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4

        61.
        202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주 양육자와의 부모애착, 또래관계, 회복탄력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또래관 계 및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 였고,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애 착, 또래관계, 회복탄력성은 보통 수준이었고, 개인 배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둘째,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은 부모애착의 신뢰감과 소외감이었으며, 셋째,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모애착의 신뢰감과 또래관계의 신뢰감, 또래관계의 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결국, 중학생의 또래관계와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 및 또래와 의 신뢰감을 높이고 또래 간에 긍정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부모들은 부모애착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자녀와의 안정 애착을 함양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하며, 학교, 사교육기관 및 교육기업, 지역사회 단 체들은 중학생들이 또래관계에서 신뢰감을 쌓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인성교육과 자 존감 향상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6,000원
        6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버에 따르면 ‘나—너’ 그리고 ‘나—그것’은 사람이 세계에 대해 취하는 이 중적인 태도를 표시한다는 의미에서 근원어라고 불릴 수 있다. ‘나—그것’은 사 물의 세계다. 내가 ‘그것’이라고 말할 때 ‘나’는 타인을 대상물로 소유하고 그것 으로부터 사물성을 이끌어낸다. 이때 나는 대상물을 소유하는 주체로서 세워진 다. ‘나—너’는 관계의 세계다. ‘나―너’는 내가 타인을 대상물로 인식하지 않 으려고 노력할 때 자기중심주의가 극복될 수 있고, 자기중심주의가 극복될 때 자기중심주의 너머에 있는 사이의 영역이 모습을 드러낸다. 자아의 의도에서 도 출되지 않은 이 사이의 영역에서 나는 직접적인 상태로 너와 관계를 맺을 수 있 다. 부버는 ‘나—너’를 다른 말로 만남이라고 부른다. 􋺷데이지 밀러: 한 연구􋺸 에서 윈터본은 데이지를 ‘나—그것’으로 대한다. 윈터본은 데이지를 본 순간 그 녀의 아름다운 외모에 반해 그녀에게 사로잡힌다. 그는 데이지에게 호감을 느끼 면서도 그녀에게서 냉철한 시선을 거두지 않는다. 윈터본은 데이지를 범주화하 고 관찰하고 연구하면서 그녀를 추론과 인과율의 세계에 가둔다. 결국 윈터본은 데이지가 창녀 같은 여자라고 확신하게 되고 그의 의식에 그녀는 일정한 내용 을 지닌 사물과 같은 ‘그것’으로 저장된다. 결국 윈터본의 이런 태도는 데이지 의 죽음을 초래한다.
        5,500원
        6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회복환경으로서 농촌경관자원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조경학과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농촌경관 유형별 회복환경지각척도와 선호도 및 회복성을 조사하였다. 8개 경관유형별 회복환경지각척도를 분석한 결과 하천과 저수지가 여타 경관보다 높게 나타났다. 물이 포함된 공간을 선호하였고 돌담, 다랑이논, 전통마을 등의 생활경관은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낮았다. 회복환경지각척도 요인분석 결과 ‘적합성’, ‘매력성’, ‘벗어남’, ‘규모’ 등 4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모든 요인이 선호도 및 주의회복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선호도에는 적합성 요인이, 주의회복성에는 규모 요인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다. 선호도와 주의회복성 간에는 다소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선호도가 높을수록 주의회복성도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모든 경관유형에서 벗어남 요인과 규모 요인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적합성 요인은 가장 낮았다.
        4,200원
        64.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support policies and intervention programs through an in-depth and integrated exploration of the experiences in the of recovery and social adaptation through therapeutic community of male homeless alcohol depen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participants through an in-depth interviews and were analyzed the life history research suggested by Mandelbaum (1973). This analysis was conducted the perspectives of the life domain, turning point, and adaptation, which are three structured analysis frameworks, beyond the continuity of chronological life history. Results: The results were the dimensions of life that led to alcoholism, turning point where life changed, and adaptation to live for self-realization with new life values while maintaining sobriety. Its content includes the adaptation process. Conclusion: Follow-up studies and activities for an integrated support policy and intervention program should be conducted by reflecting on the problem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raised above.
        4,500원
        65.
        2022.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67.
        2022.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이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사회 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보육교사 와 유아의 보육효능감을 증진하여 영유아를 잘 보육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 고자 한다. 연구변인 간 상관성을 확인한 결과,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사회적지 지, 회복탄력성, 보육효능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 적재값이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 관측 변인들은 해당 잠재변인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변인 간 영향 관계를 검 증한 결과,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은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보육효능감 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회복탄력성은 보육효능감에 유의한 정(+) 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효능감 사이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은 회복탄력성을 매개하여 보육효능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검증되었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회복탄력성이 매개역할 을 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성장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보 육교사의 역할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유아들에게 질 높은 보육서 비스를 제공하고 보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 의가 있다.
        9,500원
        68.
        2022.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폭력가정에서 성장한 대학생이 대인관계 갈등과 학업 진로에 대한 불안으로 겪는 심리적인 고통과 혼란 감을 상담을 통해 회복하는 경험에 대한 단일 사례연구이다. 대학생 시기는 학업 성취와 이 시기에서의 발달 과제인 이성과의 친밀감을 형성하고, 독립적인 사회인이 되기 위한 준비 시기로서 정체성 형성에 기반이 되는 일과 관계를 맺는 방식과 삶의 방향을 설정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하지만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실태조사에 따르면 대학생 연령대의 30%에 가까운 젊은 청년들이 정신질환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이의 해결이 절실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자원 중심 상담과 감정 자유 기법 그리고 알아차림 호흡 명상을 활용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 4학년인 여자 대학생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담에서 참여자가 호소하는 문제를 삶에서 이루기를 원하는 긍정적인 목표로 설정하였고, 이를 성취하기 위하여 내적 자원 활용, 개별적 수용, 변화로의 동기 부여, 이를 유지하고 확대하는 상담 과정과 정서의 수용과 알아차림 호흡 명상을 접목하여 마침내 생활상의 변화를 이루어 내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참여자는 본 연구의 통합적 접근 상담을 통해 생활의 균형과 자기 통제력을 회복하게 되었으며 일과 관계를 맺는 방식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폭력가정에서 성장하며 경험했던 왜곡된 자기 지각, 부정 정서와 행동으로 고통 받는 참여자의 변화와 성장을 위해 본 연구에 적용된 기법들을 통합적으로 사용하면 효과적인 개입 법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4,600원
        69.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태평양전쟁 시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사외교를 통한 대외적 자율성 확보 정책을 분석하였다. 아시아·태평양전쟁은 임시정 부의 활동 공간을 확장시켰다. 전쟁이 발발하자 임시정부는 중국으로부터 한국광복군에 대한 자주성을 회복하고, 미국·영국 등 연합국과 군사합작을 통해 전후 승전국의 지위를 얻고자 하였다. 미국과 영국은 정치적으로는 임시정부를 승인하지 않았으나 군사적으로는 임시정부와 협력관계를 유지 하고자 하였다. 임시정부에서 추진했던 군사외교활동이 국가의 대외적 자 율성 확보 측면에서 갖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외적 자율성 확보 를 위해서는 대내적 환경의 안정성이 선결되어야 한다. 둘째, 대외환경의 변화는 대외적 자율성을 추구하기 위한 기회이자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셋째, 강대국과의 이해관계가 일치되는 요소는 대외적 자율성 확보 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임시정부는 아시아·태평양전쟁이라는 기회를 활용 하여 최종적으로 임시정부에 대한 연합국의 승인을 얻어내고자 하였다.
        6,400원
        70.
        2022.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itial and convalescent treatment of acute pancreatitis (AP) is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the prognosis and prevent the recurrence in the patients with AP. Initial intensive treatment includes fluid therapy, pain control, antimicrobial therapy,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and nutritional support. Goal-directed therapy is recommended for fluid therapy, and the routine use of prophylactic antibiotics is not recommended. In acute gallstone pancreatitis, urgent ERCP should be performed only in patients with cholangitis or persistent cholestasis. Early oral feeding is advisable as tolerated and enteral feeding via nasogastric or nasojejunal tube appear comparable. In convalescent treatment, cholecystectomy during the initial admission is advisable for mild biliary pancreatitis with gallstone as possible, and treatment against alcohol dependence is considerable for recurrent acute alcoholic pancreatitis. In this review, we recommend practice guidelines for initial treatment, nutritional support, and convalescent treatment.
        4,000원
        71.
        202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의 이론에 근거하여,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이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회복탄력성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와 유아의 보육효능감을 증진하여 영유아를 잘 보육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효능감에서 회복탄력성의 인과관계 구조를 연구모형으로 설정 하고, 증적으로 살펴봄으로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효능감의 관계 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이 보육효능감의 관계에서 보육효능감을 향상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 료 제공과 실천적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6,300원
        7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출소자를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효과성을 검증 하였다. 연구 참여대상자는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경기지부에서 보호 사업을 지원받는 출소자로 선정되었고,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은 ‘보호대상자용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8회기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실시 결과, 회복탄력성의 전체적인 수준이 증가하였고, 중범주 중 정서통제와 사회관계 수준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긍정사고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출소자의 성공적인 사회복귀의 보호요인으로 회복탄력성이 증진되어, 이는 향후 갱생보호를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6,400원
        73.
        202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가족의 회복력이 삶의 질과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재가급여 대상 치매노인의 가족 을 편의표집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13명의 조사결과를 분 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회복력의 평균점수가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회복 력 요인 중 ‘강인함’이, 삶의 질 요인 중 ‘신체적/물리적 안녕감’이, 부양부담 요인 중 ‘가 족관계의 부정적 변화’이 가장 평균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력과 부양 부담 간에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치매노인 가족의 회복력 중 강인함, 지지, 영성의 영향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지는 삶의 질 뿐 아니라 부양부담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정책 및 개입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6,300원
        75.
        202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원강사의 역할수행이 중・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수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서 학원강사들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중・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 및 수학 학습태도를 향상하려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원에서 수학 과목을 수강 중인 중・고등학생 7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학원강사의 역할수행은 학습지도> 학급운영> 생활지도≥ 보충지도> 상담지도> 진로지도의 순이고, 학생의 회복탄력성은 긍정성>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의 순이며, 학생의 수학학습태도는 교과에 대한 학습습관> 교과에 대한 태도 >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원강사의 역할수행은 학년과 수강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고, 중・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은 성별, 학년, 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수학학습태도는 학년, 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은 성적이 높을수록, 학원강사가 생활지도, 상담지도, 보충지도를 잘한다고 인식할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등학생의 수학학습태도는 학원강사가 진로지도를 잘하고, 학생의 자기조절 능력 및 긍정성이 좋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500원
        76.
        2021.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재활병원에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작업기반 임파워먼트 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회복탄력 성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단일군 사전-사후 비교검사 설계이다.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MSE-K) 로 대상자를 선별한 후 대상자 15명을 선정하였다.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은 4주간, 주2회 30분씩 진행하였다. 중재 전·후 측정을 위한 도구로 임파워먼트 척도(Empowerment Scale), 한국형 회복탄력성 척도(Korean Version of Connor- Davidson Resilience Scale), 생활만족도조사(Life Satisfaction Survey)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1.0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 작업기반 임파워먼트 증진프로그램 중재 전, 후 평균을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통하여 중재 전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 첫째, 임파워먼트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 자기존중-자기효능, 힘-무기력, 지역사회참여 및 자율성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강인성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생활만 족도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 의식주, 인간관계, 사회생활 및 여가생활, 행복감, 자율성 및 자아감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작업기반 임파워먼트 증진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의 치료에 있어 임파워먼트와 회복탄력성, 생활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며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중재법으로 작업치료 영역에서 고려해볼 수 있다.
        4,300원
        80.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감염병으로 인해 면회가 통제된 상황에서 재활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면회가 기능회복 영역 및 정신 사회적 영역의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재활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 52명의 기능회복 영역에 대하여 Mini Mental State Ezamination-K(MMSE-K), Global Deterioration Scale(GDS), K-Modified Barthel Index(K-MBI), Grooved Pegboard Test를 평가하였고, 정신 사회적 영역에 대하여 Quality of Life(QoL), Emotional aspects of Loneliness and Isolation(ESLI), General Self-Efficacy Scale(GSE),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를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면회집단과 비면회집단으로 구분되었고, 초기와 재평가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대응표본 t-test, Spearman's 상관관계 분석, 단순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면회집단 20명, 비면회집단 32명이었으며, 면회집단의 K-Modified Barthel Index(K-MBI)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General Self-Efficacy scale(GSE) 점수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p < .05). 비면회집 단의 Mini Mental State Ezamination-K(MMSE-K), K-Modified Barthel Index(K-MBI) 점수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 정서평가의 Emotional aspects of Loneliness and Isolation(ESLI),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점수는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 < .05). 면회와 Global Deterioration Scale(GDS) 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Quality of Life(QoL)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감염병으로 인해 면회가 제한된 재활요양병원 입원환자를 위한 정서지지 프로그램과 면회 제한에 대한 작업치료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