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5

        61.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외래 등검은말벌은 2003년 부산지역에서 첫 발견되어 2008년부터 양봉장 피해 가 발생되고 있다(Jung, 2008). 양봉장 피해 지역은 중남부지역의 칠곡군과 중서부 지역의 구례군까지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부산지역의 경우 첫 발생지로 일부 양봉장 주변부에 말벌집 한 해 약 50여군의 등검은말벌의 벌집을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칠곡군의 경우 같은 지역이라도 양봉장위치에 따라 발생정도에 차이 를 보이고 있었다. 농가 양봉장의 등검은말벌 방제 방법으로는 양봉사가 설치된 경 우에는 전면부에 그물망을 설치하여 봉군으로의 침입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고 있 었으며, 또한 끈끈이트랩, 유인트랩, 포충망 채집, 배드민턴채포살, 농약도포후 방 사 등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2.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항균, 항염증, 진통, 면역증강 효과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봉 독은 최근 화장품과 가축적용 항생제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봉독 의 pH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pH가 봉독의 성분과 효능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봉독채집장치((주)청진바이오)를 사용하여 채집 한 정제봉독을 pH2, pH3, pH4, pH5, pH6, pH7, pH8 그리고 pH9 buffer에 녹인 후 동결건조를 통해 건조봉독을 회수한 후 SDS-PAGE를 이용하여 봉독의 성분변 화를 확인하였다. 봉독의 생리활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부 상재균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최소발육저지농도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를 측정하였으며, 사람 피부세포인 HDF(human dermal fibroblast) 를 이용하여 MTT (3-[4.5-dimethyl-2-thiazolyl]-2, 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를 실행하였다. 봉독의 주요 단백질 성분인 포스포리파아제 (Phospholipase, 14.5kD), 히알루니다아제 (hyaluronidase, 38kD)과 포스포모노에스테라아제 (Acid Phosphomonoesterase, 55kD)는 모든 pH에서 변화가 없었다.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최소발육저지농도는 pH2, pH6은 11μg/ml로 나타났으며, pH3, pH4, pH5, pH7, pH8 그리고 pH9에서는 9μg/ml로 나타났다. 피부세포 증식율은 농도 1ng/ml에서 104~119%의 증식율을 보여 pH가 봉독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pH에 따른 봉독의 성분 및 생리활성은 모든 pH에서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63.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까시나무는 우리나라 최대의 밀원수로서 5월 초순 남부지방에서 개화하여 6 월 초순 중북부지역의 비무장지대까지 약 1개월간 꿀 수확이 가능하며, 개화기간 은 약 10여일이다. 꿀 수밀력이 우수한 것으로 육성중인 1개 계통과 수준이 높은 농 가 봉군, 수준이 낮은 농가봉군 2개 지역의 일반 양봉농가에서 수집한 봉군과의 비 교를 통하여 아까시나무 개화기간 동안 꿀 수밀력을 일일 간격으로 비교 조사하였 다. 조사 결과 육성계통이 2개의 비교집단보다 각각 31%, 51% 높았으며, 성충 1마 리의 수밀력 비교에서는 육성계통이 비교집단보다 각각 19%, 43%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봉군의 발육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벌집대비 일벌 개체수 변동, 유 효산란수, 봉개밀집도, 벌집수, 번데기형성율 등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육성계통이 비교계통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6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꿀벌 교미는 공중에서 이루어져평야지의 경우에는 반경 8∼12km, 산야지역에 서는 3∼5km의 격리가 요구된다(Xue, 2001). 국내의 꿀벌밀도는 1㎢ 당 약 18군으 로 세계 최대의 밀도를 보이고 있어 내륙지역에서 이러한 격리공간을 찾는 것은 쉬 운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의 도서는 약 3,200여개로 많은 수의 도서지역 중에서 기 존에 교미장으로 이용하는 지역에 대하여 육종장으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육종장의 구성요건은 4개의 기본적인 요구조건이 선행되어야 한다. 풍부한 밀원자 원, 격리된 지역, 완벽한 꿀벌인공수정기술, 고급기술을 갖춘 충분한 인적자원 등 이다. 이중 자연적인 조건인 밀원자원과 격리조건에 대하여 도서지역의 밀원식물, 봉군 발육 및 꿀저장량, 교미율 등을 알아보았다. 먼저 격리 조건의 경우 육지로부 터 약 14km가 떨어져 있어 교미격리로서는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요 인인 밀원식물의 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봄철부터 초여름까지의 월별 보조 밀원 자원 및 주 밀원을 조사한 결과 3월 하순 사스레피나무·동백나무, 4월 하순 산벚나 무, 5월 하순 찔레나무, 때죽나무, 6월 초순 다래나무 등이었다. 특히 5월과 6월에 봉군발육 특성, 꿀저장량, 교미율 등을 조사한 결과 봉군발육은 5월 봉군당 19,600 마리, 6월 25,600마리로 30.3%의 증가를 보였으며, 꿀저장량은 5월 봉군당 13.2kg, 6월 15.4kg으로 5월보다 6월이 17% 증가하였다. 또한 교미율은 5월 75.0%, 6월 66.7%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교미율은 다소 낮은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실험자와 원거리에 위치 하여 10여일 간격으로 관리가 이루어져 관리상의 문제로 여겨지며, 이문제만 해결 된다면 육종장으로서의 자연적인 조건에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앞으로도 다른 도 서지역의 경우에도 풍부한 밀원식물이 갖추어져 있다면 꿀벌 육종장으로 이용 가 능성이 높다 할 수 있다.
        65.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골프장의 잔디를 가해하는 주요 해충들에 대한 발생양상과 방제적기의 구명을 위해 춘천과 원주지역에서 각각 골프장 한곳을 선정 2012년 4월부터 10월까지 페 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등얼룩풍뎅이, 애풍뎅이, 녹색콩풍뎅이, 검거세미나방 및 잔 디포충나방을 대상으로 시기별 채집량을 조사하였다. 트랩에서 채집된 곤충을 분류한 결과 춘천지역 골프장에서는 등얼룩풍뎅이 등 7 종의 해충이 발생되었으며, 우점 해충은 등얼룩풍뎅이>애풍뎅이>잔디포충나방> 검거세미나방 순이었고 대상해충 이외에도 참콩풍뎅이 등 3종의 해충이 추가적으 로 조사되었다. 원주지역 골프장의 경우 애풍뎅이 등 10종의 잔디해충 발생되었으 며, 우점해충은 등얼룩풍뎅이>애풍뎅이>잔디포충나방>녹색콩풍뎅이>검거세미 나방 순이었고, 특히 등얼룩풍뎅이의 발생밀도가 높았으며 대상해충 이외에 참콩 풍뎅이 등 5종의 해충이 추가적으로 조사되었다. 채집된 종과 발생양상은 춘천과 원주 두 지역 모두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며 이들 해충의 방제시기는 풍뎅이류의 방 제적기가 1~2령기인 것을 감안하여 등얼룩풍뎅이는 7월하순, 애풍뎅이는 8월상순 과 9월상순이었고 나방류는 잔디포충나방은 7월상순, 8월하순, 10월상순으로 예 측되었다.
        66.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Warthin’s tumor of major salivary glands, in particular of parotid glands, is a common benign tumor that may occur synchronously or metachronously in the same or contralateral gland. Moreover, epithelial malignance associated with a Warthin’s tumor is extremely rare, and exists in three forms; epidermoid carcinoma, adenocarcinoma, and undifferentiated carcinoma. The reports, related with a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 arising in a Warthin’s tumor at the parotid gland were reported only additional 3 cases from 1999 to 2010; 30 cases reported up to 1999.[2,4,7] This case report was a extremely rare case where both a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and a Warthin's tumor were coexisting in the same
        4,000원
        67.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quamous odontogenic tumor (SOT) is a rare benign neoplasm first described by Pullon et al. in 1975. Clinically and histologically, it is confused with ameloblastoma, carcinoma and local periodontoal disease. We report a case of SOT occuring in a 16-year-old female in the right mandibular angle location associated with an impacted molar
        4,000원
        6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APD 마커를 이용하여 인삼 품종 및 육성계통의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130개의 primer 중 polymorphism을 나타내는 70개의primer를 선발하였고, 그 중 재현성이 있으면서 polymorphism이 높은 25개의 primer를 선발하였다. 증폭된 DNA 단편의수는 189개이고, PCR 산물은 100 ~ 2,800 bp 범위로 증폭되었다. 2. 각 primer에 의해 증폭된 DNA 단편의 수는 3개 ~ 17개로 다양하였으며, primer 한 개당 평균 7.6개의 DNA 단편이증폭되었다. OPD19 primer를 이용한 유전분석 결과, 총 5개의 유전양상이 나타났는데, 약 500 ~ 1,300 bp의 증폭산물에서품종 및 계통 간 유전적 다형성을 나타냈다. 3. 선발된 primer별 대립인자는 최소 1.33에서 최대 2.00의 범위였고, 평균 1.709이었다. primer별 유전적 다양성은 OPD15가 가장 높았고, OPF2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에 이용된 25개의 RAPD primer 중에서 D15, D19, B5, A19등은 인삼 품종과 계통에서 비교적 높은 수의 대립단편과 높은 유전적 다양성 값을 나타내는 primer였다. 4. 유사도 계수 0.98을 기준으로 24개의 품종 및 계통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미국에서 수집 육성된 G04116과 국내 품종인 천풍, 연풍 그리고 국내 육성 계통인 G04009, G04026, G04069, G04084는 그룹을 형성하지 않았고, 17개의 품종 및 계통은 2그룹으로 분류되었다. I 그룹에는 고풍, 금풍과 12계통(85%), II 그룹에 3계통(15%)이 포함되었다.
        4,000원
        69.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demonstrate optical cross-sectional imaging system implemented with high-resolution interferometry and present oral diagnostic imaging results obtained without any physical sectioning. High-resolution interferometry could be performed with utilizing broadband optical source and employment of beam scanning device to high-resolution interferometer constitutes optical imaging system for non-invasive cross-sectional view at real-time. The optical imaging system is implemented with fiber-optic devices for compactness and optical probe head is realized by using single mode optical fiber and miniaturized actuator, which is properly designed for the application to dental imaging. The basic performance of the optical imaging system, for example, such as resolution, imaging depth, and sensitivity is suggested to prove high-resolution optical imaging performance.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optical imaging system performance in the application of dental diagnostic is proved with demonstrating non-invasively obtained cross-sectional images. The imaging quality suggested in the images could be applied to assessment of oral diseases and used for alternative imaging modality to X-ray diagnostic method overcoming disadvantage of low-image resolution. The imaging performance enabling real-time image reconstruction also could be exploited as early oral diagnostic apparatus prior to microscopic observation under H&E staining.
        4,300원
        70.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국의 남해안은 서해안에 비하여 조석 간만의 차가 작아 갯벌이 발달할 수 있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지 않은 특성 을 가지고 있으며, 갯벌에 대한 조사나 연구 결과도 서해안 을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로 남해안 갯벌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여자만은 전라남도 여수, 순천 및 고흥에 걸쳐 위치하고 있 으며, 연안갯벌이 발달되어 패류양식이 많은 곳이다. 그러 나 최근 갯벌은 내부로 유입되는 몇몇 소하천에 의하여 형 성되었으며, 인근 농경지에서 유입되는 다량의 유기물과 영 양염류 및 오염 물질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환경에 놓여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부 및 외부적 환경 요인들에 의해 변화할 수 있는 갯벌의 계절별 저서 생물상 에 관한 공간 분포를 파악하고자 추진하였다. 조사 대상지인 여자만에 대한 문헌 및 사전 현장 조사를 기초로 하여 전라남도 여자만에 위치한 궁항마을 앞 갯벌 (34°47′02,93″, 127°34′19,35″)을 실험 대상지로 선 정하였다. 기간은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조사하였으며, 모든 조사는 간조시 상자형 코어(30 cm2) 및 주입식 코어 (깊이 50 cm)를 사용하여 약 30~50 cm 깊이까지 정점당 4회씩 채집하였다. 저서 동물은 채집된 퇴적물을 현장에서 해수로 망목크기 0.5 mm인 체에 걸러 분리한 후 해수로 중화된 10% 포르말린으로 고정하였다. 실험실에서는 주요 동물군 별로 선별하여 습중량과 개체수를 측정하였고, 가능 한 종 수준까지 동정하였다. 종별 개체수 자료를 이용하여 각 정점의 종 다양성 및 균등도 지수를 구하였다. 또한 정점 간 출현종의 유사정도를 보기 위해 현존량 자료를 이용하여 Bray-Curtis 유사도 지수를 사용하여 조사 정점의 수지도를 작성하여 집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외 서식 환경중 수온 및 pH 등은 현장에서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궁항 갯벌에 출현한 대형 저서 동물을 월 별로 분석한 결과, 2월에는 Batillaria multiformis가 133개체 출현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Batillaria cumingii는 22개 체로 아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3종이 출현하였다. 3 월과 4월에는 우점종과 아우점종이 Batillaria multiformis와 Cerithidea cingulata로 나타났다. 2월과 비교하여 3월은 Macrophthalmus sp., 4월에는 Monodontalabio가 새로 출 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출현종 수에서는 2월과 3월에 총 7종, 4월에는 5종이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8월에는 Nephtys sp.가 48%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9월에는 Batillaria multiformis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겨울철인 12월에 Batillaria multiformis와 Heteromastus filiformis 종 이 우점종과 아우점종으로 각각 70% 및 20%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궁항 갯벌의 대형 저서 동물은 적은 조차와 하천 수의 영향으로 대조차 갯벌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대상 분포가 뚜렷하게 보이지 않았으며, 크게 하나의 동물 군집 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1.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풍진동 제어를 위해 39층 테크노마트 건물에 능동형 질량 감쇠기를 적용하기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태풍 풍응답 계측 및 풍동실험을 통해 테크노마트 단변방향 진동에 대한 사용성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AMD에 요구되는 스트로크 확보를 위한 건물의 여유 공간, 설치 위치, 허용 무게 등을 알아보고 제진장치 배치 및 사양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테크노마트의 최상거주층인 39층 단변방향을 대상으로 한 1자유도 해석모델에 대해 선형제어방법인 속도피드백, LQR, LQG 알고리즘과 비선형제어방법인 Bnag-bang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해석연구를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제어 전·후의 최대가속도는 11.83cm/s2에서 4.19cm/s2으로, 진동감지확률은 90%에서 50%이하로 감소하여 Bang-bang 제어알고리즘을 적용할 경우 제어성능이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각의 알고리즘으로 구현된 AMD의 최대 스트로크가 모두 허용범위 수준을 만족하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실제 AMD의 안정적은 작동을 위해 요구되는 원점보정 신호 방안을 제안하여, 제한된 스트로크 내에서 제진장치를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4,200원
        7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인체 상 하체에 대한 적정 의복압값과 평소 착용습관에 따른 주관적 압박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30-4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거들과 웨이스트 니퍼를 착용한 후 압력값과 주관적 압박감을 측정하였다. 또한 화운데이션 착용 시 주관적 압박감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소(자세변화, 착용시간, 심호흡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의복압과 주관적 압박감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적정 의복압의 평균 결과 거들은 2.1±0.8 kPa, 웨이스트 니퍼는 1.5±0.8 kPa로 하체의 적정 평균 의복압이 상체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하체보다는 상체에서 평소 느슨하게 입을수록 압박 수준에 대한 민감도가 컸다. 화운데이션 착용습관 조사를 통해 느슨하게 입는 그룹을 'loosely', 조여입는 그룹을 'tightly'로 분류하여 압력값과 주관적 평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loosely' 그룹에서 객관적 압력값과 주관적 평가 간에 또한 주관적 평가와 선호도 간에 상관계수가 더 높게 나타나 평소의 착용습관이 압박감각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자세(선 자세, 앉은 자세)에 따른 압력값의 변화는 웨이스트 니퍼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p=.001), 웨이스트 니퍼 설계 시 적정 의복압을 유지하기 위한 주의를 거들보다 더 기울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제 압력값은 변화가 없었으나 주관적 압박감은 대체적으로 적응을 하여 장기간 착용 시 생리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쳐도 인식하지 못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4,000원
        7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eloblastic fibro-odontoma has been defined as a lesion similar to ameloblastic fibroma by WHO, as it shows inductive changes which forms enamel and dentin. Ameloblastic fibro-odontoma is a very rare mixed dentition tumor in children, and the symptom shows indolent edema in maxillary and mandibular molar area. The prevalence is two times higher in male than in female, and two times higher in maxilla than in mandible. Radiologically, it shows clear border and characteristics of both fibroma and odontoma histologically. This review reports a case that a 4-year old female visited in dental clinic of this school for edema as chief complaint in Feb, 2012. Emergency surgical curettage was performed right after initial diagnosis as odontoma, then confirmed diagnosis as Ameloblastic fibro- odontoma after biopsy. Currently, after 6 month, no sign of recurrence can be seen. Ameloblastic fibro-odontoma is very rare mixed dentition tumor. Moreover, as it is the case of female maxilla, this case is worth of publishing. Furthermore, accurate diagnosis of Ameloblastic fibro-odontoma is difficult. This review is published for accurate diagnosis through differential diagnosis of several important mixed dentition tumors.
        4,000원
        75.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ri-implantitis (PI) is bacteria-induced inflammatory condition which affects the alveolar bone and soft tissue around implants and may result in the loss of supporting bone. Attenuation of the P. gingivalis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can be a new therapeutic approach in the treatment of PI.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635-nm light-emitting diode (LED) irradiation over MG63 osteoblast-like cell. Scratch was made on MG63 cells with or without LPS, then 635-nm irradiated. The expression of the cyclooxygenase-2 (COX-2) proteins was evaluated with western blot. The production of the prostaglandin E2 (PGE2) and expression of the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RANKL) and osteoprotegerin (OPG) was measured with enzyme-linked immunoassay, and the cytokine profile was evaluated with the human inflammation antibody array. Wound closure effect presented in the cells treated with LPS was observ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ells with 635-nm irradiation than the cells without irradiation. The 635-nm irradiaiton reduced LPS-induced expression of the COX-2 and production of the PGE2. Also, 635-nm irradiation affect the expression of RANKL, OPG,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635-nm irradiation could reduce the alveolar bone resorption induced by LPS stimulation through the inhibition of COX-2 expression and PGE2 production, the sup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the modulation of RANKL/OPG balance in MG63 cells.
        4,300원
        76.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poisomerases are essential enzymes involved in all processes of DNA metabolism, and their inhibitors have been identified as potential anti-cancer agent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inoelaidic acid (C18 polyunsaturated fatty) compounds derived from Gardenia jasminoids Ellis extract on the activity of eukaryotic topoisomerases inhibition.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linoelaidic acid compounds using open column fraction, HPLC, NMR and LC/MS which have effects on cell death in oral cancer cell line, FaDu, but not in immortalized normal cell line, HaCaT. Subsequent studies revealed linoelaidic acid-induced autophagy through LC3 activation. Finally, its inhibition of topoisomerase I and selectively induction of oral cancer cell death possibly implies that linoelaidic acid can be a role as potenial agents in the prevention and therapy of oral cancer.
        4,600원
        77.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지속적으로 일정량의 약물을 방출하여 안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기능성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 법: 점도를 달리하는 열감응성 고분자를 매체로 하여 수용성 염료 또는 약물(ciprofloxacin)의 방출 속도를 조절하였다.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속도와 양은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염료가 함유된 겔 형태의 PF127이 HEMA hydrogel 사이에 삽입된 매체에서의 약물 방출은 점안액 형태의 약물보다 방출속도가 크게 감소하며 이를 이용한 장시간 약물 전달이 가능하였다. 열감응성 고분자를 약물매체로 사용한 결과 초기 약물 방출량이 적고 단위시간당 방출되는 약물의 양이 일정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수용성 약물인 ciprofloxacin이 제조된 하이드로겔로부터 최대 250시간 즉, 10일 동안 일정하게 방출되었다. 결 론: 열감응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일정량의 약물을 방출하는 기능성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하여 수용성 약물을 10일 동안 전달할 수 있었다.
        4,000원
        78.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해발 750m 이상의 고랭지에서 재배된 양배추의 정식시기 및 수확 시 기상환경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수확 후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수확 된 양배추의 품종 별 구중은 정식시기 및 수확시기가 늦으면 구중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며 상품성이 낮았다. 반면 8월 23일(3차)에 수확된 양배추 품종은 정식시기 및 수확시기가 8월 3일(1차)과 8월 13일(2차)에 비해 늦었음에도 불구하고 수확기의 기상환경이 좋아 경도 및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이 높았다.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은 수확 전후의 기상환경에 영향을 받아 수확 전 3일 이상 강우가 없을 때 수확하는 것이 높게 유지하였고, 경도는 늦은 정식시기가 경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배추의 색도는 수확기에 따른 변화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품종간에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공시품종 중 수확 시 품질은 'Speed king'과 'Minix 40' 품종이 가장 우수하였다. 양배추 저장은 8월 3일(1차), 8월 23일(3차), 그리고 9월 10일(4차)에 수확된 양배추를 상온(25℃, 60% RH)과 저온(3℃, 85% RH)에 각각 저장하여, 수확시기와 수확기의 기상환경이 상온 및 저온저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양배추의 생리장해는 수침, 시들음, 냉해가 저장기간 4일경부터 발생하여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양배추 6개 품종의 저장기간은 수확 시 기상환경에 따라 상온저장의 경우 3~5일, 저온저장의 경우 9~10일 정도 가능하였다. 특히 8월 3일(1차)에 수확한 양배추는 수확일 전후의 열악한 기상환경으로 실온 및 저온 저장기간이 가장 짧아 실온 2일 그리고 저온은 4일의 저장기간을 보였다.
        4,000원
        79.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ow level light therapy (LLLT) is known to accelerate the process of wound healing, bone and cartilage formation, and to decrease tissue necrosis and inflammation. It also can be applicable to acute and chronic injury or degenerative disease. Despite forty- plus years of accumulating exprerience of the clinical efficacy of LLLT, their molecular biologic evidence is not fully elucidated.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explore the role of the ROS system and its molecular biologic mechanism in related with inflammatory response, anti-apoptosis and angiogenesis during LLLT. We suggest that activation of ROS system explains many (if not most) of the observed response of cells to LLLT in vitro, and is likely to play a pivotal role in the response of animals and patients to LLLT for both experimental and clinical indications and diseases.
        4,000원
        8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urrence-metastasis status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ongue is a challenging oncologic problem. This study examined the expression of E-cadherin/β-catenin cell adhesion complex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tongue through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Twenty samples from 15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tongue, who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onsisted of primary or recurrent tumors along with matched metastatic lymph nodes were retrieved fo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grouped based on recurrence-metastasis status.Differences in stain localization were noted in E-cadherin, β–catenin and phospho β–catenin staining between different tumor groups based on the recurrence-metastasis status. The number of phospho β-catenin stain positive cell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ole in survival. E-cadherin confirms its role as a powerful individual differentiation indicator and the role of β-catenin specially the phospho type elicts interest
        4,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