gender (B= - 1.843, p<0.0001)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drinking the tap water by social members, the more scientific information of tap water quality and the water policy management should be clearly shared with social members.
이 연구는 교도소 직무환경과 업무역할에 대한 태도 등에 대한 남녀교도관들의 유사성과 차이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남성 중심적인 직무환경과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교정조직에서 소수로 존재하고 있는 여성교도관들이 주류의 남성교도관과 유사한 인식과 적응을 보여주는 지의 문제는 미래 여성교도관의 역할과 직무 다양화의 주장을 위해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교도관으로서의 직업윤리, 직무만족도, 상사와의 관계와 인식, 조직의 교육혁신에 대한 태도와 인식, 그리고 교도소 폭력에 대한 허용도 등 직무환경과 조직문화에 관한 다양한 태도와 인식 등에서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도관들의 젠더가 교정기관의 직무환경과 업무역할에 대한 인식과 태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남성교도관들과 여성교도관들 사이에 직업환경과 업무역할에 대한 차이를 거의 발견하지 못하였고, 이러한 태도에서 성별의 차이가 매우 미미하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여성교도관들이 기존의 남성중심적 업무와 환경이라고 여겨지고 있는 교도소 직무환경에서 전문성 있는 직업인으로서의 자질을 남자교도관과 유사하게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교정행정의 중요한 담당자로서의 여성교도관의 위상에 대한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여성교도관의 성공적 업무수행을 위한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 적: 제주지역 안경사 특성에 따른 직무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를 분석하여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직무 능력을 갖춘 안경사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 법: 2016년 4월 3일부터 2016년 5월 2일까지 제주지역 안경 관련 산업체에 근무하는 안경사 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응답자의 성별, 산업체 업종, 경력, 직위 및 사업장 주소지에 따라 직무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에 대한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결 론: 안경사의 특성에 따라 직무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산업 체에서 요구하는 직무분야별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 among Chinese students residing in Korea (Chinese foreign students, N=69) and China (Chinese-locals, N=98). A total of 76.8% of Chinese foreign students and 70.4% of Chinese-locals had ever eaten Korean food in China before visiting Korea, and motivation to try Korean food at first was ‘easy access to Korean food restaurants’ (Chinese foreign students 38.6%, Chinese-locals 44.9%).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Korean food were ‘taste’ and ‘price’ (Chinese foreign students 72.7% and 18.2%, Chineselocals 59.1% and 22.7%, respectively), and needed improvements for Korean food were ‘spicy and salty taste’ and ‘nutritional aspect’ (Chinese foreign students 54.5% and 25.8%, Chinese-locals 33.3% and 36.4%, p<0.05). The scores for perception of Korean foo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hinese-locals (2.99) than in Chinese foreign students (3.31)(p<0.001). Chinese foreign students preferred Bulgogi (20.5%), Neobiani (20.1%), and Galbijjim (17.9%), whereas Chinese-locals preferred Bulgogi (16.1%), Gimbap (16.1%), and Samgyetang (15.2%) (p<0.001). The most preferred condiment was ‘Garlic’ (18.0%) in Chinese foreign students, and ‘Red pepper powder’ (16.4%) in Chinese-local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 to prepare a globalization strategy for Korean Food.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진로교육의 안정적인 정 착과 발전을 위하여 학교교육뿐만 아니라 학원교육에서도 바람직한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인식하 고, 학원구성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원 구성원은 진로교육이 학생들의 ‘교육기회 탐색>일과 직업 이해>진로계획과 준비’ 등을 위해 학원에 도입 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는 반면, 자신의 교육능력은 낮게 인식하였다. 경영효과성은 ‘원생입시>이미지 개선>연속 수강’ 등 대체로 높았다.
둘째, 학원구성원은 학원에서 진로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 ‘학부모의 관심과 참여>학원장의 관심과 의지>강사의 진로교육 전문성 확보’ 등이 필요하고,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진로· 진학 상담>학부모 대상 교육>전문기관과의 협력>학원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진로교육 내용은 ‘자아이해>교육기회 탐색>진학 준비>일과 직업이해>진로계획과 준비>직업정보 탐색> 진로의사결정 능력개발>대인관계 및 의사소통>건강한 직업의식’ 순이었다.
셋째,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는 ‘광역시’와 ‘중소도시’가 ‘서울시’보다 높았고, 진로교육을 실시 하는 학원이, 진로교육에 대한 경험이 있는 구성원이 그렇지 않는 경우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학원에서 진로교육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원구성원, 학원장, 학부모,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주역』은 시간과 공간의 범주로 세계를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세상의 변화를 음양 상징체계로 표현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주역』은 점서이며, 점이란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다.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초월하는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정신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점술예측은 물리적인 의미에서의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초월한다.
이 논문은 점술을 통한 미래예측의 문제를 시간과 공간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분석심리학에서의 동시성이론과 관련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융은 정신과 사건의 관계를 다루면서 시간과 공간의 상대성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주역』의 점술에도 깊은 관심을 가졌다.
분석심리학과 마찬가지로『주역』의 점술은 인간의 정신이 현상계의 사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인간의 정신은 물리적인 시공간의 한계를 초월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간은 현재가 아닌 미래를 살고 있다. 열린 미래관에서 능동적이고 창조적인 미래가 열린다.
인간은 태어나서 유아기와 아동기를 거쳐 성인기에 입문하기 전에 청소년기를 거친다. 인간의 성장 발 달에서 청소년기는 중요하다. 아동기를 지나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건강하게 통과함으로써 성인으로 온전 히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풍노도의 시기, 사춘기라고 표현하는 청소년기에 스스로 정체성을 어떻게 수립했는가에 따라 그 이후의 삶의 방향과 내용에 영향을 미친다. 청소년들 중에는 인지 기능이 또래들보 다 낮아서 학업 성적이나 일처리 기능이 뒤처지는 청소년이 있다. 정서적으로도 긴장감이 많아 또래와의 관계 형성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런 특징을 가진 청소년들을 지능검사 기준으로 분류할 때 경계선 지능 청소년이라고 한다. 이들은 외적으로는 극히 정상적이어서 일상생활에 문제가 없어 보이고 학업이나 또래 관계도 어려움이 없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내적으로는 각자에 따라 기능 수준에 심각한 제한이 있어서 학업이나 가정생활, 또래 및 대인 관계 전반에 걸쳐 어려움을 겪고, 정서적으로도 우울하며 언어적 표현력 또한 떨어진다. 이로 인해 이들은 눈에 잘 띄지 않는 사회적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다. 이를 인지하 지 못한 부모를 포함한 주변인들로부터 이들은 심각한 제한을 받고 이런저런 부정적 경험을 반복하게 된 다. 정서적 불안, 우울, 긴장과 사회적 낙인 등으로 인해 새로운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자기 표현의 가능성을 타고난 인간 존재에 대한 배움학적 가능성을 상실하는 오류를 범할 수도 있다. 향후 이 들 경계선 지능 청소년의 자기인식과 자기표현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을 통해 모든 인간은 배움의 본성을 타고난 존재라는 미래지향적 인식의 확산뿐만 아니라 경계선 지능 청소년들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의 확대와 기본적인 인권 보호를 위한 현실적인 장치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here are two ways of segmenting Chinese characters: form-based segmentation and etymology-based segmentation, which have come up with different conclusions. They, with their own theories and values,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serve Chinese character teaching in different way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Form-based segmentation may produce the minimum form units of characters, which can be arranged into the basic form units. Basic form units can help character learners to get an initial knowledge of the form of characters, and thus to lay a good foundation for character learn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on free school food service. We surveyed education related to school food service, concerns about food ingredients, perceptions of free school food service and satisfaction for the quality of the school food service. The investigation is classified into two groups, schools that operate as a food service center or those that do not. Those who are provided food ingredients by school food service centers are educated about the agricultural products’ country-of-origin and their environmentfriendly food service. The more individuals are educated of the foods’ county-of-origin and environment-friendly food service the more they will have a higher concern of the food materials and subsequently a higher satisfaction for the quality of school food service. School food service centers managed directly by the local government would probably receive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consigned to a private se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to establish policies on school food service and school food service cen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