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3

        241.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엑소좀은 세포에서 분비되는 작은 소낭체로서, 기원세포와 조직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세포생 존 및 세포 간 커뮤니케이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엑소좀을 활용하여 종양연구, 면역질환 개선, 질병진단 bio-marker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피부세포에서 분비기전 및 피부 생리적 기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인체피부 유래 각질형성세포(HaCaT)로부터 분리된 엑소좀 이 피부각질형성세포의 증식과 이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HaCaT으로부터 ExoQuick-TC를 활 용하여 엑소좀을 분리하고, 열처리 엑소좀(boiled exosome)과 무처리 엑소좀(unboiled exosome)으로 구분하 였다. HaCaT 유래 엑소좀은 농도 의존적으로(0.1 ∼ 20 μ g/mL) HaCaT의 증식을 유도하였으며, 20 μ g/mL에 서 대조군(control)에 비해 각각 186.96 ± 3.87%(열처리) 또는 193.48 ± 10.48%(무처리)의 증식 유도활성 을 나타내었다. 또한 HaCaT 유래 무처리 엑소좀은 농도 의존적인(0.1 ∼ 20 μ g/mL) HaCaT의 이주활성을 나타내었고, 20 μ g/mL에서 대조군에 비해 179.39 ± 4.89%의 이주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열처리 엑소좀은 이주 유도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무처리 HaCaT 유래 엑소좀은 collagen sprout outgrowth를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HaCaT 유래 엑소좀은 지질 및 열에 안정한 물질 이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고, 단백질 또는 열에 불안정한 물질이 세포의 이동 및 sprout out growth 활성에 관여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피부각질형성세포 유래 엑소좀은 피부의 재상피화 및 상처치유 등의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향후 화장품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242.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Lutein, a xanthophyll, consists of chains with 8 conjugated double bounds containing closed rings on each end of the chain. This carotenoid is found in fruits and vegetables, especially dark green leafy vegetables such as green t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ncer effects of purified lutein from green tea on human cancer cell lines containing prostate carcinoma cancer cells (LNCaP). Methods and Results : Prostate carcinoma cancer cells (LNCaP) were cultured and evalu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lutein isolated from green tea compared other carotenoids (β-carotene and lycopene) on cell proliferation. Cyclin D1 and PCNA were evaluated as cell differentiation. In results, PCNA/cyclin regulates the initiation of cell proliferation by mediating DNA polymerase. Under cultural conditions, lycopene remarkably suppressed the PCNA expression prostate cancer cell line LNCaP in higher doses (20 μM - 100 μM) statistically. However, β-carotene and lutein presented the less inhibitory effects on PCNA expression. Determination of PCNA expression in control and treated cells demonstrates that lycopene did affect proliferation in LNCaP cancer cells in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β-carotene and lutein suppressed the cyclin D1 expression in dose-dependent manner but no in lycopene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ffer carotenoids presented the various suppressive ability of PCNA and cyclin D1 expression in cell proliferation. Conclusion : In conclusion, lutein suppressed the carcinogenesis of induced prostate cancer cell line by acting as a suppressor for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cyclin D.
        243.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oxidant activities,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heme induced colonic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anthocyanin profiles in the anthocyanin rich fraction (ARFAM) from fruits of Aronia melanocarpa, where these are considered functional substances and available food coloring agents in Korea. Methods and Results : Anthocyanins were identified by reversed-phase C18 column chromatography and HPLC-DAD-ESI/MS analysis. To compare the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capacity of Aronia melanocarpa berries, recognized for their high content of anthocyanins, isolation method was developed to obtain high-purity anthocyanins in the extract. Anthocyanin-rich fractions (ARFAM) enriched in anthocyanins were found to be potent strong inhibitory activity towards heme induced colonic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s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colon cancer than acidic ethanol extract (AME). The immunomodulation properties were assessed in growth of both human B and T cells, its cytokines secretion such as IL-6 (interleukin-6) and TNF-α (tumor necrosis factor-alpha). AME enhanced interleukin-6 and reduced tumor necrosis factor-a production, whereas ARFAM only had a effect in increasing of IL-6 expression. Conclusion :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no major relationship between the antioxidative and immunomodulation capacities of AME and ARFAM.
        244.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산국화 유래 hydrosol의 피부각질형성세포(HaCaTs) 증식 및 이주 유도 활성 평가를 통해 피부재상피화 및 상처치유 활성을 확인하였다. 산국화 hydrosol은 HaCaTs의 증식과 이주를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하였으며, 특히 1 μg/mL에서 음성 대조군(control)에 비해 143.71 ± 3.37%의 증식과, 139.98 ± 5.72%의 이주 유도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산국화 hydrosol은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Erk 1/2)와 serine/threonine-specific protein kinase (Akt)의 인산화를 유 의하게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collagen sprout out growth를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서 산국화 hydrosol은 정상적인 재상피화 과정과 상처치유 등의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향후 화장품 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245.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water chestnut (Trapa japonica Flerow). Methods and Results :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pericarp and seed extract was 438.31 ㎎/g and 25.32 ㎎/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showed that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values) of pericarp and seed extract were 5.28 ㎍/㎖ and 355.51 ㎍/㎖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ericarp extract showed strong reducing power. In the MTT assay, the pericarp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viability of A549, AGS, HeLa, PC-3, HCT116, HT29 and SW620 cell lines compared with the seed extract.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 japonica Flerow extracts have significant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246.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lanting methods on root growth of ginseng varieties, two different methods, direct seed sowing and transplanting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ir effects on different root growth characteristics. Methods and Results : Higher fresh root weight was observed in ginseng grown by direct seed sowing. Direct seed sowing of three cultivars (Sunhyang, Chungsun and K-1) resulted in higher yield, whereas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yield of one cultivar (Chungsun). Gumpoong was highly tolerant to physiological stress, as it showed fewer symptoms of rusty and rough skin root diseases in both direct seed sowing and transplanting. The average main root length per total root length of ginseng grown by direct seed sowing was 33.6%, whereas that of ginseng grown by the average of those by transplanting was 22.4%. Other root growth characteristics, including root length, main root diameter, and number of side roots, improved when the direct seed sowing method was used. Conclusions :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reporting the differences in root growth parameters of ginseng varieties grown by direct seed sowing or transplanting at the same planting density. Because of the advantages of direct sowing during ginseng planting, developing new varieties and improving cultivation methods are imperative.
        247.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팔레놉시스는 최근 심비디움과 더불어 주요 수출화훼작물로 자리잡고 있으며, 국내 화훼시장에서 중요성이 증대되고 소비자들로부터 많은 인기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해 국내 팔레놉시스 우량묘 생산체계는 대만, 네덜란드 및 일본 등 난 생산 선진국들과 비교해서 변이발생 및 우량형질 유지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으며 최근 화훼류 신품종 육성에 많이 도입되고 있는 식물형질전환 기술을 이용한 사례도 국내에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노화지연 유전자가 삽입된 팔레놉시스 형질전환 식물체의 원괴체유사체 (PLB: protocorm-like bodies)의 증식 및 신초 재분화에 있어서 다양한 천연산물 처리가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팔레놉시스 조직배양 및 형질전환 유래 식물체들은 banana powder, apple powder 및 potato powder 이 3가지 천연 산물들을 VW배지에 1, 5, 10, 20, 30, 40 그리고 50 g/l 농도로 각각 첨가하여 생체중 측정 및 신초 분화효율을 측정하여 최적의 형질전환 팔레놉시스 PLB 대량증식 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apple powder 30 g/l 및 banana powder 40 g/l을 혼용한 처리구에서 PLB 생체중이 대조구 대비 2.2배 이상 증가하여 처리구 중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또한 PLB로부터 신초 발생율도 80-85%의 고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PLB 조직의 갈변율도 3% 미만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또한 이 두 천연산물의 조합은 형질전환 팔레놉시스 PLB 뿐만 아니라 조직배양 유래 팔레놉시스 PLB 생장과 증식에도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천연산물의 적절한 첨가는 향후 형질전환 팔레놉시스 식물체 대량증식 체계 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48.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주특산식물인 좀향유의 현지 내・외 보존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증식체계를 마련하고 전처리제 처리에 따른 발 근 특성과 시비에 따른 유묘의 생장 효과를 등을 알아보았다. 온 실과 밀폐상의 온습도 조사결과 평균 온도는 비슷하였으나 공 중 습도는 온실보다 밀폐상이 높은 습도를 유지하였으며, 좀향 유 삽목 후 온실은 10일, 밀폐상은 7일만에 최초 발근을 확인하 여 밀폐상의 빠른 발근율을 보였으며 온실과 밀폐상에서의 생 존율, 발근율, 뿌리수 등은 근소하게 밀폐상이 높게 조사되어 온실보다 밀폐상이 효과적이었다. 발근억제물질 제거를 위한 전 처리제 처리는 AgNO3 77.5%를 제외한 다른 처리구에서 95% 이 상의 높은 발근율로 조사되어 좀향유의 경우 발근억제 물질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유묘의 용기별 질소 시비량 및 Osmocote 시비시험 결과 시비량과 용기의 조건에 따라 생존율과 생장 등 에 차이를 보였다. 배양판에서 완효성 비료인 Osmocote를 시비 한 결과 생존율, 지상부, 지하부 생장 등이 가장 양호하여 좀향 유의 유묘 증식을 위해서는 Osmocote 시비가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25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의 핵심집단 구축을 위해 국내외의 유전자원을 수집하여 평가 중, 국내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꼬투리무 및 노란 꽃무를 발견하였기에 그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꼬투리무는 십자화과 무속(Raphanus sativus L.)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어린꼬투리를 이용하는 채소이다. 인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지역으로부터, 타 이,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 걸쳐서 분포하며, 식물체가 성장해도 뿌리의 비대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꼬 투리무는 파종 후 약 45일-70일경에 화서가 신장하여 추대하고, 옅은 보라색 꽃을 피우며, 개화 후 꼬투리는 콩처럼 얇고 길게 신장한다. 일반무는 화아분화 및 추대에 저온을 요구하나, 꼬투리무는 저온감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 이 특징이다. 주당 다수의 꼬투리가 달리며, 종자를 맺을 때에는 콩처럼 꼬투리가 20cm이상까지 신장한다(일반무 의 꼬투리는 5cm 전후). 동남아시아에서는 10cm 전후의 어린 꼬투리를 샐러드, 볶음요리 혹은 카레의 재료로 이용 하며, 맛은 어린꼬투리일수록 더욱 매운맛을 보인다. 무꽃은 전형적인 십자화과 꽃의 모습으로, 4장의 꽃잎이 십 자모양으로 개화한다. 화색은 일반적으로 백색이나 옅은 자색이 많으나, 매우 드물게 노란꽃을 피는 무도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노란꽃 무를 수집하여, 형질 고정을 위해 4세대 이상 자식 후 증식 중에 있다. 노란꽃 무는 F3세대를 공시하여 형질 평가를 실시한 결과, 시험한 100주 전부에서 노란꽃이 보였으며, 파종 후 약 37일경에 개화하였다.
        255.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optimum cutting time, plant growth regulator, and bed-soilfor rooting by greenwood cutting of Schisandra chinensis. Approximately 7㎝ long-shoots of greenwood cuttings weretransplanted by various cutting times, plant growth regulators, and bed-soils in the plastic-film house. The rooting rate ofgreenwood cutting was 12.5% in the April 5th, 73.5% in the May 8th, and 75.5% in the August 5th. The number and lengthof primary root in greenwood cutting were more in the early May than those in the early August. For mass propagation ofSchisandra chinensis. using greenwood cutting, shoots were treated with plant growth regulators on May to increase rootingrate. Rooting rate was 100% with IAA 50㎎/ℓ,92.9% with NAA 100㎎/ℓ,and NAA 1,000㎎/ℓ,for 60 min. To selecteffective media for rooting, various medias for bed-soil were treated by single and mixture form for 100 days after cutting.Rooting rate was 91.8% in the single treatment of peat moss or decomposition of granite soil, and this result was better thanthose in other treatment. The treatment by 1:1 mixture of peat moss and horticulture bed soil was rooting with 94.0% bestrooting rate.
        258.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유통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신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63종의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사구체혈관간 세포의 증식억제능 탐색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강진향, 고련피, 대풍자, 목향이 RMC 세포의 증식을 50% 이상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ORAC와 DPPH assay를 통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백단향, 백렴이 가장 우수한 ORAC 활성 효능을 보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는 계혈등, 귀전우, 대풍자, 반대해, 백단향, 백렴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냈다. 이 중 대풍자 추출물과 목향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사구체혈관간세포 증식억제능 모두 뛰어난 효능을 나타냈으나, 목향이 함유하고 있는 aristolochic acid는 임상적으로 신장에 독성을 일으켜 신장질환 치료제에서 제외되는 한약재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가장 뛰어난 효능을 보인 대풍자 추출물은 신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한약재 후보물질로서 분획별 항산화 활성과 유효성분 규명의 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