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81

        1182.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consumer's recognition on brand's peculiar style on Korean contemporary women's apparel brand. The contemporary women's apparel brands show advanced and stylish merchandise at better price points. This segment of the Korean ready-to-wear market has been growing fast in last decades. Four contemporary women's apparel brands(I, K, M, and T)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n=216)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 survey at 24 apparel retail shops in metro Seoul area. The questionnaire measured the consumers' recognition on each brand's peculiar style. The subjects evaluated each brand's typical silhouette, materials, and style image.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style image factors were ‘stylish’, ‘simple’, ‘casual’, ‘feminine’, and ‘classic’. The style image of each brand was differentiated from others. The brand T had classic image, the brand K had simple and casual image, brand M had stylistic image, and the brand I had feminine image. The features of materials that used at the four brands were not very different by the brands. They used the high valued materials. The common features of the materials were ‘smooth’, ‘thin’ and ‘light weight.’
        4,200원
        1183.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가지고 있는 우주에 대한 개념을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준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우주를 물리적 공간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많은 수의 학생들은 '우주'하면 아름답다는 느낌을 떠올리거나 미지의 공간이라는 생각을 떠올렸다. 그림 표현에서, 학생들은 많은 경우 직관적으로 우주를 태양계 수준에서 파악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우주의 중심과 끝에 대한 질문에서, 학생들 중 태양 중심, 지구 중심 또는 중심 없는 무한한 우주를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우주의 변화는 한 방향으로 일어나며 이를 물리적 관점에서 서술하는 경우가 많았다. 학생들이 가진 이러한 개념에 영향을 준 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들을 성별, 신념별, 교과서 외의 천문 지식을 접해본 경험 유무로 그룹화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그룹에 따라 우주의 중심과 끝, 우주의 변화에 대한 관점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우주의 기원에 대한 이유를 설명할 때 종교적 신념에 따른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는 개인의 우주관이 다양하며 이에는 여러 가지 요소가 영향을 줌을 보여준다.
        4,500원
        1184.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reveal how Korean food is currently perceived by the “foodies” of New York City and to determine what social status Korean food has in the city that is deemed the “Restaurant Capital of the World.” In-depth personal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provide a deeper insight into the comments and subject matters. Most foodies selected kimchi and Korean barbecue as the most distinctive foods in Korean dining. Korean food's distinguishing traits were extracted in four areas: specific ingredients and tools, preparation procedures, and rules. Sensory characteristics, local adaptation, service, side dishes, and the main strengths and short-comings of Korean foods were investigated. Perception toward the taste of Korean food was generally positive, but poor quality of service and lack of organization in establishments were found to be negative factors.
        4,000원
        1186.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게임은 가장 중요한 콘텐츠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러한 중요성에 따라, 패턴 인식 기술을 활용한 컴퓨터 게임 제작 사례가 점점 늘고 있다. 이것은 게임 속에서 벌어지는 세계가 점점 복잡해지고 게임의 흥미도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 가 증대하기 때문에 생기는 자연스런 현상이다. 이 논문은 신경망과 HMM을 이용한 사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며, SVM과 결정 트리를 사용한 경우도 언급한다. 최근의 논문에 대해 어떻게 특징을 추출하였는가, 어떤 분류기를 사용하 고 그것의 구조가 어떤지, 그리고 활용한 결과로 얻은 효과에 집중하여 사례를 조사하였다. 토론에서는 향후 전개 방 향과 연구 주제에 대해 언급한다.
        4,000원
        1187.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후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 임상실습에 따른 전공 취업의 진로 결정과 희망기관 및 분야에 대한 인식 변화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2008년 6월 23일부터 2008년 12월 30일까지 본 설문에 응한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을 대 상으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고, 총 346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독립 t-검정, 주변 동질성 검정, Kruskal-Wallis검정을 사용하 였다. 결과 : 임상실습의 만족도에서는 치료 장비와 도구의 다양성, 정해진 일정에 따른 교육, 임상실습의 중요성 인식 등 의 항목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낸 반면, 다양한 학습자료 제공, 임상실습평가방법 등의 항목에서 낮은 만족도를 보 였다. 임상실습 전 후 전공취업을 희망하는 학생의 비율은 82.7%에서 96.5%로 증가했다. 실습 전·후 전공 취업 희망 분야 비교에서 지체장애(성인)분야, 아동분야, 정신건강분야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실습전후 분야의 선택이 바뀐 경우가 346명 중 113명으로 나타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상실습 후 전공 취업희망 기관 및 분야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긍정적으로 변한 경우가 57.2%, 부정적으로 변한 경우가 6.7%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임상실습을 통해 전공취업에 대한 인식과 희망분야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와 관련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더불어 임상실습환경 및 실습 평가방법 등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4,600원
        1188.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to find out why drivers used to put pseudo-petroleum in their cars and to fundamentally remove any accidents from the misuse.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made in Gimpo area where many drivers can use it comparatively easily outside of Seoul. And they a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 12.0 package program. Correlation factor is shown with 0.683, very high relationship between using frequency and use period of cars. It is shown that important factor to give impact to consumer attitude has been produced as car-using period, education level. The longer the cars have been used, the more pseudo petroleum has been used, it is found.
        4,000원
        1189.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furnish basic data which can be helpful to maintain and improve the skin health and to activate aromatherapy by analyzing th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n the aromatherapy skin care of college students. As their grade got higher, students of beauty class showed the level of knowledge on aromatherapy higher than those of non-beauty class, and that of girl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boy students and as the living standard of students got higher, and pocket money of a month of them got more, the level of knowledge on aromatherapy of them was high, and as the interest in appearance and satisfaction on appearance of them got higher, the level of knowledge on aromatherapy of them was high. In common characteristics, as the living standard of them got higher, and pocket money of a month of them got more, the level of attitude on aromatherapy of them was high. As the interest in appearance of them got higher, the level of attitude on aromatherapy on the interest in appearance of them was high. In the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the skin, as the skin health condition of students got healthier, the level of attitude on aromatherapy of them was high, and it was high in the students who had much agony on the skin color.
        4,200원
        1190.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rand awareness, attributes and purchase behaviors for luxury products in the age of mcluxur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18 consumers(10 singles, 8 married) in the age range of 20~49 and having purchased luxury products twice in last 1 year. The interviews were directed by a trained mediator according to the interview guidelines and recorded. Interviewees were asked to talk freely and protocols were made for data analysis. Similarities were found regarding the salient attributes, brand awareness of luxury products as known in general; however, the perceived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of luxury products seemed to be changed as mcLuxury has continued. Moreover, the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luxury products consumption tended to become favorable than before, and the motives to buy luxury products were more valueoriented and self fulfillment rather than display one's wealth. The buying behaviors of luxury products vary among different age groups. However, most of them tended to purchase luxury products at duty-free shops and premium outlets while traveling abroad, or bought them on sale at domestic department stores.
        5,100원
        1191.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글로브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 과학고의 교사에게 설문지 및 면담을 통하여, 과학고에서의 글로브 프로그램 운영 현황과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에서 글로브 프로그램의 운영에 따른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12명의 과학고 교사의 설문과 3명의 교사 면담 및 글로브 프로그램의 운영과정에서 나온 보고서 등의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 교사들의 인식과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문제점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글로브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및 중학교에 적합한 수준이며, 과학고에서 그대로 운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2) 글로브 프로그램을 국내에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 각 학교의 환경과 지역성을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교육실정에 맞는 글로브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기 위해서는 지구환경과 관련된 단체 및 전문가 집단이 되는 운영 본부의 설치가 요구된다. 2) 글로브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한 행-재정 지원이 있어야 한다.
        4,000원
        1192.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응답자의 사회ㆍ경제적 상황에 따 른 산림경관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의 차이를 구명함에 있다. 이를 위해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사회ㆍ경제적 상황에 따른 지불의사금액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산림 을 접할 때 가장 높은 금액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자보다는 여자가 더 높은 지불 의사금액이 나타났으며, 전문직, 자영업 등 경제적 여 유가 있는 직업보다는 생산직, 공무원 등과 같이 시간 적 여유가 있는 직업에서 높은 지불의사금액이 나타났 다. 그리고 연령에서는 은퇴 후인 60대에서 산림경관에 대해 지불할 의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당 소 득에 있어서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지불의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1,000만 원 이상 고소득층에서는 오히려 지불의사가 가장 낮게 나타난 점이 흥미롭다.
        4,000원
        1193.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stablish a globalization strategy for Korean food, it is important to ascertain foreign consumer's taste preferences and to evaluate their sensory perceptions of Korean food. In concert with previous studies, the most preferred food were Bulgogi and Galbi. However, respondents showed somewhat different preferences for other foods. Chinese and other Asian participants preferred Galbitang and Samgyetang, while Japanese participants preferred Pajeon, Galbitang and Japchae, and Western participants preferred Galbitang, Mandu and Bibimbap. The most preferred condiment was hot pepper paste (the representative condiment of Korea) and the least preferred one was ginger. Hot pepper paste was preferred most by Japanese participants, while Chinese participants tended not to prefer ginger and other Asian participants excepting those from China and Japan disliked vinegar most. Foreign consumers tended to consider Korean food as sweet, salty and very hot. Chinese participants considered Korean food to be 'plain' and 'light and washy' in taste, while Japanese participants considered Korean food to be 'greasy' and 'thick and sticky'. Chinese participants considered typical servings to be inadequate, while Japanese participants considered the servings as excessive.
        4,000원
        1194.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논증을 인식론적 (사고과정) 및 심리학적 (사고유형) 관점에서 탐색하여 어떠한 사고과정 및 유형으로 교사가 학생들의 논증 형성 능력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35년의 교사경력을 지니고 있는 교사 및 그의 26명 학생의 과학수업 60시간을 관찰하고, 전사하였으며, 전사한 학생들의 논증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두 개의 도구, 즉 인식론적 및 심리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 참여자인 교사는 학생들의 논증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특별한 목적으로 개발한 명시적인 교수법 "주장-근거 교수법"을 수업 시간에 활용하였다. 논증을 두 개의 다른 관점으로 분석해 본 결과, "보기" 또는 "예"를 이용한 사고과정에서는 "정교성" 사고유형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모든 탐구의 시작인 가설을 세우기 위해 학생들은 "귀납" 사고과정으로 "일반화" 사고유형을 통해 탐구의 시작단계인 본인들의 "주장"을 형성하였다. 좀 더 높은 수준의 논증은 다른 지식이나 경험을 통한 개념의 "일관성" 사고 과정을 통해 교사의 도움에 힘입어 학생들이 "설명"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논증 기회에서 확인된 교사의 역할은 학생들이 스스로 논증을 형성할 수 잇도록 도와주는 조력자, 그리고 학생들의 논증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좀더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확장시켜 주는 정교자 (elaborator), 그리고 학생들의 논증 수준이 높아질 수 있도록 논증을 추적하여 발전시켜주는 멘토로 확인되었다. 논증 본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사들은 학생들이 과학의 참 의미를 이해 할 수 있도록, 논증 기회를 제공하는 명시적인 교수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겠다.
        4,300원
        119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investigation, 480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school in Seoul, Incheon were surveyed for their knowledge of seaweed and their preference of seaweed products provided during school meal service. Femal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preferred seaweed more than male students. When asked to explain their preference for seaweed, most students who preferred seaweed responded ‘it is tasty’ (82.9%), while those that did not like seaweed responded ‘I don’t like the texture when chewing it and it is not tasty’ (47.8%). Most students reported that they usually eat ‘laver’, and the number of times that they at seaweed was ‘3-4 times a week’. The primary place in which they ate seaweed and the place where they feel it had the best taste was a ‘house’. The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regarding seaweed was mass media including TV, newspapers, magazines and the internet (48.8%). With regard to seaweed in school meals, which is offered twice a week, most students reported, ‘I eat seaweed and leave it to some extent.’ They perceived ‘laver’ to be most often provided in school meals, and 57.7% reported that their favorite seaweed meal was ‘laver’. When asked why they dislike seaweed in school meals, the most common responses were ‘I didn’t like seaweed the first time I tried it’ (27%) and ‘Its taste is different from what I eat at home’ (24.6%). The most common request regarding seaweed provided in school lunches was for the taste to be improved (48.2%). Evaluation of the preference for seaweed menus in school meals revealed that both males and females had higher preferences of more than 4 points for ‘fried laver’ and ‘broiled laver’.
        4,000원
        1196.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wede’s perceptions of Asian food using a means-end chain method, which may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new markets for a food industry interested in globalizing Korean food. With the Means-end chain method, one can determine the cognitive structures built in consumer’s minds, which are developed by connecting attributes of product, consequences, and values. The attributes of Asian food that are most positively perceived by Swedes are ‘fresh vegetables’, ‘low-fat’, ‘light meat and seafood’, ‘exotic ingredients’, ‘not expensive’ and ‘unknown food’. The consequences of eating Asian food connected to these attributes are ‘healthy’, ‘tasty’, ‘good way to save money’ and ‘curious’. Finally, Swedes expect to enjoy a value of ‘achievement’ at the end. Based on the result that ‘unknown food’ attribute is connected to ‘achievement’ value, Swedes are assumed to be attracted by the fact that Korean food is ‘unknown food’. However, the effect of the ‘unknown food’ attribute will fade away with time; therefore, stressing Korean food’s status as a ‘healthy’ food, which can be attributed to its use of ‘fresh vegetable’ and ‘light meat and seafood’ ingredients and ‘low fat’ cooking method may be effective as a long-term strategy for making Korean food attractive. The ‘healthy’ consequence is connected to Swedes’ perception of the value ‘achievement’ and simultaneously to their perception of the value ‘belonging and love/sense of belonging’.
        4,000원
        119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백두대간 등산로가 지닌 자원과 이용의 특성, 등산이용에 따른 환경영향에 대한 등산객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이용과 관리상의 현안과제를 도출하고 등산경험 제고와 보다 효과적인 백두대간 등산로 관리정책의 입안과 집행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백두대간 등산로를 입지와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구간별 이용행태와 등산객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생태적, 물리적, 사회적 환경요소들의 영향수준에 대한 등산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용행태는 구간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백두대간 등산로는 휴양이나 여행과 같은 다목적의 이용보다는 순수한 등산의 목적지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로 주변 생태적 환경은 이용 만족도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등산로 폭과 같은 물리적 환경의 변형은 백두대간 이용경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환경 지표의 경우는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현행 백두대간 등산로의 이용밀도가 낮은 것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백두대간 등산로의 생태적, 물리적, 사회적 환경에의 영향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으로 현재까지 이용 경험의 질 저하는 나타나고 있지 않으나 향후 이용수준의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제환경 영향요소간의 상호작용과 변화를 모니터할 수 있는 체계적 관리방안의 도입이 필요하다.
        4,000원
        119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food related majors. Self-administer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386 students, an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ents in food-related major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Korean food. They had perceptions of Korean foods as ‘fermented foods’, ‘seasonal foods’, and ‘medical foods’ and have ‘various spices’. Most students agreed that Korean foods need to be ‘creatively transformed’ and ‘localized’ in order to globalize successfully. Localization, fusion and creative transformation of Korean food are more important than simple adherence to traditional Korean foo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students in different majors. Students majoring in traditional Korean cuisine showed a more positiv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4,000원
        119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정책의 일환인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 자연휴식년제 실시에 따른 영향 집단인 지역주민과 탐방객의 다양한 의견을 파악하여 보다 체계적인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관리 정책과 공원관리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칠선계곡 인근 지역인 추성리, 광점동, 의중리, 의탄리, 의평리 등 5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주민과 주변 지역을 방문한 탐방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방식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지역주민과 탐방객 모두 칠선계곡의 자연자원 가치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연휴식년제의 환경보전 효과는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되나 칠선계곡 자연휴식년제의 관리정책적 적절성과 피해 정도, 지속 여부에 있어서는 상당한 시각 차이를 보였다. 특히 정책적 측면에서의 적절성과 지역사회의 피해 정도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주진입부에의 입지 여부에 따라 지역주민 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자연휴식년제 실시에 대한 이해관계자 간의 상당한 인식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현 단계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자연휴식 년제가 도입된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와 NGO 등 지역의 이해관계자들과의 원활한 의견협의를 위한 관리주체의 능동적인 자세가 필요하고 이를 반영한 협력적 관리전략의 도출과 수립이 요망된다.
        4,000원
        1200.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요즈음 인터넷을 통해 물건을 구매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물건을 구매한 소비자는 리뷰, 댓글, 비평 또는 블로그 등의 형식으로 온라인에 그들의 사용 후기를 작성한다. 또한 작성된 사용 후기부터 많은 구매자들은 물건을 구매하기 전에 자신이 구입하고자 하는 물건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따라서 회사나 공공기관은 대중이 다른 사람의 의견에 관심을 기울인다는 점 때문에 대중의 의견을 수집하고 분석할 필요성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온라인상에 댓글이 너무 많고, 중복적이면서 짧은 경향이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텍스트 문서의 감성을 인식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텍스트로부터 작성자의 의견이나 주관적인 생각을 추출할 수 있게 영어에서는 단어에 속성이 주어진 GI와 LKB가 있으나 한글은 아직 속성이 주어진 사전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논문에서는 한글 품사 중 4개의 품사(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에 속성을 주었다. 그리고 학습 군을 만들어서 감성 단어의 패턴을 구성하고, 문장에서 단어 사이의 공기관계를 구성하여 학습 시켰다. 이 학습을 바탕으로, SO-PMI을 이용하여 문서를 긍정과 부정 2가지 극성을 분류하고, 4개의 품사(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를 각각 조합하여 최상의 조건을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새로운 감성 표현, 구성형식, 단어 연관성을 반자동적으로 삽입하고 교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