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0

        222.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군산군도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7개 정점을 선정하여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계절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고군산군도에서 출현한 해조류는 총 58종으로, 녹조식물 10종, 갈조식물 16종, 홍조식물 32종이 채집 동정되었으며, 그 중 11종은 연중 출현하였다. 평균 생물량은 Sinsido 1 정점에서 213.8 g m-2, Sinsido 2 정점에서 143.1 g m-2, Sinsido 3 정점에서 133.3 g m-2, Munyeodo 정점에서 164.0 g m-2, Seonyudo 정점에서 116.9 g m-2, Jangjado 정점에서 145.1 g m-2으로 Sinsido 1 정점에서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였으며, Sinsido 4 정점에서 최저 생물량을 나타냈다. 생물량에서 우점종은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구멍갈파래(Ulva pertusa), 톳(Sargassum fusiforme) 및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이었으며, 지충이는 전 계절에 걸쳐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여 이 지역 대표종으로 확인되었다. 이 지역의 6개 기능형군은 성긴분기형(46.6%), 사상형(27.6%), 엽상형(17.2%), 다육질형(3.4%), 유절산호말형(3.4%), 각상형(1.7%)군으로 구분되었다. 해조류의 지역적 특성의 기준으로 이용되는 C/P, R/P 그리고 (R+C)/P값은 각각 0.33~0.75, 1.11~2.50, 1.47~3.25이었다. 종다양도지수(H')와 우점도지수(DI)로 본 고군산군도의 해조군집 안정도는 '불안정'하고 환경상태는 '나쁜것'으로 나타났다. MDS와 군집분석 결과, Sinsido 2, Sinsido 3, Seonyudo, Munyeodo로 이루어진 그룹, Sinsido 1, Jangjado로 이루어진 그룹, 그리고 Sinsido 4로 이루어진 총 3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암반이 적어 해조류가 빈약하였던 Sinsido 4는 다른 정점과 유사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4,000원
        22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2008년 9월까지 109개소의 방형구를 설정하여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산림식생유형을 분류한 결과 최상위 단계에서 신갈나무군락군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신갈나무군락군은 소나무군락, 청시닥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잣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소나무군락은 굴참나무군과 피나무군으로 세분되었고, 청시닥나무군락은 떡버들군과 사스래나무군으로 세분되었으며, 사스래나무군은 주목소군과 사스래나무전형소군이 하급식생단위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백산국립공원 일대의 산림식생유형은 1개 군락군, 5개 군락, 4개 군, 2개 소군으로 분류되어, 총 8개의 식생단위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식생단위 분포는 해발고와 지형에 있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4,000원
        22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위치기반 게임(LBG, location-based game)에서 플레이어(player)와 주변 사물의 위치를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는 공간객체 압축기법인 SBR(Shrinking of Bounding Rectangle based on grid)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공간 객체의 좌표를 압축하여 위치기반 서버가 플레이어들의 변경된 위치나 주변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탐색하고 플레이어에게 빠르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 기법은 기존 기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게임영역을 일정한 크기의 그리드(grid)로 분할한 후 공간 객체의 좌표를 그리드 크기로 축소함으로써 객체 사이의 중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제안기법으로 공간 데이터를 압축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 노드접근 횟수가 기존의 압축기법보다 단축되었다.
        4,000원
        22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understanding and use of information on nutrition labels based on one serving size among female consumers above the age of 20 in Seoul area. According to the survey, 69.9%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current system of nutrition labeling based on one serving size, and 51.8%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 system because the nutrition labels were difficult to understand or appeared unreliable. The nutrition label literacy of the consumers varied with respect to different packaging units. The respondents were likely to be less accurate in calculating the expected caloric intake when only portions of a multi-serving package were used. Initially 69.0%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read the nutrition label before purchasing a product but 91.9%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would check the label after learning how to read the label properly.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consumers aware that the labels are very reliable sources of nutrition information. A public education campaign on the use of nutrition labels should focus on developing the consumers' ability and skills in using the label information when choosing foods.
        4,000원
        22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병변 환자에게 집단 작업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개별 작업치료만 받는 환자와 집단 작업치료프로그램을 병행하여 받는 환자들의 상지기능, 인지∙지각기능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집단 작업치료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규명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2008년 5월부터 10월까지 전통적 치료방법인 개별작업치료만 받는 뇌병변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주 5회 60분씩 총 40회의 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치료적 활동프로그램이 포함된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8주동안 주4회 개별치료와 주1회 60분씩 집단치료를 실시하였다. 결과 : 개별작업치료만 받는 환자군에 비하여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을 병행하여 받은 환자군이 상지기능, 인지∙지각기능과 일상생활 수행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결론 : 전통적 치료방법인 개별작업치료만 받는 환자군에 비하여 치료적 활동프로그램이 포함된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을 병행하여 받은 환자들의 치료 효과가 더 높았음을 나타내고 있다. 앞으로 보다 많은 대상으로 집단 작업치료프로그램 개발 및 치료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4,200원
        230.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섬유질배합사료(TMR)의 에너지 및 단백질 수준이 다를 경우, 비유초기 유산양의 사료섭취량 및 유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 동물은 자넨종 생후 16개월령 전후의 초산 착유양 24두를 시험구별 6마리씩 공시하였으며, TMR의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은 대조구(Control)가 TDN 67.0%, CP 13.9% (NRC, 2007), 에너지 증량구(T1)는 TDN 73.7%, CP 13.9%, 단백질 증량구(T2)는 T
        4,000원
        231.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논문은 해상운송인의 면책사유와 관련한 2004년 대법원 판결에 관한 해석론을 피력하면서 항해과실 면책을 그대로 존속시켜야 하는지에 관하여 논하고 있다. 대법원 판결에서의 쟁점은 해상운송인의 면책사유 중 특히 항해과실 면책에 관한 가부를 쟁점으로 하는 것이었다. 법원은 사안에서의 사고가 상법 제795조 제2항 소정의 항해과실 의한 사고이므로 운송인에게 손해배상책임을 지울 수 없다고 판시하고 있는데, 이에 관하여는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우리 상법은 항해과실면책(화재면책 포함)과 기타 운송인의 개별적인 면책사유를 따로 분리하여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구별이 필요함에도 법원에서는 이에 관해 명시적인 판단을 하고 있지 않다는 점, 국제적으로는 항해과실면책이라는 운송인의 중대한 면책사유가 현재 폐지되는 추세이므로 법원이 해상운송인의 항해과실면책을 상법 제796조의 각호와는 달리 보다 좁고 엄격하게 해석했어야 하지 않는가 하는 아쉬움이 있다. 대법원이 이 사건에서 인정한 해상운송인의 항해과실 면책은 상법상의 문리적 해석을 충실이 따른 것으로 보이나, 이와 같은 해상운송인의 항해과실 면책은 이제 그 존폐여부에 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이와 관련하여 해상운송인의 항해과실 면책사유를 폐지하는 것에 찬성하며, 그 근거로는 첫째, 항해과실 면책이 사법상의 일반원칙의 중대한 위반이라는 점, 둘째, 현재 항해술과 선박 자체의 엄청난 발전이 이루어졌다는 점, 셋째, 항해술의 주체인 선원들의 전문화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다는 점, 넷째, 운송인의 사용인에 대한 통제력이 강화되었다는 점, 다섯째, 항해과실과 상사과실과의 구별이 매우 어렵다는 점, 여섯째, 육상운송이나 항공운송 등 기타 운송법 체제와의 형평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 일곱째, 선박 자체의 성능과 전문화가 이루어졌다는 점, 여덟째, 현대의 국제해상운송법 체제의 입법 발전 추세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점 등을 들고 있다.
        233.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omestic bitches are non-seasonally monoestrus; spontaneously ovulate only once or twice occurs at anytime of the year. Estrus induction has been applied infrequent estrus, misleading ovulation, mating difficulties, failure to conceive after normal mating, pregnancy failure and biological research. Protocol of estrus induction which included variable hormones such as FSH, GnRH, and PMSG have been applied for the last decades. Recently, Bromocriptine, one of anti-prolatin/dopamine agonist has been occasionally applied for estrus induction.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method for the induction of estrus in bitches using different hormone treatments, and the initiation time of estrus from hormone treatment by assessments of cytological observation and blood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A total of 54 bitches on anestru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divided randomly into 8 treatment groups as follow. Control, natural estrus; FSH (L), FSH (1.5 mg/kg, twice a day, , Vetrepharm); FSH (H), FSH (3.0 mg/kg, twice a day); GnRH+FSH, GnRH (5 ug/kg, once first day, , Dongbang)+FSH (3 mg/kg, SID); PMSG, PMSG (50 IU/kg, every third day , Intevet); GnRH+PMSG, GnRH (5 ug/kg, only first day)+PMSG (50 IU/kg, every third day); GnRH, GnRH (5 ug/kg, only first day); Bromocriptine, bromocriptine (0.3 mg/kg, SID, , Novartis). The bitches were evaluated clinical sign, cytological exam and Premate for assessment of estrus induction. Estrus induc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GnRH+PMSG (100%) compared to others. PMSG and GnRH+PMGS (87.5 and 100%) and Bromocriptine (77.8%) were higher than others except GnRH+PMSG. Analysis of vaginal smear has proved to be effective a correct assessment of estrus induction with assay of progesterone concentration by Premate. Proestrus initiated by the after induction in most case. In conclusion, bromocriptine is an effective drug for estrus induction in bitches and assay of progesterone concentration by Premate with examination of vaginal smear that should be useful to detection of estrus induction of estrus induced bitches.
        4,000원
        235.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발산진동인 플러터의 발현은 구조물의 붕괴와 직결되기 때문에,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들은 이러한 파괴적인 진동현상을 안정화하는데 초점을 두어왔다. 한편, 고효율의 전력생산의 관점에서는 플러터 현상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풍력에너지를 추출하는 연구들도 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변장비 5, 20의 구형단면을 이용하여 플러터 발전 시스템의 기본적인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풍동실험 및 해석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2차원 단면의 가진방향, 가진진동수와 고유진동수의 비, 비정상공기력 계수 등의 변수가 플러터 발전시스템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4,000원
        23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hange of modern space concept and analyze how to adopt and embody the change in modern fashion. The study researched wearer's costume space and analyzed space shown in supermodern fashion design by classifying it into response to non-space, allowance of wearer-based space, scientific space of architectural skill and embodiment of space image. As a study method, literature and study material of sociology, anthropology, fashion sociology and design field were referred. For picture data of supermodern fashion work, specialized book, designer, brand collection material and internet site pictu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tudy result shows the following features of fashion design space embodiment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supermodern environment. First, supermodern design secures closet space like pocket for portable objects and uses design space in order to provide the space for convenience of movement. Second, supermodern design creates wearer-based independent space in order to secure person's physical and mental stability in city environment. Third, supermodern design uses space scientifically from the aspect of detail and shape by applying space of architectural skill to space. Fourth, supermodern design shows aesthetic feature that embodies interpretation of space by conceptualizing space image and using fashion.
        4,300원
        238.
        200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영구처분을 위하여 건설되는 월성원자력환경관리센터의 1단계 폐쇄후 안전성평가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처분시설의 건설운영허가를 위하여 작성된 안전성평가에 대하여 평가개요, 처분시설의 폐쇄개념, 처분부지에 대한 지하수 유동특성을 이용하여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의 개발과정과 도출된 평가대상 시나리오에 대한 개념을 기술하였다. 폐쇄후 안전성평가 모델링을 위한 평가도구, 입력인자와 개별 시나리오에 대한 핵종누출 모델링, 기체발생 및 기체이동 모델링, 인간침입 모델링과 생태계 모델링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처분시설의 폐쇄후 안전성 평가시나리오에 대하여 국내 규제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향후 처분시설 안전성에 대한 불확실성 저감과 신뢰성 증진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5,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