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9

        18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Ligusticum chuanxiong Hort extracts (LCE) against the hyperlipidemia of high-fat diet-fed obese rats. The rats were divided into the three groups (normal group, control group and sample group) to perform the experimental research. 1.5 ml/kg of LCE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into the sample group for 21 days. The equal dose of 0.9% saline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into the norm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day 22, they were anesthetized with ether and dissected. The level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were examined in serum of rats. Superoxide dismutase (SOD) was measured in mitochondrial fraction. Malondialdehyde (MDA), catalase (CAT), and glutamate peroxidase (GPx) were determined in liver homogenate. High-fat diet markedly increased the levels of AST, ALT and MDA, significantly decreasing those of SOD, CAT and GPx. But Ligusticum chuanxiong Hort-pretreatment decreased the levels of AST, ALT, and MDA. increasing those of SOD, CAT and GPx.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e antioxidative effects, suggesting that LCE could be the candidate for the functional material.
        4,000원
        182.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 ussuricus)은 분류학상 식 육목(Carnivora, 食肉目)에 속하지만 생존을 위해 식물성으 로 먹이습성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아직도 진화과정에 있다 (원, 1967). 대부분 곰들은 기회적인 잡식성 동물이며, 행동 은 주로 먹이의 이용가능성과 서식지의 먹이 구성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이들은 먹이사슬망에서 상위포식자 계급을 형성하고 있으며, 자연생태계를 변화시키는 종자산포자, 하 위피식자 개체수 조절 등의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 를 가진 종(species)으로서, 이들의 식이물 분석에 대한 연 구는 자연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다. 2004년부터 본격적으로 방사를 실시한 반달가슴곰은 러 시아, 북한, 서식지외보전기관(서울대공원) 등에서 도입한 개체들이며, 이들은 지리산국립공원이라는 서식지에서 넓 게 여전히 활동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반달가슴곰 생태 연구의 한 분야인 배설물 분 석(식이물)을 통해 방사반달가슴곰이 선호하는 먹이습성, 계절별 먹이 선호도, 서식지 환경 조건 등을 판단하여 서식 지 적합성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바이다. 연구내용 및 방법 1. 조사지역 연구대상지는 지리산국립공원 지역으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면적은 총 472㎢이며 과거부터 야생 반달가슴곰이 서식해왔던 지역이다. 2004, 2005, 2007, 2008년 복원개체 로 방사된 연해주産, 북한産, 서식지외 보전기관 등 반달가 슴곰 32마리의 위치추적 조사로 확인된 방사 반달가슴곰의 행동권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2. 연구방법 2005년부터 2011년 8월까지 방사곰 위치추적, 서식지 흔 적 조사를 하며 총 73점의 배설물을 수집하였다. 현장에서 수집한 배설물은 비닐팩(PE Bag)에 넣고 밀봉하여 수집일, 수집인, 장소, 고도 등을 기재 후 냉장 또는 냉동보관 하였 다. 배설물 분석은 약 3일간 배설물을 증류수에 담그고, 내 용물이 풀어지게 한 후 체(Mesh-Sieve : 체눈 크기 1.40㎜, 710㎛, 500㎛)에 걸러 식이물 파편을 잔류시킨 후 자연건조 및 건조기(Dry Oven)를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건조된 시료 는 육안 및 실체현미경을 이용하여 동정․분석하였으며 동정이 어려운 식이물은 배설물 수거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먹 잇감(식물의 잎, 열매, 곤충, 소형포유류 등)의 비교 표본을 채집하여 상호 비교하며 동정하였다. 종 동정이 불가능한 것은 Jacobson & Hansen(1996)에 의한 방법인 속(屬)의 개념에 포함하여 분류를 시도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분석된 반달가슴곰의 계절적 먹이 배설물 73점을 이용하여 반달가슴곰의 먹이를 분석한 결 과 섭식이 확인된 식물성 먹이는 16과 25종이었으며 동물 성 먹이는 곤충 8과 15종, 포유류 3과 4종, 조류 1과 1종, 양서류 1과 1종으로 나타났고 미동정 된 시료는 제외시켰다 (표 1.). 1) 봄(3월∼5월) 봄철 반달가슴곰 주먹이는 사초류, 신갈나무, 졸참나무, 조릿대, 산뽕나무, 소나무 등 열매와 어린 잎, 눈(bud), 꽃 등을 섭식하여 식이물의 대부분이 섬유질과 꽃받침 조각 잔해, 암술 머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포유류는 멧돼지 털, 소량의 오소리, 쥐과 털 등 포유류도 섭식하였으며, 곤충 류는 딱정벌레목, 벌목을 섭식하였고, 밤과 다래는 전년도 것을 섭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여름(6월∼8월) 여름철 주먹이는 식물성 먹이는 뽕나무류, 벚나무류 등의 열매와 칡, 고광나무 등의 잎을 섭식하였으며, 늦여름에는 조릿대 잎, 다래 등을 섭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곤충류는 딱정벌레과, 꿀벌과, 개미과를 섭식하였고, 포유류는 멧돼 지 어린개체의 다량의 털과 뼈와 소량의 족제비 털이 나타 났고, 조류는 알껍데기 및 깃털, 양서류는 개구리 뼈가 나타 났다. 3) 가을(9월∼11월) 겨울철 주먹이는 신갈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속의 열매 와 밤 등을 섭식하였다. 그 외 식물성 먹이로는 다래, 층층나 무, 감나무 등의 열매, 구상나무, 비목나무, 다래, 조릿대, 칡, 소나무 등의 잎을 섭식하였다. 동물성 먹이는 딱정벌레 목, 꿀벌과 등 곤충을 섭식하였으며 일부 배설물 중 소량의 멧돼지털이 분석되었다. 4) 겨울(12∼2월) 겨울철의 반달가슴곰의 주요 먹이는 참나무속 열매였으 며, 다래, 고욤나무 열매, 진달래, 구상나무 잎 등을 섭식한 것으로 나타났고, 층층나무, 때죽나무, 소나무, 참나무속, 잣 나무, 조릿대 등의 거친 잎을 섭식하여 거의 소화되지 않은 채 다량의 곰털과 함께 배설되는 형태를 보였다. 포유류는 다량의 멧돼지털이 나타났고, 곤충류는 딱정벌레목, 벌목, 집게벌레목을 섭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류는 깃털과 다 리가 나타났다. 반달가슴곰은 잡식성이지만 주로 식물의 열매와 잎을 먹 는다. 인도 Dachigam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의 배설물 분석 결과 5~10월 기간 동안 반달가슴곰의 주요먹 이 22종류를 보고한 바에 따르면, 먹이의 중량비율이 식물 잎이 22% 이상, 과실 72%, 동물성 물질이 2%에 이른다고 한다. 또한, 6~7월 기간 중 반달가슴곰의 먹이 중에는 주요 과실은 양벚나무(Prunus avium)와 뽕나무(Morus alba)이 었으며, 9~10월 기간 중 주요 먹이는 English Oak(Quercus robur)1)와 호두나무(Juglans regia)로 보고하였다(Manjrekar, 1989). 10월 달 동안 Dachigam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반달 가슴곰의 배설물을 이용하여 반달가슴곰이 섭식한 주요 먹 이 비율을 분석한 결과 도토리(12%), 호두(33%), 팽나무류 열매(40%)로 나타났다(Schaller, 1969). 중국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은 초여름에는 식물 잎을 주로 먹다가 차차 육질 로 된 과실을 먹으며 동면 전에는 고열량의 과실을 먹는다 고 한다(Schaller et al., 1989). 또한, 일본 반달가슴곰과 Yamazakura2)(Prunus jamasakura) 열매와의 관계를 연구 한 결과 일본 반달가슴곰은 Yamazakura 열매의 결실이 가 장 좋고, 열매가 크며 영양상태가 좋을 경우 열매를 먹는다 고 한다(Koike et al. 2005). 태평양연안과 일본 삼림지대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에게 그 해 생산된 견과양은 암컷 반달 가슴곰의 새끼출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 히 물참나무(Quercus mongolica var. crispula) 도토리가 태 평양연안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의 주요 먹이로 밝혀졌다. 하지만 암곰의 새끼출산에 영향을 주는 주요 먹이는 태평양 과 일본 연안 식생 형태에 따라 다르다고 보고되었다 (Hashimoto et al. 2005). 결과적으로 반달가슴곰은 주요식물의 분포와 밀도에 의존하여 이동한다. 방사 반달가슴곰의 경우 배설물 73점을 분석한 결과 반 달가슴곰의 먹이는 총 46종으로 나타났으며, 반달가슴곰의 식이물 패턴은 외국선행연구와 같이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 다. 주요 먹이는 조릿대, 신갈나무, 벚나무류, 산뽕나무 등 식물의 잎, 열매, 꽃, 줄기 등 식물성 먹이가 큰 부피를 차지 하고 있었다. 곤충류의 경우 딱정벌레목, 벌목, 집게벌레목 등 다양하 게 섭식하였으며, 식물성먹이 다음으로 높은 식이물 부피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어떤 배설물은 개미류가 배설물의 부피 1/3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이는 반달가슴곰이 토양속 이나, 썩은 나무줄기를 파서 개미 성충, 유충 등을 섭식한 것으로 추정된다. 포유류는 그 다음으로 많은 식이물 부피를 차지하고 있었 으며, 5년 이상 성체가 된 반달가슴곰 배설물 경우에는 분변 자체가 멧돼지 성체 털, 발톱, 뼈로 구성 되어 있었고, 다른 배설물은 멧돼지 새끼 개체를 섭식하여 다수의 뼈와 발톱, 털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이는 반달가슴곰과 멧돼지와의 향 후 먹이사슬관계를 추정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판단된 다. 또한 오소리, 족제비, 멧돼지의 소량의 털은 이들 사체의 일부분을 반달가슴곰이 섭식하거나 땅에 떨어진 도토리 등 다른 먹이들을 먹는 과정 중에 함께 먹은 것으로 추정되어 진다. 그 외 조류, 양서류는 배설물의 미미한 부피를 차지하 고 있었다. 현재 외국 선행 연구와 비교하면 방사반달가슴곰의 배설 물의 시료가 부족하여 정확한 반달가슴곰의 식이습성 분석 과 서식지 이용에 대한 정보 확보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반달가슴곰 배설물을 주기적으로 상당 량 채집하여 계절별, 지역별, 고도별, 개체별 분석과 서식지 환경 조사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반달가슴곰의 먹이가 되는 식물, 동물 등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한 다면 지리산국립공원의 서식지 평가와 반달가슴곰 개체군 에 대한 보다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인용문헌 원병휘. 1967. 한국동식물도감 제7권 동물편(포유류). 문교부 Hashimoto Y, Kurosaki T, Abe T, Miguchi H, Miyashita T and Takatsuki. 2005. Effects of autumn food availability on reproduction by female Asiatic black bears(Abstract). 16th IBA Conference Jacobson, L. and H. M. Hansen. 1996. Analysis of otter(Lutra lutra) spraints; part 1: Comparison of methods to estimate prey proportions; part 2: Estimation of methods of the size of prey fish. J. Zool. Lond. 238: 167-180 Koike S., Kasai S., Tokita N., Yamazaki K., and Furubayashi K. 2005. Relationship between phenology of Prunus jamasakura fruits and Asiatic black bear, Ursus thibetanus, as seed disperser. 16th IBA p. 92 (Abstract) Manjrekar, N. 1989. Feeding Ecology of the Himalayan Black bear (Selenarctos thibetanus Cuvier) in Dachigam National Park. M. Sc., Thesis. Saurashtra University, Rajkot Schaller, G. B. 1969. Food habits of the Himalayan black bear(Selenarctos thibetanus) in Dachigam Sanctuary, Kashmir. Journal of Bombay National History Society. 66: 156-159 Schaller, G. B. 1989. The feeding ecology of giant pandas and Asiatic black bears in the Tangjiahe Reserve, China. Carnivore Behaviour, Ecology and Evolution. Chapman & Hall, London, UK. pp. 212-241
        3,000원
        18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JAZF1 is a 27 kDa nuclear protein containing two putative zinc finger motifs that is associated with diabetes mellitus and prostate cancer according to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function of this gene in regulating metabolism. Recent evidence indicates that JAZF1 transcription factors bind to the nuclear orphan receptor TR4 and act as a strong repressor. This receptor regulates PEPCK, the key enzyme in gluconeogenesis,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Excess PEPCK expression in mice causes hyperglycemia, hyperinsulinemia, and increased glucose turnover. Therefore, we hypothesized that ectopic expression of Jazf1 may lead to abnormal expression of PEPCK that allow for the metabolic disorder. To elucidate its role in metabolism, we fed the mice with high- or normal- fat diet up to 18 weeks. In the liver tissue of mice, Jazf1 overexpression led to a substantial reduction in the expression of PEPCK. In Jazf1 overexpression mice, weight gai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increment of blood glucose level also decreased. Our data suggest that Jazf1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regulation of energy and lipid homeostasis, and promotes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disorder. Jazf1 may provide a new therapeutic target in the management of obesity, diabetes, and liver steatosis.
        184.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eeding effect of a diet containing Cordyceps with fly pupa on the changes in blood lipid profile from broiler chickens, fatty acids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in chicken meat. A total of 360 chicks (Ross strain 308) were divided on hatch day into four treated groups with respect to a 35-day feeding regimen: T1 (control group), T2 (2.0% Cordyceps with fly pupa), T3 (3.5% Corceps with fly pupa) and T3 (5.0% Cordyceps with fly pupa). Blood triacyl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5.32-10.63% and 9.23-12.62%, respectively, in groups T2, T3 and T4 when compared to T1 (p<0.05). Water holdi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highest in T2 (p<0.05),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T2, T3 and T. In chicken meat, the ratio of saturated fatty acid to unsaturated fatty acid was high in the T3 and T4 groups, the ratio of n-6 to n-3 fatty acid was low in the T2, T3 and T4 groups and oleic acid (18:1n-9) was high in the T2, T3 and T4 groups, when compared to T1 (p<0.05). TBARS tended to increase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in days), an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hicken thigh muscles with skin in groups T2, T3 and T4 as compared to T1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diet containing 2.0-3.5% of Cordyceps with fly pupa may decrease blood lipid and improve both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broiler chicken meat.
        4,200원
        187.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energy budget was estimated to produce an efficient artificial seed. And it needs to enhance fisheries productivity of sandfish, A. japonicus. In order to estimate energy budget of the sandfish, A. japonicus juvenile fed on nonriched Artemia nauplii (NA) and the enriched Artemia nauplii (EA), of sandfish were reared at constant condition of seawater temperature of natural temperature (NT) and heated temperature (HT). During the reared period, energy used by the reared juveniles were calculated from estimates of data on ingestion, growth, oxygen consumption, nitrogen excretion and energy content. Energy budget of NT-NA, NT-EA, HT-NA and HT-EA were represented as 100C=66.49G+21.28M+0.78F+1.44U, 100C=67.54G+21.40M+9.39F+1.67U, 100C=66.86G+22.66M+8.01F+2.47U and 100C=67.06G+22.96M+7.70F+2.28U. The assimilation efficiency estimated NT-NA, NT-EA, HT-NA and HTEA were represented as 87.78%, 88.94%, 89.52% and 90.02%. Gross growth efficiency estimated NT-NA, NT-EA, HT-NA and HT-EA were represented as 66.49%, 67.54%, 66.86% and 67.06%. Net growth efficiency estimated NT-NA, NT-EA, HT-NA and HT-EA were represented as 75.75%, 75.94%, 74.68% and 74.49%. In this results, two ways could be considered to produce an efficient artificial seed of sandfish. To hasten the growth of sandfish juvenile, heated seawater (HT) and enriched Artemia nauplii (EA) should be inputted to reared condition. And to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natural seawater (NT) and enriched Artemia nauplii (EA) should be inputted to reared condition.
        4,200원
        188.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reared box tree pyralid, Glyphodes perspectalis, with artificial diet and identified sex pheromone. Insect F-II and leaf of box tree were used to make artificial diet. Box tree pyralid, Glyphodes perspectalis, is the most serious pest of box tree in Korea, and was recently introduced into Europe. The pheromone components of this moth have been identified as (Z)-11-hexadecenal (Z11-16:Ald), (E)-11-hexadecenal (E11-16:Ald), and (Z)-11-hexadecenol (Z-11- 16:OH) in Japan. In this study, we identified pheromone components of this species by using GC and GC-MS. Three same components, such as (Z)-11- hexadecenal (Z11-16:Ald), (E)-11-hexdecenal (E11-16:Ald), and (Z)-11-hexadecenol (Z-11-16:OH) were also indentified in Korean population, but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ratios. The ratios of these three compounds of Japanese population and Korean population were 5:1.25:1, and 5:0.96:0.2, respectively. The ratios of Z and E-11-hexadecenal were similar, but the ratio of (Z)-11-hexadecenol was lower compared to Japanese population. In field bioassay, (Z)-11-hexadecenal or (E)-11-hexadecenal alone was not attractive to males, but the mixture of Z11-16:Ald and E11-16:Ald was attractive to males. The most effective ratios of Z11-16:Ald and E11-16:Ald was 5:1. Other ratios such as 1:1 and 1:5 (Z:E) was not attractive to males. The attractiveness of Z:11-16:OH will be tested in near future.
        189.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솔잎 토착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사료 급여가 돼지의 성장, 혈액성상, 도체형질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평균 체중 75kg인 3원교잡종 (Landrance× Yorkshire×Duroc) 180두를 공시하여 돈방 당 15두씩 시험구당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발효사료는 원료 사료와 미생물을 혼합 후 혐기적 상태로 10일간 발효시켰으며, 양돈용 사료에 0 (대조구, CON), 3 (T1), 5 (T2) 및 10% (T3)로 대체하여, 42일간 급여 후 도축하였다. 발효사료의 조단백질 함량은 발효 후가 발 효 전보다 높았지만 (p<0.05), 조섬유 함량과 pH는 낮았다 (p<0.05). 돼지의 혈중 Hemoglobin 함량은 T3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p<0.05), Hematocrit 함량은 대조구와 T1구가 T2구와 T3구에 비해 높았 고 (p<0.05), Platelet 함량은 T1구가 T2구와 T3구에 비해 높았다 (p<0.05). 대조구의 혈중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및 Triglycerides 함량은 발효사료를 대체한 모든 시험구에 비해 높았으나 (p<0.05), HDL-cholesterol 함량은 적었다 (p<0.05). 지육중량과 지육율은 T1구와 T3구가 대조구와 T2 구에 비해 높았으며 (p<0.05), 등지방 두께는 T1구와 T2구가 T3구에서 비해 낮았다 (p<0.05). 육 등급은 발효사료를 대체한 모든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었으며 (p<0.05), kg 증체당 사료비는 발효사료 를 급여했을 때 약 2~6% 적었다. 따라서 솔잎 토착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사료의 급여는 돼지의 건강과 육 등급 개선 및 사료비 절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91.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artificial diet for the mugwort looper, Ascotis selenaria (Lepidoptera: Geometridae), which is an insect pest to leaves of citrus (Citrus unshiu). Corn and soybean powder were selected as main nutrient sources for larvae of A. selenaria after several diets consisted of wheat germ, corn, kidney bean and/or soybean were tested for larval development and survival. A higher amount of the main nutrients in the diet increased the larval survivorship. Addition of yeast and cholesterol in diet increased the larval survivorship. Finally the composition of diet was decided as followings, corn 100 g, soybean 100 g agar 25 g, Brewers’ yeast 30 g, cholesterol 0.5 g, Vanderzant vitamin mixture 2 g, Wesson’s salt mixture 2 g, sorbic acid 2 g, ascorbic acid 2 g, and methyl-4-hydroxybenzoate 2.5 g, and distilled water 1 liter. Development periods of larvae and pupae, survival rate and fecundity of A. selenaria reared on the die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ose on the host plant, citrus leaves. Larvae of early instars were reared in a group, while larvae of later instars (5-6th) were reared individually. Adult mating was conducted in a plastic cage and an oilpaper covered with a gauze was provided as an oviposition site.
        4,000원
        19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마늘 (FGP), 홍마늘 (RGP) 및 흑마늘 (BGP)의 동결건조 분말을 각각 3%씩 비만 유도된 흰쥐에 4 주간 혼합 급이한 후 혈청, 간 및 분변의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식이효율은 마늘 분말 급이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혈청 중 총 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7.0~20.9%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성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RGP군은 42.1%, BGP군은 40.8%정도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마늘 분말 급이시 정상군과 유사한 수 준이었으며, LDL-콜레스테롤은 마늘 분말 급이시 감소되었으나 대조군과 유의차는 없었다. 간 조직의 총 지질은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RGP와 BGP 급이군에서 30%이상 감소되 었다. 분변의 지질 함량은 마늘 분말의 급이 기간이 길수록 지질 함량이 높았으며, RGP군에서 총 콜레 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배출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혈청과 간 조직의 TBARS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 여 RGP군과 BGP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항산화능은 혈청에서 RGP군이 68.1%로 대조군에 비하 여 유의적으로 상승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고지방식이로 인해 비만이 유도된 흰쥐에게 홍마늘 및 흑마늘 분말을 급이는 체지방 증가 억제, 체내 지질 배출 증가 등에 의한 체내 지질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 료된다.
        4,300원
        197.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strinia zaguliaevi (Lepidoptera: Crambidae) causes serious damage to pods and stems of the red bean, Vigna angulari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reproductive developmental stage. The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studies of O. zaguliaevi were performed at several constant temperatures ranging from 7℃ to 36℃ in the laboratory, in the purpose of making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models in the future. Eggs and larvae of O. zaguliaevi could not develop at lower temperatures of 7~13℃.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developmental period of the immature stage decreased. The number of larval instar was variable from 5 to 8, depending on temperature. The minimum number of larval instar was observed at only 25℃. Some larvae of colonies maintained at 16~22℃ showed highly longer developmental period. At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s, 34℃ and 36℃, the larval developmental rates were not slowed down, and the larval survival rates was relatively high, above 60%. The egg mortality was relatively high at 36℃. Using these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data of O. zaguliaevi, preliminary linear regression equations were estimated to look for a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developmental rate in egg and larval stages.
        198.
        201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examined the effect of Bulnesia sarmienti (BS) water extract on hyperlipidemia induced by a high-fat diet. ICR mice were fed a high-fat diet ad libitum for four weeks. Simultaneously, BS water extract was administered intragastrically at 0 mg/kg (control), 30 mg/kg, or 300 mg/kg once daily for four weeks. Male ICR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control group (NC), high-fat diet+vehicle treatment group (HF), high-fat diet+BS of 30 mg/kg treatment group (HF+BS30), and high-fat diet+BS of 300 mg/kg treatment group (HF+BS300). The levels of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and histological appearances were evaluated. After four weeks, body weight gain and serum levels of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 group than in the normal control group. Together, serum High-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level in the HF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the normal control group. However, treatment with BS resulted in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gain and levels of serum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terol. In addition, serum HDL-cholesterol level in the BS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elevated, compared to that of the HF group.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of the liver showed fat accumulation and swelling of hepatocytes in the high-fat diet group; these abnormalities were ameliorated by treatment with B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eatment with BS water extract resulted in dose-dependent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high-fat diet-induced hyperlipidemia.
        4,000원
        199.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고라니(Hydropotes inermis argyropus)의 위내용물을 대상으로 PCR-DGGE 방법을 이용하여 그 식이습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강원도 철원과 전라남도 동부지역 등에서 자연사 혹은 로드킬에 의해 죽은 고라니 사체의 위에서 식이물 샘플을 채취하였다. 총 44개체의 위내용물에서 각각 DNA를 추출하였고, 두 가지의 프라이머(rbcLZ1과 rbcL19bR)를 이용하여 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 large subunit(rbcL) gene을 PCR 증폭하였다. 44개의 샘플 중 29 샘플에서 성공적으로 PCR을 수행하였다. 이 29개 partial rbcL gene의 PCR product는 PCR-DGGE에 이용되었다. 식이물에 대한 분석결과 총 6과의 식물이 확인되었다. 강원도 철원의 경우, 5과가 나타난 반면, 전라남도 동부의 경우, 3과만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종수준의 먹이식물의 구별에는 실패하였 지만, 차후 이 PCR-DGGE 기법은 고라니를 포함한 초식동물의 식이습성을 분석하는데 하나의 가능성 있는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00.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een tea extract on aluminum-induced damage to phospholipid content in old rat cerebral tissu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that aluminum is the cause of Alzheimer’s disease. Forty Sprague-Dawley old male rats weighing 350±10 g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sisting of a control group (CON), 40 ppm aluminum sulfate group (Al-40), green tea water extract group (GTWE), and 40 ppm aluminum sulfate and green tea water extract groups (Al-40+GTWE) and kept on their respective diets for 12 weeks. In order to discover the influence of aluminum on cerebral tissue of old male rats, the serum aluminum concentration and phospholipid composition were compared between the aluminum-treated group and the norma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rum aluminum concentration was higher in the aluminum sulfate-treated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The cerebral tissue phospholipid concentr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luminum sulfate treated group a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 that increase of aluminum concentration in experimental animals causes the rise of serum aluminum and phospholipid concentrations, phenomena that are very similar to those shown in Alzheimer’s disease.,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together with reports that aluminum is a cause of neurofibrillary tangles in cerebral tissue, therefore demonstrate the possibility that aluminum is the cause of Alzheimer’s disease. Green tea water extract is also shown to be an effective therapeutic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