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3

        181.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processing parameters on the flow behavior and microstructures were investigated in hotcompression of powder metallurgy (P/M) Ti-6Al-4V alloy. The alloy was fabricated by a blended elemental (B/E)approach and it exhibited lamellar α+β microstructure. The hot compression tests were performed in the range of tem-perature 800-1000℃ with 50℃ intervals, strain rate 10−4-10 s−1, and strain up to 0.5. At 800-950℃, continuous flowsoftening after a peak stress was observed with strain rates lower than 0.1 s−1. At strain rates higher than 1 s−1, rapiddrop in flow stress with strain hardening or broad oscillations was recorded. The processing map of P/M Ti-6Al-4V wasdesigned based on the compression test and revealed the peak efficiency at 850℃ and 0.001 s−1. As the process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volume fraction of β phase was increased. In addition, below 950℃, the globularization of phaseat the slower strain rate and kinking microstructures were found. Based on these data, the preferred working conditionof the alloy may be in the range of 850-950℃ and strain rate of 0.001-0.01 s−1.
        4,000원
        182.
        2014.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표고버섯 재배방법이 원목가격의 상승, 노동강도가 높으며, 재배인력의 노령화, 재배적 특성상 수확소요기간이 장기간 소요되는 등의 이유로 전반적으로 원목재배에서 봉지재배로 전환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재배적기인 봄가을에 봉지재배로 버섯생산을 하는 경우 경매가격이 낮아 생산비가 높은 봉지재배는 경쟁력이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버섯가격이 높은 혹서기 및 혹한기에 버섯을 생산 할 수 있는 연중재배 방안의 개발이 절실하며, 일정 표고재배 시설 내에 버섯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바닥재배 보다는 균상재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진 상태이다. 최소의 비용으로 불시재배 형태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기 위하여 농가 재배사의 형태에 따른 재배사 위치별 온도변화와 시설 및 장비에 대한 조사와 재배온도별 버섯 발생 및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재배사 내의 온도는 외부 온도가 34℃일 때에 내부온도는 30~31℃이었으며, 상하단의 온도 편차는 1℃이내였고, 밤의 온도는 외부온도가 22~21℃ 일 때에 내부는 22~23℃ 수준으로 1℃ 높았다. 전체적으로 보면 24℃ 미만은 버섯 발생 및 생육이 가능한 온도가 유지되는 시간은 22:30부터 아침 7:30분까지이며, 습도는 온도와는 반대로 낮에는 55~65% 내외이나 밤에는 85~95%내외를 유지하였다. 재배사에 설치되어있는 시설들은 냉동기, 물콘, 3중막 표고재배사, 미스트 및 포그노즐 등이었으며, 이들은 적용하여 낮은 온도 유지를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봉지배배에서 혹서기에 재배가능한 온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14℃부터 29℃ 까지 3℃ 간격으로 항온상태에서 버섯재배사에서 재배한 결과 23℃까지는 버섯이 발이 또는 생산되었으나 26℃부터는 버섯생산이 불가능하였다. 버섯 품질을 결정하는 버섯의 색깔과 형태적 특성변화에서 명도값은 온도가 증가하면서 증가하였고, 대의 채도(a, b)값은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갓에서는 채도(b)값은 온도에 따른 큰 변화가 없었으나, 채도 (a)값은 감소하였다. 형태적 특징 중에서 갓크기는 1차 수확에서는 온도 증가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으나 2차 수확에서는 증가하였다. 대길이는 재배온도가 높아지면 대길이가 길어지며, 갓두께는 1차 수확에서는 서서히 감소하지만 2차 수확은 1차보다 빠르게 증가하였다. 이는 1차에서는 발생개체수가 많아 서서히 증가 또는 감소되지만, 2차 수확에서는 발생개체수가 감소되어 전반적으로 자실체의 크기가 커지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23~24℃ 정도의 온도에서는 버섯발생 및 생장이 가능하며, 외부온도가 34℃온도에서도 버섯농가에서 버섯을 생산하고 있는 것은 밤 시간대의 온도(24℃)에서 발이하여 높은 낮 시간대의 30℃에서 품질은 저하되지만 생육 가능한 것으로 추정되며, 30℃의 온도는 버섯을 사멸시킬 정도의 온도는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183.
        2014.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팽이버섯은 버섯 가운데 가장 낮은 온도에서 재배되는 버섯으로 4∼12℃의 저온에서 자실체가 발생되며, 자연상태에서는 11∼4월에 발생하므로 ‘겨울버섯’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야생 팽이버섯은 자실체 색이 연한 황갈색부터 진한 밤색까지 매우 다양하며, 갓 직경은 크고 대는 굵고 짧은 것이 특징이다. 반면, 인공재배되는 팽이버섯 품종은 자실체 색을 백색으로 변형하고 재배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갓이 작고(1cm 이하), 대가 긴(10∼14cm) 콩나물 형태를 갖는다. 내수 및 수출용 팽이버섯은 대부분 백색계통의 일본도입종으로, 2011년에 약 9.4억원의 로열티를 지불한 것으로 나타나 국산품종 육성이 시급한 품목이다. 국내 육성품종 보급률이 낮고 30여개 국가에 수출되면서 팽이버섯의 로열티가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원에서는 야생 팽이버섯 수집 균주를 활용한 갈색 팽이 국산품종 육성과 육성된 신품종을 새로운 소득작목으로 개발하고자 느타리 재배법 접목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느타리 재배법 접목연구 수행 과정에서 색이 균일하나 갓이 빨리 피고 수량이 떨어지는 ‘금향’과 생육이 균일하고 다수성이나 갓에 얼룩이 발생하는 ‘갈뫼’의 단점이 드러나, 두 품종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보완된 고온성 신품종 육성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갈색 팽이버섯 신품종 ‘여름향1호’는 갓이 연한 갈색인 고온성 팽이버섯으로 금향에 비해 배양기간 2일, 초발이 소요일수 1일이 더 짧아 총 재배기간이 38일로 금향 대비 3일, 갈뫼 대비 7일 단축되어 재배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16℃ 고온재배 시 생육과정에서 갓이 피는 정도가 금향보다 늦고 대 길이는 갈뫼와 유사하여 품질이 양호하며, 수량은 금향 대비 10% 증수되었다.
        185.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cycl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with internal heat exchanger for cascade heat exchanger using alternative freon refrigerants is presented to offer the basic design data for the operating parameters of the system. This system considered in this study is consisted of a high temperature cycle using Freon refrigerant R23, R508B and low temperature cycle using Freon refrigerants R22, R507A. The operating parameters of this system include subcooling and superheating degree, evaporating temperature, compressor efficiency, and so on. The main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COP of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using R23/R507A is the highest results in this study. The COP of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with internal heat exchanger only in high temperature cycle is the highest value among three cycle, such as only low temperature cycle, only high temperature cycle and all the cycle
        4,000원
        186.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high temperature dilatometer attached to a graphite furnace is built and used to study the sintering behaviorof B4C. Pristine and carbon doped B4C compacts are sintered at various soaking temperatures and their shrinkage pro-files are detected simultaneously using the dilatometer. Carbon additions enhance the sinterability of B4C with sinteringto more than 97% of the theoretical density, while pristine B4C compacts could not be sintered above 91% due to par-ticle coarsening. The shrinkage profiles of B4C reveal that the effect of carbon on the sinterability of B4C can be seenmostly below 1950°C. The high temperature dilatometer delivers very useful information which is impossible to obtainwith conventional furnaces.
        4,000원
        187.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study objective was to evaluate rheology and physical properties of SBS-modified warm-mix asphalt (WMA) binders in comparison with hot-mix asphalt (HMA) binders. METHODS : Four different SBS polymers were used to prepare polymer-modified asphalt (PMA) binders, and three different warm-mix additives (WAD) were used to prepare a total of 12 WMA PMA binders. The kinematic viscosity was measured at 115, 135℃. The PG was determined using DSR and BBR. The pass/fail (P/F) temperatures for high and low PG grading were evaluated for HMA PMA and WMA PMA binders. RESULTS: PG 76-22 binders could be prepared by modifying the base binder (PG 64-22) using 4.5 wt% of SBS. The kinematic viscosity (KV) of SBS PMA was increased by 3 times higher than that of base asphalt. The SBS PMA with WAD showed 10% lower KV than that of the normal SBS PMA at 115℃ The high P/F temperatures showed almost no difference between HMA PMA and WMA PMA binders. The high P/F temperature showed very high correlations with KV (R2 > 0.97). The result of SBS modification caused increase of low P/F temperature by 2.7℃ on average. CONCLUSIONS : Since the PMA with WAD showed 10% lower KV than normal (HMA) PMA at 115℃, reducing PMA mixture temperature down to a WMA level was possible in this study. The higher KV binders showed the higher P/F temperature. There was almost no change in high P/F temperature due to the use of WAD. The SBS PMA, showing an increased low P/F temperature, might show somewhat poorer performance at low-temperature, even though the lower PG grade was staying at the same level, i.e., -22℃.
        4,000원
        188.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e-Cr-Al powder porous metal was manufactured by using new electro-spray process. First, ultra-finefecralloy powders were produced by using the submerged electric wire explosion process. Evenly distributed colloid(0.05~0.5% powders) was dispersed on Polyurethane foam through the electro-spray process. And then degreasing andsintering processes were conduc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cell size (200 µm, 450 µm, 500 µm) in process,pre-samples were sintered for two hours at temperature of 1450˚C, in H₂ atmospheres. A 24-hour thermo gravimetricanalysis test was conducted at 1000˚C in a 79% N₂ + 21% O₂ to investigate the high temperature oxidation behavior ofpowder porous metal. The results of the high temperature oxidation tests showed that oxidation resistance increased withincreasing cell size. In the 200 µm porous metal with a thinner strut and larger specific surface area, the depletion ofthe stabilizing elements such as Al and Cr occurred more quickly during the high-temperature oxidation compared withthe 450, 500 µm porous metals.
        4,000원
        18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고온기 근권냉방이 파프리카의 배지온도 하강과 파프리카의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7월 16일부터 10월 15일까지 코이어 배지에서 재배 하였다. 냉방방식은 공기순환 덕트(지름 12cm, 미세구멍 (0.1mm)으로 찬 공기(7월~8월; 20 ± 2oC, 9월; 23 ± 2oC) 를 야간시간(오후 5시~오전 3시) 공급하였다. 고온기(7월 23일부터 8월 31일) 중 파프리카 배지의 일평균 온도가 냉방처리구는 24.7oC, 대조구는 28.2oC로, 냉방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3.0~5.6oC 배지온도가 낮아 졌다. 하루 중 맑은 날(650~700W · m−2) 주간(오전 5시~ 오후 8시)/야간(오후8시~오전5시) 냉방처리구 배지 온도는 대조구보다 1.7oC/3.3oC 낮아졌다. 오후 6시에서 8시까지 초저녁 배지온도 하강속도가 냉방처리구에서는 평균 0.5oC/h, 대조구는 0oC/h였다. 배지 상부와 하부 간의 대조구 대비 냉방처리구의 온도차도 각각 1.3oC, 0.6oC 였다. 냉방처리는 고온(28~32oC) 배지 온도 노출율을 대조구 대비 32.5% 감소시켰다. 냉방처리구의 파프리카 광합성, 증산율 및 수분포텐셜은 대조구보다 높았다. 첫 개화시기도 대조구보다 4일 앞당겨지고, 착과수도 증가하였다. 냉방처리구의 엽장은 짧아졌으나, 초장, 경경, 분지수, 엽폭 등은 차이가 없었다. 야간 근권냉방으로 배지 온도가 3.0~5.6oC를 낮추었으나, 고온기 온실 온도가 고온에서는 파프리카 착과가 지연되므로, 지상부 온도 하강 방법을 병행하면 파프리카 생육과 착과에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4,000원
        19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the basalt fiber has superior fire-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it has many disadvantages in its applications. Generally, the tensile and loop strengths of basalt fiber were decreased with generated frictional heat during industial appplications. To solve this problem,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coating system was introduced and a sutable coating condition was evaluated. The basalt fiber was pre-treated with triethoxytrifluoropropylsilane (TMTFPS) at various pHs and then coated with PTFE dispersions with penetrating agent sodium bis(2-ethylhexyl)sulfo succinate (DOS-Na) to increase the tensile and loop strengths as well as to reduce the fibril during working. A universial testing machine (Instron Model 3366) was used to measure tensile and loop strengths. When the PTFE dispersion with 0.25 wt% of DOS-Na was coated on the surface of basalt fiber after pre-treating with 5 wt% of PTFE, the highest tensile and loop strengths were reached to 3.5 gf/D and 2.4 gf/D, respectively.
        4,000원
        19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nalysis on the oxidation behavior was conducted by a series of high-temperature oxidation tests at both 800oC, 900oC and 1000 in the air with sintered STS 316L. The weight gain of each oxidized specimen was measured, the oxidized surface morphologies and composition of oxidation layer were analyz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SEM-EDS), finally, the phase change and composition of the oxidized specimen were shown by X-Ray Diffraction (XRD). As a result, the weight gain increased sharply at 1000oC when oxidation test was conducted for 210 hours. Also, a plentiful of pores were observed in the surface oxidation layers at 900oC for 210 hours. In addi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on oxidation behavior of sintered STS 316L can be obtained: Cr2O3 can be formed on pores by influxing oxygen through open-pores, (Fe0.6Cr0.4)2O3 can be generated on the inner oxidation layer, and Fe2O3 was on the outer oxidation layer. Also, NiFe2O4 could be precipitated if the oxidation time was kept longer.
        4,000원
        192.
        2013.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formation properties of a TiC-Mo eutectic composite were investigated in a compression test at temperaturesranging from room temperature to 2053K and at strain rates ranging from 3.9×10−5s−1 to 4.9×10−3s−1. It was found that thismaterial shows excellent high-temperature strength as well as appreciable room-temperature toughness, suggesting that thematerial is a good candidate for high-temperature application as a structure material. At a low-temperature, high strength isobserved. The deformation behavior is different among the three temperature ranges tested here, i.e., low, intermediate and high.At an intermediate temperature, no yield drop occurs, and from the beginning the work hardening level is high. At a hightemperature, a yield drop occurs again, after which deformation proceeds with nearly constant stress. The temperature- andyield-stress-dependence of the strain is the strongest in this case among the three temperature ranges. The observed high-temperature deformation behavior suggests that the excellent high-temperature strength is due to the constraining of thedeformation in the Mo phase by the thin TiC components, which is considerably stronger than bulk TiC. It is also concludedthat the appreciable room-temperature toughness is ascribed to the frequent branching of crack paths as well as to the plasticdeformation of the Mo phase.
        4,000원
        193.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온기 토마토 재배시 생산현장에서 즉시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적엽관리법을 구명하여 수확량과 상품성을 증대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농가에서 관행으로 행해지는 생장점부터 하부로 14개의 잎을 남기고 적엽하는 처리(Leaf-14), 생장점으로부터 하부로 20개의 잎을 남기고 적엽하는 처리(Leaf-20), 유럽에서 관행으로 행해지는 수확 후 화방 하부엽 제거 처리(Harvest), 토마토 잎의 광합성 특성을 적용한 개화 7주 후 화방 하부엽 제거 처리(7-weeks) 등 4개의 처리를 두었다. 적엽처리는 개화속도에는 영향이 미미했으나, 수확속도와 수확량 및 상품성에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확속도는 6-7일이 적당하며, 과다한 적엽으로 수확속도가 너무 빠르게 진행되면 총수확량이 감소하므로 적엽하지 않아야 한다. 고온기의 적엽은 Leaf-14보다 Leaf-20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7-weeks 처리도 효과적이었으나 적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재배현장에 적용하기 쉽고, 적엽처리 효과가 가장 우수한 Leaf-20 처리가 고온기 적정 적엽방법으로 판단된다.
        4,000원
        194.
        2013.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스팔트에 각종 재료를 사용하여 특성을 개질 (modification)하면 소성변형 (rutting), 균열 (cracking)등의 발생을 감소시켜 포장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개질재로 널리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가 SBS (styrene butadiene styrene)이다. 또한 SBS 개질 아스팔트 (SBS modified asphalt: SBS PMA)는 취급온도가 낮아지면 작업성이 저하되어 다짐불량 등의 문제가 있고, 장기적으로 노화 진행이 빨 라 균열이 유발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4종류의 국내외산 SBS (SA, SB, SC, SD)와 3종류의 준고온화 첨가제 (PW, LC, ET)를 사용하여 SBS 개질 준고온 아스팔트 (WMA-PMA)를 제조하였다. 기본 바인더로 PG64-22의 아스팔트에 각각의 SBS를 4.5% 첨가하고 각각의 준고온화 첨가제는 PW 1.7%, LC와 ET는 권장사용량 1.5, 0.5%를 사용하여 PG76-22의 HMA PMA, WMA PMA를 제조하고, 바인더의 특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바인더 특성 시험으로는 115, 135℃에서 동점도 (kinematic viscosity), DSR (dynamic shear rheometer), BBR (bending beam rheometer)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115℃ KV는 135℃에 비하여 2.5~3.3배 증가하였고, 준고온화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HMA PMA에 비하여 WMA PMA의의 KV는 115, 135℃에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DSR 시험결과 P/F (pass failure temperature)는 77.6~ 81.1℃까지 다양하게 나타나 SBS 종류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BBR 시험 결과 저온 등급은 -22를 만족하였으며, 개질하지 않은 일반 바인더가 PMA에 비하여 낮은 P/F를 보였다. HMA PMA, WMA PMA는 모두 PG76-22를 만족하였다.
        195.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온에서 유기용매를 정제할 수 있는 고온, 고압에서 안정한 상업화 규모의 고효율 중공사 투과증발 막, 막모듈 개발, 상업 규모의 막분리 장치시스템 개발을 수행하였는데 구성 요소기술은 1) 고온 고압 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브레이드 강화 중공사 막제조, 2) 중공사 막모듈 제조, 3) 막 탈수, 정제장치 시스템 설계 및 제작기술등을 개발하였다. 개발 중 공사 투과증발막은 독일의 슐츠막 보다 막 안정성과 막 성능이 우수하였으며, 막면적 4.6 m 2의 고효율 상업적 규모의 중공사 막모듈을 개발하였고, 200 L/hr 이상의 처리용량의 Pilot 규모의 투과증발 막장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존 평막 혹은 중공사 막에서 모듈에서 볼 수 있었던 모듈내부에 공급액의 dead volume형성, 공급액의 채널링 현상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본 개발 중 공사막과 막모듈의 특징은 고온, 고압의 유기용매를 중공사막 내부로 공급되어 흐르도록 설계되어 있어 막분리 효율이 우수하 며 특히 기존의 막제품의 대비 막모듈 가격이 저렴하고, 막성능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공급액의 열손실 적어 에너지 효율이 우수할 뿐 아니라 막모듈 내에 중공사막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여 가해주는 진공이 균일하게 각 중공사막의 투과부 표 면에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투과된 투과물을 막 표면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투과속도 또한 우수하다.
        4,000원
        200.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노지작물인 고추에서 이상고온에 따른 생육 및 생리장해 등 피해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아울러 고온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화학적 대응 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빈나리(diniconazole)를 사용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고추의 신장생장은 생육적온인 25℃보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향상되었으나 경직경은 낮았으며, 특히, 30℃에서 재배한 고추 식물체는 연약한 생장을 보였다. 반면 뿌리생육은 생육온도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다. 고추의 생육적온인 25℃보다 고온에서 재배하면 엽수는 증가하였고, 엽면적도 높았다. 또한 생체중 및 건물중도 높았다. 반면 수확량은 생육적온인 25℃에 비해 고온인 30℃에서는 생산량이 17% 감소하였다. 고추의 생육온도에 따라 낙화율에 차이가 있었으며, 생육적온인 25℃에서는 낙화율이 28.0%였으나, 27.5℃에서는 33.5%, 30℃에서는 52.3%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낙화율이 높았다. 칼슘 결핍증은 고추의 생육적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온도가 높아질수록 경미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반면 역병발병율은 생육온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30℃의 이상고온은 낙화율이 문제되었으나, 빈나리를 처리하면 낙화율이 감소하여 10 mg/L처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수량이 10% 향상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