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21.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흑’은 나물콩 특성이 우수한 고품질 내재해 다수성 신품종육성을 목표로 ‘다원콩’과 ‘진주1호’의 F1에 ‘진주1호’를 다시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한 YS1318B-2B-3-3-3-4-1계통으로 계통명은 익산63호이다.유한신육형으로 꽃색은 자색이고 잎의 모양은 난형이며 종피색과 제색은 흑색이며, 성숙기가 지나도 협개열에 강하다. 성숙기는 10월 4일로 ‘다원콩’보다 10일이 늦은 만숙종으로 경장이 다소 길고, 꼬투리수가 많으며, 종자 100립의 무게는 8.8 g으로 ‘다원콩’보다 작은 소립이다. 바이러스 접종시 모자이크를 보이나 포장에서는 강하며 불마름병은 ‘다원콩’보다 강한 중도저항성을 보였다. 종실의 조단백과 조지방함량은 ‘다원콩’과 비슷하며, 콩나물의 아스파라긴산 함량은 낮았으나 이소플라본 함량이 ‘다원콩’의 2배 이고, GABA 함량이 높은 고기능성 품종이다. 콩나물재배시 경실과 비정상발아율이 낮고 발아율과 배축신장성이 좋으며 수율이 풍산나물콩에 비해 20% 높았다. 수량성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전국 6개소 평균수량은 ha당 2.34톤으로서 ‘다원콩’보다 128% 증수하였다.
        22.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로운 팥 품종 새길 Vigna angularis은 년 밀양 국립식량과학원에서 개발하였다 새길 은 충주재래 를 모본으로 하고 충주팥전남재래 호 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품종을 개발하였다 조숙 대립 내재해성 계통으로 선발된 품종으로 밀양 로 명명하였으며 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고품질의 내재해 다수성 품종으로 선발하여 이후 새길 로 명명하였다 새길 은 개화기 및 성숙기가 대조군인 충주팥에 비해 일 빠르고 개화기간은 일 짧다 생산력검정시험 결과 립중은 으로 충주팥보다 무거웠으며 당 평균수량은 으로 나타났다
        23.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콩에서 발생하는 세균병해인 불마름병, 들불병, 세균점무늬병, 세균갈색점무늬병의 다중 진단을 위한 PCR 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콩에 발생하는 각각의 세균들은 서로 다른 박테리오신(bacteriocin) 이나 파이토톡신(phytotoxin)을 생산하는데 이와 관련한 유전자를 목적으로 하여 진단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2. 불마름병은 glycinecin A, 들불병은 tabtoxin, 세균점무늬병은 coronatine과 세균갈색점무늬병은 syringopeptin을 목적유전자로 하여 다중 진단프라이머 조합을 설계하였다.3. 1차 선발로 각각의 균주에 대한 단일 진단 프라이머를선발하였으며, 여기선 선발된 21개의 프라이머들을 조합하여 4종 다중진단프라이머 선발을 위한 2차 선발에 이용하였다. 최종적으로 280 bp의 불마름병, 355bp의 세균갈색점무늬병, 563 bp의 들불병과 815 bp의세균점무늬병으로 구성된 다중진단 프라이머 조합이개발되었다.4. 선발된 4종 다중 진단 프라이머 조합의 경우 다른 세균들과의 비특이적 반응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3차선발을 거쳐 그 특이성을 검증하였다.
        24.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품종 ‘검정5호’의 신육형은 유한신육형, 화색은 자색, 엽형은 환형이다. 모용 및 성숙기의 협은 갈색이며 종피색과 제색은 흑색이고 종실 자엽색은 황색이다. 입형은 구형으로 성숙기가 지나면 협의 자연개열이 다소 나타난다. 성숙기는 10월 4일로 ‘일품검정콩’보다 6일 늦으며, 경장은 60 cm로 6 cm 길고, 100립중은 23.2 g으로 ‘일품검정콩’ 보다 가볍다. 도복에 비교적 강하며, 포장 재배기간중의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다소 발생하였으나 괴저병에는 강하였으며, SMV 균주로 즙액 접종한 결과 바이러스병에 저항성을 보였다. 조단백 함량은 42.0%, 조지방 함량은 17.8%였다. 안토시아닌 색소 및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각각 17,170 ㎍/g 및 1,194 ㎍/g였다. 두부 가공적성에서 두부수율은 ‘태광콩’과 비슷하나 비지무게는 높았고, 밝기 등 색택이 짙으며, 두부의 물성에서 씸힘성 및 경도는 다소 높았고, 탄력성은 다소 낮았다. 수량성은 지역적응시험 결과 전국 7개소 평균 ha당 2.46톤으로서 대조품종 ‘일품검정콩’에 비하여 16% 증수되었다. 적응지역은 전국이다.
        25.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하 1호’는 대립 내재해 다수성 콩 신품종육성을 목표로, 내재해 다수성 ‘장엽콩’을 모본으로 대립 ‘화엄풋콩’을 부본으로 하여 교배한 것을 다시 다수성 ‘수원192호’를 모본으로 1997년도에 인공교배한 SS97214 조합으로 계통육성법으로 선발하였으며 계통명은 ‘밀양164호’이다. 꽃색은 백색이고 잎모양은 난형이며, 종자모양은 구형이고 종피색과 배꼽색은 황색이며 100립중은 25.4 g으로 ‘태광콩’에 비하여 2.5 g 정도 무거운 대립이다. ‘태광콩’보다 성숙기가 늦어 등숙기간이 2일이 길다. 도복에 강하며, 불마름병과 바이러스에 강하고, 내습성과 뿌리썩음병, 종실의 이병립율은 ‘태광콩’과 비슷하다. ‘태광콩’ 대비 수량성은 생산력검정시험에서 8 %, 지역적응시험에서는 5 % 증수하였으며, 전국 10개소 평균 종실수량은 ha당 2.62톤이다.
        26.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는 콩잎을 채소용으로 이용하여 고기와 생선을 쌈사서 먹는데 이용해 왔으며, 주로 지역의 재래종이나 일본에서 도입된 ‘단파흑두’를 재배해왔다. 그러나, 이들은 잎 크기가 균일하지 않아 상품성에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쌈용 콩잎의 채소용 품종개발이 필요하다. 콩잎의 채소용 ‘청엽1호’ 품종이 2009년 식량원에서 개발되었다. ‘청엽1호’는 내도복 다수성 품종인 ‘일품검정콩’과 대립이며 잎이 큰 ‘대황콩’을 교배한 품종이다. ‘청엽1호’는 꽃색이 백색, 검정색 종피, 황색 자엽, 구형의 종자모양, 100립중이 35.8g인 대립종이다. 또한, 콩잎의 채소용 적성으로 개화기가 늦어 채엽기간이 길고 잎이 크고 둥근 난형, 잎색이 연한 녹색, 내도복성, 마디의 수가 많으며, 줄기의 두께가 두꺼워 채엽시 잘 부러지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청엽1호’의 비가림재배시 잎 수량은 헥터당 18.44톤으로 대비품종인 ‘단파흑두’보다 6% 높았다. 콩잎의 기능성 성분으로 이소플라본 함량이 잎 g당 809 ㎍으로 대비품종보다 63% 높았다. 이상과 같이 ‘청엽1호’는 콩잎을 채소용으로 이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품종이다.
        27.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상’은 대립 다수성 콩 신품종육성을 목표로, ‘수원190호’를 모본으로 ‘황금콩’을 부본으로 1998년에 인공교배하여, 1999-2000년도에 F1, F2 세대를 양성하고, F3부터 계통 전개하여 선발한 SS98206-41-1-3-1-1 계통으로 계통명은 ‘밀양176호’이다. 주요 특성은 유한신육형으로 화색은 백색이고, 엽형은 피침형이며, 모용색은 회색이다. 종자모양은 구형이고, 종피색과 제색은 황색이다. 개화기는 7월 26일로 ‘태광콩’보다 빠르고 성숙기는 3일 늦어 등숙기간이 7일이 더 길다. 경장은 76 cm로서 ‘태광콩’과 비슷하고 도복에 강하며, 100립중은 24.8 g으로 ‘태광콩’에 비하여 2.0 g 정도 무거운 대립이다. 불마름병에 저항성이며 콩모자이크바이러스와 내한발성은 강하였으나, 내습성과 뿌리썩음병에는 약하였으며, 탈립이 되지 않았다.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태광콩’보다 높았으며, 불포화지방산 비율은 ‘태광콩’과 비슷하였고 함황아미노산과 총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다. 두부수율은 낮으나 두부의 물성이 높았으며, 메주 가공적성은 ‘태광콩’과 비슷하였다. 수량성은 생산력검정시험 결과, 10% 증수되었으며, 지역적응시험에서는, 전국 10개소 평균 ha당 2.34톤으로서 대비품종인 ‘태광콩’ 대비 100%이었다.
        28.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total of 162 accessions of Perilla germplasm collected from diverse habitats in South Korea. The oil content of the seeds varied from 19.8 to 49.6%, the average being 33.3%. Oil content showed wide ranges of variati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seed oil showed the following overall ranges: palmitic 4.5 to 8.1%, stearic 1.6 to 7.4%, oleic 13.4 to 23.6%, linoleic 9.5 to 19.5%, and linolenic acid 48.6 to 66.4%.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oi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provide useful background information for developing new cultivars with a high oil content and different fatty acid. Several accessions could be used as parental lines in breeding programs aiming to increase perilla oil quantity and quality.
        29.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vergrowth of soybean plants and thereby brings about lodging, decrease in pod number, damage by disease and insect pest, etc.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ptimum decapitation method in vinyl mulching soybean cultivation. Sinbuseoktae, local soybean variety was sown on May 25 and June 15 in 2009. Decapitation treatments(Non-decapitation, V8 stage-stem, V8 stage-apex, Flowering initiation stage, V8 stage-Stem+Flowering initiation Stage) were practiced on major growth stage on May25 seeding. Lodging did not occur in apex decapitation at V8 stage while other treatments had severe lodging. NAR from R5 to R7 stage was also highest in apex decapitation at V8 stage, which meaned optimum plant organ structure in utilizing light. On the other hand, flowering date and maturity date among treatments were similar. Seed yield in apex decapitation at V8 stage was highest with 274kg/10a, followed by flowering initiation stage with 249kg/10a. The apex decapitation at V8 stage had 26% yield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of 216kg/10a due to heavy 100-seed weight.
        30.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whole crop silage barley cultivar, “oungyang”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unong and Milyang55 at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YARI) in 2002. An elite line, YB3882-3B-17-1-3-1, was selected in 1999 and designated as “ilyang111” It showed good agronomic performance in the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s (RYT) from 2000 to 2002 and was released by the name of “oungyang”with higher yield and better animal feed quality than that of Olbori. The average heading and maturing dates of Youngyang were May 2 and June 6, which were late by 2 & 1 days than those of Olbori, respectively, in Suwon. Youngyang had longer culm length, 83cm but it had lesser spikes per m2 637 than that of Olbori, respectively, in RYT from 2000 to 2002. The rate of leaf sheath/whole length (culm+leaf) and the rate of the grains/ whole crop weight was similar to Olbori. It showed resistance to BaYMV at the regions of Naju, Jinju, Milyang andt Iksan. however, the response of Youngyang to other environmental stresses (tolerance of cold and wet) was similar to Olbori. The dried whole crop yield potential of Youngyang in the RYT was about 11.67 MT/ha in paddy fields which was about 18% higher than that of Olbori. The grain yield potential was 6.32 MT/ha in paddy fields which was about 5% higher than that of Olbori. Youngyang had lower rate of shattering, higher content of protein and NDF, lower ADF and TDN, and better quality of silage than those of Olbori.
        31.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prout-soybean cultivar, “oseo”was developed at the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in 2007. Hoseo was selected from a cross between Camp and Nattosan.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ional yield trial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Iksan 57 were carried out from 2003 to 2007. This cultivar has a determinate growth habit with purple flower, grayish brown pubescence, yellow seed coat, grayish brown hilum, rhomboid leaflet shape and small seed size (7.4 g/100 seeds). The maturity date of “oseo”is 12 days earlier than the check variety, “ungsan” It has good seed quality for soybean-sprout and resistance to lodging. This cultivar has resistance to soybean mosaic virus (SMV) and necrotic symptom (SMV-N). The average yield of “oseo”was 2.51 ton per hectare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for double cropping carried out for three years from 2005 to 2007.
        32.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lear optimum planting time for yield enlargement by comparing yield with dry matter at Miryang from 2005 to 2006. Variety used were Daewon, Daepung, Daol and Cheongja 3. Seeding was performed on April 30 to June 30 with 20day intervals and planting density was 142,857 palnts/ha (70×20㎝, 2plants per hill) with black vinyl mulching. In R2~R4 stages, crop growth rate(CGR) was largest on June 10 seeding. Although net assimilation rate(NAR) increased as seeding date was delayed, NAR on June 10 seeding was the highest throughout the growth period. Positive relationships were observed between NAR from R2 to R4 the ratio of pod to total dry matter weight. The LAI and total dry matter weight at the R4 stage was higher at earlier seeding date. In the case when seeding date was delayed, the ratio of leaf(source) and pod(sink) increased. From the comparison of all factors such as dry weight, optimum LAI, and of source to sink, the optimum planting date for high seed production was June 10. The highest yield was recorded with on June 10 seeding. Also, this seeding date showed high ratio of seed yield to dry matter in R2 stage. Difference between surveyed pod no. and theological pod no. which was calculated by dry matter ratio compared with standard seeding date(June 10) at R2 stage was the smallest in June 10 seeding.
        33.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matic embryos do not survive at exposure to liquid nitrogen temperatures without cryoprotective treatments. A simplified technique which simultaneously induces and cryoprotects embryogenic calli using plant vitrification solution 2 (PVS2) followed by dehydration was developed for the cryopreservation of Soap berry genetic resources. Vitrification is a way of removing the moisture in vegetation through PVS2. The PVS2 vitrification solution consisted of 30% glycerol (w/v), 15% ethylene glycol (w/v), 15% Dimethylsulfoxide (w/v) in B5 medium containing 0.4M sucrose. Two tests were done. The one was to eliminate moisture at 0℃ and the other at 25℃. In both cases the best results came out at a vitrification time of 10~20 minutes. It was also found that the survival rate was higher at 0℃ than at 25℃. In particular, the survival rate reached more than 80%. Water-damaged embryos turned brown and stoped growth, but energetic embryos took on a milky hue and show a very vigorous growth rate. Successful cryopreservation of somatic embryos of soapberry can be used to establish in vitro genebanks for long-term conservation of Soapberry genetic resources to complement field genebanks and other in vitro methods already being used.
        34.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ow temperature is one of the most severe abiotic stress factors limiting growth, productivity and distribution of winter cereals. Reliable field screening method, which can detect small differences in winter survival, is important for the effective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plants to identity superior cold tolerant winter cereal genotyp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provide improved screening method of winter hardiness in the field by increasing the accuracy in evaluating winter hardiness of barley (Hordeum vulgare L.). We introduced furrow in field screening of winter survival. By sowing the plants at the ridge and base, we could minimize the effect of topographic variation in a field by giving higher and lower level of stress at the same time. This method could be used by breeders to conduct accurate evaluation of winter hardiness by selecting the better treatment, which shows close to normal distribution, among the winter survival rate from the ridge, base and mean survival rate of the two in a screening field.
        35.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항지역 제3기 해성퇴적층에서 산출되는 탄산염광물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음극선 발광현미경 관찰과 화학분석을 실시하였다. 발광현미경은 보통의 편광 현미경으로는 관찰할 수 없는 정보를 제공해 준다. 사암의 탄산염 교질물 내에서, 편광현미경하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유공충의 형태와 마름모꼴로 자란 돌로마이트 형태들이 음금선 발광현미경하에서는 명확히 나타난다. 화학분석 결과, 발광은 탄산염 광물 내의 망간 성분과 칠 성분에 의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돌로마이트 내의 철성분이 10,000 ppm을 넘게 되면 발광은 사라진다. 산출되는 돌로마이트는 칼슘 성분이 많은 것이 특징이며, 60~70℃의 초기 속성작용 단계에서 생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