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99

        6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날로그TV 방송 시대에는 Mono/Stereo 오디오 방송과 음 성다중방송이 있었고, 디지털HDTV 방송 시대에는 Dolby AC-3 기술에 의한 5.1채널 입체오디오 방송이 추가 서비스로 이루어졌다. 지금의 4K-UHDTV 방송 시대에는 채널기반 오디 오(Channel-Based Audio) 7.1.4채널 입체오디오 방송을 비롯하 여 객체기반 오디오(Object-Based Audio) 기본방송 및 편파방 송과 해설방송 등 유저의 선택과 맞춤형 방송이 가능하고, 장 면기반 오디오(Scene-Based Audio) 몰입형 공간수음효과 3D 입체음향 방송 등이 MPEG-H 기술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국내 UHDTV 방송 전송방식(ATSC 3.0)과 함께 Audio 규격으로 규정된 MPEG-H 기술 응용에 대한 실험을 통 해 오디오 서비스 개발의 가능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2022 카타르월드컵’ 기간 중 카타르와 SBS 간 전송링크 구간의 국제신호(IS) 현장음 및 SBS 아나운 서와 해설자 음성 전송용 음향채널 오디오를 소스로 사용하였 으며, 객체기반의 기본, 해설, 현장, 집중 4가지 오디오 모드를 구성하여 SBSi 채널을 통해 모바일 스트리밍 전송을 하였다. 그리고 수신은 SBS 모바일 앱에 Decoder를 설치하여 유저의 음향모드 선택과 활용 및 향후 MPEG-H 기술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오디오 서비스 개발의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6,400원
        62.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bycatch status of fishes by fyke net between June and November 2020 in Asanho lake and Chungjuho lake. During the survey period, the catches in Asanho lake were identified as 2,931 individuals of 16 species from a total of six families and in Chungjuho lake were identified as 1,645 individuals of 14 species from a total of eight families. The dominant species in Asanho lake was Erythroculter erythropterus which accounted for 59.6% of the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40.5% of the total biomass caught. The dominant species in Chungjuho lake was Lepomis macrochirus which accounted for 48.2% of the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Erythroculter erythropterus which accounted for 60.2% of the total biomass caught. The bycatch rates of non-commercial species in Asanho lake and Chungjuho lake were 77.0% and 82.6%,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total length of Carassius auratus and Siniperca scherzeri, which were the dominant species among commercial species, the bycatch rate of small individuals was 87.1%, and 42.7%, respectively.
        4,000원
        63.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quantitatively evaluated size selectivity for three netting shapes (T0; regular, T45, T90) and hanging ratio (35%, 70%) of T0 netting used for trawl codend. The size selectivity experiment was performed in a tank using a cube experimental model with a length of 50 cm on one side and 389 experimental individuals, jack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In the selectivity analysis, a selectivity curve was created based on the selection ratio using a logistic function, and the 25%, 50%, and 70% selection length and selection range  were obtained. The T0 netting was 19.54 cm when the 50% selective length, which is a selectivity evaluation index, had a hanging ratio of 35%, a selection range of 0.51 cm, and 22.70 cm and 3.08 cm for the hanging ratio of 70%. The T45 netting was 24.34 cm and 2.13 cm, and the T90 netting was 23.51 cm and 2.84 cm. The results of the T45 netting and the T90 netting are similar, and the 50% selection length and selection range were relatively larger than the T0 nett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le of the mesh by the shape of the netting and the body girth of the experimental individual (Pearson test,     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lection ratio by the T0 netting, T45 netting, and T90 netting with a 70% hanging ratio (one-way ANOVA,  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lectivity such as T45 netting and T90 netting appeared when the hanging ratio, which maximizes the area of T0 netting, was maintained at 70%.
        4,000원
        64.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6년 고성산불지역의 복원유형별 식생구조와 종다양도 변화를 파악하여 생태적 관점에서 복원의 효과를 정략적으로 평가하고자 자연복원지와 인공복원지로 구분한 영구조사지를 대상으로 매목조사와 군집분류를 수행하였다. 조사구 26개소를 대상으로 이원지표종분석(TWINSPAN)과 DCA분석을 통해 분류한 결과, 군집 I (신갈나무-굴참나무 군집), 군집 II (소나무군집) 2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군집 별 상대우점치 분석 결과, 군집 I은 굴참나무와 신갈나무가 우세한 가운데 졸참나무의 출현으로 참나무류 간의 경쟁이 예상된다. 군집 II는 소나무가 우점하는 가운데 잣나무가 출현하는 군집으로 소나무 군집이 유지될 것이나 향후 아교목층의 참나무류와의 경쟁이 예상된다. 군집 간 유사도지수는 32.31%로 나타났다. 종다양도지수는 군집Ⅱ에서 1.3940으로 군집Ⅰ의 1.0768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복원지는 활엽수 중심으로 맹아 재생이 일어나 군집 I과 같은 참나무림으로 천이가 진행되었다. 인공복원지는 지속적인 관리로 인해 개체수는 줄었으나 생육공간 확보로 자연복원지보다 원활한 직경생장을 보이며 초기 식재종 중심의 군집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4,200원
        65.
        2023.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rous ceramics are used in various industrial applications based on thei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isolation, storage, and thermal barrier properties. However, traditional manufacturing environments require additional steps to control artificial pores and limit deformities, because they rely on limited molding methods. To overcome this drawback, many studies have recently focused on fabricating porous structures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s. In particular, the binder jet technology enables high porosity and various types of designs, and avoid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anufacturing proces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ocess optimization for manufacturing porous ceramic filters using the binder jet technology. In binder jet technology, the flowability of the powder used as the base material is an important factor, as well as compatibility with the binder in the process and for the final print. Flow agents and secondary binders were used to optimize the flowability and compatibility of the powders.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amount of added glass frit, and changes in sintering temperature on the microstructure, poros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nal printed product were investigated.
        4,000원
        66.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는 무기질비료 사용량이 많은 나라 중 하나이다. 그러나 1980년 이후 지속가능농업에 대한 필요성에 의해 1997년 친환경 농업육성법이 제정되었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연구로 논, 밭, 시설 및 과수에 대한 비료사용실태조사가 실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수 중 대표되는 7작물(배, 포도, 사과, 복숭아, 대추, 단감, 키위)을 대상으로 각 도에서 805농가를 선정하여 실시하였으며, 조사내용은 사용하는 비료의 종류, 사용량 등에 대해 농가를 방문하여 면접 청취조사하였다. 국내 과수작물의 성분별 평균 비료사용량(N-P2O5-K2O)은 30.0-23.8-24.3 kg 10a-1이었으 며 비료 종류별로 구분하였을 때 퇴비 > 유기질비료 > 무기질비료 순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비료를 사용하고 있는 과수는 대추로 질소, 인산 및 칼리를 평균 53.3-42.0-49.5 kg 10a-1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앞으로 지속가능 농업과 농업환경의 보전을 위해서는 농가에서 사용하는 비료의 장기간 모니터링 뿐만 아니라 농업인에게 무기질비료, 유기질비료 및 퇴비의 적정사용방법에 대한 교육 및 홍보를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71.
        202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 comparative test opera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alternate haul method to examine the selectivity of the four mesh sizes (60 mm, 90 mm, 110 mm, and 130 mm) of the trawl codend. The selectivity was analyzed using the SELECT model considering the fishing efficiency (split parameter) of each fishing gear in the comparative test fishing operation in the trawl and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for parameter estimation. A selectivity master curve was estimated for several mesh sizes using the extended-SELECT mod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lectivity for silver croaker based on the results of three times hauls for each experimental gear, it was found that the size of the fish caught increased as the size of the mesh size increased. When the selectivity for each mesh size analyzed by the SELECT model considering the split ratio was evaluated based on the size of the AIC value, the estimated split model was superior to the equal split model. Based on the master curve, the 50% selection length value was 2.893, which was estimated to be 136 mm based on the mesh size of 60 mm. In some selectivity models, there was a large deviance between observed and theoretical values due to the non-uniformity of the distribution of fished length classes. As a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appropriate sea trials and selectivity evaluation methods with high reliability should be applied to present trawl fishery resource management methods.
        4,200원
        80.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외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대기오염의 상당량이 선박에서 배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선박에서의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 해 정부는 환경규제를 강화하고 해양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환경친화적 선박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 및 시행하여 친환경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환경친화적 선박을 보급하여 해양오염 저감 기술이 개발되도록 하고 있다. 환경친화적 선박의 기 술은 최근 순수 전기추진 내지는 전기복합 추진체계까지 진화하고 있으나, 선박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검사 및 설비기준 등 관련제도의 정비는 이를 못 따라가는 실정으로, 특히 국내 연안선박의 다수를 차지하는 어선에 대한 제도는 정비가 시급한 시점이다. 이번 연구를 통 해 어선에의 전기복합 추진체계 등의 적용을 위해 핵심기자재인 배터리, 전력변환장치 등을 정의하고 이에 필요한 안전기준을 진단, 마련 하여 친환경 어선의 도입과 보급을 위해 관련된 산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안전기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