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arching effective operation plan of after-school program for enter the universitie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APEURPE) and efficient guidance for entering universities through understanding positive effect of school phy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셀프 리더십에 대한 개념과 구성요소를 설정하고 이를 신장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을 고안하여 코칭을 적용한 유아 셀프 리더십코칭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전문가 의견 수렴하여 조정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유아 셀프 리더십코칭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자기존중’, ‘자기효능’, ‘자기보상’ 이라는 3개의 상위구인에 각각의 하위요소로는 ‘수용’, ‘조절’, ‘확신’, ‘과업 효능’, ‘대처 효능’, ‘내적 보상’, ‘외적 보상’의 7개의 하위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인을 중심으로 제작된 프로그램의 내용은 ‘수용하기’, ‘조절하기’, ‘확신하기’, ‘과제하기’, ‘대처하기’, ‘만족하기’, ‘인정하기’의 7개 구인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유아가 이해하기 쉽도록 게임, 이야기나누기, 신체활동 등 활동중심의 15개 활동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유아 셀프 리더십코칭 프로그램에서는 유아의 발달특성을 고려하여 코칭기술인 ‘경청하기’, ‘질문하기’, ‘정보주기’, ‘인정하기’와 NLPia 코칭 주요기술인 ‘탁월성의 원’, ‘시간선 찾기’, ‘긍정적 의도 찾기’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 코칭기법을 도입한 레지오 에밀리아 코칭프로그램을 통해 영아의 문제해결력과 주도성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2세 원아 34명을 선정하여 관찰하였다. 남아 16명, 여아 18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사 대 아동 비율은 1 : 7 보육하고 있다. 만 2세가 발달의 전조가 나타나는 중요한 시점일뿐만 아니라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언어적 기능들이 영아의 행동과 경험을 통해 구성되는 결정적인 시기이기 때문에 만 2세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레지오 에밀리아 코칭 프로그램을 통해 영아기 아동의 문제해결력과 주도성이 향상되었다. 레지오 에밀리아 코칭 프로그램은 영아기 아동들이 활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였고, 또한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협동을 자극하여 문제해결에 능력을 증진시켰다고 볼 수 있으며, 아동 스스로 자기를 발견하고 경청하기, 질문하기, 공감, 중립적 언어 등의 코칭 스킬을 통해 자신감을 키워 내적 자원을 강점으로 이끌어 낸 결과라 볼 수 있다.
목적 :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들의 특성에 따른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효과를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 2008년 1월부터 3월까지 경기지역에 위치한 노인전문병원 1곳과 대학병원에 내원한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루 2회 아침, 저녁 식전 30분씩 총 3주 동안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를 발병기간 6개월 미만, 6개월 이후로 나눠 각 집단의 동질성 비교를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발병기간, 인지기능상태, 구강·비구강 섭취형태에 따른 각 집단 내의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 전·후 기능적 연하곤란척도 점수 차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발병기간 6개월 미만, 인지기능 정상인 집단에서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연하곤란척도 점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인지기능, 구강·비구강 섭취 형태에 따라 층화한 결과에서는 발병기간 6개월 미만의 집단에서 인지기능이 정상이고 구강섭취를 하는 경우에 연하곤란척도 점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 전·후 기능적 연하곤란척도 점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발병기간, 인지기능, 구강·비구강의 섭취 형태였다.
결론 :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들에게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발병기간 6개월 미만, 인지기능 상태의 정상, 구강섭취하는 대상자에게 효과적임을 나타내고 있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환자 특성 외에 요소들을 통제한 연구가 필요하며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과 더불어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련요소와의 비교연구가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ultilateral weight control program provided by the university health care center for female college students. The program was 8weeks long and composed of nutrition consultation, exercise, and behavior modification. Nutrition education focused on a low calorie and balanced diet, increasing the intake of protein and micronutrients and reducing carbohydrate and fat consumption. Evaluations were made upon completion of an 8-week program and upon follow-up at 6 months after the end of program. A total of 92 women completed the 8-week program, while 20 completed the follow-up survey. Upon completion of the 8-week program, significant decreases in body weight, BMI, body fat (kg), and %body fat were observed, and muscle mass was also reduced. The total energy and carbohydrates intake wer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subjects with weight loss, while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se consumption of protein, calcium, iron, vitamin B1, B6, and niacin did not meet the EAR, were decreased. The blood values of glucose,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were decreased. The follow-up survey revealed that the subjects continued to lose weight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In addition, a Mini nutrition assessment revealed that diet quality improved, especially with respect to reductions in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fried, greasy and salty food. In conclusion, the multilateral weight control program with diet education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as effective for long lasting weight control and improved dietary behavior. Nutrition education for weight reduction should focus on balanced nutrition as well as lowering the total caloric intake.
This study recommends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integrated language skills for primary school teachers and teaching methods for their students. First, to accomplish bifold objectives, the study develops three modules: 1) intensive listening through story books, 2) using in class dialogues through role-playing and 3) developing classroom activities. For presenting the examples of the three modules, Junie B., First Grader (at last!), Freckle Juice, and Jake Drake: Teacher's Pet are used. Next, the study presents teachers' perceptions on both using literature for improving their English skills and using literature in their teach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he program, the researcher surveyed 53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survey results showed teachers' perceptions on children's literature changed in positive ways, and they recognized that children's literature could develop their own English language skills and then would be a good teaching resource for their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the teachers, educators, and program developers.
우리나라 교정시설 여성수용자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남성수용자 위주의 교정정책에서 벗어나 여성수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적 접근을 시작 하고 있다. 미성년의 자녀들을 두고 있는 여성이 교정시설에 수용되는 경우 여성수용자 자신뿐만 아니라 자녀들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 많은 연구에서 자녀들이 분리로 인한 슬픔, 공허감, 무기력감, 분노와 공포를 경험할 수 있으며 어린시기의 이러한 영향은 장기적으로 자녀들의 정상적인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미국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교정시설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어머니와의 분리로 인한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 교도소 탁아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여성수용자들과 자녀들의 유대감을 향상시키고 출소후에도 자녀들과의 재결합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 외에도 IMPACT, MOLD, CVP, MATCH 등 여성수용자와 자녀들의 접촉 기회를 증가시키는 많은 프로그램이 시행중에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여성수용자와 자녀관계 회복․개선 프로 그램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가족사랑캠프, 어머니학교, 가족만남의 날, 가 족만남의 집, 귀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내 실을 다지고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교정당국과 보건복지가족부․여성부․ 지방자치단체․사회복지기관 등 유관기관과 지역사회가 협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he English immersion program of a Korean University. In order to achieve the ultimate purpose of the current project, researchers describe the educational principles and curriculum in detail and provide an overall evaluation of the program. The three-week English immersion program in winter 2008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satisfy their graduation requirement and improve their general English proficiency such as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by providing them with an immersion English program. To check if there is any improvement after the program, students' achievement was measured by TOEIC both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tudents' responses from questionnaires were used to identify their needs and satisfaction toward the program. On the basis of the extensive evaluation of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students' needs are more complicated and a re-setting of the program goal is mandatory to reflect students' varied needs and wants as a better program in the future.
This paper was designed as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 content-based language instruction model for design students in the EFL context. It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students and professors to design a curriculum focusing o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conducted surveys on 83 design students and 5 foreign design professors to find out their needs and interests in language and content(subject-matter) learning. I also interviewed a focus group of the design college students to recognize their perception of how they would benefit from a content-based language learning. A pilot-study course was observed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a content-based course for design students. The results of the needs analysis, interview, and the pilot study strongly suggested the need to adopt a content-bas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corporating communicative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in the field of design. The pilot study led this research to reflect on the cooperation of content specialists and language specialists in developing a language instruction model, Adjunct Instruction.
지금까지 대부분의 신체활동관련 연구가 무용수에게 초점을 맞추어 연구되어 왔다면 이 연구는 연기자를 위한 신체활동에 촛점을 맞추었다. 특히 연기자에게 있어 신체훈련은 연기에 창의적 표현향상을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지만 대부분 언어적 연기부분에 편중한 훈련을 하거나 무용수를 위한 신체 훈련의 방법으로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기자에게 적용할 훈련 메소드를 창작하여 TES즉흥프로그램이라 명명하고 연기자훈련에 적용하여 사례를 통해 연기자의 표현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TV시청은 현대인에게 가장 중요한 여가활동으로 자리잡았다. 학업에 열중해야 하는 청소년들에게 있어도 마찬가지다. 매체가 다양해지면서 방송사들간 경쟁이 심화되고 이로 인해 더욱 선정적이고 폭력적인 프로그램이 제공되면서 청소년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법적인 조치로 청소년시청보호시간대를 지정하고 동시간대에는 청소년들에게 유해한 프로그램을 방영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지만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 또한 청소년시청보호시간대가 실질적으로 청소년들의 TV시청 시간과 일치하지 않아 무력화되고 있다.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학업으로 인해 늦게 귀가한 후 TV를 시청하는 경향이 있어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에 노출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들을 유해한 TV 프로그램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시청보호시간대를 현실에 맞게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연령대별로 등급이 매겨지고 있는 방송프로그램등급제의 개선도 필요하다. 방송프로그램등급제의 경우 연령별로 시청가능여부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지만 등급의 판정이 방송사 자율에 맡겨져 있다는 점과 사후제재 조치가 이루어진다는 점은 청소년들이 유해한 방송프로그램에 노출될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 등급이 내용에 따라 연령별 시청 가능성을 표시하고 있기때문에 청소년들의 경우 시청불가 프로그램에 대해 관심을 갖고 시청하게 되는 부작용도 낳고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등급제의 경우도 선정성, 폭력성, 환상성, 속어 등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도록 함으로써 부모들이 시청지도를 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V-Chip과 같은 기계적 장치의 도입을 통한 물리적 시청 제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될 것으로 판단된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노인과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컴퓨터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훈련 전, 후에 뇌 활성의 변화를 살펴보고 일반노인과 치매노인의 변화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충남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0∼80세 노인 50명을 대상으로 MMSE-K와 K-DRS를 이용하여 인지장애가 있는 치매노인 집단과 일반노인으로 구분하였다. 컴퓨터 보조 인지재활 프로그램(Rehacom) 중 주의력과 집중력 프로그램(AUFM)을 수행하기 전과 후에 뇌파를 측정하였다. 두피에 전극을 부착한 후, 대상자가 검은색 점을 3분간 응시하는 동안 뇌파를 측정하였다.
결과 : 일반노인군은 컴퓨터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 수행 후 활동지수는 Fp1, F3, F4, T1, P3 영역에서, 집중지수는 F4 영역에서 유의한 변화(p<.05)를 보였다. 치매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으나 뇌 활성이 증가되었다. 일반노인군과 치매군을 비교하면 컴퓨터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 수행 전에는 F4 부위에서만 활성과 집중지수가 차이가 났지만 수행 후에는 F3, F4, T1, T2, P4 부위의 집중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컴퓨터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뇌의 활성화를 비교한 결과, 일반노인은 전두엽 영역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고 치매노인은 전체적인 활성의 증가를 보였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노인의 집중력을 자극하고 훈련하는 컴퓨터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뇌 신경생리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develops reeducation programs to satisfy needs conducted by the analyses of potential customers and present R&D education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200 R&D researchers and control managers occupied in research centers. By analyses of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professional R&D reeducation institution and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career and position were needed. To bring solution of the researcher's reeducation, the establishment of R&D Supreme Academy is essential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R&D.
본 연구는 코칭 프로그램 교수방법을 통해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비전을 가지고 아동 자신이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와의 관계형성을 통해 존엄성과 가치를 가진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서번트리더십을 발휘하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1~3학년 저학년 아동 총 24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를 위해 해피온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서번트리더십 향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였다. 둘째, 코칭 프로그램이 서번트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였다. 프로그램 처치 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를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전 검사에서 동질하였던 두 집단의 사후 검사를 비교하여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사회에서 발생되는 잔인한 범죄사건으로 인해서 사이코페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사이코페스에 의한 범죄라 고 하면, 세상을 떠들썩하게 하는 큰 범죄를 연상한다. 그러나 사이코페스는 타인을 구타하지 않아도 거짓말을 상습적으로 하는 행동도 포함된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사이코페스는 우리 주위에 흔히 존재하는 특별한 존재가 아니다. 그런 추리는 수형자에게도 관련된다. 일면으로 생각하면, 수형자들 중에 사이코페스가 다른 어느 집단 보다 많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그에 대한 교정프로그램은 전혀 장외 밖에 있다. 특히, 지금까지의 프로그램들은 거의 정신교육에 의존 해 왔지만, 본 글은 정신훈화에 중심을 두고 있고 현재 진행 중인 방법으로 벗어나서 역할연기, 낮은 공기법과 문간에 발 들여 놓기, 사례 발표 같은 행동을 통한 교정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제한한다.
In January, 2005, the "Railroad Safety Act" was presented, preparing the systematic equipment that allows several railroad operators to consider the railroad safety issue, and each of the railroad operative institutions accepted such situation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emergent system of coping, resulting in the construction of the emergent system of coping with the railroad fire accident through the relevant study to improve the railroad security efficiency against fire.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on developing the emergent educational program for coping with the KTX fire accident, which is distributed to the spot, to the railroad emergency staff for improving the railroad security efficiency against fire through the education of systematic and efficient emergent countermeasure procedures against fire accidents the fire accident in KTX.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조직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다른 직업분야 내에서의 멘토관계는 널리 조사되었으나 사회복지분야에서는 실천개입 방법외에는 많지 않다. 멘토링 프로그램은 다양한 조직과 프로그램에서 심리사회적 기능과 경력개발 및 조직몰입 등에 영향을 주었다. 사회복지조직도 전통적인 수퍼비전의 제기능의 통합과 함께 직원의 사기와 능력을 진작시키는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