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ap of complex environment can be generated using a robot carrying sensors. However, representation of environments directly using the integration of sensor data tells only spatial existence. In order to execute high-level applications, robots need semantic knowledge of the environments.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design of a system for recognizing objects in 3D point clouds of urban environments. The proposed system is decomposed into five steps: sequential LIDAR scan, point classification, ground detection and elimination, segmentation, and object classification. This method could classify the various objects in urban environment, such as cars, trees, buildings, posts, etc. The simple methods minimizing time-consuming process are developed to guarantee real-time performance and to perform data classification on-the-fly as data is being acquired.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s, computation time and recognition rate are analyzed.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efficiency in fast understanding the semantic knowledge of a dynamic urban environment.
In this paper, augmented reality (AR)-based sensor awareness and data visualization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monitoring of structures without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is proposed. The proposed technique will improves the work efficiency and help to maintain good health for modern people by providing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항만기업 종사자들의 정보보안인식정도와 지각된 정보보안위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실증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지각된 정보보안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험분석방법론을 토대로 자산, 위협, 취약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252개의 유효설문을 대상으로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항만기업 종사자의 경우 정보자산은 지각된 정보보안위험에 유의하지 않은 결과로 분석되었다. 둘째, 위협, 취약성은 지각된 정보보안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보보안인식과 정보보안교육, 정보보안인식과 정보보안의도와의 관계는 유의하게 분석되었다. 그러나 정보보안관심도는 정보보안인식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은 어떠한 행동을 문제행동으로 인식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 997명(남 537, 여 460)이다. 문제행동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방형 설문지의 내용과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5개의 하위영역, 총 25문항의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학생의 성별과 체육 교사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한 독립표본 t-test, 그리고 학교구성, 학년별 차이를 보기 위해 One-way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사후 검증으로는 Tukey 방법을 이용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들의 체육수업에서 인식하는 문제행동에 대한 빈도는 수업을 방해하는 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성별에 따라 인식하는 문제 행동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균적으로 문제 행동을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구성에 따라 인식하는 문제 행동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남녀공학, 여자 중학교, 남자 중학교 순으로 문제 행동을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년에 따라 인식하는 문제 행동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2학년, 3학년,1학년 순으로 문제행동을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체육교사의 성별에 따라 학생들이 인식하는 문제 행동의 차이는 체육교사가 여자 교사일 때 보다 남자 교사일 때 문제 행동을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은 청소년의 지적, 정서적, 신체적 발달에 큰 저해를 주며 학급 전체에도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교사는 문제행동에 대한 학생들과의 인식의 차이를 이해하고 그러한 행동을 일으키는 학생을 적절한 방법으로 지도해야 하며 문제 행동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 어린이정원을 관람하는 관람객들에게 효과적인 체험과 환경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국립수목원에 근무하는 숲해설가를 대상으로 전공영역에 따른 어린이정원에서의 활동 현황과 식재 및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정원의 개선 방안과 숲해설가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타전공자인 해설가들이 어린이정원에 대한 관련 자료 등 교육 정보의 부족으로 인하여 해설에 어려움을 느낀 경우가 많아 어린이정원 조성에 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하여 기본 개념과 기본 목적을 해설가들이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운영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변화하는 자연생태계에 따라 적절하게 교육 프로그램이 세분화되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해설가들에게 다양한 식물을 활용한 생태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및 교과 외 쉽게 접하지 않았던 분야에 대한 직무연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정원의 식재공간에 대한 해설가들의 인식은 전공자별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어린이정원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전공자별로 차별화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해설가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어린이정원의 운영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어린이정원을 관람하는 관람객들에게 효과적인 체험과 환경교육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국립수목원 전체 안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치매노인 주・야간보호 시설인 서울형 데이케어(day-care) 센터를 대상으로 하여 재활프로그램 효용성에 대한 인식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태와 적정 수준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형 데이케어 센터에서는 재활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음악치료(mean=4.18), 원예치료(4.12), 미술치료(3.99) 기타치료(3.83), 회상치료(3.74)의 순으로 효용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둘째, 재활프로그램 제공빈도에 있어서는 미술치료 28.3%(n=54), 음악치료 27.2%(52), 기타치료 16.8%(32), 원예치료 15.2%(29), 회상치료 12.6%(24) 순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응답되었다. 또한 원예치료 제공실태와 적정수준 인식에서도 차이가 있었는데 프로그램 활동내용에서는 꽃꽂이 등 장식활동을 48.8%(n=62)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으나 실외 식물심기 및 관리(텃밭, 화단활동)이 가장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50.4%(64) 응답되었다. 프로그램 진행장소는 실내 프로그램실에서 90.6%(115)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으나 텃밭 또는 화단 63.8%(81)이 가장 필요한 장소로 응답되었다. 재료비는 3천 5백원 이하가 가장 많이 제공 43.3%(55)되나 적정 재료비로는 5천원 이하가 가장 적정 44.1% (56) 하다고 응답되었다. 셋째, 원예치료 프로그램 제공은 서울 강남・북지역 간의 차이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x2=9.087**, p= .003), 현행 서울시 프로그램 보조금은 원예치료 프로그램 제공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x2=3.749, p= .053). 넷째, 원예치료 프로그램 예산은 적정 재료비 확보가 가장 불충분(mean=2.29)하다고 응답되었으며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프로그램 운영비 현실화를 위한 보조금의 지원 확대가 가장 높게(mean=4.30) 응답되었고 원예치료적 환경 조성(4.19)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4.15)이 필요하다고 응답되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과학 동아리 활동을 위한 방안으로 환경 탐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 조사 교구를 활용한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과학동아리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과 환경인식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효과를 검증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 조사 교구를 활용한 프로그램의 적용은 과학탐구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생태 조사 교구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환경인식의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생태 조사 교구를 활용하여 주변 환경을 탐구하는 활동 프로그램에 대하여 학생들은 매우 많은 관심과 흥미를 갖고 있었으며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적용한 과학 동아리 활동 프로그램은 직접적으로 환경의 중요성과 보존의 필요성을 지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환경을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학생들의 환경인식 개선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산림 내 시설물들을 직접 관리하는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산불위험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공무원 관리자들(강릉, 삼척, 동해시청, 울진군청)과 시설물 관리자들(사찰, 한전, 원자력발전소, 요양소, 펜션)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공무원 관리자 60부, 시설물 관리자 60부, 총 120부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산불 발생 시 관리하고 있는 시설물이 안전하지 않을 것 이라고 대부분 인식하였고, 산불로 인해 산림 내 시설물 피해정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산림과 시설물의 이격거리 불충분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여 산림과 시설물들의 안전 이격거리 확보 등 산불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다양한 게임들이 증가하고 있는데, 음소인식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한 효율적인 입력 방법은 음성이 될 수 있다. 게임에서 음성인식은 매우 빠르게 인식되면서 구동 되어야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게임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음소 인식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음소 인식 방법은 음성 파장을 FFT로 전환하고, 해당 값을 Z평면에 도시한 후, 영역 데이터를 추출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해당 값을 가중치 있는 두 갈래 그래프 최대 흐름 정합을 사용하여 음소 인식을 한다. 제안된 방법은 게임 또는 로봇과 같은 분야에서 빠른 음소 인식을 하고자 할 때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at influence ha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environmental awareness in time of teaching environmental problems from an animistic viewpoint and from non-animistic viewpoi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its research targeting 126 students in fourth grade at M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suggested the environmental problems by re-edifying the already suggested environmental problems from an animistic viewpoint to 62 students for two classes which were classified as an experimental group after sampling 10 cases of the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problems that might derive from the earth system, and conducted the class on 10 main topics relevant to the problematic situation of environment with an animistic viewpoint excluded targeting the remaining 64 students forming a comparis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ppeared an ex-ante ex-p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an environmental class from an animistic viewpoint. However, there didn't appea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mparison group. This study interprets this result to mean that elementary students'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increase because they think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s by associating them with a problem of life when the students receive the environmental class from an animistic viewpoint.
Second, there appeared an ex-ante ex-p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an environmental class from an animistic viewpoint. However, there didn't appea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mparison group. Regarding this aspect, this study believe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much higher willingness to environmental act in comparison with the comparison group becau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nk of inanimate objects as living things.
산채 자원의 이용 실태 파악과 문화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20대 남성 143명과 여성 148명을 대상으로 산채류에 대한 인식, 식별능 및 식용경험 유무를 조사하였다. 산채류에 대한 20대들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남성들은 51.1% 이상이, 여성들은 39.1% 이상이 좋아한다고 응답하였다. 산채류를 좋아하는 이유로는 ‘몸에 유익한 성분이 많다’와 ‘무공해 식품이다’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싫어하는 이유로는 ‘맛이 없다’와 ‘쓴맛이 강하다’였다. 오일장에서 유통되는 산채류 32종류에 대해 5점 척도법으로 조사한 결과 이름의 인지정도에 대해서는 11종류에 대해, 아는 정도에 대해서는 6종류에 대해 ‘안다(4.0) 수준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80% 이상이 구별할 수 있다고 응답한 산채류와 식용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산채류는 각각 6종류(고사리, 도라지, 미나리, 부추, 쑥, 죽순)와 8종류(고사리, 냉이, 달래, 더덕, 도라지, 미나리, 부추, 쑥)로 18.8% 및 25.0%를 차지하였다. 이와 같이 조사된 결과를 감안할 때 산채 이용 문화의 보존과 발전을 위해서는 산채류에 대한 유통개선과 함께 이용문화에 대한 교육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일본의 후쿠시마 방사선 누출에 관한 유치원의 유아와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국민건강자료를 제공하 는데 의의가 있으며, 2011년 7월 G광역시 H유치원 학부모 101명과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5세아 54명 총 155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학부모 97명 만5세아(남27명, 여23명) 50명 총 147명의 자료를 조사하여 분석하였 다. 결론적으로 일본 후쿠시마 방사선 누출 피해에 대해 언론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며, 유치원에서도 구체적이고 실 제적인 교육과정으로 유아와 학부모에게 교육, 홍보해야만 국민복지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유치원 평가의 목적 및 방법, 평가의 영역 및 지표, 평가의 만족도 및 결과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공립유치원 교원 중 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원 14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유치원 평가의 목적은 유치원 교육과정의 질적 수준 제고가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한다. 평가는 3년 주기로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며, 평가의 절차는 자체평가와 현장평가로 실시되어야 하며, 유치원 평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평가 절차 및 서류의 간소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유치원 평가 영역 및 지표의 내용이 많고 광범위한 것은 부적절하며 평가 영역에 따른 지표의 범위 축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국가공통지표 외에 자체지표가 필요하며, 교육과정 영역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유치원 평가제도의 만족도는 보통이라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평가결과는 해당 유치원에게만 공개하고 평가영역별 우수 유치원의 사례를 선정하여 교육청 홈페이지에 탑재하는 것이 적절하며, 각 유치원의 교육과정 및 운영을 위한 피드백 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This Study has intended to extract traditional elements for making Korean traditional garden through survey on theexperts and practitioners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survey form includes questions about representative type of traditional garden, representative elements of traditional garden, and necessary elements for making traditional garden, etc.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presentative typ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are palace and villa gardens. 2) the available traditional facilities should be applicable with contemporary culture only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3) the major traditional facilities are water-scape such as ponds and mountain streams with traditional pavilions. 4) plants should be selected in spontaneous plants in Korea but it is possible to introduce species recorded in old documents. It is difficult to suggest the method of layout and design strategies in this study, but continuous studies in this line will be helpful to designing Korean traditional garden suitable in contemporary landscape.
본 논문은 치매 예방을 위한 제스처 인식 기반 3D기능성 게임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능성 게임은 전신 제스처 인식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두뇌 사용능력과 신체활동성을 증가시켜 치매 예방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제스처 인식 기술에 사용된 카메라들은 인식률과 가동영역이 한계적이다. 보다 안정적인 전신 제스처인식을 위해 3D depth 카메라로부터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관절 정보를 획득하였으며 관절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전신 제스처를 인식하였다. 게임 콘텐츠로는 치매의 대표적인 원인인 뇌세포의 퇴화에 초점을 맞춰 기억력, 논리력, 산술능력, 공간인지능력 등을 훈련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사용자 별로 게임 결과를 저장하고 분석하여 인지능력 향상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robotics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57 secondary school teachers regardless of their gender, age and maj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68.2% of the respondents (81.2% of the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related teachers) thought that robotics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public education because it will be a very important area in the future. Second, 73.3% of respondents (89.3% of the STEM-related teachers) agreed that robotics education will be worth teaching as a regular subject. The most important reason was that they thought the robots would be an excellent tool to initiate their class participation and increase their study motivation. Third, the results from this survey showed that the technology teachers would be the best suitable instructors for robotics education. Lastly, teachers felt a great deal of burden to teach robotics although they thought robotics education was necessary. In order to implement robotics education in public school, teachers think it is necessary to take professional training. In addition, teachers should be supported with the reduction in their workload along with sufficient fundings, educational robots such as LEGO MINDSTORMS, and newly designed teaching materials.
상품 꽃다발에 대한 인식과 소비자 만족도를 florist와 소비자에게 설문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상품 꽃다발에 대한 인식은 Florist 그룹과 소비자 그룹이 상품 꽃다발의 색상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연구되었다. 상품 꽃다발의 소비자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상품 꽃다발 구매시 가격과 색상면에서는 만족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포장은 보통, 형태는 비교적 높은 만족도로 나타났다. 상품꽃다발 구매 시 선호하는 배색기법을 분석한 결과, Florist 그룹 28%(14명)은 유사색상의 조화, 소비자 그룹 33%(33명)은 동일색조의 조화로 나타났다. 따라서, Florist들은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켜 화훼 및 화훼디자인 상품의 소비를 확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모형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모형에 관한 인식 및 활용 정도 그리고 수업모형 연수 경험 등에 관해 탐색하여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과 접근 설정에 참고하고자 했다. 설문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모형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었으며 실제 수업 보다 공개 수업에서 수업모형을 더 많이 사용한다. 교사들은 자기 수업의 일상적인 패턴과 스타일이 있으며 이를 바꾸기 위한 주된 방법으로 끊임없는 자기 성찰과 점진적 개선을 꼽았다. 자기 수업을 기록하거나 분석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많았고 횟수는 적은 편이었다. 수업 기록과 분석의 목적은 주로 자기 수업의 성찰이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을 위한 수업모형과 관련된 연수를 개발하여 제공하려면 교사들이 자기 수업을 중심 소재로 삼아 스스로 수업모형을 적용하거나 수정 혹은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촉진적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합 수업과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통합 STEM 교육을 도입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와 경북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216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는 교과 간 통합 수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그 원인은 통합 수업 준비에 대한 부담, 교과 간 관련성에 대한 연구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교사들은 통합 수업에 대하여 개념이나 기능의 전이가 용이하기 때문에, 창의적인 사고력과 실생활에서의 적용력을 기를 수 있기 때문에 등의 이유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 수업 비중 확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초등 교사들은 교과 간 다양한 통합 수업의 유형에 대해서는 일부 유형만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통합 수업 유형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통합 STEM 교육에 대하여 초등 교사들은 잘 모르고 있으나 필요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 교사 들은 통합 STEM 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하여 창의력과 사고력 배양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실생활에서의 적용력을 기를 수 있기 때문에 순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통합 수업에 대한 생각과 일치하였다. 여섯째, 초등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통합 STEM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과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해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일곱째, 초등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 프로그램은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에 찬성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고 그 이유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여덟째, 초등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적인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증진, STEM 관련 교과에 대한 학습 흥미 증진, 실생활과의 관련성의 순으로 중점을 두어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이 과학기술 분야 인재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