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배구선수들의 루틴 사용의 단서를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 면담, 각종 대회의 관찰 등을 통한 질적 연구를 통해 서브 루틴을 개발, 이를 남자 중학교 배구 선수들에게 적용하여 서브 수행루틴 훈련이 서브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배구경력 평균 4년 이상의 엘리트 남자 중학교 배구선수 15명씩의 두 집단을 대상으로 6차시에 걸친 서브 실험에서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3주차까지는 서브 수행루틴을 적용하지 않았으며 4주차부터 실험집단에게 실험자의 질적 연구를 통해 개발한 서브 수행루틴을 적용하였다. 비교집단은 서브 루틴에 대한 아무런 정보도 제공하지 않았다. 실험 후 평가 결과에 의한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배구선수들은 행동적 단서와 인지적 단서를 이용한 루틴을 사용하고 있었다. 둘째, 남자 중학교 배구선수들에게 서브 루틴을 훈련시킨 결과 서브 정확도 면에서 실험집단의 선수들이 서브의 평균 점수에서 비교집단의 선수와 비교하여 우수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두 집단의 선수들의 실험에서의 서브 득점을 t-검증한 결과 5%내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서브 루틴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출전한 시합에서 선수들의 서브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서브 수행루틴은 남자 중학교 배구선수들의 서브 수행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또한 루틴훈련이 개방운동기술에서도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on the consciou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Jeju city ab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questionnai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o find out the solutions about them.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d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was taken at the class for the special activity or voluntary service, not in regular class and was worked as in the form of the field trip. They generally obta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s on the environmental problems from mass media such as TV, radio and newspaper than from regular environment class in school. And 36.0% of students perceive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s needed as a regular class and 31.3% of students perceive that the regular class in school is effective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ny students are interested in the regular environment class in school. However, the most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 regular environment class in school is not worked or is not worked at all, suggesting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is not worked effectively. Most of students prefer to take the environment class in the form of observation or field trip, and they think that observation or field trip is more effective to obtain environmental informations. In conclusion, the special activity such as observation or field trip needs to be supplemented to regular environment class in order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more effectively.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22종을 대상으로 제7학년과 제9학년에 나오는 식물의 종류, 출현빈도 그리고 학습내용을 직업선택과 주거생활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미래의 기술 대단원에 나오는 식물은 채소류와 화훼류뿐이었다. 채소류는 27종에서 166회 출현하였으며, 화훼류는 42종에서 68회 출현하였다. 채소류는 토마토, 무, 배추가, 화훼류는 국화, 튤립, 선인장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원예산업과 관련성이 있는 직업으로 한국표준직업분류에는 33개의 직종이 소개되어 있으나 산업과 진로 대단원에서는 6개의 직종만 소개되어 있었다. 기술․가정 교과서에는 표준직업 분류에 따라 원예산업과 관련성이 높은 33개의 직종은 물론이고 12개의 새로운 직종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족생활과 주거 대단원에서는 식물에 의한 실내환경의 개선 효과를 소개하고, 중학생들이 식물을 가까이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즉 원예식물 특히 화훼류의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기술·가정교과의 교육목표와 결부시켜 첨가함으로써 학생들의 인성교육과 정서함양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실내의 환경개선에도 도움이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미래의 유망 직종 가운데 하나인 화훼장식 분야에 대해서도 직업 선택의 확대라는 관점에서 심도 있게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를 대상으로 제7학년과 제9학년에 나오는 식물의 종류, 출현빈도 그리고 학습내용을 건강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식물의 출현빈도는 교과서에 따라 달랐다. 채소류는 56종에서 2,121회 출현하였으며, 과일류는 19종에서 322회 출현하여 원예식물은 총 75종에서 2,443회 출현하였다. 출현빈도가 높은 5대 채소류를 보면 제7학년에서는 시금치, 콩, 파, 감자, 무였으나, 제9학년은 무, 감자, 배추, 오이, 당근으로 학년에 따라 출현 종의 차이가 컸다. 이에 비해, 과일류의 경우, 제7학년에는 사과, 귤, 호두, 포도, 잣이었으나 제9학년에서는 호두가 감으로 잣이 바나나로만 바뀌었다. 해조 및 버섯류는 10종에서 235회 출현하였으나 화훼류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다. 제7학년에서는 영양소별로 관련이 깊은 식물과 꽃을 보다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이들의 출현빈도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었다. 제9학년에서는 특정 성분을 하루에 얼마만큼 섭취해야 된다고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과일은 좋은 에너지원이라고 강조되었으면 한다.
이 논문은 삼국유사 ‘신라시조 혁거세왕’에 나오는 弗矩內의 의미와 상징을 밝혀 신라인의 내세관과 우주관을 해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신라 천하관의 밑바디인 弗矩內는 출생과 죽음 그리고 재생·부활이라는 우주 관인 ‘뉘’에도 그대로 투영된다. 여기서 弗矩內 뉘란 혁거세와 김알지가 자주빛 알이나 자주빛 구름에 싸인 황금 궤에서 출생하여 대릉원의 주인공들처럼 금관 을 쓰고 죽음여행을 하며 다시 우주새가 되어 천상으로 갔다가 난생으로 재생· 부활하는 순환 고리를 말한다.
원예치료가 우울증 감소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성립하였지만 전체적인 우울증 감소에 만족하기 보다는 변화되지않은 대상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에 대한 의지가 요구되는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원예치료의 효과에 대한 연구와 함께 개별평가를 통해 대상자의 원예치료활동에 대한 적극적 참여가 그 효과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나아가 효과의 편차를 고려할 때 모든 대상자에게 효과적인 변화가 있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됨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원예치료 활동이 통계상의 수치에 의하여 효과가 있음을 입증함과 동시에 대상자 개개인의 변화의 결과를 보기까지 지속적인 활동의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신체조성 및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정상집단과 비만집단을 대상으로 신체조성(체중,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최고혈압, 최저혈압)및 신체적 자아개념(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외모, 신체활동, 건강, 자기 존중감,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을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 간과 시행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신체조성 변인 중 체중, 체질량 지수와 허리둘레에서 정상집단과 비만집단 간의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둘째, 신체적 자아개념 변인 중에서는 외모, 지구력, 근력 그리고 신체전반에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으며, 스포츠 유능감, 신체활동 그리고 자기존중감에서 실험전과 후 긍정적인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 신체적 자아개념의 긍정적 변화양상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학교체육 현장에서 성취성향과 운동몰입의 관계를 검증하여 학생중심 교육과정 실현과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계획하기 위하여 338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성취성향질문지(LAPOPECQ)를 사용하여 성취성향을 측정하였고, 운동몰입도질문지(ESCM : Expansion of the Sport Commitment Model)을 사용하여 운동몰입도를 측정한 후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적률상관분석(Pearson′s r), 다중회귀분석(Multifu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취성향의 정도는 남학생과 고등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몰입의 정도는 남학생과 고등학생이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성취성향과 운동몰입의 상관관계는 교사학습성향과 학생학습성향, 학생경쟁성향이 높을수록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의 정도가 강하고 노력없는 결과지향과 실수에 대한 걱정이 높을수록 인지몰입의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성취성향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학습성향과 학생경쟁성향이 높을수록 인지몰입의 정도가 강하게 나타났고, 학생학습성향, 학생경쟁성향, 교사학습성향이 높을수록 행위몰입의 정도가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해중심게임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중학생의 전술적 게임기술,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기술 및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202명의 남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12주간 각각 이해중심게임수업과 기능중심수업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 검증, 독립 t-검증, 반복측정 분산분석, 대응 t-검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해중심게임수업과 기능중심수업 모두 전술적 게임기술 수준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2) 이해중심게임수업은 문제해결능력 중 문제해결 자신감과 개인적 통제 수준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3) 이해중심게임수업은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개방성과 이해성 수준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반면에, 기능중심수업은 만족감 수준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4) 이해중심게임수업은 비판적 사고자신감, 호기심 및 성숙 수준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5) 이해중심게임수업 과정에서 교사는 수업준비에 따른 시간부족과 성차로 인한 수업준비, 학생 수준을 고려한 변형게임의 적용, 학생과의 상호작용, 기술수준별 지도 등에서, 학생들은 변형게임의 이해부족과 수준차, 적절한 의사결정을 통한 전술적 문제해결, 동료와의 갈등 및 평가의 부담 등이 문제점으로 인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effects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ystem focusing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education to the students in Mokpo middle school. The study is accomplished by the survey which includes a total of 268 inquiry lists sampled from four groups of the middle school, one of which composing of two middle schools having the environmental curriculum, hereafter referred as 'the case group' and the other group of two middle schools without the curriculum, hereafter referred as the 'the control group'. From the results of the average scores on the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case group showed better knowledge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p<0.05). The case group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relatively high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environmental education to the attitude(p<0.05), and did not showed signifiant differences in the environmental practice. From the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 affecting the environmental knowledges was the interest in the environment problems (R2=0.130), economic statu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necessity of environment conservations in order. The factor most affecting to environmental attitude and practice were the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parents.
본 연구는 방과후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대전광역시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성별, 운동회수, 그리고 운동시간에 따른 운동정서 프로파일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총 886명의 남녀 중학생(남=392, 여=494)을 대상으로 운동정서를 검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 기술통계, 다변량분석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운동정서의 하위요인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운동회수 및 운동시간에서 주효과가 나타났지만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남학생은 모든 하위요인에서 여학생보다 높은 정서 수준을 보였으며, 주 4회 이상 및 1시간 이상 운동하는 학생이 모든 하위요인에서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청소년의 신체활동에 따른 심리적 이점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비교하면서 논의되었다.
심리기술훈련(PST)의 효과를 다룬 선행연구는 대부분 고교생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진단검사지를 사용하여 PST 훈련 전후의 단일 심리적 변인(예:집중력,불안)이나 경기력을 비교분석하여 그 효과를 입증해 왔다. 그러나 PST의 효과가 일반화되기 위해서는 더욱 다양한 종목과 대상 및 기간을 다룬 연구가 필요하며, 비진단검사지와 심층적인 상담기법을 활용하여 대상자가 갖고 있는 사고의 구조적인 원인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PST의 효과가 다중 심리변인에도 동시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아야 한다는 점이 후속연구에서 보완해야 할 점으로 지적되어왔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단일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비진단검사지(MBTI)와 상담기법(REBT)을 활용한 PST가 중학교 남자 사격(공기소총) 선수의 경기력과 다중 심리변인(불안, 자신감, 기분상태, 집중력)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선수 경력 만 3년째인 대상자(남, 중3)에게 10회기의 PST를 실시하고 전후의 변인을 비교한 결과, 경기력 향상과 불안감소, 자신감 향상, 기분상태 개선, 집중력 향상, 인지구조 개선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PST의 효과를 보고한 선행연구결과를 지지함과 동시에 PST 효과가 다중 심리변인을 동시에 개선시키며 적용 대상이 중학생 선수층으로 보다 더 넓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이 연구결과는 PST의 효과가 일상생활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이외에도 운동부내의 구타문제, 이 연구에서 발견된 대상자의 독특한 오류반응과 이에 대한 대비, 비진단검사지의 활용 등이 논의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is to develop strategy for plants-related education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I analyzed plants-related contents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in Secondary School. And held the expert-conference on the status of plants-related education, strategy of systematization.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3 basic directions were established(⑴ systematization of contents of plants-related education in school-level, ⑵ contain of part of plants-related education on all the Grade, ⑶ practical application of plants-related education in discretionary activity and Extra Curricular Activities) Second, strategy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n subjects(the Practical Arts Subject,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were established(⑴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system of plants-related education by the Grade, ⑵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level of plants-related education by school-level, ⑶ It is necessary to participate expert in process of writing on subject(the Practical Arts Subject,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Third, Teaching-Learning and Teaching Activity in subjects(the Practical Arts Subject,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were established(⑴ magnifying contents and Teaching-time of plants-related education, ⑵ magnifying Experience and Practice, ⑶ presenting plentiful material and easily) Fourth, strategy for connection of extra-subjects and Teaching-time were established(⑴ consideration for connection and integration of related-subject, ⑵ development on program of plants-related education in discretion activity and Extra Curricular Activities)
Hopyeongbyeo is an anther culture derived Japonica rice (Oriza sativa L.) cultivar from the cross between Hitomebore and Hwajinbyeo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3. This cultivar has a about 126 days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The short and round grain shape of Hopyeongbyeo is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Amylose content of rice grain is about 17.8% and high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Nampyeongbyeo. This cultivar shows resistant to bacterial blight pathogenes of K1. The milled rice yield of Hopyeongbyeo is about 5.13MT/ha at ordinary transplanting culture in the local adaptability test. Hopyeongbyeo would be adaptable for the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본 연구는 일반 중학생들이 자신의 지각된 신체적 유능감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신체적 유능감 정보를 알아보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그 척도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단계의 연구과정을 거쳤다. 첫째, 예비판 설문지를 제작하기 위해, Horn, Glenn과 Wentwzell(1993)의 PCIS(Physical Competence Information Scale)와 개방형 설문자료(103명)를 비교․검토하여 한국의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신체적 유능감 정보 문항을 제작하였다. 둘째, 예비판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545명)를 통해 최종판에 포함될 문항을 선정하였다. 셋째, 32문항을 포함하는 최종판 설문지의 요인구조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새로운 자료(883명)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총 1531명의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개방형 설문자료), 기술적 통계,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신뢰도 검사(Cronbach's α와 검사-재검사)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일반학생들의 신체적 유능감 정보를 측정하는 32문항을 포함하는 척도가 개발되었으며, 이 척도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PCIS(SCIS)의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비교․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