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44

        201.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의 1인당 버섯소비량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국내 버섯소비감소는 수출감소, 수입증가와 더불어 국내 버섯산업 성장동력을 떨어뜨리고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버섯이 생산 판매되고 있고, 요리 관련 정보가 많이 유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버섯을 먹는 소비자들은 버섯의 종류와 특성, 구체적인 버섯요리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반응을 보인다. 새로운 요리방법을 개발하고 소비자들이 직접 시식하고 요리방법을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소비자, 생산자들이 모인 버섯드림팀에서 버섯산업의 제2도약을 위한 방법으로 버섯드림맛집모델을 제안하였다. 버섯드림맛집은 요리를 개발 판매할 뿐만 아니라 요리법의 공개, 지역내 버섯 생산자와의 협력을 통한 로컬푸드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정보의 공유와 소통 협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버섯드림맛집 1호 선정을 통해 모델을 개발하고 그동안 운영결과를 통해서 새로운 버섯드림 맛집의 확산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202.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단법인 한국종균생산협회는 1974.7.6.에 설립되어 현재 23개 회원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북 음성군 생극면에 소재하고 있다. 현재 제 24대 조영주 회장을 비롯하여 임원 12명을 중심으로 버섯류의 종균배양업에 종사 하는 종묘업자의 상호친목과 공동이익 증진 및 건전한 발전을 위해 활동하고 있으며, 특히 버섯 종균관리 및 지원제도 개선, 수입버섯 종균 제도 개선, 산림버섯종자관련 지원제도 및 개선, 각종 자료출판과 회보 발행, 교육 및 연구발표, 각종 버섯 국산 품종 보급률 통계조사 및 설문조사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203.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영지버섯의 종류별 기능성 성분과 생리활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영지버섯은 담자 균류 민주름목 구멍장이 버섯과에 속하며 전세계에 분보하고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등 활엽수에서 주로 자생한다. 영지버섯은 색상과 형상에 따라서 적, 흑,자, 황, 백, 청, 녹각, 편목, 쓰가 영지로 구분을 하고 있다. 영지버섯은 한방에서 골을 강화하고, 치질과 신경쇄약, 소화불량 등 만성질환에 도움을 주며, 오미의 성분 준다고 나와있다. 영지버섯은 2010~2013년 영지버섯의 전국 생산량은 281 M/T(metric ton), 경기도, 충남, 전북에서 많이 생산되었고, 주요 성분으로 triterpene계(ganoderic acid A-T), steroid계(ganoderol A,B), 다당류 (예: ganoderan B), proteoglycan(예: GLIS) 등이 알려져 있다. 영지버섯의 생리활성으로서는 항종양작용, 심혈관계에 대한 작용, 세포보호작용, 면역증진, 항바이러스 작용 등의 약리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본연구팀의 이전 연구 결과에서 항산화 효과 및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돟물 실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것을 보고한 바 있다. 또한, 본 연구팀은 영지버섯중 녹각 영지버섯 추출물의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에 대해서 위암세포 발달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동물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지버섯류의 기능성 성분과 생리활성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베타 글루칸이외의 성분들과 효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서 버섯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산업화의 소재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04.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present a novel pressure-cascaded stripping configuration for membrane contactor biogas upgrading processes. Employing polypropylene (PP) hollow fiber membrane modules and water as physical absorbent, the effects of absorption pressure, gas-liquid flowrate, and vacuum mode were systematically studied. In addition, exploiting the solubility difference between CO2 and CH4, as well as the preferential absorption of CO2 in water, a pressure-cascaded stripping tank was implemented to recover and recycle the absorbed CH4 in high purity. The proposed configuration simultaneously enhanced the bio-methane yield (90%) and purity (97%). This project is supported by the "R&D Center for reduction of Non-CO2 Greenhouse gases (2013001690002)" funded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MOE) as "Global Top Environment R&D Program".
        205.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oodle-making characteristics of a noodle dough with konjac powder added. The water-bindi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ncreasing amounts of the konjac powder. When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noodles were measured after cooking,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konjac powder groups. Turbid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hromaticity, in the case of raw noodle lightness (L),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redness (a) and yellowness (b) significantly increased. Cooked noodles also showed the same pattern of results, however, as a whole, the results were lower when compared to wet noodles. The texture characteristics of hardness and chewines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the konjac powder. Cohesiveness was determined to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 by observing the surface of the noodle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a sensory evaluation of the cooked nood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loss, taste, hardness, springiness or overall acceptability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konjac powder groups. This study indicates the that addition of 1.5% konjac powder to noodle dough may improve the functionality and preference of noodles
        4,000원
        206.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블루베리는 항산화활성, 항암활성, 항염증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스틸베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스틸베노이드의 생산 소재로서 블루베리를 이용한 산업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고부가가치 가공 식품 및 건강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여 블루베리의 활용 가능성을 확대하고자 블루베리 품종에 대해서 부위별 스틸베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의 과피, 줄기, 잎에 함유되어 있는 레스베라트롤, 비니페린, 피노실빈, 테로스틸벤 함량을 HPLC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4종의 스틸베노이드 함량은 부위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레스베라트롤은 잎, 과피, 줄기 순으로 각각 2.86, 1.45, 1.38 μg/g이 함유되어 있었고, 비니페린은 줄기, 과피, 잎 순으로 7.19, 2.88, 1.00 μg/g이 함유되어 있었다. 피노실빈 함량은 잎에서 0.09 μg/g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과피에서는 0.03 μg/g 함유되어 있었으나 줄기에서는 측정되지 않았다. 테로스틸벤의 경우 과피, 잎, 줄기 순으로 각각 0.14, 0.10, 0.03 μg/g이 함유되어 있었다. 따라서 블루베리 내 스틸베노이드 함량이 부위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스틸베노이드를 생산하기 위한 자원으로서 블루베리의 다양한 조직 부위가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207.
        2017.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융모막암은 임신과 연관되어 융모막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성장하는 종양으로 난소, 고환, 자궁 등 생식기관에 주로 발현 되며 주변장기로의 침범이나 원격전이를 잘하는 특징이 있다. 융모막암이 생식기관이 아닌 장기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대부분 나쁜 예후를 보인다. 저자들은 중년 여성에서 급성 췌장염과 뇌출혈로 발현되고 다발 장기전이를 동반한 췌장 융모막암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208.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난지형 마늘 ‘남도’의 적정 생육 온도 구명과 일 평균온도를 이용한 구중 예측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온도처리는 주간 16시간 야간 8시간 처리로 11/7oC, 14/10oC, 17/12oC, 20/15oC, 23/18oC, 28/23oC 로 설정하였다. 구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20oC/15oC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고온이나 저온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엽수와 총엽면적은 저온인 처리구가 고온처리구보다 생장이 느렸으나, 최종적으로는 최고온도인28/23oC을 제외하고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구의 생체중으로 6종의 함수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남도’ 마늘의 적정 생육온도와 한계온도, 온도에 따른 구생장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남도’ 마늘의 적정 생육온도는 18~20oC 이며 GDD 기본온도와 한계온도는 7.1oC와 31.7oC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일 평균온도를 이용한 수확기 기준 구 생체중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온도구배터널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선형함수를 이용한 예측은 79.0~95.0%, 2차 함수를 이용한 예측은 77.2~92.3%, 로 지스틱분포 함수를 이용한 예측은 80.0~95.8% 예측도를 보였다. 이중 가장 예측력이 좋은 함수는 로지스틱분포 함수이며 생육적정온도와 한계온도도 잘 표현하였다.
        4,000원
        210.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undamental behaviors such as stresses and deflections of the middle slab in a double-deck tunnel for the development of a middle slab design guide. METHODS : The middle slab has been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sections as according to its structural differences: the normal section, expansion joint section, and emergency passageway section. The normal section of middle slab represents the slab supported by brackets installed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unnel lining. The expansion joint section refers to a discontinuity of middle slab due to the existence of a transverse expansion joint. The emergency passageway section has an empty rectangular space in the middle slab that acts as an exit in an emergenc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s of these three sections of middle slab have been developed to analyze their respective behaviors. RESULTS: The stresses and deflections of middle slab at the three different sections decrease as the slab thickness increases. The emergency passageway section yields the largest stresses and deflections, with the normal section yielding the smallest. CONCLUSIONS: The stress concentrations at the corners of the passageway rectangular space can be reduced by creating hunch areas at the corners. The stresses and deflections in the emergency passageway section can be significantly decreased by attaching beams under the middle slab in the passageway area.
        4,000원
        211.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ods are becoming more customized and consumers demand food that provides great taste and appearance and that improves health. Food three-dimensional (3D)-printing technology has a great potential to manufacture food products with customized shape, texture, color, flavor, and even nutrition. Food materials for 3D-printing do not rely on the concentr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a product in a single step, but it is associated with the design of food with textures and potentially enhanced nutritional value. The potential uses of food 3D-printing can be forecasted through the three following levels of industry: consumer-produced foods, small-scale food production, and industrial scale food production. Consumer-produced foods would be made in the kitchen, a traditional setting using a nontraditional tool. Small-scale food production would include shops, restaurants, bakeries, and other institutions which produce food for tens to thousands of individuals. Industrial scale production would be for the mass consumer market of hundreds of thousands of consumers. For this reason, food 3D-printing could make an impact on food for personalized nutrition, on-demand food fabrication, food processing technologies, and process design in food industry in the future. This article review on food materials for 3D-printing, rheology control of food, 3D-printing system for food fabrication, 3D-printing based on molecular cuisine, 3D-printing mobile platform for customized food, and future trends in the food market.
        4,000원
        21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feeds on body length, width, and weight, and larval mortality of white-spotted flower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Kolbe). The feeds , aloe, apple, banana, persimmon and sweet pumpkin were tested to measure the developmental parameters. The result showed that no any significant effect of feeds on the larval weight in the early. However, as larva get matured, the effects of feeds on the developmental parameters were found significantly varied. Weight of larvae, cumulative increase on body length and width, and body weight were also found increase in case of apple feeding. Lowest increment of developmental parameters were reported in banana feeding. Highest mortality (11.2%) was occurred in aloe, banana, persimmon and sweet pumpkin feeding. Lowest mortality (9.9%) rate was observed in apple. Feeds such as apple, sweet pumpkin, and aloe can be used as a optimum diet for mass rearing of P. brevitarsis seulensis in laboratory.
        4,000원
        216.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containing walnuts at 0, 10, 20, or 30%. Amino nitrogen content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tent of walnuts. However, cheonggukjang containing 30% of walnuts met the standard of food sanitation act.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s of cheonggukjang containing walnuts was lower than that of cheonggukjang containing no waln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amino acid content for cheonggukjang containing 0%, 10%, or 20% of walnuts. However, total amino acid content in cheonggukjang containing 30% of walnu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cheonggukjang containing 0%, 10%, or 20% of walnuts. The content of essential amino acid in cheonggukjang containing 30% of walnuts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cheonggukjang containing 0%, 10%, or 20% of walnuts.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6.7% to 3.6% when the content of was increased from 0% to 30%.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walnut added to cheonggukjang.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taste and overall quality of cheonggukjang made with 10~20% walnuts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ose of ordinary cheonggukja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eonggukjang made with 10~20% walnuts could be developed as a novel fermented food.
        4,000원
        217.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소동속종인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는 우리나라에서 여러 가지 과수의 주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장미 과(Rosaceae) 과수인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모과나무의 과실을 가해하는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 유충을 채집하 여 분자동정법을 이용하여 종을 동정하여 과종별로 두 종의 분포 비율을 비교하였다. 유충을 동정한 결과, 복숭아 과실을 가해하는 종은 거의 대 부분 복숭아순나방이었던 반면, 자두 과실을 가해하는 것은 모두 복숭아순나방붙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과, 배, 모과 과실은 두 종이 상당하는 비율로 같이 분포하였는데, 사과와 모과에서는 복숭아순나방붙이에 의한 피해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유의한 우점은 발견되지 않았고, 배 과실 에서는 복숭아순나방이 유의하게 우점하여 분포하였다. 이 결과들은 과수원에서 이 해충들의 합리적인 관리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3,000원
        218.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승용말 주요 생산 국가와 협회에서 약 90% 정도가 인공수정으로 망아지를 생산하고 있고, 인공수정에 이용되는 정액은 냉장정액이 90%, 동결정액은 10% 정도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 서는 국내 승용말 인공수정 저변 확대에 필요한 씨수말 냉장 정액의 장기보존성 향상을 위하여 냉장 보존용 희석제와 희석 후 보관 형태가 정자의 생존성 및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한국마사회 장수목장에서 관리 중인 씨수말 2두를 이용하였으며, 정액의 희석에는 INRA-96(IMV, France) 및 EZ-mixin(ARS, USA) 희석제를 각각 이용하였고, 냉장(4℃) 상태에 서 96시간까지 보관하면서 정자의 생존율과 운동성을 분석하였다. 보관 형태는 aerobic 및 anaerobic 상태로 하였다. 정자의 운동성은 CASA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각 결과는 mean±SD로 나타냈으며, 통계처리는 t-test를 이용하였고 p<0.05 수준에서 유의성 검정을 하였 다. 승용말 정액 채취 직후 생존율과 운동성은 각각 평균 65.5% - 73.8% 및 40.8% 및 47.8% 였 다. 실험 목적에 따라 INRA96 및 EX-mixin 그리고 aerobic 및 anaerobic 상태로 24, 48, 72 및 96시간 동안 보존 하였다. EZ-mixin 희석제의 aerobic 및 anerobic 상태에서 보존 시간 경과에 따라 생존율은 42.3% - 4.0%, 운동성은 50.4% - 16.0%로 낮아졌다. INRA96희석제에서 보존에 서 생존율은 aerobic 54,3% - 49.9% 및 anaerobic 58.7% - 47.5%로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 차는 없었다(p<0.05). 한편 운동성은 aerobic 34.5% - 37.4% 및 anaerobic 36.6% - 31.9%로 차이 가 없었다. 따라서 각각 희석제에 따른 혐기 및 호기성 상태로의 보존은 생존율과 운동성에도 영향이 없었으나, 희석제의 조성에 따른 생존율과 운동성은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219.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n body length, body width, body weight and mortality of larva white-spotted flower chafers(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that the feeds as a secondary feed aloe, apple, banana, persimmon and sweet pumpkin being sold on the market. Weight of larvae increased the most in a sweet pumpkin 2,966 mg, and was followed by banana and persimmon. Weight increased in the aloe the control as the lowest in 2,179 ~ 2,127 mg. It fed the sweet pumpkin showed the highest cumulative increase of 240% in the body length then the persimmon was a cumulative increase of 232%. It fed the sweet pumpkin showed the highest cumulative increase of 254% in the body width and the lowest cumulative increase of 232% was the control. It fed the sweet pumpkin showed the highest cumulative increase of 240% in the body weight then the persimmon, banana, apple in order. Mortality showed most of the high mortality rate of 19.8% in the sweet pumpkin and apple and banana and the lowest mortality rate showed a mortality rate of 13.2% in the control. Although these results sweet pumpkin, persimmon and banana are expected higher utilization as a secondary feed, it should be reviewed in various feeding ways how to reduce the changes of the artificial breeding environment.
        4,000원
        220.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애기유리나방과 복숭아유리나방의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경남과 전남지역의 단감원에서 이들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두 종 모두 년 2회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애기유리나방의 1화기의 발생최성기는 5월 하순, 2화기는 9월 중·하순인 것으로 나 타났다. 복숭아유리나방의 1화기 발생최성기는 해에 따라 조금씩 달라 5월 상순 - 6월 상순 정도이었고, 2화기 발생최성기는 애기유리나방처럼 9 월 중·하순으로 조사되었다. 년도별 지역별 유인량을 종합해보면 애기유리나방은 1세대의 유인량이 2세대보다 약 1.9배 많았으나 복숭아유리나 방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2세대의 유인량이 1세대보다 약 1.3배 많았다. 그러나 복숭아유리나방의 감나무에 대한 피해여부는 아직까지 밝혀진 바가 없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