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생성에 의한 Ti/TiB 복합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반응분말(TiB2, B4C), 소결온도, 소결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조조건에 따른 반응생성상, 미세조직, 상대밀도 등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복합재료의 기계적 성질은 상온 압축항복강도로 평가하였다. 복합재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혼합하는 TiB2반응분말의 경우 1300˚C, B4C 반응분말의 경우 1400˚C의 소결온도가 최적조건임을 확인하였다. 본 공정에 의해서 제조된 복합재료의 압축항복강도는 비교재인 Ti-6Al-4V 보다 모두 우수하였다. 또한 TiB2반응분말에 의해서 제조된 복합재료가 B4C 반응분말에 의해서 제조된 복합재료보다 우수한 압축항복강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압축시험한 복합재료에서의 균열전파양상을 조사한 결과, 강화상과 기지간의 접합특성을 B4C 반응분말에 의한 복합재료의 접합특성보다 우수하였기 때문이었다.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하여 yttria-stabilized zirconia(YSZ) 박막을 제조하였다. 반응물질로 금속유기화합물을 Zr[TMHD]4와 Y[TMHD]3그리고 산소를 사용하였으며, 증착온도는 425˚C, rf power는 0~100W까지 적용하였다. YSZ 박막은 (200)면이 기판에 평행한 입벙정상 구조를 가졌으며, 1시간 내에 1μm 두께를 형성하였다. EDX에 의한 막의 성분분석 결과로부터 환산된 박막내의 Y2O3의 함량은 0-36%의 범위였다. 버블러의 온도 및 운반기체의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박막의 두께 역시 비례하여 증가하였는데, 이는 precursor의 flux 증가로 인한 박막내의 Y2O3의 함량증가에 의한 것이었다. Zr 및 Y, O는 박막의 두께에 따라 일정한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운반기체를 Ar로 하였을 때 1000Å이하의 크기를 갖는 YSZ 입자들이 column 모양으로 기판에 수직하게 성장하였으며, 운반기체가 He인 경우에도 column 모양으로 성장하였으며 입도가 1000~2000Å으로 Ar의 경우보다 조대해졌다. XRD 분석결과 Y2O3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YSZ의 격자상수 값이 약간씩 증가하였다. 이는 박막 전반에 걸쳐 형성된 균열에 의해 격자변형으로 인해 발생한 응력을 완화시켰지 때문이다.
Biodegradable films were prepared by solution blending method in the weight ratio of Chitosan and Algin for the purpose of useful bioimplants. The possibility of bioimplants, which prepared from natural polymers as a akin substitute and food wrapping material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he biodegradability. these biodegradable films were inserted in the back of rats and their biodegradability was investigated by hematological change as a function of time. Rats study showed that low-Chitosan induced increments of monocyte and basophil after 48 hours of implantation. And medium-Chitosan showed increase of lymphocyte and decreased neutrophil counts after 48hours of implantation. Low, medium Chitosan showed high hemoglobin contents, medium and high Chitosan showed high hematocrit value after 48 hours of implantation. As a result, medium, high-Chitosan induced potential incompatibility in the tissue after 48 hours, but there was little effects to the akin inflammation. The values of biodegradable films, which prepared from natural polymers measured in this study were some satisfiable results at short period with those of ideal akin bioimplants and artificial skin.
Chitosan and Algin are known as a natural polymers. Biodegradable films were prepared by solution blend method in the weight ratio of natural polymer(low, medium, high-Chitosan, Algin) for the purpose of useful bioimplants. The possibility of bioimplants, which were prepared from natural polymers as a skin substitute and food wrapping material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biodegradability. This biodegradable films were inserted in the back of rats and their biodegradability was investigated by hematological change evaluation as a function of time to biotransformation. It was found that these values of biodegradable films give some good results with short period test.
Ni(Fe)Al powders containing a homogeneous distribution of the in-situ formed AIN and dispersoids have been produced by mechanical alloying process in a controlled atmosphere using high energy attrition mill. The powders have been successfully consolidated by hot extrusion process. The phase information investigated by TEM and XRD analysis reveals that Fe can be soluble up to 20% to the NiAl phase () at room temperature after MA process. Subsequent thermomechanical treatment under specific condition has been tried to induce secondary recrystallization (SRx) to improve high temperature properties, however, the clear evidence of SRx was not obtained in this material. Mechanical properties in term of strength at room temperature as well as at high temperatures have been improved by the addition pf AIN, and the room temperature ductility has been shown to be improved after heat treatment, presumably due to the precipitation of second phase of in this mater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nufacturing feasibility of WC-Co milling inserts via Powder Injection Molding (PIM) process. WC-Co is used in a wide variety of cutting tools due to its high hardness, stiffness, compressive strength and wear resistance properties. WC-Co parts for a high stress application were conventionally produced by the press and sinter method, which were Iimited to 2 dimensional shapes. Manufacturing WC-Co parts for a high stress application by PIM implies that tool efficiency can be highly improved due to increased freedom is design. P30 grade WC powder (WC-Co-TiC-TaC system) was mixed with RIST-5B133 binder and injection molded into milling inserts (Taegu Tech. Model WCMX 06T 308). The mean grain size of the powder was about 0.8m. Injection molded specimens were debound by solvent extraction and thermal degradation method at various conditions. The specimens were sintered at 140 for 1 hr in vacuum. Carbon content, weight loss, dimensional change, and macro defects of the specimen were carefully monitored at each stage of the PIM process. PIMed WC-Co milling inserts reached 100% full density after sinteing. Its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s were comparable with the press and sintered milling insert. Carbon content of the sintered WC-Co insert was mainly determained by the atmosphere of thermal debinding. By controlling powder loading and injection molding condition, dimensional accuracy could be obtained within 0.4%. We confirm that PIM can not only be an alternative manufacturing method for WC-Co parts economically but also provide a design freedom for more effieient cutting tools.
A study was made on the fabrication of nanostructured Fe-Co powders by mechanical alloying and their magnetic properties. Microstrural development during the process of MA was inverstigated by means of X-ray diffraction, differential thermal analyz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magnetic properties of NS Fe-Co powders were evaluated through the measurements of the saturation magnetization as well as the coercivity . The average grain size calculated from line braodening in XRD peak was about 10nm or less and confirmed by TEM. In this experiment, two different milling methods (cycle opertion and conventional milling) were used. Cycle operation had an advantage over the conventional milling method in that more refined powders can be obtained. Solid state alloying of the components was confirmed from both the change of the saturation magnetization and the change of lattice parameter with Co contentration. Maxium was obtained at the composition of 30at.%Co. Relatively high coercivities of 10~150e were obtained for the compositions investigated, and this seems to be due to the high amount of internal strain introduced during milling.
본 연구의 목적은 항균활성이 높은 김치 젖산균 Lac. homohiochii B21과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C16을 스타터로 사용하여 관능적인 특성이 좋고, 냉면중의 유해세균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냉면용 동치미액의 속성 제조방법을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의 두 젖산균을 스타터로 사용할 때에는 각각을 단독 사용하는 것보다 혼합 사용하는 것이 산생산과 항균활성에 더 좋았다. 동치미 담금시에 스타터를 접종하지 않았을 때에는 발효초기에 그램음성균과 대장균군의 수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동치미액의 항균활성도 거의 없었다. 스타터를 접종했을 때에는 그램음성균과 대장균군의 수가 초기부터 급격히 감소하였고 항균활성도 매우 높았다. 동치미 재료를 가열살균하고 스타터를 접종했을 때에는 그램 음성균과 대장균군이 초기부터 검출되지 않았으며 항균활성도 높았다. 본 스타터로 20℃에서 동치미를 발효할 때 발효 2일에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고 6일에는 항균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동치미액의 대장균군수, 항균활성 및 관능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재료를 80℃에서 15분간 열처리하고 상기의 두 젖산균을 혼합접종하여 20℃에서 2일간 발효함이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냉면용 동치미액을 제조했을 때 항균할성이 높고 관능적 기호도가 높은 젖산균 스타터를 선발하기 위하여 김치젖산균 24주에 대하여 항균활성과 유기산생산능력을 검사하였다. 검사된 24주 중에서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C16, Leu. paramesenteroides C18, Lactobacillus bavaricus B01, B06, C19, C32, Lac. homohiochii B21 및 B22의 균주들은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항균활성은 그램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와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서 보다 그램 양성균인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동치미액 냄새의 기호도는 hetero 발효균인 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의 균주로 발효한 것이 homo 발효균이 Lactobacillus bavaricus 및 Lactobacillus homohiochii의 균주들로 발효한 것보다 좋았다. 그러나 동치미액에 쇠고기 육수를 동량 가하여 만든 냉면국물은 시료간에 냄새의 기호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동치미액의 항균활성과 기호도를 고려하여 Lac. homohiochii B21와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C16의 2균주를 동치미 스타터용 우수균주로 최종 선발하였다.
청국장 제조를 위한 분리균은 포자형성율이 높은 Bacillus subtilis로 대사력이 활발한 대수증식기의 것을 콩에 1, 000CFU/g 이상의 균수를 접종하여 40℃와 상대습도 90%에서 배양하면 발효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발효가 종료되면 포자형성율이 95% 이상 되어야 저온의 후숙과정에서 재번식이 쉽게 일어나지 않았으며 발효취는 발효 중에서만 형성되었다. 중립콩과 대립콩의 발효율이 가장 좋았다. 저온의 후숙과정은 5℃에서 1∼2일 후 경과하면 Bacillus subtilis는 더 이상의 증식이 일어나지 않고 발효취가 소멸되므로 저온의 유통과정을 거쳐야 불쾌취가 없는 구수한 청국장의 맛을 유지할 수 있었다.
액상반응법에 의해 Zn2-xMnxSiO4 녹색 형광체를 합성한 후 소성온도(900˚C-1200˚C) 및 Mn 활성제 농도(x=0.01~0.20)에 따른 발광특성과 결정특성을 조사하였다. 147nm와 254nm 여기원을 사용한 경우 형광체의 소성온도가 900˚C에서 1200˚C로 증가함에 따라 상대발광피크강도는 약 4배 이상 크게 증가하였다. XRD 분석결과 1100˚C이상의 소성온도에서 Zn2SiO4:Mn 녹색 형광체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willemite 결정구조를 보여주었다. 1200˚C의 온도로 소성된 Zn2-xMnxSiO4형광체 시료의 경우 147nm 여기원에서 Mn 활성제 농도가 x=0.02에서 최대 발광강도를 나타내었으며 x=0.10 이상에서 발광강도가 급격히 저하하는 농도 칭 현상이 나타났다. SEM 분석결과 형광체 입자는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보여주었으며 1200˚C에서 소성된 형광체 입자크기는 약 2~3μm이었다.EX>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