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7

        263.
        2015.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는 것들을 살펴보면, 아날로그 시대를 그리워하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그립다고 그 때로 돌아갈 수도 없다. 우리는 이미 2016년 디지털 시대의 한가운데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우리의 자녀들은 ‘디지털’을 태어나면서부터 접하고 있다. 필자의 주변에 많은 젊은 어머니들의 하소연 가운데 가장 공통적인 것은 ‘스마트폰’을 너무 빨리 알아버린 어린 자녀에 대한 걱정이다. 고사리 같은 손으로 작은 화면으로 금세라도 빨려 들어갈 것같이 집중해보고 있는 유아(3-5세) 아이들을 발견하는 것은 이제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니다. 그 장면을 보고 있노라면, ‘저 부모는 뭐 하기에 저렇게 어린 애한테 스마트폰을 쥐어줄까’ 싶지만 실제 육아를 겪어본 사람이라면 그 심정이 충분히 이해가 될 것이다. 대다수의 부모들이 스마트 기기가 아이의 눈 건강이나 정신에 좋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최고의 베이비시터’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사정이 그렇다보니 부모들은 조금이라도 ‘교육적’인 콘텐츠를 접하게 해주고자 노력한다. 게임을 하면서도 구구단을 외우게 하거나, 퍼즐을 하면서도 영어단어를 배우게 하도록 콘텐츠를 선택하여 자녀들에게 제공한다. 눈이 빨리 나빠지고, 좋지 않은 자세를 갖게 되며 뇌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데도 [1] 부모들도 스마트폰과 밀접한 생활을 하고 있는 요즘, 자라는 아이들에게 그것을 멀리 하게 할 방법이 솔직히 없는 게 사실이다. 인터랙션 디지털 콘텐츠를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오늘 이 글을 통해 ‘디지털’을 조금 멀리 하자거나 ‘아날로그’를 더 찾아보자는 것을 얘기하고 싶은 것이 아니다. ‘디지털’은 결국 우리가 타고 가야하는 시대의 흐름이기 때문에 그것을 ‘잘’사용해보자고 주장하고자 한다. 1년 전 필자는 유아 도서관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었다. 안성에 있는 한 도서관에 잘 운영되고 있는 유아 열람실을 이용하는 1세에서8세까지 자녀를 둔 보호자 30명을 대상으로 33개의 문항을 페이퍼 설문하였다. ‘자녀가 책을 가까이 하는 게 좋다고 여기십니까?’ 라는 질문에 90%의 27명 부모가 ‘매우 그렇다’는 답을 하였고, ‘각종 전자제품(스마트폰/컴퓨터/스마트 패트/TV 등)이 자녀에게 해로운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십니까?’ 라는 질문에 20명 (67%)가 ‘매우 그렇다’, 4명 (13%)가 ‘그렇다’는 부정적인 입장을 답하였다. 또한 ‘도서관에서 아이와 시간을 보내는 것이 각종 전자제품과 멀리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는 22명(73%)의 부모가 ‘매우 그렇다’라고 답하였다. 세 가지 답변만 보더라도 유아를 자녀로 둔 부모는 유아가 스마트기기를 될 수 있으면 멀리하고, 손에 직접 들고, 페이지를 넘기면서 보는 책을 더 가까이 하기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어린이들을 좀 더 책과 친해지도록 만들 수는 없을까?’, ‘책과 친해지도록 만드는데 디지털 콘텐츠가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는 없을까?’라는 질문들은 아직도 필자에게는 풀지 못한 숙제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런 이유로, 본 글을 통해서는 유아열람실 애플리케이션이나 미취학아동의 독서습관을 돕는 애플리케이션의 사례를 살펴보고, 해당 목적으로 개발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264.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유통 중인 어린이용 화장품 총 125건(n = 125)을 대상으로 하여 파라벤 6종과 벤질알콜, 페녹시에탄올, 소르빈산, 벤조산 등 10종의 보존제에 대한 혼합 사용실태와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유형별 보존제 검출률은 세정제 63%, 크림류 48%, 자외선차단제 46%, 로션류 38%, 오일이 13%의 순으로 검출되어 총 125건 중 63건(50%)의 제품에서 1종류 이상의 보존제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존제별 검출범위는 페녹시에탄올 0.01 ~ 0.91% (n = 35), 벤조산 0.01 ~ 0.48% (n = 28), 벤질알콜 0.01 ~ 0.78% (n = 9), 소르빈산 0.01 ~ 0.11% (n = 3)였으며, 파라벤류 중 메틸 파라벤과 프로필 파라벤은 0.04 ~ 0.21% (n = 8)와 0.02 ~ 0.09% (n = 8)의 검출범위를 보였고, 에틸 파라벤은 1개 제품에서 0.04%로 모두 배합한도 이내로 검출되었다. 조사결과 어린이용 화장품에서는 파라벤류 보다 페녹시에탄올과 벤조산의 사용빈도가 높았으며 검출된 파라벤류 중에서는 메틸 파라벤과 프로필 파라벤이 주로 혼합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6.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health effects of children's products containing hazardous chemicals on children, th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announced 135 environmental hazardous substances in children’s products (EHSCP) which were subject to risk assess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EHSCP for management due to their various exposure routes and typ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osure assessment of EHSCP as well as relevant policies implemented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detection of EHSCP were reviewed in the literature and websites of related agencies. Due to the lack of reference values for child-specific toxicity of EHSCP, those for adults and regulatory status of EHSCP were also investigated and reviewed with literature. The related agencies of foreign countries provided 13 child-specific reference doses (RfDs), 76 RfDs, and 42 reference concentrations as toxicity reference values of the EHSCP. Among substances investigated in the studies to assess exposure of hazardous substances in children’s products by th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3 substances were included in 135 EHSCP. The same studies identified 9 substances which were excluded from the 135 EHSCP. For regulatory status for hazardous substances in children’s products, 44 substances (32.6 %) and 84 substances (62.2 %) of 135 EHSCP were under regulation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respectively.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at a list of 135 EHSCP should be revised to ensure children’s safety.
        267.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도시공원 중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어린이공원 중 달서구에 위치한 4개 어린이 공원을 대상으로 CPTED 이론을 적용하여 이용자의 안전 만족도를 조사하고,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CPTED 설계원칙에 따른 물리적 환경 적합도를 분석하여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설문 조사를 통한 어린이공원 이용자의 심리적 · 물리적 안전 만족도를 조사하였는데,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공원에서의 범죄발생에 대하여 심리적 · 물리적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원별로는 미리내공원, 은하수공원, 목련공원, 샛별공원의 순으로 심리적 · 물리적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물리적 안전에 대한 낮은 만족도가 심리적인 범죄 불안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도시공원 · 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 등에 관한 지침을 바탕으로 다섯 가지 CPTED 설계원칙에 따른 14개 항목의 체크리스트 작성하여 현장 조사를 통한 범죄예방 환경설계의 물리적 환경에 관한 문제점을 찾고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섯 가지 설계원칙 중 ‘활동의 지원’이 가장 높은 물리적 환경 적합도를, ‘영역성 강화’도 보통이상의 적합도를 나타내었으나, ‘감시강화’, ‘유지관리’, ‘접근통제’에서는 보통이하로 나타나 공원의 범죄예방을 위해서는 이러한 측면을 강화한 재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기존의 공원을 재정비할 경우 범죄예방을 위해서는 특히 다음과 같은 환경설계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National Police Agency, 200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9). 첫째, 관목의 경우 1-1.5m, 교목일 경우 지하고 1.8m 이상의 수목을 식재하여 시야확보를 통한 자연적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해야한다. 둘째, 공원 내에 CCTV를 설치하여 기계적 감시를 강화하고, 경고문 부착, 관리사무실 설치 등 범죄자를 미리 차단시키는 접근 통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공원 경계에 설치하는 담장은 자연적 감시를 위해 투시형으로 설치하며, 주출입구가 아닌 곳으로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해 높이는 1.5m-1.8m로 제한한다. 또한, 경계부분에 생울타리를 식재 할 경우 자연감시와 접근통제를 위해 수고를 1-1.5m로 제한한다. 넷째, 공원 안내판은 주출입구의 잘 보이는 곳에 설치하며, 이용준수사항, 공원이용시간, 금지사항 등의 내용을 기재해야 한다. 다섯째, 공원 내 · 외부의 환경 정리를 철저히 하여 항시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고, 공원 주변을 주차금지구역으로 지정하여 차량으로 인한 내부 감시 차단을 방지하며, 건물, 시설물, 수목 등으로 인한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여섯째, 공원 내의 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를 철저히 하며, 훼손된 시설물에 대해서는 빠른 시일 내에 보수 및 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지를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위치한 어린이공원 4곳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모든 도시공원에 적용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유형의 공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범죄에 취약한 계층인 어린이, 여성 및 노년층 중심으로 CPTED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한 설문조사 및 이들의 행태에 따른 현장조사가 강화된다면 범죄예방 환경설계에 유용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도시공원의 개별적인 물리적 환경과 범죄불안감과의 직접적인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는데, 물리적 환경에 따른 이용자들의 이용 행태가 어떠한 유형의 범죄에 대한 불안감을 유도하는지 파악한다면 보다 구체적인 범죄예방 설계방향이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26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어린이의 일상생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통학버스 이용 중에 발생한 인명피해 사고는 사회적 관심이 더 집중되는 경향이 있고 문제발생의 원인파악과 해결의 시급성이 강조된다. 더욱이 어린이 통학버스 사고를 야기하는 요인이 차량자체의 안전시설미비로 인한 경우와 운전자의 주의의무위반으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적절한 조치를 통해 충분히 사전 예방할 수 있는 것임을 고려했을 때, 사망사고 발생을 전무하게 만들 수 있는 제도적, 기술적 접근과 해결 노력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어린이 통학버스 사고를 유형별로 분류, 사고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취약성평가와 위험도 FTA(Fault Tree Analysis)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ⅰ)통학차량 내 안전시설을 구비함으로써 차량자체에 의한 안전사고를 없애고 ⅱ)운전자에게 주의의무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키는 방법으로 대응전략을 세움으로써 어린이 통학버스 사고안전을 제고하고,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69.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아동의 사회적응이 이슈화되는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이 어린이집 적응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한국형 다문화수용성척도(KMCI)와 유아교육기관 부적응진단검사(PBQ)로 분석하여 다문화아동의 적응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와 김포시의 위치한 34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중 다문화가정아동을 담당하는 담임교사 73명과 재원중인 만 3-5세 아동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은 연령이 높고 경력이 많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어린이집적응 차이는 일반가정아동이 다문화가정아동보다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성별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잘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미혼과 낮은 연령일수록 아동이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임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교사의 아동일수록 어린이집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교사와의 관계성차원에서 더욱 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70.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judge the applicability of field quality control by children's goods manufacturers by assessing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such as Pb and Cd in outdoor play goods for children through measurement using Portable XRF and comparing the results through detailed analyses using ICP. Heavy metal contents of 711 part samples of 505 products were measured using XRF.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atio of products that exceeded the Pb and Cd content standards specified under the Quality Management and Safety Control of Industrial Products Act were 2.4% and 2.6%. Many products certified for self-regulated safety exceeded the standards and thus it was considered that harmful chemical material centered safety management systems would be necessary. Detailed ICP analyses of some products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showed deviations of 0.9~80.8% from XRF results. The reasons for this are deviations in the characteristics of measured cross sections and the homogeneity of samples resulting from sample preparation methods, etc.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field quality control will be applicable if measuring methods are efficiently established based on product characteristics and calibration curve preparation methods are established through quality control.
        271.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프로그램은 2007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원예 활동에 과학교육을 접목하여 아동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정서지능을 높이며 사회성을 향상시키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가 감소하였으며, 정서지능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교사의 관찰 일지를 통하여 관찰력과 탐구력 및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부모 설문지 결과를 통해 어린이과학생물학교 프로그램이 과학교육과 원예활동을 접목하여 창의적이고 탐구적인 효과를 얻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로 평가 되었으며, 이에 대한 학부모들의 기대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이 수업과정을 통해 자녀들이 지적인 습득과 함께 심리 정서적 안정감을 얻기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원예와 여러 분야의 교과부분을 접목하여 통합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보다 심도 있는 원예활동을 실시하여 아동들의 성장 발전에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연구해야 할 것이다.
        272.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18세기부터 미학적 논의의 대상으로 떠올랐던 유년모티브가 20세기 후반 피아 노 작품 헬무트 락헨만의 ≪어린이 유희≫에서는 어떠한 관점에서 해석되는지 연구한다. 20 세기 후반 어린이는 기존 세기와 달리 사회적 정치적 관점에서 해석되며, 특히 70년대 이후 부터 청소년문학 및 청소년 음악의 붐, 68혁명으로 인한 내면성의 미학, 신주관주의 등으로 유년모티브가 확산된다. 락헨만의 사회비판적 의식은 기존의 음악적 관습과 전통을 거부하 고 새로운 청취습관과 음향을 중요시 여기고 있으며, 이러한 그의 음악관은 ≪어린이 유희≫ 속의 유년모티브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 특히 유년세계의 모습들이 다양한 음향과 잔향을 통 해 묘사되고 있으며, 동시에 락헨만은 그 유년의 모습들을 피아노가 생산할 수 있는 다양한 소리들로 표현하고 있다.
        273.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상생활을 살아나가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중에 어린이에게 가장 위협적인 사고는 보행 중 발생하는 교통사고이다. 사고발생 후의 대책이나 처리보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어린이 스스로 몸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전에 대한 바른 습관 및 태도를 형성시켜주는 교통안전 교육이 강조되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성게임으로서 교통안전교육을 가장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어린이의 몸을 활용해 교통안전 준수체험 교육훈련을 할 수 있는 체감형 교통안전교육게임을 설계해보고 3차원 동작인식기술을 다양한 기능성게임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274.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 어린이정원을 관람하는 관람객들에게 효과적인 체험과 환경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국립수목원에 근무하는 숲해설가를 대상으로 전공영역에 따른 어린이정원에서의 활동 현황과 식재 및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정원의 개선 방안과 숲해설가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타전공자인 해설가들이 어린이정원에 대한 관련 자료 등 교육 정보의 부족으로 인하여 해설에 어려움을 느낀 경우가 많아 어린이정원 조성에 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하여 기본 개념과 기본 목적을 해설가들이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운영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변화하는 자연생태계에 따라 적절하게 교육 프로그램이 세분화되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해설가들에게 다양한 식물을 활용한 생태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및 교과 외 쉽게 접하지 않았던 분야에 대한 직무연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정원의 식재공간에 대한 해설가들의 인식은 전공자별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어린이정원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전공자별로 차별화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해설가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어린이정원의 운영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어린이정원을 관람하는 관람객들에게 효과적인 체험과 환경교육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국립수목원 전체 안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275.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어린이의 허브식물을 이용한 원예활동을 통하여 그 반응에 관하여 알아보고 이러한 원예활동이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설을 제시하고 그 가설에 타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허브식물을 활용한 수업과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허브식물을 이용한 체험활동이 어린이들의 정서안정, 집중력 증진, 사회성 발달, 책임감 함양 등의 다양한 능력 향상에 기여 할 것이다.” 조사대상 어린이 529명, 유치원 선생님 60명, 자녀를 둔 일반인 75명, 유치원 어린이의 보호자 52명, 조사대상 유치원 이외의 어린이 205명을 대상으로 연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2/3정도의 어린이가 허브라는 것에 대하여 이름을 들어 보았다고 하였으나 직접 허브를 길러 보았다는 결과는 40%에 불과하였다. 허브를 이용한 원예활동의 필요성은 높은 것에 반해 실제 가정에서 허브를 키우고 있는지에 대한 결과는 저조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유 없는 도시환경을 반증하는 결과이다. 그리고 어린이의 약 70%가 허브를 알고 있었고 40% 정도는 직접 길러 보았다고 하였다. 이로 짐작해 볼 때 30% 정도는 허브를 직접 길러보지는 않았지만 부모, 유치원 선생님 등의 다른 어른들에게 이야기를 듣거나 방송 광고 또는 여러 가지 대중매체를 통해서 알게 된 경우라고 추론할 수 있다. 98.5%가 허브를 직접 길러 보고 싶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어린이들도 허브 선택 시 향기에 따라 선택하는 경향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어린이들의 허브식물에 대한 관심은 처음 무관심에 가까웠으나 간단한 설명을 한 후에는 어린이들이 한꺼번에 향기를 맡아보려고 하여 소란이 일어날 때도 있었을 만큼 반응의 변화가 달랐다. 초반 주위가 소란할 정도로 집중도가 낮은 경우도 있었는데 반해 후반에는 관심이 없던 어린이들도 관심을 보이고 종료시간을 물어올 만큼 재미를 느끼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미래사회를 여유롭고 윤택하게 살아갈 수 있는 전인교육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원예활동은 매우 중요하며 이는 도시의 어린이들이 자연스럽게 자연을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어린이들의 관심도와 참여도를 분석해 볼 때 설명이전과 설명이후, 초반부와 후반부의 행동변화에서 탐구력, 집중력 등의 변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참여한 대상자 중 90% 이상 대부분의 어린이들이 원예활동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으며 기회가 주어진다면 적극 참여를 하고 싶어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교육적 원예활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거듭 인식하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허브식물을 이용한 교육적 원에활동의 실시는 어린이들에게 정서안정, 집중력 증진, 사회성 발달, 책임감 함양, 인지능력 발달 등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