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8

        121.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땅콩의 delta 12 fatty acid desaturase 유전자의 염기서열에서 고 올레인산을 함유하는 F435를 선발할 수 있는 PCR 기초 분자표지마커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포인트 뮤테이션 (point mutation)의 결과로 나타나는 고 올레인산을 SNP 마커를 이용하여 하나의 염기서열차이(아데닌 삽입)를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는 분자마커이다. 제작한 마커가 고 올레인산관련 특이 마커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 땅콩 9 품종과 F435를
        123.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심리·정서적 행동특성, 및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목포 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지체장애인 13명을 선정하여 10월 23일부터 12월 11일까지 매주 2회 1시간씩 총 15회에 걸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전과 후에 자아존중감과 사회·심리·정서적 행동특성 검사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손 기능은 Purdue pegboard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원예활동은 프로그램 전과 후에 원예활동평가표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자아존중감은 프로그램 실시 전 26.0점에서 실시 후 31.3점으로 높아졌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나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심리적 행동특성도 프로그램 실시 전 65.3점에서 실시 후 74.1점으로 증가하였으며, 정서적 행동특성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실시 전 34.0점에서 실시 후 30.3점으로 낮아졌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따라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지체장애인의 사회․ 심리․정서적 행동 특성의 변화에 효과적이었다. Purdue Pegboard 검사를 통해 평가한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 오른손, 왼손, 양손, 및 조립 점수가 높아져 지체장애인의 손 기능이 향상되었다. 원예활동 평가에 있어서 참여성, 관심 및 조력성, 언어소통 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 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능력, 운동지각능력, 숙련도와 직업적응력 등 9개 세부영역에서 실시 전보다 실시 후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124.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안유’는 종실수확을 목적으로 하는 품종육성을 위하여 YCPL 1824를 모본으로 하고, SF9225-3-1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한 SF98024-2B-4-1-2-2 계통으로 계통명은 밀양46호이며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안유’는 잎모양은 피침형이며, 엽뒷면색이 자색이고, 화색은 자색, 종자는 진갈색의 구형이다. 2. 노지재배시 경장이 120 cm로 경장이 낮아 도복에 유리하며 화방군수가 많고 화방군장이 길다. 3
        125.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깨는 참기름이나 깨소금 등 조미원료로 재배되는 전통적인 작물로 국내 참깨 생산액은 ‘08년 통계자료에 의하면 2천1백억 원 이상으로 유지작물 총 생산액의 67%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주요 유지작물이다. 그러나 국산참깨와 수입참깨에 대한 정확한 차별기준이 없어, 국산 참깨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에게 많은 혼란을 야기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산참깨에 대한 차별화를 위하여 유전자 부위에서 DNA 염기서열 차이를 이용한 DNA 분자마커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양백깨를 포함한 육성품종, 주요 유전자원 및 수입 참깨 등 48종을 시험재료로 품종간의 유의성 확인 및 차별화 분자마커를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분자마커 는 국립식량과학원 전작과로부터 분양받은 246점의 STS(sequence tagged site)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다형성을 확인하였다. 분자마커의 다형성 확인은 공시재료의 DNA를 추출하여 agarose 및 acrylamide gel을 이용하였다. 전체 246점의 분자마커 중 60점에 대한 분자마커 검정결과, 3점의 분자마커가 뚜렷한 다형성을 나타냈으며, 6점의 분자마커에서 minor band 다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6.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깨는 종자가 작아 파종 및 솎음 작업에 많은 노력이 많이 소요된다. 본 연구는 참깨 종자를 과립화하여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파종 및 솎음 작업을 생력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출아율은 자체제작A형 및 시판 과립종자에서 95%로 무처리 91%에 비해 4%, 특히 자체제작B형 과립종자에서 8%가 더 높았다. 파종 노력시간은 자체제작A형 및 시판 과립종자에서 10a당 10.5시간으로 무처리 20.2시간에 비하 여 48% 절감되었으며 특히 자체제작B형 과립종자에서 9.3시간으로 무처리에 비하여 54% 절감되었다. 솎음 노력시간은 자체제작A형 및 시판 과립종자에서 10a당 2.6시간으로 무처리 10.2시간에 비하여 75% 절감되었 으며 자체제작B형 과립종자에서 10a당 5.5시간으로 무처리에 비하여 46% 절감되었다. 생육은 경장과 착위장 이 무처리에 비하여 과립종자에서 컸으며, 삭수가 증가하여 수량이 무처리 10a당 85kg에 비하여 과립종자에 서 88~92kg으로 4~8% 증수하였다.
        12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는 전국 재배면적 28,000ha로 충북, 충남, 강원 지역이 주요 재배지역이다. 주로 간작, 후작용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특히 강원지역의 경우 옥수수 후작으로 재배되고 있으나, 적합 품종 및 재배법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본 시험은 옥수수 후작 들깨 재배시 이식기에 따른 수량 및 주요성분인 지방, 지방산, 단백질을 비롯한 2차 대사산물의 주요성분 변이를 분석하고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2009년 강원도 화천군 농가 포장에서 실시하였으 며, 시험재료로는 안유, 다유, 대유를 사용하였으며, 3엽기 묘를 6월 15일, 6월 30일, 7월 15일 각각 이식하였으 며, 들깨 표준재배법에 준하여 재배하였다. 그 결과로 이식기별 수량은 품종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6월 15일이 가장 높았고, 다유가 전 시기별로 가장 수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량구성요소인 분지수와 화방군수가 다른 품종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지방 및 이차대사산물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안유의 아피제닌 함량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성분의 함량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 으며, 파종기-성숙기의 생육일수가 길어질수록 기름함량 및 이차대사산물의 함량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 된다.
        128.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식초, 주정 및 비타민 C 등의 첨가물을 넣어 제조한 생강다대기를 튜브용 용기에 담아 에서 각각 보관하면서 저장기간별로 미생물 수, 색도, 향기성분변화,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및 지방산의 특성변화를 살펴보았다. 생강다대기의 일반세균수는 저장기간 동안 미생물 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고, 곰팡이의 경우 생강다대기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효모의 경우 저장초기 CFU/g의 효모가 존재하였으나, 저장 2주경과 후부터 존재하지
        129.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식용 대립 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대립 양질 다수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다수성인 '새들'과 단경 다수성 '사도노카'를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풍안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풍안은 버지니아 초형으로 개화기가 빠르고 지상부 생장습성은 단경 다분지성이다. 2. 풍안은 대광땅콩에 비해 성숙협수, 성숙협비율, 협실비율, 100립중등 양호한 등숙특성을 보이며 100립중이 88 g인 대립품종이다. 3. 도복에 매우 강한 특성을 나타내며 흑반병
        130.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질 화합물로써 일련의 4-(R1)-benzyl alcohol 및 4-(R2)-phenol 유도체들의 치환기(R1 및 R2)가 변화함에 따른 tyrosinase 활성저해에 관한 3차원적인 구조-활성 상관 (3D-QSARs) 모델을 유도하고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입체장, 정전기장, 소수성장 및 수소결합 주게장의 조합조건에서 통계적으로 양호한 CoMSIA 2 모델(상관성; r2 = 0.858 및 예측성; q2 = 0.951)을 유도하였다. 등고도 분석결과, 기질분자의 R2-치환기는 입체적으로 작고 음전하를 띄며, 소수성이면서 수소결합 주게장을 선호하지 않는 치환기가, 그리고 R1-치환기는 양전하를 띄며 수소결합 주게장을 선호하는 치환기가 tyrosinase의 저해활성이 증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수소결합 받게장은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32.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peanut variety “eonan”(Arachis hypogaea ssp. hypogaea L.) was developed at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in Milyang in 2007. It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the erect short stem cultivar “P9128” and the high-yielding cultivar “aekwang” “eanan”which is Virginia plant type has 18 branch number per plant with early maturing and long-ellipse shaped large kernel. Each pod has two grains with brown testa and 100 seed weight was 87 g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Especially this variety has resistance to lodging owing to short stem. The free sugar and tannin content of fresh peanut are 3.7% and 0.48%, respectively, similar to check variety.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eonan”was outyielded than check variety by 14% with 8.59 MT/ha for fresh pod and by 7% with 3.75 MT/ha for grain.
        133.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peanut variety “ungsan”(Arachis hypogaea ssp. hypogaea L.) was developed at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in Milyang in 2007. It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a short stem cultivar “atonoka”and a high-yielding local cultivar “echeon” “ungsan”is the Virginia plant type. It has 18 branches per plant and 40 cm of main stem height. Each pod with long-ellipse shaped large kernel has two grains with light-brown testa and 100 seed weight was 95g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ungsan”showed more resistant to web blotch compared with check variety.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ungsan”was outyielded in grain yield to the check variety by 16% with 4.45 MT/ha for grain.
        134.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peanut variety “harmpyeong”(Arachis hypogaea ssp. hypogaea L.) was developed at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in Milyang in 2007. It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the high-yielding cultivar “hindaekwang”and the very short stem cultivar “CGV94216” This Virginia plant typed “harmpyeong”has 33 cm stem height and 18 branch number Each pod with ellipse-shaped large kernel has two grains with brown testa and 100 seed weight was 88 g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This variety also showed more resistant to web blotch compared with check one. Especially it has resistance to lodging until harvesting owing to short stem.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harmpyeong”was outyielded than check variety by 13% with 4.35 MT/ha for grain.
        136.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식용 대립 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대립 양질 다수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단경 다수성인 ‘CUP brittle’과 조숙인 ‘대광’를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조평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평은 버지니아 초형으로 개화기가 빠르고 지상부 생장습성은 직립 단경 다분지성이다. 조평은 대광땅콩에 비해 성숙협수, 성숙협비율등 양호한 등숙특성을 보이며 100립중이 87g인 대립품종이다. 도복은 매우 강한 특성을 나타내며 갈반병, 그물무늬병, 흑반병에 비교적 강하고 낙엽율도 낮아 생육 후기까지 녹엽 유지에 유리하였다. 조평은 단백질이 30.9%, 기름함량이 43.1%이고 양질지방산중 올레산과 리놀산의 비율이 2.1로 산화안정성이 양호한 특성을 가진다. 조평은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대광땅콩에 비하여 전국평균 8.37ton/ha로서 11% 증수되었다. 조평은 개화가 빠르고 병해에도 강한 편이나 충분한 성숙을 위하여 강원도와 산간 고냉지를 제외한 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은 품종이다.
        137.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식용 풋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대립 양질 다수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자색종피인 ‘HYQ(CG)S-10’와 다수성인 ‘신광땅콩’을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참원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참원은 신풍초형으로 주경과 분지에서 개화 및 착협하고, 지상부 생장습성은 직립 소분지성이다. 참원은 팔광땅콩에 비해 성숙협수는 같으나 100립중이 90g으로 5g 더 높은 대립품종이다. 갈반병, 그물무늬병은 팔광땅콩 보다 강하고 낙엽율도 낮아 생육후기까지 녹엽 유지에 유리하였다. 참원의 기름함량은 25.8%, 단백질이 31.3%로서 팔광땅콩에 비해 높고, 탄닌함량이 낮고 유리당 함량이 높아 풋땅콩의 품질이 양호하다. 참원은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대광땅콩에 비하여 풋땅콩이 전국평균 8.93MT/ha로서 18%, 종실이 3.95ton/ha로서 4% 증수하였다. 참원은 개화가 빠르고 병해에도 강한 편이나 충분한 성숙을 위하여 강원도와 산간 고냉지를 제외한 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은 품종이다.
        138.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양촌 월하시 생감 및 곶감의 유용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월하시 생감과 곶감의 수분함량은 85.52, 47.36%, 조지방은 0.1, 0.13%, 조단백질은 0.30, 1.89%, 조섬유는 0.56, 2.0%를 각각 나타내었고, 수분활성도는 0.994, 0.838, pH는 5.68, 5.73, 당도는 12.6, 를 각각 나타냈다.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생감과 곶감의 명도 L값은 외부가 47.58, 37.80,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