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2

        20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meat production, high quality and safety of meat have been strongly emphasized by Korean consumers. Marbling in beef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criterion deciding meat quality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ranscriptional level of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in longissimus muscle samples of 46 Hanwoo. The level of IGF-1 transcripts was measured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molecular connection of IGF-1 was analyzed using the Pathway Studio program (Ver 9.0). Increase of marbling score (MS) induced increase of IGF-1 transcripts level in the muscle and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p<0.05) between IGF-1 mRNA expression and MS. The pathway study showed that IGF-1 genes are regulated in insulin, fatty acid synthase, leptin, and corticotrophin releasing horm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GF-1 might be used as a useful marker for the improvement of economic traits in Hanwoo.
        4,000원
        20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 of packaging methods on the color and taste-related precursors in Hanwoo (Korean cattle) beef during aging. Following packaging with vacuum (VACP), low oxygen-modified atmosphere (LOMAP; 0% O2/20% CO2/80% N2) or vacuum skin+LOMAP (VSP+LOMAP), the loins and top rounds were aged at 2℃ for 14 days and lipid oxidation (TBARS content), surface color, glucose and lactate contents were measured. TBARS and glucose contents were not different by packaging methods in both loins and top rounds. The a* (redness), b* (yellowness) and C* (chroma) values were higher (p<0.05) in VACP-aged beef as compared to the other beef. Lactate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both LOMAP- and VSP+LOMAP-aged beef than in VACP-aged beef at day 14 of aging.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VACP was the most effective in maintaining color stability but LOMAP was more effective in maintenance of some taste-related precursor compared to VACP.
        4,200원
        20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for 10 linear conformation traits and final score in Hanwoo cows. A total of 53,277 records for type traits of Hanwoo cows were collected from 2008 to 2012 from Korea Animal Improvement Association. Ten linear traits studied were stature, body length, chest depth, body rump angle, rump length, pin bone width, udder volume, foot angle, rear legs side view, and rear legs rear view. The model included the fixed effects of herd-year-classifier, age at measurement and age after calving, the random animal additive genetic effect and residual effect. Heritability estimates for linear type traits were ranged from 0.003 for rear legs side view to 0.213 for final score. Genetic correlations among linear type traits were ranged from -0.068 (for rear legs side view and rear legs rear view) to 0.982 (for body length and rump length). The final score was found to be in a strongest genetic correlation with rear legs rear view (0.947), followed by pin bone width (0.918), body length (0.887), rump length (0.883), chest depth (0.883), udder volume (0.811), stature (0.802), rump angle (0.637), foot angle (0.519) and rear legs side view (0.176). Corresponding phenotypic correlations for pairs of linear type traits were mostly similar in direction, but smaller than the genetic correlations.
        4,000원
        204.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의 경제형질 관련 유전적 표지인자(DNA marker) 개발을 목적으로 한우 도체형질과의 기능적 후보유전자로부터 검출된 10개의 유전마커(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에 대해서, 환경효과가 다양하게 포함되어 있는 상용축을 대상으로 마커효과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한우 후대 검정우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던 다수의 SNP 좌위중 IP3R1 유전자에서 검출된 DNA 마커만 상용축의 근내지방도와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으며, 이는 각 좌위마다의 환경 효과와의 보다 더 통계분석이 요구되는 것이며, 향후 근내지방도와 연관된 다수의 마커와 함께 혼합모델을 통하여 개체의 표현형 예측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05.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survival rate of thawed Hanwoo embryos frozen by the slow-rate freezing or the cryotop vitrification method. Hanwoo cumulus-oocyte complexes were recovered from ovaries at a slaughter house, matured for 20~22 hours, fertilized with Hanwoo semen for 5~6 hours, and cultured for 7~9 days in 38.5℃, 5% CO2 incubator. For freezing, Day 7∼9 blastocysts were collected. Embryos for the slow-rate freezing were equilibrated in 1.8 M ethylene glycol (EG) with 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 (D-PBS). Programmable cell freezer was precooled down to —7℃, and the straw was seeded during 8 minutes-holding time, and was cooled to —35℃ at the cooling rate of 0.3℃/min, and then was plunged and stored in liquid nitrogen. Embryos for the cryotop vitrification were treated in TCM199 with 0.5 M sucrose, 16% EG, 16% dimethylsulfoxide (DMSO). Embryos were then loaded individually onto cryotop and plunged directly into liquid nitrogen. The survival rates of embryos frozen by these two freezing methods were evaluated at 12 to 24h post-thawing. The survival rates of frozen/thawed Hanwoo embryos by the cryotop vitrification method (56.86 ± 26.53%)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by the slow-rate freezing method (55.07 ± 26.43%)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Using the cryotop vitrification and the slow-rate freezing of Hanwoo blastocysts on Day 7 following in-vitro fertilization (IVF) treatment, the survival rates of frozen/thawed Hanwoo embryos were 72.65 ± 18.3% and 79.06 ± 17.8%,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s by the cryotop vitrification were higher than those by the slow-rate freezing on both Day 8 and 9 with significantly higher survival rate on Day 9 (p<0.05). Using the cryotop vitrification and the slow-rate freezing of Hanwoo embryos to compare between three different blastocyst stages, the survival rates of the blastocyst stage embryos were 66.22 ± 18.8% and 45.76 ± 12.8%, respectively with higher survival rate by the vitrification method (p<0.05). And the survival rate of expanded blastocysts was higher than those of early blastocysts and blastocysts in two freezing methods with significantly higher survival rate by the slow-rate freezing method (p<0.05).
        4,000원
        206.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 번식 기록이 잘 유지되고 있는 4개 농장의 2007년 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의 번식 자료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태 당 평균 수정 횟수와 평균 공태일은 A농장 1.7 ± 0.1회와 77.4 ± 4.8일, B농장 1.5 ± 0.1회와 150.8 ± 11.2일, C농장 1.5 ± 0.1회와 90.4 ± 4.5일, D농장 1.4 ± 0.1회와 71.4 ± 2.5일이었다 호르몬으로 발정을 유도하는 D농장을 제외한 3개 농장 531두의 번식 기록으로 분만 후 첫 수정 시기에 따른 평균 수정 횟수와 평균 공태일을 분석한 결과, 총 5개의 수정시기에 따른 수정 횟수는 30일 이전 첫 수정이 2.1 ± 0.2회로 31일 이후 첫 수정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번식 장애우 58두에 2가지 배란 동기화법을 사용하여 수태율을 확인해 본 결과, Ovsynsh 법은 55.2%의 수태율을, CIDR-based TAI 법은 65.5%의 수태율을 나타냈다. 농장의 번식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확한 번식 기록 작성, 발정 관찰, 수정 후 임신 감정, 번식 기관 검진, 번식률을 고려한 첫 수정 시기 수정 등이 필요하다.
        4,000원
        207.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DDGS의 첨가가 거세한우의 비육성적, 도체특성 및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평균 28.2개월령 (평균 체중 747.1±62.8㎏)의 거세한우 44두를 대조구, 시험1구 (DDGS 15% 첨가구) 및 시험2구 (DDGS 30% 첨가구)에 각각 15, 14 및 15두씩 배치하여 84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일당증체량은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요구율은 시험1구와 시험2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9.3%과 17.1% 낮게 나타났다. 도체성적의 경우 등지방두께와 등심단면적은 처리구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처리구별 육질등급별 출현율은 1++등급 출현율은 시험1구 (42.9%)에서 가장 높았고, 시험2구 (26.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도체등심의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시험1구가 시험2구에 비하여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C18:2 (linoleic acid) 및 다가 불포화지방산은 시험1구 및 시험2구에서 유의하게 (P<0.05)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거세한우의 비육후기에 DDGS 15% 급여한 시험1구에서 사료요구율, 육질등급 및 불포화지방산 함량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20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우를 이용하고 있는 초․중․고등학교 급 식소를 대상으로 한우 이용 실태 및 한우 메뉴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한우 저지방 부위를 이용한 메뉴를 개 발하여 학교급식 메뉴로서의 적합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학교급식에 다양한 한우 메뉴가 이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용되고 있는 한우 메뉴들은 전반적으로 학 생들에게 인기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한우를 이용 한 후 모든 학교에서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 급식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이에 비해 한우 이용 메뉴의 제공 빈도수는 높지 않았으므로, 한우를 활용한 메뉴 제공의 횟수를 높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우의 저지방 부위를 이용할 경우 급식소에서는 다른 부위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으며, 한우 유통의 측면에서는 수급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는 저지방 부위를 대 량으로 유통시킬 수 있는 한 가지 수단이 되므로, 급식소에서 의 한우 저지방 부위의 활용은 적극 권장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조사 결과, 한우 자체가 다른 육류 에 비해 높은 가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활한 한우 저지 방 부위 활용을 위해서는 관할지역 지원이나 정부 지원이 확 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경제적 어려움 이외에 조리법 과 관련하여 한우 저지방 부위를 급식에서 많이 활용하기 위 해서는 육질 개선(3.80), 다양한 소스 개발(3.74), 기존 메뉴를 위한 양념 개선(3.61)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본 연구진에서는 또한 위의 학교급식의 한우 이용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한우 저지방 부위의 육질 개선 및 다양한 소 스, 양념 개선 등을 고려하여 급식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저지 방 부위 활용 한우 메뉴 8종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메뉴의 특 징은 저지방 부위에 따른 질긴 식감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하 여 주 조리법 이외에 다양한 부 조리법을 사용하는 등 복합적 조리법을 활용하였다는 점과 메뉴에 이용되는 소스나 양념 을 다양화하였다는 것이다. 개발된 메뉴에 대해서는 다량조 리임을 감안하여 제조방법을 단순화시킨 공정도를 함께 제 시하여 추후 조리방법의 간소화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개발된 메뉴의 급식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단체급 식 종사자 및 외식업 종사자 30명의 JARS를 평가한 결과, 모 든 메뉴의 조사항목별 JARS도 모두 설정 기준을 충족하여 학교급식에 적용하였을 경우 높은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한우의 주요 조리법인 구이에 소비되고 있는 등 심, 안심 이외의 상대적으로 저렴한 한우 저지방 부위를 이용 한 급식 메뉴 개발의 필요성 및 타당성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의미있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현재 한우를 이용하고 있는 학교급식의 만족도가 사용 전에 비해 향상된 것을 볼 때, 향 후 학교급식에서는 성장기 청소년들에게 영양적 가치가 뛰 어난 양질의 단백질 공급을 위하여 수입산 쇠고기가 아닌 저 지방 한우의 사용은 아직 한우 사용을 본격적으로 시도하고 있지 않은 학교급식에서도 신중히 고려해볼 만한 사항이라 고 생각된다. 이는 학생들에게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안전하 고 품질 좋은 쇠고기를 섭취하게 하는 한편, 한우 제공자의 측면에서 이용 부위의 편중화를 줄이고, 다양한 부위별 판매를 이루어 한우의 수급 불균형 완화 차원에서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대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학교급식에 활용 가능한 한우 저지방 부위 를 이용한 다양한 메뉴의 개발이 더욱 활발히 진행되어야 하 며, 개발 메뉴에 대한 영양사 및 조리사 등을 대상으로 한 조 리교육이 필요할 것이다(Han & Lee 2010; 한우자조금관리위 원회 2006). 또한 한우 저지방 부위 사용 증대를 위하여 정부 나 지자체의 정책적․경제적 지원이 확대되고,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4,500원
        20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버섯재배부산물, 재활용가금깔개, 미강 및 straw로 구성되는 BF 사일리지 급여가 육성 거세한우의 행 동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 험에 사용한 공시 한우는 11개월령 총 10두(평균 301.7 kg) 를 2처리로 배치하였으며, 이 때 대조구(볏짚 자유채식)와 처리구(BF silage 자유채식)로 하여 48시간 행동관찰을 실 시하였다. 대조구와 비교해서 BF 사일리지 급여구는 총 DM 섭취량과 NDF 섭취량이 각각 30% 및 36% 높았고, 채식시간, 반추시간 및 저작시간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 다. 식괴수, 식괴당 반추시간에 있어서도 유의적 차이가 없 었고, 식괴당 저작수와 FVI는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대조구와 비교해서 BF 사일리지 급여구는 배뇨 회수가 높 고(p<0.05), 음수 및 배분 회수에 있어서는 상호간에 차이 가 없었고, 채식율, 반추효율 및 저작효율에 있어서는 더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BF 사일리지 급여는 볏짚과 비교 시 육성거세한우의 반추행동 상 큰 차 이가 없다는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차후 볏짚 대용으로 활 용하여도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즉 입자도가 큰 straw를 peNDF를 충족시키는 최소량을 혼합하여 부산물사료 사일 리지를 제조, 급여하였을 때 육성거세한우의 반추행동은 볏짚 급여 시와 차이가 없었다.
        4,000원
        21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양한 수준의 셀레늄 강화 청보리 사일리지 와 무기셀레늄을 급여 시 비육기 거세한우의 생산성, 혈액 성상, 도체특성 및 조직 내 셀레늄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은 거세비육우 20두를 공시하였고, 처리구 는 셀레늄 수준에 따라 0.1 ppm Se(대조구), 0.3 ppm Se (T1), 0.9 ppm Se (T2) 및 무기셀레늄 0.9 ppm Se (T3) 급 여구로 4처리를 나누어 처리구 구당 5두씩 완전임의 배치 하여 90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시험사료는 셀레 늄 강화 및 셀레늄 무처리 관행 청보리 사일리지를 조합하 여 건물기준 30% 함유하도록 배합하였다. 실험사료 내에 셀레늄 강화수준은 사료섭취량과 증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 았고, 혈중 총 지질과 중성지방농도는 대조구보다 T2구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중 면역글로불린은 셀레늄함유 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나 T2와 T3구가 대조구보다 유의 하게 높았다(p<0.05). 혈중 셀레늄농도는 유기태 셀레늄을 0.9 ppm 급여한 T2구가 가장 높았다(p<0.05). 도체율, 배최 장근,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 육색 및 지방색은 셀레늄급 여로 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사료 내 셀레늄 수준 및 형태는 육질 및 육량등급 간에 관련성이 형성되지 않았다. 신장, 간장 및 후지 내 셀레늄 함량은 사료 내 셀 레늄 강화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직선적으로 증가 하였고(p<0.05), 무기셀레늄급여는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조직 내 셀레늄함량 증가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셀레늄 강화 청보리 사일 리지 내 존재하는 셀레늄은 조직 내 셀레늄함량을 증가시 키기에 유효한 셀레늄급원인 것으로 나타났고, 셀레늄 강 화 청보리 최고수준(0.9 ppm Se)으로 급여하여 생산된 한 우 후지육 100 g에 함유되어 있는 셀레늄은 성인기준 1일 최소 셀레늄 권장량(40 ㎍)의 약 69%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21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가단위 암모니아 인벤토리 작성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한우와 육계를 대상으로 암모니아 휘산량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개방한우사의 계절별 암모니아 휘산량은 겨울철이 가장 낮았고, 봄, 여름, 가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연평균 개방한우사 한우의 암모니아 휘산량은 7.605 kg hd-1 yr-1 로 평가되었다. 개방육계사의 계절별 암모니아 휘산량은 한우와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연평균 개방육계사 육계의 암모니아 휘산량은 0.191 kg hd-1 yr-1로 평가되어 육계가 한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1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고유 품종인 한우는 표현형 중 외모에 따라 일반적으로 한우라 불리는 황갈색 한우, 칡소, 흑우로 구분되어 있다. 한우 집단 중, 황갈색 한우만이 육질, 육량 형질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개량프로그램에 의해 개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황갈색 한우와 칡소의 50K 고밀도 칩을 활용하여 선발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세 가지 분석법(Rsb, iHS, FST)에 따라 인위적 선발에 의해 진화적으로 선택된 유전체영역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Rsb, iHS, FST 분석법에 따라 각각 41개, 23개, 50개의 후보유전체 영역이 칡소와 비교하였을 때 황갈색 한우에서 유의적으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후보 유전체 영역 내에 존재하는 유전자군을 대상으로 유전자 기능에 대한 주석 달기를 진행하였을 때, 근육 발달, 면역반응 등의 기능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유전체 영역들이 진화적 관점에서 황갈색 한우의 적응과정에 있어서 육질 등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하였다고 사료된다
        4,000원
        21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at quality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10 cuts (loin, striploin, chuck roll, chuck tender, short plate, brisket, bottom round, top sirloin, eye of round, and top round) from quality grade 1 beef from 11 Hanwoo steers at Hanwoo Experimental Station of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The protein contents were higher in top round (Udoon) and eye of round (Hongduke) and lower in loin (Dngsim) and short plate (Abjin) when compared to the other cuts (p<0.05). Whereas the intramuscular fat contents were highest in loin (12.51%), those were lowest in top round (4.14%) (p<0.05). The calories were higher in loin and short plate and lower in top round, chuck tender (Guri), top sirloin (Bosup), eye of round, chuck roll (Moksim), and bottom round (Sulgit) (p<0.05). The cooking loss (%) was 24.38% in loin and it was lower than the other cuts (p<0.05). The bottom round had higher water holding capacity (WHC) and chuck tender had lower WHC than those in the other cuts (p<0.05). In meat color, L* values were higher in loin and lower in top round than the other cuts (p<0.05). Total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were higher in loin and lower in bottom round than the other cuts (p<0.05). In amino acid compositions, top round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cuts (p<0.05). The iron contents were higher in chuck tender and chuck roll contained higher iron contents than those of the other cuts (p<0.05). In conclusion, the meat quality and nutritional proper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10 cuts in the same quality grade of Hanwoo beef. Therefore, the provision of the meat quality and nutritional information of 10 cuts to consumers could be important for utilization and balanced consumption of different cuts.
        4,000원
        21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water-soluble flavor precursors in loin and top round from Hanwoo (Korean cattle) beef during aging at 2℃ for 14 days. The glycogen, glucose and lactate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beef parts and aging. Among nucleotide-related compounds, inosine 5'-phosphate (IMP) and inosin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in loin compared with top round but hypoxanthine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eef parts. Moreover, during aging, IMP content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while inosine and hypoxanthine contents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It is concluded that aging highly affected the nucleotide-related compounds among water-soluble flavor precursors in loin and top round from Hanwoo.
        4,000원
        21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zyme and yeast extract supplement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blood parameters in Hanwoo steers. A total of forty-eight 23-month-old Hanwoo steers,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545.25±12.60 kg, were assigned to four treatments with three replicate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Hanwoo steers housed in four heads group per pen. The treatments comprised of four groups of control (no feed additives), treatment 1 (xylanase, cellulase, and gluco-amylase; 0.1%/concentrate), treatment 2 (β-glucan and mannan-oligosaccharide; 0.1%/concentrate), and treatment 3 (treatment 1+2; 0.1%/concentrate). During the fourth and eighth month,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rates improved in treatment 1, but in the control this was lower than the other treatments (p<0.05). Real-time ultrasound was used for measuring the live carcass traits (longissimus muscle area, back 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 and the better result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treatment 1 > treatment 3 > treatment 2 > control, and extended to carcass grade. White blood cell indices were lower in treatments 2 and 3 and the IgG indice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in other treatments. As a result, levels of xylanase, cellulase, and gluco-amylase were increased from the fourth month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live carcass traits. Durin
        4,300원
        216.
        201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levels of inbreeding on body weight traits between two breed populations, Hanwoo and Korea Brindle cattle. Birth weight (BW), weaning weight (WW), body weight at 6 months of age (W6) and yearling weight (YW). Records of 1,745 calves (1,513 from Hanwoo, and 232 from Korea Brindle calves) were collected from Livestock Research Institutes in Kangwon, Gyeongbuk and Chungbuk provinces. The least squares means (LSM) and their standard errors for BW, WW, W6 and YW were 25.4±0.1 kg, 81.0±1.8 kg, 146.1±3.7 kg and 291.5±2.4 kg, respectively in Hanwoo calves and 22.6±0.3 kg, 79.9±2.3 kg, 137.6±4.6 kg and 249.3±6.6 kg, respectively in Korea Brindle calves. Pedigree data showed that 14.8% (316 out of 2131) of Hanwoo was inbred and the average inbreeding coefficient was 0.0209 (2.09%). Inbreeding coefficients of ten calves out of 316 total inbred Hanwoo calves were 12.5% or higher, whereas those of the other 306 calves were less than 12.5%. In both breeds, calv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inbreeding classes - highly inbred group(F≥ 0.125), lowly to medially inbred group(0<F<0.125) and no inbred group(F=0). In Korea Brindle calf populations, 12.2% of the calves observed (57 out of 467 calves) were inbred and the average inbreeding coefficient was 0.1367(13.67%). Forty four calves out of 57 inbred Korea Brindle calves had inbreeding coefficients of 12.5% or higher and the other 13 calves had less than 12.5% of inbreeding coefficients. Average inbreeding coefficient and the number of calves with greater than 12.5% inbreeding coefficient were higher in Korea Brindle calf groups than in Hanwoo calf groups. On the average, body weight growth of Korea Brindle calves was slower than that of Hanwoo calves. This would be due to very small breeding population structure of Korea Brindle cattle as compared to Hanwoo cattle, which would lead to rapid increase in inbreeding coefficients in the population. In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planned mating system is needed to control inbreeding in Korea Brindle population.
        4,000원
        21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cent development in genetic assisted selection (combining traditional- and genome assisted selection method) and reproduction technologies will allow multiplying elite cow in Hanwoo small farm. This review describes the new context and corresponding needs for genome assisted selection schemes and how reproductive technologies can be incorporated to get more genetic gain for cow genetic improvement in Hanwoo. New improved massive phenotypes and pedigree information are being generated from commercial farm sector and these are allowing to do genetic evaluation using BLUP to get elite cows in Korea. Moreover cattle genome information can now be incorporated into breeding program. In this context, this review will discuss about combining the reproductive techniques (Multiple Ovulation Embryo Transfer; MOET) and genome assisted selection method to get more genetic gain in Hanwoo breeding program. Finally, how these technologies can be used for multiplication of elite cow in small farm was discussed.
        4,000원
        220.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ptimal time of artificial insemination (AI) to Hanwoo female after natural estrus. AI was occurred 12 and 24 hours after natural estrus in both heifer and multiparous recipient then pregnancy and parturition rates were estimated. Results indicated that AI performed at 24 hours after natural estrus showed significant (p<0.05) higher pregnancy rate in both heifer and multiparous recipient groups with significantly (p<0.05) higher abortion rate.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parturition rate, twin birth and sex ratio in both heifer and multiparous recipient groups. Therefore, our results may suggest that performance of AI at 24 hours after natural estrus promise higher pregnancy rate than AI at 12 hours after natural estrus in both heifer and multiparous recipient.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