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에서는 교육기반 학교작업치료사의 업무, 작업치료 대상자, 작업치료의 목표와 사용되는 이론의 틀, 전문가로써 자신의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어떠한 개발활동을 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국내 학교작업치료의 전반적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교육기반 학교작업치료의 나아갈 바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2010년 1월 4일부터 2010년 3월 10일까지 전국에 있는 특수교육지원센터와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와 작업치료를 전공한 치료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수한 총 5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자는 특수교육지원센터, 서울∙경기에 가장 많이 종사하며, 특수학급교실에서 가장 빈번히 작업치료를수행하는 것으로조사되었다.‘ 학생의 특정 운동또는 감각기술’에 초점을두는 치료목표를 설정하는경우가 많았으며, 개별화교육계획 회의에는‘1학기에 1회’,‘ 참석하지 않음’으로 대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자의 96.0%가 이론의 틀을 사용하였으며, 그 중 감각통합 이론의 틀을 적용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그 이유로‘대상아동에게 적합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전문성 확보를 위한 개발활동은 저널 또는 전공서적 읽기가 가장 많았으며, 개인경비와 개인휴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특수교육지원센터 및 학교에 기반을 둔 최선의 작업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개선방안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며 학교기반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정기적인 교육 및 세미나, 학교 기반 작업치료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Many school buildings are not applied seismic code because of small size structures. But it must be designed to show enough structural performance when subject to earthquake. Especially, most of school buildings are generally used as public shelters when the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 and earthquake occur. In this study, the seismic risk of the reinforced concrete school building structure was evaluated by using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of low-story RC structures developed in Japan and the required seismic performance index. In this paper,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school building is evaluated by considering this short-column effects, building shape and deterior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od and dietary educational content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on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The research objects consisted of 51 kinds of textbooks (15 kinds of primary school textbooks, 29 kind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7 kind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e contents related to food and dietary education were counted and analyzed. The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wo categories: application method and subject matter. Application method included texts, cases, visual aids (pictures, photos, illustrations, chart, etc.) and activities, whereas subject matter consisted of seven types (well balanced nutrition and health, understanding of food and nutrition, cooking principles, cooking lessons, traditional foods and culture, others).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method in primary school textbooks show that visual aids were the most common in all six grades. For the subject matter, 'understanding of food and nutrition' was most abundant in primary school textbooks while 'well balanced nutrition and health' accounted for a large part of the contents in middle school textbooks. However, the contents regarding traditional foods and culture were insufficient in prim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al contents on traditional foods and culture should be added to prim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and covered in various subjects. Furthermore, high school 'home economics' contents need to emphasize comprehensive food and dietary education and adjust to 'science & technology for life'.
In the rapidly changed 21st century when the flow speed of information is so fast and the quantity of information is too much increasing, personal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 image-formation is highly evaluated. Nowadays personal appearance is very essential to competition and may be considered the non-linguistic expression of selfimage. The beauty action of the youth is shown to follow the object which youth want to rely on or long for and it is affected by the influence of the sociocultural el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elation between appearance and beauty action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elements of the juveniles concerning appearance and to make an inquiry into how they pursue beauty in the restrictive bound compared with the adults. As their restrictive beauty action, the practical reflection percentage of hair-style, management of face, hand and nail control will be investigated and analyzed. Furthermore this basic material of this survey was used for the development of beauty article, cosmetics and education program. With the findings of the beauty articles in which the growing generation have a deep interest, this study provided the basic materials to the customer analysis and also the reference materials to the beauty marketing.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differential degree of the task difficulty presented in high school English activity books. To achive the aim, the researchers analyzed tasks for three levels(high, intermediate, and low) in five English activity books currently published based on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for high school freshmen. The criteria utilized for grading task difficulty are modified from Ellis(2003a, 2003b) which were developed to account for task complexity in terms of input, conditions, processes and outcomes.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general, the tasks of the activity books were organized in the sequential order of difficulty from low, imtermediate to high proficiency, but the difference of task difficulty across the three proficiency levels was not significant. It was also discovered that among three main factors determining task difficulty, task condition, task process, and task outcomes, task process and required task outcomes were more frequently adopted to di fferentiate the task difficulty level. In addition, there was lack of communicative tasks integrating four language skill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n all the five activity books. Further study suggesiotns and limitations are follow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kimchi intake for high school students of various kimchi sub-ingredients and foods using kimchi. The students believed that kimchi is good for health. The overall satisfaction, baechu quality and the taste and degree of fermentation of kimchi was high, but there was a low preference for offered kimchi kinds, kimchi subingredient, foods using kimchi. The types of kimchi preferred and often offered in school meals were baechu-kimchi and kkakdugi. The common kimchi sub-ingredients were radish and welsh onion in vegetables, squid and oyster in sea foods, saeu-jeot and myeolchi-jeot in salted fish, and pear and apple in fruits. The preference for kimchi sub-ingredients were high for sesame leaf and yeolmu in vegetables, saeu-sal and squid in sea foods, saeu-jeot and nakji-jeot in salted fish, and pear and apple in fruits. The foods using kimchi preferred and often offered with school meals were kimchi-jjigae, bokkeumkimchi, kimchi soup, kimchi-bokkeum-bap, and kimchi-jeon. The kimchi sub-ingredient for which students had the greatest preference was meats. Among the foods using kimchi with meats, the most preferred were kimchi-pyeonyuk bossam, doejigogi kimchi duruchigi, and kimchi galbi-jjim. Among the foods using kimchi with noodles, the most preferred were kimchi- bibimmyeon, kimchi -naengmyeon, and kimchi-cheese spaghetti. Among the foods using kimchi with vegetables, the most preferred were kimchi-pa-jeon, kimchi- deopbap and kimchi- goguma gui. Of the foods using kimchi with processed foods, the most preferred were kimchi-mandu, kimchi-bacon jumeok-bap and kimchi- cheese omelet. Among the foods using kimchi containing sea food, kimchi-haemul bokkeum-bap, kimchi-hoe-deopbap, and kimchi-saeu-jjim were most preferred.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kimchi sub-ingredients and foods using kimchi should be improved for kimchi intake of school meals.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ceived management performance and importance level of nutrition teachers by school administrators in the Chonbuk a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42 school administrators.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v. 12.0. Approximately 74.6% of the subjects were men. About 37% of subjects were principals, 33% were vice principals, and 35% were administrative directors, with over 60% aged 40-50 years(p<0.05). Among the 142 schools evaluated, 82.7% were located in urban areas and 17.3% were in ml areas. About 98% of the schools served meals in the dining room(pd0.05). Approximately 68% of the schools employed nutrition teachers and 33.4% had school dietitians(p<0.001).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overall importance level(4.24) wa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leve1(3.97)(p<0.001). In a survey of the degree of task performance by nutrition teachers, administrators regarded sanitation management was evaluated as the most important performance parameter(4.49), other management attributes as very important parameters(4.41), with nutrition counseling being much less important(2.76) and meal service being least important(3.29; except for classroom teachers). According to the tide of the subjects, evaluations of administrative directors were lower than evaluations of principals and the vice principals. The results indicate that nutrition teachers should not only have meal service management as their main duty, but should also be involved in constructing a life-long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students and teachers by conducting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should be active in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nd in the duties of sanitation management of school mea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door air concentrations and the harmful effects on health by hazardous pollutants in the normal classrooms and special classrooms of 13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13 sites in Chungnam from February 2006 to June 2007.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As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indoor air quality, volatile organic compounds were higher in normal classrooms(251.67㎍/m3) than special classrooms (181.59㎍/m3), and formaldehy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pecial classrooms (34.22㎍/m3) than normal classrooms (24.61㎍/m3). With regards to the differences of pollutant distribution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volatile organic compounds were the highest in elementary schools (210.79㎍/m3) followed by middle schools (207.79㎍/m3) and high schools (195.96㎍/ m3), and formaldehyde was the highest in high schools (36.03㎍/m3) followed by elementary schools (29.84㎍/ m3) and middle schools (29.16㎍/m3). With regards to the mean concentration of pollutants by school building age, VOCs were the highest in less than 1 year old classrooms (410.93㎍/m3), followed by less than 3 years old classrooms (156.52㎍/m3) and less than 2 years old classrooms (120.18㎍/m3). Formaldehyde was also investigat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less than 1 year old classrooms (41.37㎍/m3) than 2 or 3 years old classrooms (31.50㎍/m3, 22.21㎍/m3, respectively).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변화로 인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학교 부적응 학생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학교 부적응 학생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학교 부적응 학생들에게 코칭기법을 적용해보고, 코칭기법이 학교 부적응 학생들의 역할지지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학교 부적응 학생의 지지를 위한 이론적 접근으로 학교 부적응 학생의 문제와지지 기반, 코칭 환경, 코칭 접근법 및 학교 부적응 학생의 코칭을 위한 한국코칭학회 코칭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에 입각하여 2명의 학생에게 코칭을 실시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 부적응 학생을 지지하기위한 코칭 영역으로 지각 사례, 시설거주학생의 두 사례로 나누어, 각 사례 별로 유용한 코칭 질문들을 도출해내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질문과 코칭 사례를 통해 앞으로 학교 부적응 학생의 학교 내에서의 일률적이고 통제 및 지시 전달 위주의 교사의 학교 부적응 학생에 대한 선도 방향을 제시하고 나아가 학생들과의 갈등과 학생 상담 및 지도의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교사와 학생간의 갈등 완화에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대화기법으로 교사의 역할 지지의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나아가 학교의 역량을 발휘하고, 학생 개인의 성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한 가지 리더십 의사소통 방안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를 전공하고 특수교육지원센터와 학교에 기반을 둔 치료지원 서비스 전문가의 근무환경 과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향후 교육기반 작업치료사의 복지향상과 최적의 치료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0년 1월 4일부터 2010년 1월 20일까지 전국에 있는 특수교육지원센터와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작 업치료 전공자를 대상으로 전화, 우편,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수한 총 6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 고용형태는 계약직 전일제, 직책은 작업치료사, 급여는 150~200만원 미만, 순회 근무지 수는 1곳, 대상 아동 의 장애유형은 지적장애, 치료 기구 및 장비의 구비 상태는‘그저 그렇다’로, 관련서비스 팀원으로 특수교사로 대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학교에 근무할 때 전체만족도가 높았고, 정규직이고, 급여가 많을수록, 1일 치료 아동 수가 적을수록 보상체계 만족도는 높았으며 근무처와 직책에 따라 자율성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료기 구 및 장비 구비 여부에 따라 업무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1일 치료 아동 수에 따라 인정지위와 자율성, 만족도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도 요인 중 업무체계와 보상체계, 업무체계와 자율성, 인간관계 와 인정지위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특수교육지원센터 및 학교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비롯한 치료지원 전문가들의 근무환경 개선과 직무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과 방안이 필요하며 학교기반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세미나 및 보 수교육, 학교 기반 작업치료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정신내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부적응 아동에게 대상관계이론을 적용하여 상담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사례는 내담자의 부모와의 과거 경험을 탐색하여 어린 시절에 형성된 분열된 대상관계가 현재의 대인관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새로이 통합시키고자 하였다. 내담자는 가족 내에서 부모의 무의식적 가정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어떠한 부정적인 소인을 가지게 되었는지 인식하게 되었다. 18회에 걸친 상담을 통하여 내담자의 많은 부분을 의식의 세계로 옮겨오고 표출할 수 있었으며 내담자는 부분적으로 통합된 대상관계를 내재화하였다.
이 연구는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해설 ‘평가’ 항목에 대한 비평적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및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 설문 조사연구 그리고 포커스 그룹 면담이었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교육과정 해설 ‘평가’의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교사의 참고 여부와 정도, 평가 항목 자체의 문제, 효율적 적용 방안 등을 살펴보았다. 현장의 한문 교사들은 평가 항목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 인식을 나타내었다. 현장 한문 교사들의 부정적 인식에 작용하는 배경을 탐구하였다. 학생 평가의 본질, 학생 평가의 변인, 그리고 교육과정과 학교 현장 사이의 소통성의 문제가 개입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정 개발진들의 상세화에 대한 배려와 교 육과정 실행 주체인 교사들의 역략 제고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初等學校漢字敎育의 實態와 要求에 대해 設問調査를 통해 밝혀, 추후 國家水準의 敎育課程에 그 결과가 적절히 반영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자 하였다.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필자는 전국 16개 시도 초등학생과 초, 중, 고, 교원(교장, 교감, 전문직 포함), 그리고 초, 중, 고에 재학하는 자녀를 둔 학부모를 설문 대상으로 삼았다. 기본적으로 學生이나 敎員, 學父母모두 初等學校漢字敎育의 必要性을 인정 하고 있었으나, 初等學生의 경우, 學校에서 이루어지는 漢字공부에 대한 흥미도 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學校의 漢字敎育실태를 소재지 규모별로 볼 때, 漢字敎育을 하는 學校數는 중소 도시나 읍면지역 소재 학교가 대도시 소재 학교보다 더 많았고, 이들 중에 공부한 기간만 따지면 오히려 대도시 소재 학생들이 타 지 역 학생들보다 더 많았다. 主要學習內容面으로 보면 學校와 家庭이 많이 달랐다. 學校에서는 ‘基礎漢字’ 종류의 지도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家庭에서는 ‘級數試驗’ 대비 교육이 월등 히 많았다. 이것은 學校와 家庭에서 漢字敎育을 통해 추구하는 目的이 다르다는 것으로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리라 본다. 다만, 學校에서 이루어지는 漢字敎育 은 교육청 인정도서나 학교 자체 개발자료를 통하는 경우가 많으나, 家庭에서는 그러한 자료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級數試驗대비용 자료로 교육을 시 키는 것도 하나의 영향일 수 있다. 敎員과 學父母의 要求를 바탕으로 初等學校漢字敎育의 바람직한 方向을 제 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89.6%의 절대 다수가 ‘주 1시간 혹은 그 이상의 수 업시수 확보‘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다음 敎育課程에서는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 가 요구된다. 둘째, 漢文敎育用基礎漢字와 같은 漢字學習量의 기준 마련이 필 요하다. 또한 중점 지도 내용-’漢字‘ 혹은 ’漢字語彙’-에 있어서도 적절한 배분이 필요하다. 셋째, 漢字공부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가 낮으므로 좀 더 흥미를 느 낄 수 있는 지도 방법의 구안이 필요하며, 특히 ‘漢字쓰기’에 대해서는 다수가 공통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지도 방법도 찾아야 하겠다. 다음 敎育課程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漢字敎育을 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다. 그동안 연구자들이나 학계에서는 주로 初等學校漢字敎育의 必要性을 강조하 는데 공을 들였으나, 이제는 漢字敎育을 정규 시간에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한 시기가 되었다. 향후 ‘누가 가르칠 것인가?’, ‘무엇을, 어 떻게 가르칠 것인가?’ 에 대한 구체적인 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한국에서는 초등학교에서의 한자 교육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게 일고 있 다. 본 연구는 한국의 어문 교육 정책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초등학생들의 요구, 그리고 그것을 강화하기위한 바람직한 계획을 확인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목적 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자 학습 경 험 및 한자 지식’, ‘한자교육 실태’,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대한 인식과 방안’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 국가의 교육 과정과 교과서, 교육청, 학교 등에 서는 공식적으로 초등학교에서의 한자 교육을 언급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교사들 의 77.3%, 학부모의 89.1%가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대해 찬성했다. 본 연구에서 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초등학교 한자 교육 유형을 한문 과목 신설안, 국어과 내용 포함안, 교육과정 별첨자료안, 재량․특별활동 포함안, 교과서 한자 표기안등 다섯 가지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교사와 학부모 모두 한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 보여주었지만, 방향 및 계획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나타 냈다. 교사들은 주로 ‘재량․특별활동 포함안’을 지지한 반면, 학부모들은 ‘교과서 한자 표기안’에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한자 교육 을 규정하는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이나 교과서 활성화에 대한 정책 마련을 제안 한다.
初等學校漢字敎育은 단지 漢字학습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과서에 있는 ‘敎科漢字語’의 의미를 올바르고 효율적으로 익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우리말 을 정확하게 구사하기 위해서도 漢字敎育은 반드시 필요하다. 한글 전용정책이 시행된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학생들은 교과용 한자어를 漢字學習을 통해 익혀 온 것이 아니라 한글 낱말을 그 뜻과 함께 注入式· 暗記式으로 학습하였다. 이러 한 학습 방식은 대단히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학습효과도 기대할 수 없는 것이 다. 漢字의 뜻을 알고 그 漢字語의 의미를 파악한다면 분명히 그 뜻을 정확하게 학습할 수 있다. 또한 初等學校漢字敎育이 私敎育의존도를 높이고 초등학생들 에게 학습 부담을 줄 것이라는 의견도 현재 漢字敎育을 시키고 있는 초등학교에 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정반대의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한글의 우수성은 더 말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우리는 오랜 세월 漢字文化圈에서 살아왔으며 우리말 의 상당수가 한자어인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漢字와 한글이 수레의 두 바퀴처럼 상호 보완을 할 수 있는 文字· 言語敎育이 우리에게 가장 이상적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