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67

        161.
        2023.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rcomatoid carcinoma is rarely diagnosed as gallbladder cancer. Its aggressive natu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both sarcoma and carcinoma, results in a poor prognosis. We report a case of gallbladder sarcomatoid carcinoma in an 82-year-old male who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for evaluation of gallbladder cancer observed on abdominopelvic computed tomograph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ncer were not confirmed after several imaging modalities. The surgically resected tumor was positive for both cytokeratin and vimentin as revealed via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a sarcomatoid carcinoma was finally diagnosed. The role of chemotherapy has not yet been identified. Therefore, radiation therapy is planned to reduce the risk of recurrence.
        4,000원
        162.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luorescent probe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atechin on the structural parameters (annular lipid fluidity, transbilayer lateral and rotational mobility and protein clustering) of the Porphyromonas gingivalis outer membrane (OPGs). An experimental procedure was used on the basis of selective quenching of 1,6-diphenyl-1,3,5-hexatriene (DPH) and 1,3-di(1-pyrenyl)propane (Py-3-Py) by trinitrophenyl groups and radiationless energy transfer from the tryptophans of membrane proteins to Py-3-Py and DPH. Catechin increased the bulk lateral and rotational mobility, annular lipid fluidity of OPGs lipid bilayers, and had greater fluidizing efficacy on the outer monolayer than the inner monolayer. It also caused membrane proteins to cluster. Based on these effects of catechin on OPGs, the antibacterial and antiviral actions of catechin can be partially explained.
        4,200원
        163.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중점적 관수・관비 시스템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물 부족과 낮은 토양비옥도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 식량작물에 대한 지중점적 관수 효과, 특히 지중점적 관비와의 결합에 대한 이해와 관련 시스템 개발은 여전히 미미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표면 관수 및 시비(CF)와 비교하여 지중점적 관수 및 관비 처리(SSF)에 따른 감자(Solanum tuberosum L.)의 성장 및 수량 특성을 측정하였다. 지중점적 처리를 위해, 경상국립대학교 실험 포장(583 m2)에서 점적관(Ø 14.1 ㎜, 1.6 L h-1)을 80 ㎝ 간격으로 깊이 40 ㎝에 매설하였다. 감자의 표준 시비량(N-P-K: 100-88-130 ㎏ ha-1) 중 일정량 기비(N-P-K: 50-48-90 ㎏ ha-1) 후, 잔여 시비량인 N-P-K: 50-40-40 kg ha-1을 괴경형성기와 괴경비대기에 절반씩 나누어 관비하였다. 감자 생육 특성 중 초장은 지중점적 처리구에서 가장 길게 나타났으나, 경직경은 대조구에서 가장 두껍게 나타났다. 총 수량과 상서용 수량은 각각 대조구에서 38.6 Mg ha-1, 27.4 Mg ha-1로 지중점적처리구와 비교하여 총 수량은 14.0%, 상서용 수량은 20.8% 높게 나타났다. 지중점적 관수 후 깊이 80 ㎝까지의 토양 단면조사에 따른 수분 분포는 10~35%의 수분함량을 보였으며, 모세관 확산 현상에 의해 중력으로 인한 수분의 하강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사양토 조건에서 지중점적관수・관비 처리에 따른 감자의 생육과 물의 이동은 투입비용과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한 작물 생산성을 높기기 위해 지중점적 관수시스템, 매설 깊이나 관수방법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검색어 – 관비, 관수, 물관리, 식량작물, 지중점적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