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87

        1041.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멀리뛰기 기록에 관여하는 운동역학적 변인들을 학년별로 비교 분석하여 체육교사의 멀리뛰기 실기 지도 능력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각 학년별 신장과 체중, 실기능력이 평균치에 근접한 중1, 중3 남녀 각 5명과 고2 남녀 각 4명씩 총 28명을 대상으로 3차원 영상분석 장비와 지면반력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학년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남학생들은 기록의 향상을 위해 구름발 이지 시 도약속도를 높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수평속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특히 저학년을 지도할 때는 발구름 도약 시 발뒤꿈치로 착지하여 앞꿈치로 이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각근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여학생들은 기록의 향상을 위해 수평속도 증가를 통한 구름발 이지 시 도약속도를 높이고, 발구름 소요시간을 짧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학년을 지도할 때는 발구름 시 뒤꿈치로 착지하여 앞꿈치로 도약할 수 있도록 마지막 보폭을 다소 크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각근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1042.
        2011.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에서 한국어학과를 개설한 대학교는 해마다 늘고 있다. 2011년 1월까지 중국 4년제 대학 중 103개 학교에 한국어학과가 개설되어 있다고 한다.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나라의 문화 교육은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문화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는 많지 않다. 그리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한국문화 교육의 비중이 점점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학생들은 문화 교육의 부족으로 한국의 사회와 문화와 접하게 될 때 문화적 충격을 받으며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학과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문화 교육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교육 내용, 교자 자질, 자매대학 협력 등으로 나누어서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1043.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실패내성 척도를 활용하여 무용전공 여학생들의 학년에 따른 실패내성의 발달적 차이와 실패 내성과 내적동기 간 관계를 다차원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143명의 중학교, 고등학교 무용전공 여학생들을 표집 하여 학년에 따른 실패내성의 차이를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석을 활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실패내성과 내적동기 간 관계는 정준상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학교급별 과제난이도 선호요인은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선호하고 실패내성이 더 낮은 것으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과제난이도 선호 요인은 학년 간 차이를 가장 잘 변별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과제난이도 선호와 실패 후 감정요인이 재미흥미와 노력요인과는 긍정적인 관계를, 긴장불안과는 부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1044.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Horst, Finney과 Barron(2007)의 사회적 성취목표 척도에 기초하여 체육수업에서 중고등학생들이 지향하는 사회적 성취목표의 개념적 구조를 검증하는 것이다. 1,024명의 남녀 중고등학생이 예비조사(N=180)와 본조사(N=844)에 참여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다집단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19문항 3요인(사회적 숙달, 사회적 수행접근, 사회적 수행회피)의 체육 사회적 성취목표 척도의 구인 타당도와 시간적 안정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집단 분석의 결과 성별과 학년급간 측정모형의 구인 동등성이 성립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잠재평균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사회적 수행접근과 수행회피 목표가 높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사회적 수행회피 목표 수준이 더 낮았다. 결론적으로 본 결과는 중고등학생들이 체육시간에 다양한 사회적 성취목표를 지향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1045.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과제지향적 분위기(TIC)와 자아지향적(EIC) 분위기 향상을 위한 수업지도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체육 수업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Ames(1992)가 제안한 TARGET 구조(과제, 권위, 인정, 평가, 집단, 시간)를 토대로 개발된 TIC와 EIC 프로그램은 체육수업(농구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 2개 반 학생들(TIC: 37명)과 EIC 프로그램(36명)에게 15회에 걸쳐 적용되었다. 마지막 15회 수업의 학생행동들(적절한 활동, 부적절한 활동, 협력학습, 인식, 과제관련, 비과제관련, 동료학습, 대기시간)은 컴퓨터 행동분석 프로그램(BEST)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되었다. 학생 수업행동 분석결과에 따르면, TIC 집단이 적절한 운동행동, 인지적 행동, 과제관련 행동, 동료학습에서 EIC 집단 보다 높은 행동빈도와 지속시간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EIC 집단은 TIC 집단 보다 부적절한 운동행동, 과제비관련, 대기시간에서 높은 지속시간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제지향적 분위기가 자아지향적 분위기보다 더욱 적응적인 성취행동과 연관돼 있다는 성취목표 이론의 예상을 지지하고 있다.
        1046.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남녀학생에 따른, 교사의 심리적 배경이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배경이 학생의 내․외재적 동기를 통해 반영될 때 학업성취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이 주관한「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에서 제공되는 전국규모 표집의 2주기 2008년 초등학교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배경, 학생의 학습동기, 학업성취도를 변인으로 구분하였고,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한 경로계수 추정 및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의 심리적 배경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고, 학생의 학습동기에도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교사의 심리적 배경은 학생의 학습동기를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교사의 열의나 사기는 외재적 동기와는 부적인 관계에 있었고, 외재적 동기가 학업성취에도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경로계수의 유의수준과 Sobel 검증결과를 살펴볼 때, 교사의 심리적 배경과 학업성취도 사이에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어, 학생의 내재적 동기는 부분매개로서 역할하고 있었다.
        1047.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Korea’s interest in environment protection is increasingly growing, and Korea realizes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national movement to minimize the effect is arising. As part of the movement, the need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on the ri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tegrated environmental experience programs allowing students to have experience activities in forests, rivers, and seas that they can approach easily around them and to hav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various plays. In addition, the study purposes to compare general educational education programs in actual education in terms of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students’ environment attitud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50 fourth graders in two classes of S elementary school in Busan, and the 25-student comparative group had the normal educational education program that is mostly being performed in actual education while the 25-student treatment group had the survey on environmental attitude after a class using an integrated environmental experience program. The survey content is about environmental attitudes, and it consists of six subjects such as general environment, environmental pollution, energy, water resources, recycling, and animal protection and has 7 or 8 items by each subject which is divided into eight sub-items including sensibility, belief, values, spontaneity, criticism, patience, attention and inter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experience program has a more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attitudes than the general educational program. In particular, it is really effective about the topic of animal protection among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s. Second,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experience program has a more positive effect on values and interests than the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1048.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을 할 때 인적, 물적, 심리적, 행·재정적 지원의 실태가 어떠하며, 어떤 지원 방안들이 요구되는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다문화가정 학생의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조사였다. 조사는 3단계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최종 3단계의 결과에서 인적, 물적, 심리적, 행·재정적 지원의 실태와 요구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적 지원으로는 한국어교육 자격 연수를 통한 전문가 양성, 한국어교육 전문가 및 다문화 전문가 활용, 멘토링 제도 운영, 한국어 학습 도우미 제도 운영 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매우 미흡한 수준으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물적 지원으로는 교재/자료 개발 및 보급, 다문화(한국어) 교육 센터 등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물적 지원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현장에서 실천되고 있었으며, 실제 현장에서는 연구 결과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프로그램 제작 보급보다는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KSL 강의실에 치중되어 있어, 내용보다는 형식적인 지원이 앞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심리적 지원으로는 다문화 인식에 대한 제고와 다문화 가정 학생을 일반학생과 동일하게 취급하고 그들의 자신감, 정체성 의식 향상과 공동체 의식 향상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모두 매우 미흡한 수준이지만 비슷한 순위로 실천되고 있었다. 끝으로, 행·재정적 지원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은 교사(한국어/이중언어)의 대우, 저소득층 자녀 대상 교육비 지원,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운영비로 나타났으나, 이 역시 현장에서는 매우 미흡한 수준으로 실천되고 있었다. 특히, KSL 교사의 지위 보장과 교재 및 교수·학습자료비 지원은 요구에 비해 행·재정적 지원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049.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삶과 교육에 대한 실제적인 내러티브 인터뷰의 경험을 통해서, 심층적인 생애사 연구를 위한 인터뷰 가이드의 개발과정과 최종적인 질문 목록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고자 한다. 연구자들은 1년 동안(2009년 9월~2010년 8월)의 실제적인 내러티브 인터뷰를 통해 인터뷰의 가이드를 개발하였는데, 3개 국가(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의 다문화가정 학생들(N=8)과 담임교사들(N=8)그리고 어머니들(N=8)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우리는 인터뷰 가이드의 개발과정과 질문목록을 생성하기 위해 연구자들(N=5)의 개인적인 인터뷰 경험,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이메일과 다음카페를 활용한 대화, 전화, 연구자들(N=5)의 반성적인 저널을 활용하고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정 학생의 삶과 교육을 생애사적으로 탐구하기 위한 인터뷰 가이드는 세 차례에 걸친 작업을 통해서 총 6개 영역(①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생활 영역, ②다문화가정 학생의 교육과정 및 수업 영역, ③다문화가정 학생의 가정생활 영역, ④다문화가정 학생의 교우관계 영역, ⑤다문화가정 학생의 어머니에 대한 영역, ⑥다문화가정 학생의 담임교사에 대한 영역에 대한 질문목록을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각 영역의 질문목록은 지속적인 내러티브 인터뷰의 과정을 통해서 새롭게 수정, 삭제, 추가, 변화되었다. 특히 연구자들의 반성적인 실천과 공동의 사고과정을 통해 인터뷰 가이드의 질문목록을 재구성하는 역작업은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우리가 생성한 다문화가정 학생의 삶과 교육에 대한 인터뷰 가이드의 개발과정과 최종적인 질문목록들은 장차 다문화교육 연구를 수행할 질적 연구자들에게 하나의 예시적인 안내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050.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수년간 학교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사회성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와 이론적 탐색을 통하여 1차 예비검사 122문항이 작성되었으며, 이를 언어이해력이 높은 충북 C시에 있는 C 대학의 교육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관련 전문가 3인의 문항내용 검토를 통하여 56개 문항으로 축소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2차 예비검사는 충북 C군에 있는 B초등학교 5-6학년생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관련 전문가의 내용 검토를 거쳐 3개 요인 17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2차에 걸친 예비검사를 통해 구성된 결과를 토대로 본 검사를 제작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인관계(6문항), 협력성(6문항), 사교성(5문항)의 3요인은 예비조사와 본 검사에서 동일한 구인을 형성하였다. 본 검사에서 사용된 3요인 17문항의 사회성 검사도구 전체 문항 신뢰도는 .878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구성된 위계적 구조모형이 구인타당도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문항의 적합도 지수가 대체로 적절하게 나타났다.
        1051.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여가활동 유형이 독서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277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여가활동 유형 관련배경변인을 조사하고, 여가활동의 유형 별로 초등학생들의 독서 특성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생들의 여가활동 선호 유형은 놀기, TV시청, 컴퓨터 게임, 책읽기 순으로 조사되었고, 독서특성 중 독서행동 영역에서만 성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여가활동 참여 유형과 독서 특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독서특성과 1일 컴퓨터 게임시간, TV시청 시간은 독서특성의 4개 전 영역, 독서태도, 독서행동, 독서여건, 독서인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1일 독서시간과 독서량은 독서 특성 4개 모든 영역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 독서량에 있어서 7권이상이 독서 아동은 독서특성 4개 영역 모두에서 5-6권, 3-4권 독서 아동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독서 특성의 발달을 위해서는 TV시청과 컴퓨터 게임을 최소화하고 적절한 독서를 할 수 있는 여가활동 교육 및 여가환경 개선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1052.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에서의 수업 시수 차이에 따른 학외활동의 소비시간 변화와 활동종류별 평균활동계수를 파악하여 초등학생의 활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초등학생의 활동 내역을 사전 조사하여 기존의 인터넷 프로그램을 보완한 다음, 서울시내 거주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4교시 수업일과 6교시 수업일의 활동별 소비시간을 조사하였다. 활동의 종류는 학내활동과 학외활동으로 구분하고, 학외활동은 학습, 휴식, 여가, 통학, 가사, 생리 활동으로 구분하였다. 총에너지소비량은 4교시 수업일 2300㎉, 6교시 수업일 2230㎉로 조사되었으며, 1일 평균활동계수는 각각 1.73, 1.67로, 6교시 수업일이 4교시 수업일보다 낮았다. 학교에서의 수업시간이 길어지면 여가활동의 시간 및 소비 에너지가 가장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내활동의 활동 강도는 평균활동계수(PAL)가 1.8 가량으로 저강도 활동(PAL = 2.0~2.9)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활동실태를 4단계 활동수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조사 대상 학생의 35% 가량은 저활동적 단계, 40% 가량은 활동적 단계로 밝혀졌다. 총에너지소비량은 6학년이 5학년보다,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으며, 과체중 및 비만, 정상, 저체중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외활동 가운데 학습활동과 가사활동의 소비 에너지는 학년별, 성별, 비만도 집단별 차이가 없었으며, 휴식활동과 여가활동의 소비 에너지는 학년별 차이는 없고, 성별, 비만도 집단별 차이는 있었다.
        1053.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exhibits at the ecological museum applicable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For this study, we chose 60 gifted students attending U Institut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classified these students into two groups, then applied newly developed program to the 30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nd applied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o the 30 comparative group students. Below are the study results: Firs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exhibits at the ecological museum was much effective in increas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gifted students as compared to the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Seco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exhibits at the ecological museum was much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willingness to environmental act for gifted students as compared to the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ird, the satisfaction of the gifted students ab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exhibits at the ecological museum was higher than the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1054.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CT를 기반으로 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 새로운 기법을 제공하는 기술 공학적 도구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고, 그에 따라 학교 대수교육도 그 요구에 부응하도록 변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CAS 계산기의 활용이 학습 부진 학생들의 이차방정식 개념 이해와 풀이 방법에 미치는 효과와 학습 과정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이차방정식의 수업 현장에서 적합하고 효율적인 공학적 도구 사용에 적절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강원도 M중학교 3학년 학생 중에서 이차방정식 풀이에 어려움을 겪는 3명을 연구 대상으로 5차시의 CAS 계산기 활용 수업을 한 결과, 학생들은 이차방정식에 대한 개념 이해 및 풀이 방법에서 상당한 진전을 보였다. 또, 학생들은 스스로 사고 과정을 반성하고, 수학적 표현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수학 수업에의 흥미와 학습의욕을 증대시키고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여 수학적 성취감을 느낄 수 있었다.
        1055.
        2010.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로 대상자들은 회기를 거듭할수록 작업에 흥미를 보이며 자신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거나 자신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이는 연구 결과에서 나타나듯이 부정적이고 낮은 자아개념를 가진 정신지체학생들에게 작업의 참여와 흥미를 유도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차후에 이들이 학교 졸업 후 사회생활과 연계되어 지속적으로 운영될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1059.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방과 후 특기 적성 교실의 원예-국어 통합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국어과 관련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및 식물친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수원, 군포, 양평의 초등학교에서 방과 후 특기 적성 교실에 참여하는 2~5학년의 학생들 41명을 대상으로 2010년 3월 23일부터 7월 9일까지 매주 1회, 회기 당 1시간20분씩 총 15회에 걸쳐 원예-국어 통합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원예활동을 통합하여 실내․외에서 개별 및 집단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전후에 국어과 관련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및 식물친숙도를 검사하였는데 원예-국어 통합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아동의 국어과 관련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및 식물친숙도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교육현장에서 교과목과 연계한 다양한 원예교육프로그램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개발 및 보급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위한 교육영역의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1060.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w would environmental education be implemented for effectiveness today? Deep reflection on the way of teaching environment in classes to achieve effectiveness is required. If there exist differences in students' environmental perception depending on environment class pattern, its most effective way should be looked for.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ducing the students to have advisable attitude voluntary about environment is more important than teaching them environmental knowledge. From such view,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s necessary for successful environmental classes. Students need to be set to share their principle, values, attitude about environment problems at environmental class through presentation which is important factor to make them have advisable environmental attitude. Therefore, environmental class need to be carried out student-led way. For that, a class model need to be designed which will be helpful for the students to arrange and elaborate their emitting thought about environment problems through disclosing their thoughts to share them with fellow students which will end up in their advisable environmental attitud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contributive to offering various environmental perception to students and grasping others' thinking about environment. Fifty-eight 10th graders at U Science High School in Ulsa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at carried out from 2010 April to June by choosing total 10 environmental themes divided into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lied to the 30 test group students, and general environmental class applied to 28 control group students. Following are the study results. First, in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with them in general environmental class. Second, in students' intentional environment action, the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with them in general environmental class. Third, in students'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al class, the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with them in general environmental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