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9

        22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동차 연료용 바이오가스의 고순도 메탄 분리정제를 위해 2단 재순환 분리막 공정을 연구하였다. 2단 재순환 분리막공정을 개발하기 위해 폴리설폰(Polysulfone) 중공사 모듈을 채택하여 이산화탄소, 메탄의 순수투과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모델 혼합가스를 대상으로 모듈의 메탄농도와 압력에 대해 투과실험을 수행하여 메탄의 농도와 회수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2단 재순환 분리막 파일럿 플랜트를 제작하였으며 현장에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를 대상으로 공정변수에 대한 메탄 회수율과 농도에 관한 투과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습기와 탈황설비 등의 전처리설비를 거쳐 가스 내의 수분을 500 ppm 이하, 바이오가스내의 황화수소 농도를 20 ppm 이하로 제거하였으며 그 정제된 혼합가스를 대상으로 파일럿 분리막 공정의 막면적비에 따른 운전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 2단의 막면적비가 각각 1:1, 1:3, 2:2가 되도록 구성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 1단의 막면적은 1 m2로 동일하고 2단의 면적비가 1 m2에서 3 m2로 증가하였을 경우 최종 공급유량은 6.6 L/min에서 80.7 L/min로 그리고 메탄 회수율은 메탄순도 95%에서 47.1%에서 92.5%로 증가하였다. 또한, 막 면적비가 1:1로 동일한 경우 전체 면적이 2배로 증가함에 따라서 유량은6.6 L/min에서 100.8 L/min로 회수율은 47.1에서 88.3%를 나타내었다. 1:3 면적비에서 공급유량이 증가하는 경우, 최종 메탄 순도는 감소하고 메탄 회수율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운전압력이 증가할수록 공급유량은 증가하고 회수율은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을 통해 유효막면적, 공급압력과 공급유량의 변화가 공정 성능향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222.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thyl bromide (MB), as a fumigant for Quarantine and Pre-Shipment(QPS) could offer eradication of target pests within shorter fumigation period and without phytotoxicity. Therefore, unlike MB alternatives for soil fumigation, there is no ideally MB alternative fumigant for QPS purpose, particularly for perishable commodities. It is critically important that within shorter fumigation time requires killing all target insect pests and without effect of quality and deliver treated fruit and vegetables to the final consumer. The citrus mealybug(Planococcuscitri), problem quarantine pest, was tested with different exposure times(2 and 4-hours) and concentrations(EF(0-200 g/m3) and PH3(10-50 g/m3)) in small desiccators for mixture tests. On sensitivity test with small desiccator, the egg stage showed 100% mortality with 200/25(EF/PH3) g/m3 and the nymph and adult stage showed 100% mortality with 10/10(EF/PH3) g/m3 on 2h. Also, the egg stage showed 100% mortality with 150/25(EF/PH3) g/m3on 4h.
        224.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Ni alloys with unidirectionally aligned pores were prepared by freeze-drying process of CuO-NiO/cam-phene slurry. Camphene slurries with dispersion stability by the addition of oligomeric polyester were frozen at -25˚C,and pores in the frozen specimens were generated by sublimation of the camphene during drying in air. The green bod-ies were hydrogen-reduced at 300˚C and sintered at 850˚C for 1h. X-ray diffraction analysis revealed that CuO-NiOcomposite powders were completely converted to Cu-Ni alloy without any reaction phases by hydrogen reduction. Thesintered samples showed large and aligned parallel pores to the camphene growth direction, and small pores in the inter-nal wall of large pores. The pore size and porosity decreased with increase in CuO-NiO content from 5 to 10 vol%.The change of pore characteristics was explained by the degree of powder rearrangement in slurry and the accumulationbehavior of powders in the interdendritic spaces of solidified camphene.
        4,000원
        22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순환전압전류법에 의한 인지질(sphingomyelin, SP)과 polyamic acid(PAA) 혼합물의 농도(몰비 1:1, 2:1 및 3:1)를 변화시켜 혼합단분자 LB막에 대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SP과 PAA 혼합물의 단분자 LB막은 ITO glass에 LB법을 사용하여 제막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은 KClO₄ 용액에서 3 전극 시스템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범위는 연속적으로 1650 mV로 산화시키고, 초기 전위인 -1350 mV로 환원시켰다. 주사속도는 각각 50∼250 mV/s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SP와 PAA 혼합물의 LB막은 순환전압전류도표로부터 환원전류로 인한 비가역공정으로 나타났다. 혼합물 LB막의 혼합(SP:PAA) 몰비가 1:1, 2:1 및 3:1에서 확산계수(D)는 각각 2.670×10-5, 3.562×10-5 및 1.005×10-5 cm²s-¹을 얻었다.
        4,000원
        22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이오디젤은 세계 화석연료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는 환경 친화적 대체물질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대체연료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수많은 응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원유의 정제로부터 얻어진 석유제품을 대체하려는 다양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윤활기유로서의 식물성 오일은 급속도로 발전된 석유산업으로 인해 상용화 되지 못했던 오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자연친화적 생분해성과 무독성, 윤활유로서의 낮은 휘발성과 우수한 계면윤활 등 대체 오일로써 충분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우수한 윤활 및 마모성능에도 불구하고 윤활연구에 넓게 활용되지 못했던 이유 중에는 지방산메틸에스테르가 갖는 열악한 산화안정성(oxidation stability) 및 열화안정도(thermal stability) 때문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바이오디젤을 윤활기유 내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윤활성능 및 산화안정성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사구식 내마모 성능시험 후 발생되는 산화 및 열화현상을 알아보았다. 또한 산화에 따른 혼합 오일의 윤활특성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윤활유 또는 윤활 향상제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4,200원
        22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피로 회복 또는 원기 회복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홍경천과 홍삼을 이용하여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의 산화적 손상 억제 효과를 평가하고자 H2O2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시킨 C2C12 근육세포에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의 처리한 후, 세포의 morphology, cell viability 및 항산화 효소들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은 C2C12 근육세포의 cell viability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Cu/Zn-SOD, Mn-SOD 및 GPx 등과 같은 세포내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근육세포 분화의 주요 전사인자인 Myo D의 발현 또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은 세포내 항산화 효소 시스템을 증가시켜 외부로부터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효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in vivo 시스템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을 이용한 항피로 건강기능식품의 소재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28.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for mixed fermentation of Rhodilola sachalinensis with red ginseng using Lactobacillus acidophillus 128 and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lactic acid fermentation was examined. In the single fermentation of Rhodiola sachalinensis extract, the pH and titratable acidity rarely changed, and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decreased greatly. On the other hand, in the lactic acid fermentation of Rhodiola sachalinensis-red ginseng mixed extract of 50% red ginseng content, the pH decreased, whereas the titratable acidity and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increased. The solid content of optimal mixed extract for lactic acid fermentation was 0.5%. Sugar content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but total phenolic compounds tended to increase during fermentation. The salidroside and p-tyrosol content of the initial Rhodiola sachalinensis-red ginseng mixed extract was 419.5 ㎎% and 60.1 ㎎%, respectively; after fermentation, the salidroside content after lactic acid fermentation decreased greatly to 81.8 ㎎%, and the amount of p-tyrosol increased greatly to 324.9 ㎎%. The DPPH scavenging activity of Rhodiola sachalinensis-red ginseng mixed fermentate was 78.1% at 0.1% concentration, showing a tendency to increase as compared to 50.3% of Rhodiola sachalinensis-red ginseng mixed extract before the fermentation (p<0.05); it was a higher antioxidant activity as compared to the single fermentation of Rhodiola sachalinensis or red ginseng.
        4,000원
        230.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 vinylidene fluoride (PVDF) 중공사막을 polyethylenimine (PEI)와 p-xylylene dichloride (XDC)를 이용해 친 수화 시킨 후 poly(vinyl alcohol) (PVA)과 가교제인 poly(acrylic acid-co-maleic acid) (PAM)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막을 제조 하였다. 중공사막 표면의 코팅여부는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통해 관찰하였으며, 막의 특성평가를 위해 물/에 탄올 혼합액에 대한 투과증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공급액 조성은 90 wt%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였으며, 가교제 농도, 공급 액과 반응온도 변화에 따른 투과도 및 선택도를 측정하였다. 투과도는 반응온도 100°C, PAM 농도 3 wt%, 공급액온도 70°C 에서 1,480 g/m 2 hr, 그리고 선택도는 반응온도 100°C, PAM 농도 15 wt%, 공급액온도 25°C에서 αW/E = 82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4,000원
        23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soybean paste(Daemacjang) with black soybean content and salt concentration. The total acidity increased as the pH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period. The amino-type nitrogen content of all sample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fermentation time. Total cell cou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uring fermentation, and mold counts decreased at 3 log cycles. The cell c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decreased approximately 2 to 3 log cycles in 10% salt concentration (treat B and C), and were not detected in treat A and 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reat A, B, and C were 42.77%, 52.99% and 52.95% during fermentation up to 70days, respectively, which was higher than D (39.86%). In a sensory evaluation, treat B showed the highest scores for overall acceptability.
        4,000원
        23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rice cakes (Karedduk) with a mixture of maltooligosaccharide and OSA (octenyl succinic acid starch) added, after 2 and 24 hr of storage at 5℃, was analyzed.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for arrangement of treatment.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selected for retarding retrogradation analysis were amounts of maltooligosaccharide (x) and OSA (y). Maltooligosaccharide was added at 0, 3, 6, 9, and 12% levels, and OSA added at 0, 0.3, 0.6, 0.9, and 1.2% levels, to dry rice flour. The texture properties analysis using a Texture Analyzer revealed that th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p<0.01), chewiness, gumminess and hardness (p<0.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24 hr of storage at 5℃. The effect of retarding retrogradation of Korean rice cakes with added mixtures of maltooligosaccharide and OSA showed an increasing trend as the amount of maltooligosaccharide increased. Overall, the instrumental texture properti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sensory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ding a mixture of 6% maltooligosaccharide and 0.6% OSA to Korean rice cakes (Karedduk) is effective for retarding retrogradation.
        4,000원
        233.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토마토 'Mascara' 품종을 코코피트, 피트모스, 황토와 피트모스 혼합배지에서 양액재배시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토마토 묘를 4월 29일에 정식하였고, Yamazaki 토마토 전용 양액을 EC 2.0dS·m-1, pH 6.5로 조정하여 공급하였다. 토마토 과실은 6월 13일부터 8월 24일까지 수확하여 생육과 품질을 조사하였다. 토마토 양액재배에 있어서 배액량은 일사량이 많고 온도가 높았을때 배액량이 감소하였으나, 코코피트, 피트모스, 황토 + 피트모스 등 배지별 배액량은 차이가 없었다. 피트모스 단용 배지에서 재배기간동안 다른 배지에 비해 배액의 EC가 낮게 나타났으며, 황토와 피트모스 혼합배지에서 높게 나타났다. 황토와 피트모스 혼합배지는 다른 배지보다 고상이 많았고, 유효수분함량이 가장 높았다. 토마토의 당도는 황토와 피트모스 혼합배지에서 5.5˚Brix로 가장 높았고, 피트모스 배지에서 4.7˚Brix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산도는 황토와 피트모스 혼합배지에서 0.66%로 가장 높았다. 수확량은 황토와 피트모스 혼합배지에서 8,428kg/10a로 가장 많았고, 상품성이 있는 과실수량의 비율도 다른 배지보다 더 높았다.
        4,000원
        234.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ot In-Place recycling asphalt mixture in Korea using field produced materials. METHODS: Hot In-Place reclaimed asphalt mixture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mixture properties based on various test results such as Marshall Test, Indirect Tensile Test, TSR, and Wheel Tracking Test. These test values were compared with domestic standard specification. RESULTS: The result of the laboratory experiment indicates that the Hot In-Place Reclaimed(HIR) asphalt mixture produced at the field constrution site was satisfied all of the test criteria such as Indirect tensile test, Marshall and TSR test, and wheel tracking test. During the test, the research team found that current HIR system is required an extention of mixing time to improve quality and to reduce variation of sample to sample. Although the current HIR mixture was passed the test criteria, there is a potential capability to enhance the mixture properties as extend mixting time. CONCLUSIONS: Based on these laboratory test results, It would be concluded that domestic HIR mixture's properties were satisfied all standard specification related with evaluation of recycling asphalt mixtures. Based on this case study result, there is a chance to save construction cost and increase the usage of reclaimed asphalt concrete in the future.
        4,000원
        23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Polyhexamethylene biguanide (PHMB)와 Epigallocatechin-gallate (EGCG) 혼합물의 각막염 유발 균주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사하고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항균제로서의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가 규정한 황색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세라티아 마르세센스(Serratia marcescens), 칸디다 알비캔 스(Candida albicans), 푸사리움 솔라니(Fusarium solai)를 각각의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각 균주들의 적정 배양온도에서 24시간동안 활성화시켰다. 활성화된 균주는 96-well plate를 사용하여 PHMB와 EGCG를 각 각 0.0000125~0.0004%, 0.0025~0.3% 함유한 액체배지에서 배양하였고, PHMB/EGCG 혼합물은 PHMB 최소저해농도(MIC, 0.00005%)와 0.0125~0.1%의 EGCG가 포함되도록 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항균력은 6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ISO 규정 안질환 균주에 대한 EGCG 최소저해농도는 PHMB보다 높아(100~1,500배) 항균력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PHMB/EGCG 혼합물의 ISO 규정 안질환 균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0.00005%/ 0.05%로 PHMB 최소저해농도의 25% 수준에서도 충분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PHMB와 EGCG 혼합물은 ISO 규정 안질환 균주에 대하여 항균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어 다목적 용액에 사용하는 PHMB 농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 결과는 콘택트렌즈 관리용액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23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per concentration of D-xylose which is expected to reduce the GI (Glycemic index) value of sucrose in the human body. When subjects took a sucrose mixture containing 5% and 10% D-xylose, the blood glucose levels were lowered by approximately 27.5% and 25.9%,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of sucrose. The GI values of sucrose mixtures containing 5% and 10% D-xylose were 49.3 and 50.4, respectively. The reduction in GI value was not dependent on the D-xylose concentration, as the GI value of sucrose mixture containing 5% D-xylose (XyloSugar) was similar to that of sucrose mixture containing 10% D-xylose (XyloSugar10). D-xylose is not only more expensive but also less sweet than sucrose. So, low concentration of D-xylose has the advantage in the price and taste. It was determined that the proper concentration of D-xylose expected to reduce GI value of sucrose was 5% (w/w).
        4,000원
        237.
        201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ushroom is cultivated as one of the major economical crops in many areas in Korea. The total production has steadily increased from approximately 186,400 M/T in 2007 to 190,104 M/T in 2009. The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showed the 2th production to 46,598 M/T in 201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optimum mixing ratio of Korean natural Acer tegmentosum for production of functional oyster mushroom.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showed the highest growth at the media of 10% Acer tegmentosum and was decreased to increase of Acer tegmentosum addition ratio. But mushroom mycelial growth at Acer tegmentosum media was s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otal nitrogen and carbon source of Acer tegmentosum was 0.19% and 44.4%, respectively and C/N ratio was 234. Total nitrogen source and pH of substrates mixed with Acer tegmentosum were 2.7∼3.0 and 4.8∼5.0,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P2O5 and K2O were decreased by increasing Acer tegmentosum but the contents of CaO, MgO and Na2O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ntents of Fe and Mn were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of Acer tegmentosum, but the contents of Zn and Mn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Yields of fruiting body and diameter and thick of pileus were the highest at 10% Acer tegmentosum. The L value of pileus was the highest at the 30% Acer tegmentosum during mushroom harv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alue and the b-value. The contents of P2O5,, CaO, MgO and Na2O of fruiting body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contents of Cu was decreased and Fe wa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of Acer tegmentosum.
        238.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채류 공정육묘에서 접목작업 후 버려지는 재사용 상토의 이화학적 특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재사용상토와 perlite의 혼합비율이 상토의 이화학적 특성과 과채류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재사용 상토의 적정 혼합비율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구는 신규상토(NPM: new plug media)와 1회 사용상토구(UPM: used plug media)및 용적대비 재사용상토의 첨가비율을 25, 50 및 75%로 첨가한 5개의 처리구를 설계한 뒤, 각 처리구별 이화학적 특성과 오이 및 토마토 묘의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 재사용 상토의 물리성 개선을 위한 적정 펄라이트 첨가 비율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구는 UPM에 용적대비 펄라이트를 0, 5, 10 및 20% 첨가구와 NPM과 UPM을 1 : 1(v : v)로 혼합한 혼합상토(Mixed Soil)에 펄라이트를 0, 5, 10 및 20%를 첨가한 8개의 처리구를 설계하여 각 처리구별 이화학적 특성과 오이 및 토마토 묘의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을 대조구(NPM)와 비교하였다. UPM에 NPM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상토의 물리적 특성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여 50% 이상 첨가구에서는 신규상토와 공극율, 용적밀도, 보수력은 물론 전반적인 묘소질도 NPM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토의 이화학적 특성, 플러그묘의 근권형성 정도, 묘소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UPM의 물리성 개선을 위한 펄라이트의 적정 혼합비율은 UPM 단용구에서는 20%, NPM과 UPM을 1 : 1(v : v)로 혼합한 상토에서는 10%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