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69

        201.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five senses activities involving food ingredients on the eating behavior of infants. The study was carried out four times over 6 months. We surveyed 65 nursery school infants and teachers who were registered at the 2020 Guro-gu Center for Children’s Food Service Management in Seoul. They participated in the five senses education specialization projec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cores relating to unbalanced diet, hygiene management,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manners were visibly higher than those before participating in the five senses educational activitie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food ingredients used in the five senses education activities. Final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types of education us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five senses education activities, and the need for education by type, cooking activities were observed to rank higher than other activities in all questions. Based on this, if dietary guidance is provided through a variety of five senses education activities over a long period rather than as a one-time event, it will be beneficial to the children's healthy eating habits.
        4,000원
        202.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after adding black ginseng powder at ratios of 0%, 1%, 3%, 5%, and 7%, and the potential of black ginseng as a functional food.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black ginseng powder content while the pH decreased. The L value d ec reased with increase in the black ginseng powder content while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The hardness decreased with increase in the black ginseng powder content. Notably,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diammonium salt (ABTS) radical scavenging showed the highest increases in cookies containing 7% black ginseng powder.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black ginseng powder add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black ginseng powder can be applied to cookies to achieve high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4,000원
        203.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tagatose yogurt with different contents (6, 8, 10%) of cold brew liquid coffee. Tagatose is a low-calorie food ingredient with putative health-promoting benefits. The tagatose yogurt wa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at 37±1oC for 20 h. The changes in acid production (pH and titratable acidity), viscosity, and lactic acid bacteria were determined every 5 h during fermentation. Color value was determined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performed after fermentation in triplicate. The yogurts containing cold brew liquid coffee had lower pH, higher acidity, and viscosity than the control, regardless of the liquid coffee contents. All samples had increasing levels of lactic acid bacteria over the fermentation period, but lactic acid bacteria of yogurts with the addition of cold brew liquid coffee increased further than the control. The total polyphenol/flavonoid content, DPPH/ ABTS/H2O2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increased when the liquid coffee content of the yogurt rose. Consequently, the optimal quality of tagatose yogurt was found when 6-8% of cold brew liquid coffee was added according to the overall results of quality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4,000원
        204.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구기자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얻어진 추 출물 중 총 폴리페놀 함량은 17.3 mg/mL이었으며,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결과 1000 μ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항산화 효능 실험으로 DPPH radical 소거 시험을 실시한 결과 1000 μg/mL의 농도에서 84.97%의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SOD 유사 활성 실험 결과 1000 μg/mL에서 80.54%의 결과로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 과 1000 μg/mL에서 50.93%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구기자 추출물이 elastase 저해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로부터 구기자 70% ethanol 추출물은 항산화와 주름 개선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기능 성 화장품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205.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열대저기압이 한반도로 접근할 때 중심최대풍속이 34 knot보다 약해졌더라도(weak tropical cyclone; WTC) 수 도권 지역으로 상륙하면 상당한 피해를 일으키지만 WTC만 독립적으로 조사한 학술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 따르 면 WTC 활동은 Pacific Decadal Oscillation (PDO)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PDO가 음의 위상일 때는 양의 위상일 때보다 95% 신뢰구간에서 유의하게 더 많은 WTC가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DO 양의 위 상에 비해 음의 위상 시기에는 북서태평양 북부에서 양의 상대소용돌이 아노말리가 나타난 반면, 북서태평양 남부에서 는 강한 연직바람시어와 음의 상대소용돌이 아노말리가 나타났다. 이런 조건 하에서 열대저기압의 발생위치가 보다 북 쪽으로, 즉 동아시아 대륙에 더욱 근접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열대저기압의 전체 생애가 짧아졌을 것 이다. 게다가 PDO 음의 위상 시기에 일본열도 상공에 자리한 고기압성 아노말리는 열대저기압의 진로를 좀 더 서쪽으 로 밀어내어 육지에 의한 마찰과 황해 저층 냉수대의 영향도 증가하였을 것이다. 이에 따라 열대저기압의 생애최대강도 와 상륙 시 강도가 약해져 PDO 음의 위상 때 WTC 활동이 한반도에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4,000원
        206.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teokbokkidduk alone or supplemented with 3%, 6%, 9%, and 12% wheat bran powder were assessed, to increase use of the wheat bran by-product of wheat milling. The moisture content, pH, and starch elution of Tteokbokkidduk increased with increasing wheat bran powder, while the water absorption rate did not. The L color value decreased and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wheat bran pow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Tteokbokkidduk prepared with 0% and 3% wheat bran powder revealed uniform pore size distribution. In terms of texture profile analysis, hardness and chewiness increased, while cohesiveness decreased with increased content of wheat bran powder. Acceptance was highest for samples with 6% wheat bran powder. Quantitative description analysis (QDA) revealed increased brownness, roughness, nutty, bitterness, astringency, savory character, and hardness, and decreased ad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with increased wheat bran powde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vealed highest overall acceptance of samples prepared with 6% wheat bran powder, reflecting the relatively low values of detrimental sensor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ies of Tteokbokkidduk increased as wheat bran powder content increased. The addition of 6% wheat bran powder resulted in excellent Tteokbokki in terms of acceptanc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5,200원
        207.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ca roots (Lepidium meyenii) are an important medicinal herb that have long been used by the Andes-indigenous peoples and South Americans. In Korea, recently, it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health food material because of nutritional valu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dustrial applicability of maca (red and golden varieties; R&G) as immunostimulating materials. In the macrophage stimulating assay using RAW 264.7 cells at 125~500 μg/mL of non-cytotoxicity doses, G-HW showed the most potent production of TNF-α, IL-6 and nitric oxide compared to red maca or the other extracts. The general componen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ll extracts comprised more than 90% neutral sugars with small amounts of uronic acid and protein. Meanwhile, component sugar analysis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uronic acids of cold- and hot-water extract. Additionally, the further fractionation of G-HW into crude polysaccharide (G-CP) greatly enhanced the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and G-CP contained macromolecules over 144 kDa, comprised mainly of glucose and galacturonic acid (51.0 and 34.9%). In conclusion, crude polysaccharide from maca showed industrial applicability as immunostimulating material, and especially golden maca showed higher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than red maca.
        4,000원
        208.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l-trans retinoic acid (ATRA) is a derivative of vitamin A and exhibits anticancer activity against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Fenbendazole (FBZ) is a benzimidazole anthelmintic that has wide safety margin and low toxicity. Recently, FBZ has been found to have anticancer activity by destabilizing microtubules. In this study, we treat ATRA and FBZ on HL-60 cells, a human leukemia cell line, to investigate the synergistic effects of two drugs, and the potential anticancer mechanism. ATRA and FBZ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etabolic activity of HL-60 cells at 0.04 μM ATRA. Cell viability of ATRA-treated HL-60 cells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more decreased by FBZ. N-acetyl cysteine, an inhibitor of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etabolic activity of the cells treated with ATRA and FBZ. Hoechst 33342 and propidium iodide staining showed the presence of broken nuclei in the HL-60 cells treated with ATRA and FBZ. And also, an apoptosis analysis demonstrated that 0.2 μM FBZ increased the percentages of cells in apoptosis and necrosis. In contrast, 0.04 μM ATR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multiple assays, ATRA and FBZ showed not synergistic, but additive effect on HL-60 cells. This study may provide researchers and clinicians in cancer-related fields with some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ATRA and FBZ.
        4,000원
        209.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시에서 관리 재배된 국내산 곰취(Ligularia fischen)의 70% 에탄올 추출 물(LFE)을 활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DPPH 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세포독성 측정 후, NO 생성량을 측정하였으며, 관련 유전자인 NOS2의 발현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LFE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13.97±0.37 ㎎ GAE/g과 29.22±2.06 ㎎ QE/g으로 확인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LFE 25 ㎍/㎖ 11.26±0.95%, 50 ㎍/㎖ 17.12±0.63%, 100 ㎍/㎖ 29.54±0.36%, 250 ㎍/㎖ 68.31±0.28%, 500 ㎍/㎖ 75.12±0.05% 및 1000 ㎍/㎖ 75.75±1.57%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LFE 25 ㎍/㎖ 13.75±0.21%, 50 ㎍/㎖ 26.71±0.20%, 100 ㎍/㎖ 56.92±0.22%, 250 ㎍/㎖ 91.30±0.12%, 500 ㎍/㎖ 93.40±0.02 및, 1000 ㎍/㎖ 93.19±0.04%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LFE의 유의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NO 생성량은 LFE 50 ㎍/㎖ 79.40±2.64%, 100 ㎍/㎖ 55.01±5.36%, 200 ㎍/㎖ 30.93±3.11%로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으며, NOS2 유전자 발현량은 LFE 50 ㎍/㎖ 0.94±0.11, 100 ㎍/㎖ 0.59±0.05, 200 ㎍/㎖ 0.32±0.04로 유의 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본 결과는 곰취의 항산화 효능을 객관적으로 확인하였으며, 향 후 지속적인 심화 연 구를 통해 본 곰취를 활용하여 화장품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210.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pound K (20-O-β-(D-glucopyranosyl)-20(S)-protopanaxadiol)는 진세노사이드의 활 성성분이다. Compound K는 경구 투여 후 Rb1, Rb2 및 Rc가 사람의 장내 미생물의 β-glucosidase에 의 해 생물전환 과정을 거쳐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생물전환된 인삼농축액에서 얻은 compound K를 이용해 항염증 및 독성을 조사하였다. 세포독성평가 결과, compound K는 0.001∼1 μg/mL의 농도 범위에서 유의적인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LPS로 염증이 유발된 RAW 264.7 세포에서 TNF-α, MCP-1, IL-6 및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일 농도범위에서 TNF-α 및 IFN-γ로 염증이 유발된 HaCaT 세포는 compound K의 처리로 인해 IL-8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IL-6의 경우 일부 농도에서 생성을 감소시켰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Brine shrimp를 이 용한 치사율 검정법에서 compound K의 LC50는 0.37mg/mL로 다소의 독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 compound K가 35% 고함유된 생물전환물은 LC50가 0.87mg/mL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낮은 독성 을 보였다. 따라서 이 생성물은 향후 여드름 완화용 화장품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기능성 소 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1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 아동에게 다감각스토리텔링에 기반한 활동중심중재를 적용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유사실험연구로 단일눈가림, 두 집단 사전-사후검사로 설계하였고, 경직형 뇌성마 비로 진단받고, 대동작기능분류체계(GMFCS) Ⅰ~Ⅲ단계에 속하는 7~8세 아동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에 12명씩 무작위 배정하고 아동과 보호자는 집단이 어디에 속하는지 알 수 없도록 하였다. 집단별 프로그램은 회기당 60분, 주 2회, 8주간, 총 16회기 동안 진행되었고, 실험군은 다감각스토리텔링에 기반한 활동중심중재를 하였 고, 대조군은 구조화된 신체활동을 실시하였다. 아동의 중재 전과 후에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또래관계기술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for windows (IBM Corp, USA)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분석하였고, 통계적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α)은 0.05로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또래관계기술의 집단 내 변 화는 윌콕슨부호순위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으로 확인하고, 두 집단 간 변화량 차이의 비교는 맨휘트니검정 (Mann-Whitney U test)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또래관계기술의 집단 내 변화에서 또래관계기술의 전체 값과 하위 평가의 협동과 공감영역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주도성 영역에서는 실험군은 유의한 차이 를 나타냈으나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집단 간 변화량 차이에서 또래관계기술의 하위평가의 주도성영역 과 전체 값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협동과 공감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 동을 대상으로 다감각스토리텔링에 기반한 활동중심중재를 적용하여 또래관계기술에 유의한 향상을 확인하였다. 다감 각스토리텔링에 기반한 활동중심중재는 뇌성마비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제안할 수 있다.
        4,000원
        212.
        2021.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ogurt is mostly consumed dairy food and considered as a nutritious food because of its probiotics such as lactic acid bacteria (LAB). LABs are known to possess antioxidant, anticarcinogenic and antimicrobial effects. Corni fructus has healthy and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the inhibition of apidogenesis and angiopoiesi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supplemented wi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corni fructus. Yogurt was manufactured with addition of 0.1%-0.2% (w/v) water or ethanol corni fructus extracts, respectively. For quality characteristics, pH, chromaticity, viscosity and syneresis were determined during refrigeration storage (1, 7, 14, and 21 day). For antioxidant activitie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examined during storage. The p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ut showed decreasing pattern for all groups during storage period. In chromaticity, redness increased, and lightness decreased as the amount of corni furctus extracts increases. Yogurt with corni furctus ethanol extracts showed more color changes than yogurt with corni furctus water extracts. Viscosity increased in corni furctus extract added groups, compared to control. Syneresis was approximately 2-fold higher in corni fructus extract added groups,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between control and extract added groups. Both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in corni fructus extract added groups, compared to control. In conclusion, addition of corni fructus extracts in yogurt improved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and antioxidant properties.
        4,000원
        213.
        2021.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fe storage of spent nuclear fuel in deep underground repositories necessitates an understanding of the long-term alteration of metal canisters and buffer materials. A small-scale laboratory alteration test was performed on metal (Cu or Fe) chips embedded in compacted bentonite blocks placed in anaerobic water for 1 year. Lactate, sulfate, and bacteria were separately added to the water to promote biochemical reactions in the system. The bentonite blocks immersed in the water were dismantled after 1 year, showing that their alteration was insignificant. However, the Cu chip exhibited some microscopic etch pits on its surface, wherein a slight sulfur component was detected. Overall, the Fe chip was more corroded than the Cu chip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secondary phase of the Fe chip was locally found as carbonate materials, such as siderite (FeCO3) and calcite ((Ca, Fe)CO3). These secondary products can imply that the local carbonate occurrence on the Fe chip may be initiated and developed by an evolution (alteration) of bentonite and a diffusive provision of biogenic CO2 gas. These laboratory scale results suggest that the actual long-term alteration of metal canisters/bentonite blocks in the engineered barrier could be possible by microbial activities.
        4,000원
        214.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anggaeng prepared with various amounts of watermelon radish flesh (WRF) powder, in ratios of 0 (control), 2.5, 5, 7.5, and 10% of the cooked white bean paste. The proximate composition, pH, sugar content, Hunter’s color values, texture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Yanggaeng were examined. Increasing the amount of WRF in the Yanggaeng tended to increase the crude ash, carbohydrate, sugar,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s, and anthocyanin contents, a valu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ith decreasing the moisture and crude protein contents, L and b values, and pH. Texture measurement scores in terms of springiness, chewiness for Yanggaeng showed that 2.5% or 5.0%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Hardness was higher in the sample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Yanggaeng with up to 7.0% added WRF powder can be developed as products,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developing health functional snack products using WRF powder.
        4,000원
        21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dding oat and lactic acid bacteria on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yogurt. Yogurt was fermented with various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acidophilus (LA),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 bulgaricus (LB),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sei (ST) and quality properties, β-glucan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were estimated. The quality of control and oat added yogurt (O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strain and combination. The addition of oats significantly accelerated the lactic acid bacteria production, decreased the pH, and increased the titratable acidity and count of the viable cells compared to the control. Acid production was highest in ST, with the complex strains containing ST and LALBST showing high quality characteristics. The viscosity of oat yogur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LALBST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β-glucan content of OY was 0.14-0.2%, and the organic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oats.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the addition of oats and a combin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can be used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yogurt.
        4,000원
        216.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f wheat sprouts grown in wild fields and cultivated fields and harvested at various times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eat sprouts as a function of their cultivation and harvest time, as well a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s. The total poly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as well as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heat extracts, were subsequently analyzed.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wheat extract increased from 16.97 mg TEAC/g sample on cultivation day three in cultivated field wheat sprouts to 25.99 mg TEAC/g sample after seven days of wild field cultivatio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creased from 17.08 mg GA eq/100 g in cultivated field wheat sprouts grown for three days to 28.70 mg GA eq/100 g after seven days of wild field cultivation. In addition, the flavonoid content increased from 7.02 mg catechin eq/100 g (7 days) to 8.47 mg/g after 12 days of wild field cultivation. Notably, the activity subsequently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heat sprouts with higher biological activity were those produced from the wild field after 20 days.
        4,000원
        217.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리그닌 분해효소의 생산은 나선형 리본이 있는 새로운 형태의 회전식 통풍관 생물 반응기(RTB)를 사용하여 느타리(Pleurotus ostreatus) No.42에 의해 실시하였다. 락게 이즈(laccase)의 최대 생산량은 배양 3일 후 약 8,200 U/ bioreactor 수준에 도달한 후 감소하였다. 반면에, 망간퍼 옥시데이즈(MnP)의 최대 생산은 6일 배양 후 약 8,400 U/bioreactor의 수준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이 발효조에서 리그닌퍼옥시데이즈(LiP)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 결과 회전식 통풍관 생물 반응기(RTB)가 리그닌 분해효소를 대규모 생산을 위해 성공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발효기에서 망간퍼옥시데이즈의 정제 과정은 Sepharose CL-6B, Superdex 75 prep grade 및 Mono-Q에 대한 크로마토그래피를 포함하여 정제하였다. 이 주요 효소는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겔 전기영동(SDS-PAGE)에서 분자량 36,400, pI 3.95의 등전점(IEF)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이 발효기의 주요 효소 N-말단 서열은 정치 및 진탕배양과 같은 다른 배양조건에서 보고된 MnP3 효소와 동일하였다.
        4,000원
        218.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약재로 사용되는 더덕과 도라지에 표고의 유용성분을 함유한 소재를 개발하고자 더덕표고균사발효물(FCLM)과 더덕도라지균사발효물(FPLM)을 제조하였다. 두 가지 발효 물의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β-glucan, ergothioneine, ergosterol, vitamin D2 함량 및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FCLM에서 조섬유와 조지방함량이 FPLM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FPLM은 조단백질과 가용성무질소물의 함량이 FCLM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FCLM과 FPLM 모두 arabinose, glucose, sucrose 3종이 검출되었 으며, 총 유리당 함량은 FPLM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함량은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발효 후 FCLM과 FPLM에서 낮게 나타났다. β-Glucan 함량은 FCLM과 FPLM 두 발효물에서 대조구로 사용한 표고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ergothioneine의 함량은 FCLM이 FPLM보다 높게 나타났다. Ergosterol 함량은 대조구로 사용한 표고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물들은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Vitamin D2는 발효물들에서만 검출되었으며, FPLM (0.58±0.01 mg%)가 FCLM (0.47±0.01 mg%)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더덕과 도라지 표고균사발효물인 FCLM과 FPLM는 3T3-L1 지 방전구세포에 대하여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FCLM과 FPLM은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를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높은 수준으로 억제하여, 비만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19.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여가 및 사회참여를 위해 수 ․ 전동휠체어를 사용해본 휠체어 사용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수행하여 사용자 경험을 파악하고, 수 ․ 전동휠체어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요소와 임상가의 수 ․ 전동휠체어 처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수ㆍ전동휠체어를 사용해본 휠체어 사용 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정성적 연구방법인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질문은 Krueger와 Casey가 제시한 질문방식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현장메모, 녹음된 자료를 3명의 저자가 독립적으로 전사하여 Braun과 Clarke’s가 제시한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참여자들은 수ㆍ전동휠체어를 사용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직업, 여가 그리고 해외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수ㆍ전동휠체어는 전동휠체어와 비교하여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아 차량 탑재 시 용이하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하지만 휠체어 사용자들은 휠체어의 추진 구조물, 지지 구조물 그리고 소재 등에 문제점을 보고하였다. 참여자들은 경험한 수ㆍ전동휠체어의 문제점 개선과 함께 외형 디자인의 개선을 기대했고, 추가적으로 안전한 주행을 위해 가슴벨트나 넘어짐 방지 바퀴와 같은 부속품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처럼 적극적인 여가참여를 수행하기 위해 수ㆍ전동휠체어의 안전성에 대한 의견이 특히 강조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여가 및 사회참여 활동 시 수ㆍ전동휠체어 사용자의 경험을 임상가 관점에서 파악하였 다. 향후 노인 및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수ㆍ전동휠체어 개발 시 고려사항과 휠체어 사용자 평가 및 휠 체어 처방 시 임상가가 고려해야할 점을 제시하였으며, 실효성 높은 보조기기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4,800원
        220.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열대식물인 인도멀구슬나무(Azadirachta indica)는 병해충과 방제와 의학적인 목적으로 오랫동안 이용하였다. 본고에서는 님제의 활성 성분인 아자디라크틴의 해충에 대한 곤충생장조절, 기피, 섭식저해, 산란억제 등 다양한 작용기작과 국내 이용현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국내 유 통되는 친환경유기농자재 중에서 님제 제품은 총 57종이었다. 그중 효능효과가 표시된 자재는 7종이었고 평균 아자디라크틴 함량은 0.38%로써 세계적으로 유통되는 평균 함량 2.1%와 비교할 때 약 5.5배 낮았다. 국내에서 님제의 방제효과에서 진딧물은 실험에서 다소 변이는 있었으나 대 부분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꽃매미 약충에 누적살충률은 73~77%를 보였고, 총채벌레에 대한 방제가는 50~72% 범위로 살포효과가 인정되었다. 노린재와 나방류에 대한 방제효과는 대체적으로 낮았다. 본고는 유통되는 님제품의 이해와 실험자료의 해석에 필요한 주요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