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is well known that the test and evaluation plan (TEP) is very crucial in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safety-critical systems. As such, this paper discusses an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the TEP for a system that should meet safety requirements in the systems development process. It is studied how to incorporate the result of preliminary hazard analysis (PHA) in generating the safety requirements. It is also discussed how to deal with them when the system requirements (i.e., functions, performance, constraints, components, etc) and the safety requirements are integrated into one model. While doing so, we have constructed the required traceability among them, which is necessary and very useful when the safety requirements need to be corrected or be changed. The use of the traceability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heck out whether and how the safety requirements are properly incorporated in the system design process. Furthermore, without the verified traceability, the system cannot be changed or upgraded later. In order to implement the model on a computer-aided tool, we have constructed a database (DB) schema. As a result, the implemented model/DB allows to automatically generate TEP which can be used to measure the performance and safety level of the developed system.
This paper is studied on the efficient purification process of dimethyl carbonate (DMC) from the melt layer crystallization combining crystallization process, sweating process and distillation recovery process. Purity and yield of DMC crystal depended mainly on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cooling rate, sweating termperature sweating rate. Through the optimization of crystallization and sweating operation, DMC crystal can be upgraded to very high purity over 99.9% and high yield over 8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 efficient production strategy with changing factors to influence the productivity. The factors would be the number of Multi-Function worker, the method of job dispatching, and lot size. A simulation model has been developed for this study. We used AutoMod simulation and the process activity was animated to follow the flow of process easily. The alternatives have been tested through the simulation model, and the various alternatives is proposed for the efficient production strategy. We hope that the system is applied to similar typ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develop an efficient production strategy and to achieve the satisfactory result.
Everyone knows how much the company business goal is achieved is the most important to all companies. In order to maximize the business performance, many companies have introduced a diversity of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The effect of business performance is important in the business activity, but an efficiency of output-to-input concept is significantly important. Each year, companies have managed the business through a sum of performance. In terms of the efficiency of business performance, the management is importantly managed. In the efficiency of business performance, there are the main items including the total assets, employees, and operating expenses as the input. As the output, there are the main items of sales, current term's net income. This study is intended to calculate the business efficiency through DEA analysis for companies' business performance, and to study in order for the efficiency of business performance to be considered when the companies establish the mid and long term business plan.
All of the city gas companies in Korea must employ the gas safety patrols by law. The gas safety patrols are responsible for the various tasks including daily gas pipeline patrol to prevent gas accidents. Since the size of jurisdiction varies among the city gas companies, it is very difficult to compare their efficiency for the operations of the safety patrol each other directl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methodology to analyze and compare the efficiency of the safety patrol's operations among various city gas companies. Several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safety patrol's duty on the gas safety factors were identified and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for efficiency analysis was developed. Finally, the DEA model was applied to the collected data from six city gas companies. The less efficient city gas companies can benchmark the higher efficient city gas companies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control systems.
최근, 구조물의 건설에서 경제적으로 개선된 구조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많은 역량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구조물을 단순화시키고 시공기간을 단축시키고자 고성능강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구조물에 가해지는 단면적을 효과적으로 분배시키고, 자중감소와 용접개소를 줄일 수 있는 이점 등으로 인하여, 구조요소로서 LP강판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이러한 LP강판은 유럽에서 개발되어, 한국에서도 강구조물에 급속도로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구조적인 적용검토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의 고체요소을 이용하여 여러 단면형상에 대한 단면력과 처짐을 검토하여, 국내 생산 가능한 LP강판 제품에 대한 작업성, 효율성 및 경제성을 확인하였다.
많은 계산량이 요구되는 삼차원 접촉 문제의 효율적인 유한요소 해석을 위하여 영역/경계 분할 기법을 적용하였다. 접촉 경계면의 부등식 적합 조건과 부영역, 공유면, 접촉 공유면의 등식 적합 조건을 모두 벌칙 함수로 처리하였다. 이에 따라 모든 유효 강성 행렬이 양 정치화되므로, 역행렬과 같은 각종 행렬 연산이 매우 간편해진다. 또한 전체 영역의 형상이 복잡하더라도, 임의의 부영역, 공유면, 접촉 공유면 단위로 쉽게 유한요소 모델링할 수 있다. 즉, 관련 지배 방정식은 물론 경계 조건도 독립적으로 이산화할 수 있으므로, 국부적인 비선형 접촉 조건에 대한 효율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간단한 수치 예제를 통하여 삼차원 접촉 해석의 효율성에 관한 기본적인 경향을 검토하였다.
바이폴라막을 이 용한 전기탈이온(Continuous Electrodeionization-Bipolar Membrane(CEDI-BPM))공정 은 이온교환막의 이온 선택적 투과를 통한 제거의 효율을 높이며, 바이폴라막에서 생성된 수소이온과 수산화이온이 이온교환수지를 전기적으로 재생하여 재생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EDI-BPM을 이용하여 경도물질을 제거하고 전기적 재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온교환수지의 흡착 특성 및 유량의 변화에 따른 경도제거효율의 영향과 전기적 재생방법을 이용한 재생효율을 조사하였다. CEDI-BPM에서 Ca의 제거율이 Mg보다 높은 값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흡착실험에서 Ca의 높은 흡착능력과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Ca과 Mg의 플럭스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양이온 교환막의 선택 투과가 경도물질의 제거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EDI-BPM의 전기적인 재생 실험결과 재생 전압을 낮게 유지할수록 높은 경도물질 제거효율 및 높은 플럭스를 보여 전기적 재생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RCC/RSC의 효율성을 2개의 입력변수와 5개의 출력변수로 한 토대로 퍼지 DEA를 이용하여 측정 평가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 발생자료 뿐만 아니라 환경스트레스치에 의한 잠재적 해양사고 발생가능 자료도 고려하여 운영효율성을 분석하였다. 한편, 현실자료에는 수많은 애매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DEA법에 퍼지이론을 이용한 퍼지 DEA법을 이용하였다. 이 퍼지DEA법은 α-cut을 기반으로 한 크리습 선형계획문제로 변환된 것으로 입/출력 변수를 삼각형 퍼지수로 하여 해를 산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제안된 퍼지 DEA를 이용하여 퍼지 RCC/RSC의 순위를 결정하였다. α-cut을 0.5로 하여 효율성을 산출한 결과 YS, BS, MP, TY, JJ, PH, US, IC, SC, DH, GS, TA, WD RCC/RSC 순으로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효율성이 비교적 낮게 평가된 TA, WD RCC/RSC는 효율성이 높은 준거집단을 참조하여 벤치마킹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C. Harris와 M. Stephens에 의하여 제안된 Harris 모서리 검출기는 영상처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특징추출 알고리즘이다. Harris 모서리 검출기는 지역적 신호의 상호관계를 기반으로 회전과 비율, 조명 및 영상의 잡음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검출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검출된 모서리들은 독립된 점이 아니라 영역형태로 출력되기 때문에 특징점으로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으므로 각 영상의 상태와 여러 환경변수가 고려된 후처리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런 문제점은 영상 정합 환경에서 치명적인 오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상태와 환경의 변화에도 모범적인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도록 모서리의 단일응답특성, 통계적 분포 및 분할기반 문턱치화를 포함한 새로운 모서리 검출 방식을 제안한다.
본 실험은 polyethylene glycol (PEG)에 용해시킨 FSH의 투여 방법과 용량에 따른 체내 수정란 생산 효율을 난소 반응과 회수되는 수정란의 수량과 품질, 수정란 이식 효율을 조사하였다. 공란우 88마리를 네 군으로 구분하였다. 처리 1군은 50 mg의 FSH를 하루 2회 4일 동안 투여하였으며, 처리 2 및 3군은 30% PEG 에 녹인 400 mg과 200 mg의 FSH 용량을 1회 투여하였으며, 처리 4군은 CIDR로 처리 후 7일째에 30% PEG에 녹인 200 mg의 FSH를 처리하였다. 과배란 처리 후 황체수에서는 처리 1, 2, 3 및 4군에서 각각 11.2, 18.5, 13.1 및 13.9개로서, 처리 2군에서 다른 처리군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회수된 난자의 총 수에서 각 군의 결과는 8.5, 10.4, 8.7 및 7.9개였으며, 이식 가능한 수정란 수에서 각 군의 결과는 3.9, 4.3, 4.7 및 3.7개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각 과배란 처리 방법에 따라 생산된 수정란의 이식 후 수태율 (36.0~50.0%) 및 채란시 혈중 progesterone 농도 또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공란우에 스트레스를 적게 주며 과배란 처리 호르몬 비용과 노동력을 줄일 수 있으며, 여러 마리의 공란우를 발정 주기에 상관없이 한 번에 과배란 처리를 할 수 있는 CIDR를 사용 후 7일째 200 mg의 FSH를 1회 투여 방법이 축산 현장에서 적용하기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In this paper, theoretical efficiencies of Korean and Japanese determination methods for dilution factors of odor samples were considered. The Korean official method points out over 5 persons but the Japanese over 6 as assessors, and 6-4 selection and 2 bags comparison methods, being used mainly in Japan as simplified of the official method, describe over 2 persons. The Korean method practices 10-dilution as starting factor in case of low odor concentrations and 300-dilution in high concentrations. In Japan, the determination of low odor concentrations has been carried out from 10-dilution like Korean, but high concentrations start from 100-dilution, being allowed to be changeable of starting dilution. In two official methods, it has been in concord with each other that maximum and minimum threshold values should be excluded, but not calculation methods of average dilution value of each panelist, resulting in indicating that the final result of panelers" assessment of an odor sample in Japan has been about 1.8 times higher than that in Korea. Quantity of consumed bags for determination of dilution factor is expected to be about 1.8 times more in the Japanese than ill the Korean in case of low odor concentrations but almost same in high concentrations. And so in high concentrations, the Korean method is expected to be a bit more economical and effective than the Japanese, but not accurate in low concentrations.
The organic acids in ambient were sampled by high efficiency diffusion scrubber (HEDS) and analyzed by IC. Most of organic acids showed high linearity (r²>0.999) of the calibration curve and good repeatability (RSD<10%). The detection limit of organic acids was about 7 pptv. The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was ranged from 0.43~1.74 ppbv, formic acid was ranged from 0.28~1.85 ppbv. Since the organic acids are one of odor compound species with instant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affected easily by weather, continuous analysis method is better than intermittent method to determine these compounds. The sampling and analysis process can be automated and performed in real-time by continuous sampling of HEDS and IC.
본 연구에서는 hG-CSF의 발현을 유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FIV-Tet-On lentivirus vector system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hG-CSF는 호중성구 계열 세포의 증식과 분화,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서, 이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FIV-Tet-On vector 상의 hG-CSF나 rtTA2SM2 서열의 3' 위치에 WPRE 서열을 도입하였다. 구축된 각각의 vector는 293FT 세포에 일시적으로 transfection하여 virus를 생산하였으며, 이 virus를 일차 배양 세포인 CEF와 PFF에 감염시켰다. 각 세포에 전이된 hG-CSF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doxycycline을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후 quantitative real-time PCR, Western blot과 ELISA를 이용하여 hG-CSF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비교 측정한 결과, CEF에서는 WPRE가 hG-CSF의 3' 위치에 도입된 경우에 발현량과 유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PFF에서는 rtTA 서열의 3'위치에 도입된 경우에 발현량과 유도율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FIV-Tet-On vector system은 형질 전환 동물의 생산이나 유전자 치료에서 문제시되는 외래 유전자의 지속적인 과다 발현에 의한 개체의 생리적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해결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