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론적 구조설계 최적화는 구조물의 역학적 특성이나 하중의 불확실성이나 임의성과 같은 변동성을 정량적이고 합리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확정론적 최적화와 비교된다. 확률론적 최적화의 방법론으로는 개선된 일계이차모멘트법을 이용하는 신뢰도지수에 기반한 접근법(MPFP search)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최근 목표성능치에 기반한 접근법(MPTP search)이 새롭게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두 가지 접근법에 대한 정식화를 수행하고, 특히 탐색과정에서 소모적인 반복계산을 발견하고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예제에서 두 접근법에 의한 확률론적 최적화를 수행하고 구조설계 최적화의 관점에서 두 접근법의 장단점을 비교검토하였다.
평면 아치 구조물에 대해 선형 탄성 변분방정식에 기반을 둔 설계민감도 해석을 위한 일반적 이론을 개발하였다. 아치 구조물내의 임의 마디에 정의된 응력범함수를 고려하였고 이에 대한 설계민감도 공식을 유도하기 위해 전미분(material derivative) 개념과 보조(adjoint) 변수 방법을 도입하였다. 얻어진 민감도 공식은 구조해석 결과를 얻고 나면 이들로부터 단순 대수연산을 통해 계산이 되므로 적용이 간편할 뿐 아니라 해의 정확도가 높은 잇점이 있다. 본 방법은 아치의 형상을 매개변수를 통해 표현하므로 얕은 아치에 국한하지 않고 어떠한 형상도 고려가 가능하며, 나아가서 아치의 형상변화를 형상에 대해 수직뿐 아니라 접선방향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고려하므로 다양한 형상설계가 가능하다. 몇 가지 예제에서 민감도 계산을 수행함으로써 본 방법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입증하였으며, 두 가지의 설계최적화 문제를 대상으로 실제로 두께 및 형상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차량 충돌시 자동차의 시트는 승객 및 운전자를 보호해야 한다. 따라서 자동차시트는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며 이것은 여러 가지 법규에 의해서 제재되고 있다. 물리적 실험 결과가 법규에 정한 규정치를 만족시키기 위해 과대설계 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연비를 줄이기 위한 경량화의 만족이라는 설계요구에 상충한다. 본 논문에서는 헤드레스트 강도시험을 시뮬레이션하고 과대 설계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어퍼암을 최적화 모델로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순차 이차 계획법인 PLBA 알고리즘과 민감도 해석을 위하여 직접근사해석법을 사용하였다.
총채벌레류의 토착천적인 Orius strigicollis Poppius의 사육에 영향을 주는 부화율, 산란수 및 산란시기, 사육용기 당 암컷 성충의 밀도와 내적자연증가율을 광주기 16L:8D, 상대습도 10%, 온도 의 사육조건에서 조사하였다. 부화율과 알기간은 각각 88.5%, 5.7일이었다. 사육용기 당 산란수는 50-100개일 때에 우화율이 50.8%로 가장 좋았고, 새로 얻은 성충의 회수시기는 산란 후 17일이 적당하였다. 사육용기 당 암컷 성충의 밀도와 새로 얻은 성충의 수와의 관계는 Y= -10.7971n(X)+44.659(=0.7619)와 같았다. 사육실에서 대량으로 사육하는 경우 일세대 평균기간(T), 순번식율( )과 내적자연증가율( )은 각각 26.5일, 6.18과 0.0687이었다.
복합재 적층판은 중량에 비해 높은 강성과 강도가 요구되는 공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다. 보강섬유 복합재의 공학적 활용이 활발해지고, 중량의 감소화가 설계의 중요한 목적이 됨으로써, 근래 복합재 구조물들의 최적화 설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복합재 적층 구조물 재료의 비등방성에 의해 해석과 설계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적 최적화 방법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보강섬유 복합재의 최적설계를 하였다. 복합재 적층판으로 이루어진 개단면 보에 있어서 보강섬유의 다양한 적층방향에 대한 거동의 영향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트러스 구조물의 이산최적설계를 위해 유전알고리즘(GA)을 적용하였다. 확률론적인 절차를 통해 설계에 필요한 초기 집단을 생성시킨 후, 설계를 개선시키기 위해서 자연선택 및 적자생존의 원리를 적용하였다. 다하중조건 하에서 트러스 구조물의 중량 최소화를 위해 응력 및 변위 제약을 고려하였다. 먼저, 이미 잘 알려진 트러스 구조물에 대해서 GA를 이용하여 얻은 최적해와 기존 문헌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값들을 비교함으로써 GA의 신뢰성 및 적용성을 검증하였고, 이러한 신뢰성 검증을 바탕으로 사용성 있는 트러스 구조물의 이산최적설계를 위해 현재 생산중인 강재제원표로부터 부재가 선택되도록 하였다. 강재의 단면으로는 L형강을 사용하였으며, L형강의 강종은 9개의 강종들 (SS 400, SWS 400, SMA 41, SWS 490Y, SWS 520, SMA 50, SWS 570, SMA 58) 중에서 설계자에 의해 자유롭게 선택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점탄성 감쇠기의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로서 기존에 독립적으로 설계되던 점탄성 감쇠기와 설치용 가새 강성의 동시 최적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직렬 연결된 점탄성 감쇠기와 가새를 상태방정식으로 모델링하였으며 최대응답계수를 이용해서 각층 최대 층간변위를 구속조건으로 하여 최적화 문제를 구성하였다. 구속조건에 대한 기울기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구조물의 동적거동에 관한 구속조건을 포함시켜서 문제를 재구성함으로써 변수를 줄일 수 있었다. 설계예제를 통해 현실적으로 충분한 가새 강성이 제공될 수 없는 경우에는 층간변위 구속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가새 강성을 고려한 감쇠기 설계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가새 강성을 최적화 변수에 포함시킴으로써 불필요한 가새 강성을 줄일 수 있었으며 이를 보상하기 위한 감쇠기 물량의 상대적인 증가는 크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Green Tea consists of 15-30% catechins (a type of polyphenol), which act as super antioxidants, inhibitory action against aging process. Antioxidants fight radical-free oxygen, an agent which can begin the process of cancer by damaging essential body chemicals and harming DNA. This study was peformed to develop the elderly diet using Green Tea as an inhibitory action against aging process. Nokchaborijook (Baley gruel added rice powder and Green Tea) was manufactured by various levels of Green Tea(1, 4, 7%) and the grinding period(15, 30, 45 sec). The optimum levels of added Green Tea and grinding periods on Nokchaborijook were determined with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analysis of composition. The Anti-oxidant Vitamin A, C, E and Flavonoid were increased with increased levels of Green Tea and grinding periods be decreased. As the levels of Green Tea and grinding periods were increased, the green color and penetrated force became stronger. Among the sensory attributes, Bitterness, Green Tea Flavor and Hashness were greater depending on increasing Green Tea. Jujube flavor was greater relying on decreasing Green Tea. Greenness and spreadability of particles were increased as both the amounts of Green Tea and the grinding period were increased. This result was us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of adding levels of Green Tea and grinding periods. The optimum conditions of Nokchaborijook was established as adding of 5.8% Green Tea grinded for 15 seconds.
고유진동수와 감쇠비는 지진이나 바람과 같은 동적 횡하중에 대해 구조물의 응답을 결정하는 주요한 특성이다. 본 연구는 지진하중에 대하여 목표응답 수준을 만족하는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와 감쇠비를 지정하고, 이 값을 실현하는 점탄성 감쇠기 파라미터의 처적분포를 구하는 설계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지정할 고유진동수와 감쇠비는 목표응답 수준을 만족하는 여러 조합 중 설계조건과 원래 건물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안한 설계방법은 점탄성 감쇠기의 감성 파라미터를 고유값의 기울기 정보를 바탕으로 분포시키므로 최적 위치와 크기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제공한다. 예제로서 평면 10층 전단 건물을 대상으로 최적설계를 수행하여 지정된 고유값을 실현하는 파라미터의 최적분포를 구하고 이를 통해 제안한 최적 설계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더 나아가 3차원 일방향 비대칭 전단전물에 제안된 최적설계를 수행하여 그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By successful establishment of SCM(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they should make the supply chains speedy and combine production information system with the outcome system and thus they reinforce the competition of the production system of local enterprises in accordance with the rapid decision making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ost appropriate production system models through the reflection of JIT system in the SCM which is the necessity of the times and its importance.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 diversifies the prerequisites for the success of the business which will be the strategical factors of the production systems. The object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ost appropriate production system models and to provide the enterprises with the models which are based on the SCM.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optimize enucleation and reconstitution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cloned mice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Outbred ICR mouse oocytes at the metapahse- II stage were retrieved from female mice superovulated by PMSG and hCG. In Experiment 1, oocytes were enucleat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cytochalasin B (CCB) of 3 levels (0, 7.5 or 15 /mL), and higher rate of encleation was obtained at 7.5 and 15 /mL than at /mL. In Experiment 2, oocytes enucleated in 7.5 /mL CCB-containing medium were reconstituted with different types of somatic cell by following methods; 1) cumulus cells by direct cell injection, 2) cumulus cells by electric fusion (1.25 kV/cm, 2 pulses for each 70 ) or 3) STO cells by the electrofusion. Electrofusion of STO cells with enucleated oocytes yielded the greatest (P<0.05) rate of reconstitution without lysis (76%) than any other combinations. Although significant decrease in the rate of somatic cell introduction was found, the electrofusion of cumulus cells yielded better rate of reconstitution than direct injection (0 vs. 18%). In Experiment 3, the duration of electric stimulation for the fusion was changed to either 50 or 90 , but no significant improvement of reconstitution efficacy was obtained.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ICR mouse oocytes could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reconstituted oocytes and a fusion method of 1.25 KV/cm with 2 pulses using 570 cell was the optimal.
우리나라 도로중 PMS가 구축된 도로는 현재, 고속도로와 국도가 있다. 그러나 많은 시(市)에서 도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시도로 PMS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단위에 적용가능한 Prototype PMS 전산시스템을 개발 제시하였다. 개발한 PMS는 기본적으로 PC 수준에서 운영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GIS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포장상태나 유지보수 현황 및 계획을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본 PMS의 기능상 구성은 크게 조회, 분석, 자료관리, 출력 부분으로 구축하였다. 특히, 분석과정의 주논리(보수우선순위결정, 보수공법결정)부분은 필요시 사용자가 각 항목의 criteria 값을 수정 할 수 있게 하여 시스템운영이 경직되지 않도록 배려하였다. PMS 데이터베이스의 항목은 시도로 PMS의 규모 및 목적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또한 PMS에서 사용된 도로 관리길이 및 위치 지정체계는 노선을 기준으로 기본 100m길이의 section으로 분할관리하였으며, 위치 지정체계 방식은 reference points 방식을 기본으로 사용하였다.
Two-component polyurethane flame-retardant coatings were prepared by blending trichloro aromatic modified polyesters(TCMPs) and polyisocyanate. TCMPs were synthesized by polycondensation of trichlorobenzoic acid(TCBA), a flame-retardant component, with adipic acid, 1,4-butanediol, and trimethylolpropane. The content of TCBA was varied in 10, 20, and 30 wt% for the reaction. These new flame-retardant coatings showed various properties comparable to other non-flame-retardant coatings. Moreover, we carried out the combustion test and the flammability test for our flame-retardant coatings. The results of vertical burning test for the coatings containing more than 20 wt% of TCBA were determined as 'no burn'. The results of flammability test for the coatings with 20 wt% and 30 wt% of TCBA contents indicated the limiting oxygen index(LOI) values of 25% and 28% respectively, which implied relatively good flame retarda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