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51

        28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로운 형태의 포스파젠 진단막을 제조해 혈액 속의 글루코우즈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액 속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장애성분들을 4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여 혈당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내는 시리즈 I의 경우, 대부분의 첨가물들이 혈당 측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오직 ascorbic acid (AA)만이 기준 용액보다 5~8% 정도 높은 K/S 결과치를 나타내었다. 시리즈 II의 경우, 네 가지 첨가물 모두 기준 용액의 K/S 결과치보다 3~4% 다소 낮은 값을 보였으나 농도에 따른 일정한 값을 보여 주었다. 시리즈 III의 경우, 세 가지 첨가물 모두 기준 용액에서 얻어지는 K/S 결과치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 시리즈 IV의 경우, 두 가지 물질 모두가 기준 값보다 11~15% 정도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혈당 측정에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4,000원
        28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령화에 따른 농업고용 인력수급 문제는 농촌지역의 인력 감소 문제와 더불어 향후 우리농업의 성장과 지속가능성에 좋지 않는 영향을 미칠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그러므로 농업고용 인력수급을 위한 효율적인 정책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농업경영주 고령화에 따른 영농형태별 고용인력 수요의 특징 파악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농림어업총조사(2010년) 자료를 이용하여 농업경영주 고령화와 고용 인력 수요분석을 위한 미시적 접근방법으로 종속변수의 특징을 감안한 프로빗(probit)분석을 이용하여 영농형태별, 고용기간별 고용확률을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고령농가가 비 고령농가에 비해 대부분의 영농형태에서 고용할 확률이 낮았으나, 단기고용의 경우 특용작물·버섯에서, 중·장기 고용은 축산에서 그 영향이 클 것으로 분석되었다. 2. 규모가 큰 농가(판매액이 많은 농가)가 인력을 고용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단기고용의 경우 논벼와 과수에서 중·장기 고용은 화초·관상작물에서 그 영향이 클 것으로 분석되었다. 3. 농기계 보유여부의 경우 고용노동과 대체관계에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영농형태에서 고용확률이 오히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만약 농기계를 운용할 수 있는 인력과 관련되어 있다면 상호보완적인 관계(+)일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농업경영주 교육수준의 경우도 교육기간이 많을수록 고용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영향은 단기고용의 경우 화초·관상작물 및 과수에서, 중기고용의 경우 특용작물·버섯에서, 장기고용에는 축산이 영향이 클 것으로 분석되었다. 5. 경영주 영농경력의 경우 고용기간별로 그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나 영농경력이 많아질수록 단기고용 확률이 높은 반면 장기고용 확률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200원
        284.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곡률이 없는 안경렌즈위에 하드 코팅 막과 SiO2 막을 쌓은 후, FDTD를 사용하여 원기 둥 나노 구조물을 쌓고, 나노 구조 형태에 따른 코팅 막의 광학 특성을 연구하였다. 방법: 시뮬레이터 설계에서 굴절률이 1.55인 안경렌즈위에 하드코팅 막을 3μm로 하고, 그 위 에 SiO2 막을 100nm에서 900nm 까지 변화시켰으며, SiO2 막에 원기둥 모양의 나노 구조를 만 들었다. 원기둥 구조물의 체적비를 최적으로 만들기 위해 원기둥의 배열을 hexagonal 형태로 하였다. 원기둥 깊이를 100nm로, 주기 300nm로 고정하고 원기둥 반경을 50nm에서 150nm로 변화시켜 반사율이 거의 영인 파장위치를 찾아 굴절률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원기둥 반경 75nm이고, 주기는 200nm일 때 원기둥 깊이를 100nm, 300nm, 500nm 700nm, 900nm 로 원기둥 깊이에 따른 반사스펙트럼을 관찰했으며, 또한 원기둥 깊이 100nm이고 반경과 주기를 37.5nm 와 100nm의 배수로 337.5nm와 800nm까지 변화시켜 주기에 따른 반사스펙트럼을 관찰했다. 결과: 원기둥 깊이를 100nm로, 시뮬레이션 주기를 300nm로 고정하고 원기둥 반경을 50nm에서 150nm로 변화시킨 결과 반사율이 거의 0인 파장위치는 508nm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나노 원 기둥의 굴절률은 간섭현상으로 계산한 값은 1.27이고, 나노 원기둥의 밀도로 계산한 1.24로 거 의 비슷한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원기둥 깊이가 50nm에서는 간섭현상이 일어나지 않지만 100nm이상에서는 간섭현상이 일어나고 원기둥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반사율이 최대 최 소가 되는 파장의 개수가 점점 많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뮬레이션 주기는 100nm에서 300nm 까지는 간섭현상이 나타나다가 400nm이상에서는 간섭현상이 사라지고 산란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나노 원기둥 형태에 따른 광학 특성을 연구한 결과, 나노 원기둥의 굴절률은 간섭현상 으로 계산한 값은 1.27이고, 나노 원기둥의 밀도로 계산한 1.24로 거의 비슷한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원기둥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반사율이 최대 최소가 되는 파장의 개수가 점점 많아 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기는 커짐에 따라 간섭현상이 나타나다가 사라지면서 산란이 나타 남을 알 수 있었다.
        285.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평균입경 0.2, 0.5㎛ 크기의 α-알루미나 분말을 이용하여 다공성 α-알루미나 지지체의 기공구조를 조절하고자 하였다. 다공성 α-알루미나 지지체는 슬립캐스팅공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후 소결하였으며, 이 때 소결 온도가 지지체의 수축률 및 소결거동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제조된 다공성 α-알루미나 지지체는 수은기공분석기를 이용하여 기공크기 및 기공률 등을 분석하였으며, 단일기체투과장치를 이용하여 기체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입경 0.5㎛ 크기의 α-알루미나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된 지지체의 경우, 평균 입경 0.2㎛ 크기의 α-알루미나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된 지지체에 비하여 기공크기가 크고 기공률이 높았으며, 기체투과도가 높을 것을 알 수 있었다.
        286.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온스트레스에 따른 차나무 잎의 변화와 카테킨, 카페인, 아미노산대사 그리고 환원당 등 다양한 대사물의 함량 변화를 구명하였다. 저온스트레스 피해를 입은 실외포장의 차나무 잎은 세포크기, 기공 및 엽맥세포의 크기가 저온스트레스를 입지 않은 온실 재배 녹차잎에 비해 작았다. 저온스트레스 피해를 입은 실외포장의 차나무 잎에서 카페인과 카테킨의 함량은 온실 재배 차나무보다 높았다. 그러나 아미노산의 함량은 저온스트레스 피해를 입은 실외포장의 차나무 잎보다 온실에서 재배한 차나무가 높았다. 환원당 함량은 실외포장의 차나무에서 낮았다. 인위적 저온스트레스 처리 결과 환원당의 함량은 저온스트레스 처리 2시간까지는 증가하였다가 이후는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저온스트레스가 차나무 잎의 형태적 변화와 더불어 카페인과 카테킨 그리고 당 등 대사물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4,000원
        287.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designated name, adenocarcinoma, not otherwise specific (ANOS) revealed lack of histomorphologic characteristics that could classify the tumors under specific name. ANOS had nothing in common with other salivary gland malignancies, but glandular differenti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olid characteristics of ANOS on the base of cytological and architectural features. 20 ANOS cases were studied. We identified 20 patients with salivary adenocarcinoma, not otherwise specified, ranging in age from 26 to 76 years (median, 53.85 years), with slight female predilection (female 11: male 9). The minor salivary gland was the most common site of tumor origin, especially on the palatal area (11 out of 20). The size of tumor was from 1.0 to 7.0(median 3.07). For the histopathological analysis, we classified the tumors by cytological and architecture patterns. Basaloid and epitheloid cytological patterns were showed with solid, microcystic/pseudocystic architecture. We found invasive growth patterns in 7 out of 20 cases. Reviewing and classifying the common features of ANOS could be helpful to make a diagnosis of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4,000원
        288.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rphological properties of dark 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were analysed to investigate its acoustic scattering characteristics. Total of 18 live samples was prepared for X-ray photos and collected morphological coordinates of their body and swim bladder shapes. Kirchhoff-ray mode model was used to calculate acoustic scattering pattern for broad-band frequency range. Inclination of swim bladder ranged from 17 to 30 and the averaged value was about 25.2° (S.D.(standard deviation)=3.15). There were no any tendency of increase or decrease in volume and area ratio of swim bladder to fish body and ranged from 2.2 % to 4.43 % and 14.85 % to 21.31 %, respectively. The averaged value of volume and area ratio was 3.13 % (S.D.=0.52) and 17.6 % (S.D.=1.5). b20 values were –69.01 for 38 kHz, –69.83 for 70 kHz, –70.17 for 120 kHz and -70.93 for 200 kHz, recpectively. Broadband acoustic patterns of dark banded rockfish for 20 ~ 200 kHz were similar among samples and they reflected size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fish species.
        4,000원
        289.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nalyz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st food consumption behaviors and food-related lifestyle types. Data was collected from 268 middle students in the Incheon region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 factor analysis extracted five comprising food-related lifestyle, which we named health seeking (factor 1), taste seeking (factor 2), easy seeking (factor 3), popularity seeking (factor 4) and safety seeking (factor 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the food-related lifestyle showed that the average consumption was more than 2.95 and, 0.792 in Cronbach alpha coeffici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factor for the selection of fast food according to taste seeking and, popularity seeking types (p<0.05). Also, the easy seeking and safety seeking lifestyle typ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reason the choosing criteria of fast food (p<0.05). Especially, the nutrition problem was of the highest importance for the health and safety seeking but an advertisement effect trend appealed more to the taste seeking, easy seeking and popularity seeking lifesty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st food of intake frequency according to health seeking, easy seeking, popularity seeking and safety seeking types (p<0.05). A significant positive result of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fast food consumption (p<0.05) was shown for the health seeking and safety seeking types. A significant positive result of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fast food consumption (p<0.05) was shown for the popularity seeking and safety seeking types.
        4,000원
        290.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ions contain antioxidant flavonoids and bioactive sulfur compounds. These substances are more abundant in the peel than in onion flesh. For this reason, whole onions including peels were added to soy milk to produce soy milk with whole onions (SWO), whereas peeled onions were added to soy milk to produce soy milk with peeled onions (SPO). The function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se two kinds of soy milk were then analyzed and compared. Compared to control soy milk (CS) without onion powder, treated samples (to which freeze dried onion powder was added at 1.4, 1.6, 1.8, and 2.0%, respectively)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amounts of quercetin, isoflavone, and total phenol (p=0.05). The magnitude of the increase rose as the amount of added onion powder increased and when onion powder contained onion peels. With regards to antioxidant activity (DPPH and ABTS), SWO showed a greater value than SPO. The sensory evaluation scores of SWO and SPO were lower than CS for roughness and swallowing, as adding onion powder increased solid contents and viscosities. However,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were obtained 1.8SPO and 1.8SWO.
        4,200원
        291.
        2015.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사료의 重層性을 전제로 실직국의 복속 과정과 이에 대한 신라의 지배 형태 변화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실직국의 복속을 전하는 󰡔삼국사기󰡕 신라본기 파사이사금 23년조는 󰡔삼국유사󰡕 왕력 지마이질금조와 저본을 달리해 작성되었다. 그 저본의 찬자는 실직국과 음즙 벌국 사이의 분쟁, 그리고 사로국의 중재에 대한 자료를 소재로 실직국의 항복 과정까지 하나의 사건으로 합쳐 정리했다. 파사대의 정복기사는 탈해대·지마대의 대외확장을 강조한 기사와 저본을 달리해 重層的으로 봉합되었다. 파사 23년조는 대외확장에서 파사이사금의 업적을 중시한 저본에 토대를 두었다. 왕력 지마이질금조는 신라본기 파사23년조보다 상대적 신뢰도가 높지만, 절대적 신뢰도를 담보하지 않는다. 실직국은 옥계, 하장, 원덕 일대를 지배했다고 전하는데, 실제 지배 범위는 변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동해시 송정동 일대에도 大邑落이 존재했을 것이다. 실직국은 동해안 교통로와 영서 방향 교통로의 결절지라는 입지조건, 동예와 진한의 중간적 위치 등을 기반으로 주변 邑落을 통제했고, 음즙벌국과 동해안의 교역로를 두고서 경쟁했다. 3세기 후반∼말경 동해안의 교역 에서 사로국이 금관국에 대해 우위를 보이면서 실직국은 사로국이 주도하는 교역에 협조하기 시작했다. 4세기 초중엽부터 사로국과 고구려의 교섭이 본격화하면서 실직국은 사로국에 복속했다. 실직국 干層은 공납을 바치고 기항지 이용권을 제공하는 대신, 읍락 간층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했다. 실직국의 반란이 진압된 뒤에도 일부 간층은 자치권의 일부를 유지했다. 실직 지역은 何瑟羅城에 비해 방어기능이 약한 편이었다. 그런데 5세기 중엽부터 고구려가 남한강 상류 방면으로부터 압박해 오면서 悉直城의 據點城 기능은 강화되었고, 간층의 자치권은 약화되었다. 실직성 주변의 읍락들은 5 세기 후반경 村으로 편성되었다. 5세기 말 이후 신라는 거점성별로 전략적 기능과 옛 소국에 대한 지배기능을 조정했다. 이 과정에서 실직성이 다수 거점성에 대한 관리 기능을 부여받아 505년에 悉直州가 설치되었다. 6세기 초까지 유력 간층을 대상으로 복수의 干群 外位와 非干 외위가 편성되었다. 간군 외위자는 비간 외위 자의 보위와 非외위자의 협조로 道使의 통치에 협조했다. 그런데 512년 何瑟羅州 설치, 524년 이전 실직주 재설치 등에 따라 외위의 운영은 변화했을 것이다.
        10,700원
        292.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based on 'Jeju Choga', which means the traditional houses in Jeju. For the product development, old literature review, field surveys, and consumer surveys were employed. Through old literatures and field surveys, the unique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Jeju Choga were confirmed: A thatched roof with lattice pattern, a side wall and fences with porous stones, a 'Jungnang' serving as a gate, and a 'Pungchai' preventing strong sola radiation and 'Ollai' meaning a narrow street in front of the Choga. As a results of consumer survey conducted before the development of products, consumers highly recognized and associated Jeju Choga as Jeju representative image. The six basic patterns of Jeju Choga were drawn and eight textile designs were created through the repeated arrangements of the basic patterns. Using the created textile designs and digital printing method, the eleven new fabrics with the patterns of Jeju Choga were developed. The various kinds of ten bags and tow wallets made with the new fabrics. As a result of consumer evaluation for the twelve products made in this study, the scores of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above the average work for the most products of them. In particular, th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f the square shoulder bag, the big-size shopper bag, and the small-size cross bag were very positively evaluated.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Jeju Choga could be very useful as a motif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focusing on Jeju tourism souvenir market.
        5,200원
        293.
        201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類義語이자 발음이 같은 相・狀・象・像이 현대 한국어 어휘의 형태소로 쓰일 때, 이들 한자간의 의미 자질을 분별하여 어휘 의미의 분별성을 높이고자 하는 데 중심 목적이 있다. 現象・現像・現狀에서의 象・像・狀은 모두 ‘현상’으로 발음되는 어휘들에서 ‘형상’이라는 의미로 활용되고 있는가 하면,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표제어 形相・形狀・形象(/形像)의 경우는 발음이 모두 ‘형상’이며 의미도 모두 ‘형상’이나 ‘모양・상태’이다. 뿐만 아니라 ‘모양’・‘형상’을 뜻하는 다른 어휘들에 사용된 ‘면상03(面相/面像)’・‘사상10(事狀/事相)’・‘사상20(寫象/寫像)’・‘심상04(心象/心像)’・‘형상04(形象/形像)’・‘상모01(相貌/狀貌)’ 등은 하나의 표제어에 두 개의 한자 표기가 존재하거나, ‘세계-상(世界像)’・‘인간-상(人間像)’・‘여성-상(女性像)’ 등은 ‘像’을 사용하고 ‘사회-상(社會相)’・‘시대-상(時代相)’ 등은 ‘相’을 표기하는 차이가 존재한다. 이 부분들은 한국 한자어에 존재하는 유의관계 한자 사용의 복잡한 양상을 보여주는 동시에 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요망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는 相・象・像・狀이 다른 어휘와 결합되어 ‘모습’・‘형태’・‘상태’를 나타내는 한국 한자어 항목을 조사하고 이 한자어들이 과연 의미 자질상의 변별력을 지니는지, 지닌다면 어떻게 그 차이를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漢字 類義語간의 의미・용법에 대해서는 기존 고대 중국어의 어휘론 연구에서 오랜 연구 성과가 축적된 바 있으며, 현대 중국어에서도 기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유의어 연구를 보다 심화시켜나가고 있는 상황이기에, 본 연구의 고찰 과정에서 참고하였으며 관련 어휘의 일본측 사전적 어휘도 부분적으로 참고하였다. 본고의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相・狀・象・像의 의미 분별을 바탕으로 ‘實狀・實相・實像’・‘心狀・心相・心象/心像’・‘險狀・險相・險像’・‘現象・現像・現狀’・‘形相・形狀・形象(/形像)’의 의미를 변별하였다. 둘째, 표제어 한자 중복표기와 관련하여, 『표준국어』의 ‘면상03(面相/面像)’・‘사상10(事狀/事相)’・‘사상20(寫象/寫像)’・‘심상04(心象/心像)’・‘형상04(形象/形像)’・‘상모01(相貌/狀貌)’ 등은 ‘面相’・‘事狀’・‘心象’・‘形象’으로 통일하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寫象’과 ‘寫像’으로 항목을 구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相・狀・像이 접사적 용법으로 쓰인 것과 관련하여서는 말뭉치 자료에 의거해 ‘世界像’・‘人間像’・‘女性像/男性像’의 의미항을 가치긍정적 서술에서 가치중립적 서술로 조정하고, ‘社會相’・‘時代相’의 ‘相’과 의미자질을 분별하고자 하였으며 『연세한국어』에서 든 용례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가 한국어 어휘의 형태소로 쓰인 同音類義語 相・狀・象・像의 분별작업을 통해 한국 한자어 어휘에 사용된 同音類義語 형태소의 이해도와 변별성을 제고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8,300원
        29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iddle students' carbonated beverages selection and consumption behaviors depending on their food-related lifestyle. Data was collected from 307 middle students in Incheon region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food-related lifestyle showed that the average is more than 3.0, 0.800 in Cronbach alpha coeffici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bonated beverages preference according to health seeking, easy seeking, popularity seeking, and safety seeking type (p<0.05). Also easy seeking and popularity seeking type lifesty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ason to drink carbonated drinks (p<0.05), especially school canteen amenities tended to pursue the highest fashion. A significant significance positive result of the consumption of carbonated beverages (p<0.01) was shown for the easy seeking type. A significant positive result of the consumption of carbonated beverages (p<0.01) was shown for the taste seeking and safety seeking typ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rbonated beverage consumption, and form factor showed a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617 and with brand design, while the taste and the price were (p<0.05) 0.446, and 0.437 in order to design and calories, respectively.
        4,000원
        29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호텔기업의 내부고객인 종업원을 대상으로 종업원만족과 고객만족활동 간의 비선형적 관계의 가능성과 이들 관계가 고용형태와 교육훈련 수준에 따른 세분집단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이를 위하여 부산지역에 위치한 특1급 호텔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36개의 표본 자료를 수집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실증분석 결과 첫째,종업원만족과 고객만족활동 간의 관계에서 수확체증 형태의 비선형성을 확인하였다.둘째,이들 간의 관계가 고용형태에 따른 세분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정규직의 경우 종업원만족과 고객만족활동 간에 비선형적 관계가 나타났으나,비정규직의 경우 종업원만족과 고객만족활동 간에 선형적 관계가 나타났다.셋째,교육훈련 수준 세분집단에 따라 종업원만족이 고객만족활동에 미치는 영향도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즉 교육훈련이 높은 집단의 경우 종업원만족과 고객만족활동 간에 선형적 관계가 나타났으나, 교육훈련이 낮은 집단의 경우 수확체증 형태의 비선형적 관계가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결국 전체 집단 수준에서의 접근보다는 내부고객인 종업원의 세분시장별로 바람직한 전략과 전술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마지막으로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과제를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5,500원
        29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variable radius pulley is proposed, and the proposal should be applied to pulley of CVT. Variable radius pulley consists of two disks and sliding pins. Phase difference of two disks make a change pitch diameter. Therefore change speed is accomplished by changing pitch diameter of pulley. In this paper simulation for slot variation of rotary disk of the variable radius pulley was performed. Softwares for simulation are Pro/Engineer5 and Hypermesh11.0. The results of simulation are appropriate to put to practical use of the variable radius pulley
        4,000원
        29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잣버섯 재배에서 자실체의 생장과 상대습도 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상대습도가 증가 할수록 갓과 대의 수분함량은 높은 경향이었고, 초발이소 요일수와 생육일수는 상대습도 95%에서 가장 짧았다. 수 량 및 상품수량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상대습도 95%에서 가장 많았고, 갓의 균열정도는 상대습도 65%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3,000원
        29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geographical variations on Sargassum thunbergii morphology to make a taxonomic reconsideration about infraspecific taxa in this species. In order to examin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 thunbergii, total 27 matured and morphologically intact thalli were collected from the east, west and south coast in spring 2011. Interestingly, it was observed that the species populations on the west coast were characterized by short, thin and coarse thallus, and soft texture. However, the populations on the east coast showed thicker thallus, larger leaf and vesicle, and tougher texture. Thallus height of S. thunbergii was found to be similar at both east and west coast. Further, the height of the thallus and lateral branch of the species populations residing south coast were highest whereas the size of leaf and vesicle are shortest, in comparison with east and west coast species. Althoug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east coast populations corresponded to the original description of S. thunbergii f. latifolium, we could not find exact morphological features and diagnostic characters to distinguish form in S. thunbergii.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t is not the optimal characteristics to identify infraspecific form in this species. In contrast, morphological variations may signify the adaptation of this species to local environmental factors. Thus, we recommend that intraspecific morphological variation of S. thunbergii should be carefully used to identify infraspecific taxa.
        4,000원
        29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veral species of the genus Pseudo-nitzschia produce the neurotoxin domoic acid (DA) known to be responsible for amnesic shellfish poisoning. Recently off the coast of Geomundo and in Exclusive Economic Zone (EEZ) of Korea Strait, P. cf. brasiliana predominated in summer, 2010. As P. cf. brasiliana was new to Korea, we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It was observed that cells were linear to lanceolate in valve and girdle view, 51~76 μm long and 1.9~2.6 μm wide. In the central part a large interspace was absent. The number of fibulae and striae in 10 μm were 30~37 and 31~37. Each stria contained 2~3 rows of poroids, with 10 to 14 poroids in 1 μm length. These morphological features of P. cf. brasiliana were found to be similar with the P. brasiliana, except with the fact that P. cf. brasiliana carred more numbers of fibulae/striae in 10 μm and poroids in 1 μm. Based on our observation, we suggest that P. cf. brasiliana is a newly identified Pseudo-nitzschia species or a variety of P. brasiliana.
        4,000원
        30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산강에서 동계 대증식을 유발하는 Stephanodiscus속의 출현기간과 종 분류를 위해 2012년 12월부터 2013 년 4월까지 주 단위로 21회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동계 영산강에서는 규조류가 절대적으로 우세한 군집을 보였으며, 규조강 중 원형규조 Aulacoseira, Cyclotella, Stephanodiscus속이 주요 출현종으로 동정되었다. 이 중 Stephanodiscus spp.는 극우점 규조류로서 12월 초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1월에 최대 개체수를 나타냈고, 3월까지 높은 분포를 보였다. 기온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4월부터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한 반면 녹조강, 남조강, 은편모조강 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우점종은 거의 모든 조사시기에 원형 중심목 규조류 (S. hantzschii)가 우점 및 차우점종으로 동정되었으며, 3월 말과 4월 중에는 남조강인 Anabaena sp.와 은편모조강인 Cryptomonas sp.가 우점 및 차우점종으로 출현함으로써 계절 변화에 따른 종 천이가 관찰되었다. 조사시기에 출현한 원형 중심목 규조류의 명확한 종 분류를 위해 전자현미경을 통해 동정한 결과, Stephanodiscus속 내의 S. hantzschii가 극우점한 가운데 부분적으로 S. minutulus와 S. parvus 동정되었으며, 그밖에 원형 중심목 규조류에는 Cyclostephanos속의 C. invisitatus와 Cyclotella속의 C. meneghiniana, Discostella속의 D. pseudostelligera, D. woltereckii가 동정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