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16

        981.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가족 간 협력은 특수교육의 성과를 최대화하고 장애학생 가족의 삶의 질을 증진시킨다는 점에서 가족지원을 위한 중요한 초석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사들이 장애학생 가족과의 협력과 가족지원에 관해 어떤 경험과 인식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17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포커스그룹 면담과 개별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특수교사와 가족 간의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가장 중요한 주제로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크게 세 가지로 범주화되었다.: (1) 협력의 당사자인 교사와 가족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 요인, (2) 협력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행동과 태도, (3) 협력을 위한 기반요인.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특수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982.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동기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습부진학생 지도교사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동기향상 프로그램의 모듈을 구성하였고,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총 12회기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모듈은 주요 동기요소인 목표설정, 자기효능감, 성취동기를 토대로 하고,대인관계 증진과 스트레스 대처 모듈을 추가하였다. 학교 교사가 직접 실시할 수 있도록 교사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운영 메뉴얼과 학생 워크북을 제작하고, 예비집단 운영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였다. 완성된 프로그램은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 1개교에서 교사 4명이 학생 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실시집단 28명과 미실시집단 29명에게 학습자특성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실시집단의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학습동기와 목표지향성 유형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특성 및 학교현장의 운영 가능성에 적합한 동기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그 밖에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983.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의 구안과정은 박인우(1995)의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과정을 거쳤으며, 이론전문가와 현장전문가의 자문을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총 11회기로 구성된 최종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경기도 소재 G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중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30명)과 통제집단(30명)을 구성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사도구는 Schlein과 Guerney의 ‘관계성 변화 척도’를 문선모가 우리 실정에 맞도록 번안한 대인관계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으로 통계적 분석과 집단원들의 회기별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능력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용분석에서도 실험집단 참가자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984.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rammar learning strategie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ny effect of their usage of those strategies on grammar test scores. To understand different types of grammar learning strategies, the 148 students were asked to indicate their extent to which they use as to 16 statements concerning grammar learning. Their responses to the 16 Likert type scale instrument were factor analyze and the results identified four distinct dimensions of strategies: ‘reflecting on the pre-existing knowledge', 'asking for assistance', 'applying knowledge', and 'taking autonomous actions'. After the identification of the four types of strategies, their strategy scores were related to subjects' grammar test scores by the application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multi-variate statistics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ith lower scores on the grammar test actually used higher frequency of reflecting strategy than those subjects with higher scores on the test, which was contrary to researchers' expectations. The unexpected result was interpreted in terms of the dimension of declarative knowledge of grammar with which subjects whose grammatical competence has not established tend to be more exploratory in employing the strategy than those students who have already acquired those declarative grammar skills. With the clear item loading onto each factor, the instrument may be used for assessing high school students' grammar study strategies, a part of English learning behavior.
        985.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무용만족도 및 무용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여 무용수들의 무용지속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예술 고등학교와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여학생 377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자아탄력성, 무용만족도, 무용지속의도 질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거친 후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자아탄력성은 무용만족도와 무용지속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자아탄력성과 무용만족도, 무용지속의도 간의 구조관계를 검증한 결과 무용만족도가 자아탄력성과 무용지속의도를 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무용전공에 따른 경로 비교를 위해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탄력성에서 무용지속의도로 가는 경로계수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986.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was to study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 decision to study nautical science program within a Thai maritime institute in preparation for working post-graduation as a ship officer on a merchant ship. The samples are classified by institute, academic year, cumulative score level, domicile, and parent's monthly income. The total sample of study was 386 Thai merchant marine students.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a one to five rating scale questionnaire. The statistical methods applied in analyzing the data were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d a Sheffe's test. The study shows seven factors that influenced the decision in descending order; expectations, tuition and scholarships, selection system, quality of the institute, background and private capability, generality of the institute and external influences on the decision. The decision to select an institute was classified by institute and revealed that different institutes had distinct determinants that led to the decision. The students were from The Merchant Marine Training Center and from The International Maritime College, Kasetsart University were differences. There were no dissimilarity between academic year, cumulative score level, domicile, and parent's monthly income.
        987.
        2013.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some issues in relation to Korean literature education plan for Chinese students. It is very regrettable that Korean literature education has been little educated in the Korean education field for Chinese students. Even though many people think that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educating Korean is unnecessary or unuseful. The main problem of literature education is the lack of useful textbooks. Therefor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meeting Chinese students' level is essential to improve the level of educating Korean for Chinese students. This paper hopes to contribute professors, teachers educating Korean for Chinese students to develop their teaching skill.
        988.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교사와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사기를 분석하였다. 초·중·고등학교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교사의 사기와 그 추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인식에 비해 학생의 인식 수준이 낮았다. 교사의 인식은 대체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학생의 경우에는 초등학생을 제외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수준이 감소하고 있었다. 교사의 사기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초·중·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에는 성별, 학력, 경력 등의 변수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생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교급에 따라 조금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초등학생은 성취수준, 사회경제적 배경(SES), 부모의 교육적 지원, 학교수준의 사회경제적 배경(SES)이었고 중등학생에게는 성취수준, 사회경제적 배경(SES), 부모의 교육적 지원, 월평균 교육비, 조사 시기, 대도시, 설립유형, 학교급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사기에 대한 교사와 학생 간의 인식의 차이는 교육 현장에 존재하는 두 주체간의 거리를 확인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므로 교사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조치와 함께 교사와 학생간의 인식의 격차를 좁히기 위한 노력도 필요함을 시사한다.
        990.
        2013.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폭력 가․피해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대상자의 수가 적고 연구 기간이 짧아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 제한점이 있으나, 향후 원예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청소년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또한 장기적인 원예프로그램뿐 아니라 학교와 연계된 가정에서의 원예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면 건강한 청소년기를 보내는데 원예활동이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이민정 등, 2012)
        996.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글은 학교도서관의 다대출 자료를 살펴 초등학교 저, 중, 고학년별 아동의 동화선호경향을 밝히고, 실질적인 동화선호경향 양상이 아동문학교육과 문학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함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기 위해 우선, 아동의 동화선호경향 분석을 위한 이론적 기저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와의 차별성을 두기 위한 귀납적 접근의 방법으로서 DLS프로그램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동화의 범주, 동화의 구성요소를 한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동화선호경향을 분석함으로써 학년군별로 동화의 범주와 구성요소 면에서 특별한 경향성을 드러내고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를 기초로 실질적인 아동문학교육과 문학교육과정 구성 방안을 제안하고, 이에 따른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997.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진로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다문화가정 학생 대상 진로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학생이 다수 재학 중인 일반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비교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고등학교에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부족하고,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 등 넓은 의미의 다문화교육 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와 비교하여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생의 진로교육 대안을 마련해 가는 과도기적 모습이 발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 관리자의 리더십에 의존하지 않는 안정적인 시스템과 지속적·체계적인 진로교육을 위한 통합적 시스템의 부재라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체 학생 대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및 다문화가정 학생 지도교사 연수 프로그램 강화, 허브기관 구축을 통한 안정적·통합적 진로교육 시스템 마련, 다문화가정 학생의 개별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세분화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과 같은 개선 방안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998.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태학 이론에 근거하여 외체계에 해당되는 학교주변의 자연환경을 살펴보고 개방성 및 접근성 정도에 따라 초등학생의 자연과의 연계성과 자아개념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하는 초등학교 4곳에 재학 중인 5학년 3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초등학교 4곳은 모두 도심 속 국공립 초등학교로 학교 주변으로 개방성 및 접근성 정도가 다른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 A학교는 큰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B학교는 근접한 곳에 도시형 녹지공원이 위치하고, C학교는 뒤편으로 낮고 작은 산이 위치하고, D학교는 우리나라 문화유산인 궁으로 둘러싸여 있다. 측정도구로는 Mayer and Frantz(2004)의 자연과의 연계성과 Kelley(1998)의 자아개념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연과의 연계성과 자아개념은 D학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자연과의 연계성 3.35±.51, 자아개념 3.55±.46), 초등학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차이를 보였다(자연과의 연계성 F=3.36*, 자아개념 F=9.25***). 자연과의 연계성과 자아개념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B학교(r=.48***)와 C학교(r=.37***)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일반적 특성인 성별, 환경관련교육 경험여부, 거주지형태를 통제한 부분 상관관계에서도 비슷한 결과로 나타났다. 학교 구분없이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 역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34***). 자연환경의 개방성과 접근성 정도가 비교적 좋은 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의 자연과의 연계성과 자아개념간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비록 학교 내 자연환경은 아니지만 외체계로써 시각적 또는 물리적 접근이 가능한 학교 주변의 자연환경 역시 아동이 자연과 연계된다고 인식하고 궁극적으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갖는데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겠다. 학령기에 해당되는 초등학생의 경우 학교생활과 방과 후 활동을 통해 발달적 과업 성취와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학교환경은 물론 학교주변 자연환경 역시 중요한 물리적 환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초등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해 학교 주변 자연환경은 자연 개방성과 접근성을 고려한 생태학적 환경으로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외체계를 제외한 나머지 체계와 관련된 변수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편의추출에 의한 자료수집 역시 본 연구의 제한점이 될 수 있다. 초등학생의 자연과의 연계성과 자아개념 간의 관련성 또는 인과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도록 변수추가에 따른 다각적인 연구방법(종단적 연구, 중재연구, 다변량분석 등)을 제언하는 바이다.
        999.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프로그램은 2007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원예 활동에 과학교육을 접목하여 아동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정서지능을 높이며 사회성을 향상시키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가 감소하였으며, 정서지능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교사의 관찰 일지를 통하여 관찰력과 탐구력 및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부모 설문지 결과를 통해 어린이과학생물학교 프로그램이 과학교육과 원예활동을 접목하여 창의적이고 탐구적인 효과를 얻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로 평가 되었으며, 이에 대한 학부모들의 기대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이 수업과정을 통해 자녀들이 지적인 습득과 함께 심리 정서적 안정감을 얻기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원예와 여러 분야의 교과부분을 접목하여 통합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보다 심도 있는 원예활동을 실시하여 아동들의 성장 발전에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연구해야 할 것이다.
        100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ifferent vocabulary teaching methods on low- level learners`vocabulary and reading achievement in the high school English classroom. The experiment was administered for two months on three homogeneous groups, each of which was taught vocabulary using the definition-based, the pictionary-based, and the context-based methods, respectively. Additionally, a higher proficiency group was also taught in the context method to see how different proficiency responds to the context method. The post-test results showed that the pictionary group performed the best on the vocabulary test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ext group. The pictionary group and the definition group increased in their reading scores while those of the two context groups remained the same. The vocabulary and reading proficiency difference that existed between the two context groups disappeare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emphasized the benefits of the pictionary method in teaching voca- bulary to low level students and indicate that implicit instruction of vocabulary using contextual cues and inference may not have pedagogical effects on low-level high school students and that it may even affect their vocabulary acquisition nega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