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82

        101.
        2020.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국제 의료 초청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연수생들이 어떤 학습을 했는지 살펴보고 프로그램의 개선 점을 도출해 보기 위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라오스와 한국의 맥락의 차이로 인해 겪게 되는 연수생들의 어려움과 모순을 문화 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해 들여다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들이 어떠한 무형식 학습을 하는 지 알아보고, 도출된 모순들로부터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연수생, 지도교수, 연수생의 동료를 인터뷰 했다. 연구 결과 연수생들을 둘러싼 모든 활동 체계의 요소에서 모순이 드러났으며, 이로 인해 학습의 제약을 받았다. 그러나 연수생들은 한국에서 일하는 방식 받아들이기, 성실한 태도로 임하기, 자기주도적학습 하기, 배운 내용 적용에 대한 범위와 수준의 균형잡기를 통한 무형식 학습을 하였다. 또한 모든 수준의 모순점으로부터 개선점을 도출해 내었는데, 연수의 제도적 지원 강화와 프로그램 체계화가 그것이다. 본 연구가 ‘미네소타 프로젝트’를 계승한 ‘이종욱-서울 프로젝트’가 내실 있게 시행되고 마무리되어 훗날 ‘라오스 비엔티안 프로젝트’로 이어지는 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8,000원
        10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바일 환경에서 3D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 중 하나로 유니티 3D 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유니티 3D 엔진을 이용하여 3D 가상현실 서비스가 가능하나 3D 가상현실 장면의 저장, 교환, 전송을 다양한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데이터 형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유니티 3D 엔진에서 국제표준 ISO/IEC 19775-1 X3D (Extensible 3D)를 사용할 수 있다면 모바일 환경에서 가상현실 응용 서비스를 위한 3차원 장면 생성과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니티 3D 엔진을 이용하여 X3D 가상현실을 생성, 변경 및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3D 장면 접근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이를 위해서 유니티 3D 엔진에서 X3D 파일의 오브젝트를 처리할 수 있도록 C#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오브젝트 저장을 위한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고 이 데이터에 접근하여 값을 입출력하는 언어 바인딩 함수를 정의한다. 그리고, 유니티 3D 엔진과 C# 바인딩 함수를 사용하여 X3D 데이터를 파싱하고 건물 모델링 생성, 멀티 텍스처 매핑 등 여러 오브젝트들을 생성하고 제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4,000원
        104.
        2019.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후손의 심신을 더 향상하기 위한 자연과학적인 접근의 시도이다. 사람을 출생이나 수태보다 훨씬 전인 미립자 (quark)부터 완전한 인격체로 보고 대우하는 관점이다. 크게 두 단계 ① 새 정자 생성과 난자 준비에서 착상까지와 ② 착상 후 태교와 초유 수유까지로 구분하였다. 1단계는 1개월간 후손을 디자인하고, 3개월간 음식과 운동과 생각으로 그런 아기를 잉태할 정자를 개발하고 난자를 준비시키며, 2개월간 안전한 수정과 착상까지 수행한다. 2단계는 착상된 배아가 설계된 대로 태아가 되고, 엄마와 아기가 건강하고 안전하게 자연 분만 후 초유 수유까지 10개월간 엄마 아빠는 물론 온 가족이 협력하여 태교를 수행하여 그의 일생 건강과 안정의 기초를 쌓는다. 1단계에는 선조들의 임신 전 100일 기도 관행과, 1801년 사주당 이씨가 쓴 세계 최초의 태교 단행본 ‘태교신기’의 주장과, 이의 과학적 근거가 되는 양자의학과 후성유전학과 신경과학과 양자물리학 등을 적용한다. 2단계는 다양한 태교 과학 및 뇌 발달 중심으로 양자의학과 뇌 과학 및 양자물리에서 필요한 사항을 적용하여 생후 자신의 환경에 적응을 준비하게 하였다. 21세기의 총포 없는 전쟁 중 하나인 종자 개발 연구와 노력은 농축산물에 적용하는 것보다, 인간에게 적용하는 것이 훨씬 더 급하고 결정적이라고 본다. 이는 빅뱅 우주역사를 확증하는 양자역학이 이를 충분히 보증할 것이다.
        4,200원
        106.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systematically the issues and approaches of existing research on language and ideolog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defines ideology as ‘the ideas, beliefs, and values and the material process of (re)producing them that contribute to promoting and legitimizing the sectoral interests of certain social group or power’, noting that such ideology causes social problems when it serves primarily the sectoral interests of a mainstream group or ruling power, often working in a false and deceptive form through distortion and dissimulation of objective reality. Then, this paper raises the necessity to divide the research into two types: the research on ideology ‘about’ language and the research on ideology ‘through’ language. Finally,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above, this paper explores the sociolinguistic research tasks and prospects of research on language and ideology by analyzing the representative research cases and approach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and its usage. This paper particularly focuses on monolingualism and standard language ideology in the case and approach of the research on ideology ‘about’ language, and sexism and gender ideology in the case and approach of the research on ideology ‘through’ language.
        6,400원
        108.
        2019.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트라우마와 영성 및 외상 후 성장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이론적 고찰을 시행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국외 문헌에서 보고된 트라우마와 관련된 연구들은 대체적으로 심리적 고통의 회복에 초점을 두었으며, 외상 혹은 역경에 대항하여 긍정적인 성장을 나타내는 외상 후 성장 및 이와 관련된 영성을 포괄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트라우마에 대한 개념과 증상, 영성에 대한 의미, 외상 후 성장의 개념과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 트라우마를 경험한 이후의 영성에 대한 요소들이 외상 후 성장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이론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국외에서 보고된 외상 후 성장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고찰해봄으로써 개괄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며,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임상 현장에서 트라우마 치료를 시행하는데 있어, 치료적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도움이 되는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000원
        109.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공공성의 개념이 포함하는 가치와 그 가치가 실현되는 공간, 그리고 공적 가치를 구 현하는 기관으로서 뮤지엄의 성격을 규명하고, 공공성 실천을 촉매하는 뮤지엄 교육의 사회적 역할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공 뮤지엄의 연합 운영 전략을 성공적으로 구사하고 있는 파리 시립 뮤지엄 그룹의 사례를 살펴본다. 파리 시립 뮤지엄 그룹은 파리 시에 의해 2012년 6월 20일 탄생한 이 행정 공공체로, 파리 시내 15개의 뮤지엄과 유적지를 운영, 관리한다. 파리 시립 뮤지엄 그룹은 파리 시민들의 공적인 문화 인프라 확충을 목표로, 콜렉션의 보존, 활용과 확충, 새로운 기술 발전을 반영한 전시 기획, 국내외 다양한 문화 예술기관과의 협력을 주 업무로 한다. 이들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바는 시민들의 문화예술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시민의 문화 접근성 향상을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설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작은 규모의 공공 뮤지엄들의 생존 방식이자 운영 전략이라고 할 수 있는 파리 시립 뮤지엄 그룹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노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우리 뮤지엄의 공공성을 강화 하는 방향을 모색해보고 앞으로의 공공 뮤지엄이 지녀야할 새로운 역할에 대해서 생각해보고자 한다.
        5,500원
        110.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터치스크린은 핸드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 활용되고 있으며, 사람들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다양한 동작과 시각적 경험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터치스크린이 제공하는 동작, 시각적 경험이 기존 행동-태도의 연합으로 인해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들은 특정 행동이 사람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고, 특히 접근-회피 행동은 다양한 방면에서 사람들이 사회적, 개인적으로 기존에 가지고 있던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터치스크린에서의 동작은 접근-회피 경험을 가능하게 하므로 이 행동이 사람들의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실험1에서는 터치스크린에서의 드래그 동작과 접근-회피 행동을 연합시킨 후, 제품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접근 드래그를 했던 제품이 회피 드래그를 했던 제품보다 선호도와 구매의향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2에서는 행동을 배제한 접근-회피의 시각적 경험만을 제공하였을 때도 동일한 효과가 발생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시각적으로 접근했던 제품이 회피했던 제품보다 선호도와 구매의향 모두 동일하게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터치스크린에서의 팔의 움직임(실험1)과 접근-회피 경험의 지각(실험2)이 사람들의 제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모바일 혹은 온라인 쇼핑 상황에서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디자인 설계에 사람들의 행동과 지각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임을 제시한다.
        4,300원
        113.
        201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한문교육 연구는 ‘편재’되고, ‘편중’되어 있다는 표현이 알맞을 정도로 개념 연구의 비중이 경험 연구의 비중보다 지나치게 높다. 이러한 현상은 한문교육 현장의 데이터와 현장의 모습을 과학적, 객관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효과를 증명하기 어렵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개념적인 연구 방법 외에 현장의 연구를 위한 방법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즉,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의 객관성과 과학성을 배가시켜줄 통계적 데이터 처리에 대한 고찰과 탐색, 그리고 접근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재까지의 통계적 접근 방법을 통한 연구의 수행 양상과 현상 그리고 연구자들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5,200원
        117.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코칭역량에 대한 코치 개인의 주관성 연구로서 Q방법론의 소개와 코칭역량에 대한 주관성연구의 연구설계를 제시하였다. 코칭역량에 대한 인식은 코치의 주관적 준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코칭 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코칭역량에 대한 Q방법 론적 접근을 통해 코치역량에 대한 코치의 주관성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Q방법론은 인간의 주관성 연구를 위해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는 접근 방법, 연구 방법이며 분석방법이다. Q방법론은 소수의 표본을 적용하여 개인 간의 차이가 아닌 개인내의 차이의 중요성을 다루며 소규모 표본분석과 수용자 분석 면에서 유용한 연구방법으로 특정대 상에 대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주관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데 적절한 연구방법이다. Q방법론을 적용한 코칭역량에 대한 연구절차는 문헌연구 및 표적집단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와 결과분석, Q모집단 구성 및 추출, P표본 선정과 Q분류 및 결과처리, 해석 및 유형화, 결론의 다섯 가지 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특정대상에 대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주관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데 적절한 연구방법인 Q방법론은 코칭역량에만 적용 가능한 것이 아니라 코칭의 모든 분야에서 개인적인 주관적 특성을 연구하는데 특히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국내 코칭연구에서 Q방법론을 활용한 연구가 확대되고, 다양한 주제의 코칭 연구와 논의가 Q방법론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활발히 수행되길 기대한다.
        4,900원
        118.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어떤 주장을 두고 그것을 비판적으로 종합하는 일은 인문학의 사회적 책무다. 그 책무를 다하려는 이 작업은 따라서 ‘중국어 원지음 표기와 한국어 정체성 보존’이라는 구체적 문제에 접근하는데 어떤 방법이 더 타당할지를, 또 이를 토대로 어떤 제언이 가능할지를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주된 방법론적 틀은 수렴과 분기의 변증법적 관계설정으로 삼는다. 궁극적으로는 문화적 고정성과 유동성의 모순을 한쪽으로 환원·포섭하려는 이론 생산 및 논의 주체의 욕망을 들여다보려 애씀과 동시에 그것이 생성시킬 벡터의 정당성은 다름 아닌 대중문화의 향유 주체인 대중과 일상적 언어생활의 영위 주체인 언중의 억눌린 욕망이 해방되는 장을 상 정할 때 비로소 획득될 수 있다는 주장을 내어 놓으면서 또 다른 비판적 종합을 기다린다.
        5,800원
        119.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오순절/은사주의 운동을 선교와 전도의 측면으로 깊이 있게 살펴보려고 한다. 그들의 괄목할만한 교회성장의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실천적인 측면 즉 선교와 전도에 있어서의 특징들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오늘날 오순절주의가 급속도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다양한 신학적인 정체성을 가진 그들의 한 가지 공통점: 그들이 언제나 선교와 전도를 가장 많이 강조했다는 것이다. 오순절주의자와 은사주의자들은 처음부터 강력한 그리스도 중심적(Christocentric) 메시지와 성령론(pneumatological)을 중심으로 선교와 전도 활동을 해왔다. 최초의 오순절주의자들은 세계 전역에서 ‘순복음(full gospel)’이 선포되는 것과 함께 나타날 마지막 때의 영혼 추수에 참여하기 위해 자신들에게 성령이 부어졌다고 믿었고 그 운동을 선교운동으로 발전시키며 전 세계로 나아갔다. 오순절 운동은 성령이 모든 선교와 전도 활동을 이끄는 원동력이며, 성령 세(침)례를 통해 그들에게 전 세계 다른 나라들의 언어가 주어졌다는 확신에 근거하고 있다고 믿는다. 이 논문은 특별히 선교학적 접근으로 오순절주의의 선교와 전도에 특징을 집중적으로 연구해봄으로써 그들의 성장 동력을 연구하고자 한다.
        9,200원
        120.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biomimicry를 생태모방으로 정의하며, 생태모방에 대해 다학적 분야에서 정의되 는 개념들을 비교하였다. 생태모방은 생물・생태특성에 대한 분류 및 조사・원리분석을 통해 얻어진 정보와 아이디어를 공학 및 기술 분야에 응용이 되는 개념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생물학, 생태학 및 공학적 관점에서 생태모방 연구와 기술개발을 진행하는 Biology Push(생물특성기반 생태모방)와 Technology Pull(기술문제기반 생태모방)방법을 비교하며, Biology Push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시작하는 ‘생물특성기반 생태모방’, Technology Pull을 기술필요에서 시작하는 ‘기술문제기반 생태모방’으로 정의하였다. 생태모방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안정적이고 친환경적인 원천 재료를 생물・생태 특성에서 찾아 기술개발에 초점이 맞춰진 사례가 대부분이나, 앞으로 생태모방 연구주제가 생물・생태 특성에서 비롯된 아이디어에서 착안되어 시작될 수 있는 연구분야의 잠재력에 대한 무한성을 시사하고자 한다. 향후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생물생태학적 기반에 근거한 더 많은 연구와 기술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