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7

        281.
        202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부상 트라우마를 경험하고 있는 현역 엘리트 선수들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방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김창대 등(2011)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이용하였다. 문헌고찰, 전문가 의견 수렴, 예비 연구를 통해 총 6회기의 단기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개발한 프로그램을 부상 트라우마를 경험하고 있는 2명의 현역 엘리트 선수에게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 건충격척도,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 부상 불안 척도,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지를 이용한 단일 사례 사전 사후 실험 설계 방법을 시행하였다. 또한 질적 사례 연구 방식으로 상담 과정 동안 내담자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기술 하였다. 결과: 프로그램 적용 후 대상자 A와 B는 모두 사건충격척도, 우울증 선별도구, 부상 불안 척도에서 호전 을 보였다. 심상 노출은 내담자 A, B 모두에게 가장 도움이 된 프로그램이었다. 반면 인지재구성은 내담자 B에 게 가장 도움이 되지 않은 프로그램이었다. 결론: 부상 트라우마 단기 인지행동치료는 비교적 단기간에 진행할 수 있고, 선수들에게 익숙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부상 트라우마를 경험하고 있는 엘리트 선수들을 위해 현장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282.
        202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에서는 양궁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심리기술훈련 지원을 위한 가상현실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실험은 4주간 주 2회 총 8회기 동안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장치, 가상현실 기기와 안구움직임 추적 장비와 시뮬레이션 영상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전반에 걸쳐 배외측전전두피질(DLPFC)에 서 나타나는 집단 및 사전, 사후검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 및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상현실 훈련에서 구간별 시선행동패턴 측정에 대한 데이터는 집단에 따른 사전 사후 비교를 위해 구간별 독립 표본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배외측전전두피질의 혈류역학변화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의 우측 DLPFC의 산소 포화도는 사후검사에서 사전검사의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은 사후검사에서 감소하였다. 좌 측 DLPFC의 산소포화도는 두 집단 모두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감소하였다. 가상현실(VR) 시뮬레이션 훈련 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선고정시간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측정에서 차이가 나타 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 추후 반복적인 VR 시뮬레이션 훈련을 통해 양궁선수들의 시선 처리 안정화와 일 관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83.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카드를 활용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는 C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집단 11명의 학생들에게 방과 후 시간을 활용하여 교우관계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 2회씩, 총 12회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김지은 (2012)이 초등학생의 발달단계에 맞게 재구성한 ‘교우관계 검사’가 사용되었으며, Mixed ANOVA 로 자료 처리하였다. 양적 결과에 따른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 참여자들이 작성한 경험보 고서와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설문지 및 상담자의 회기별 관찰내용을 정리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성격강점카드를 활용한 교우관계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은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의 교우관계 증진에 효과가 있었으며 내용 분석 결과 실험 참가자들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둘째, 교우관계의 하위영역인 친밀감, 신뢰감, 존중감이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살펴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 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의 교우관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284.
        202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학생선수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라이프스킬 요인을 탐색하고, 탐색된 라이프스킬 요인 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1의 라이프스킬 요인 탐색에는 총 45명(학생 20명, 지도자 15명, 학부모 10명)이 참여하였으며, 세 집단의 관점을 반영하기 위한 심 층면담을 통해 핵심 라이프스킬 요소들을 수집하였다. 연구 2에서는 다양한 분야로부터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총 5차례에 걸친 전문가 회의를 통해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결과: 연구 1에서, 학생선수들을 위해 요구되는 라이프스킬 요소들은 총 8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요인들은 개인영역 4요인(자신감, 목표설정, 자기조 절, 스트레스 대처)과 대인영역 4요인(의사소통, 협동, 공감, 갈등해결)으로 구분되었다. 연구 2에서, 8개의 라이프 스킬 요인들은 각 요인별 2차시 혹은 3차시의 교육프로그램들을 포함하며 총 8요인 23차시로 구성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선수들의 라이프스킬을 증진시키는 역할에 초점을 둔 것으로 PEALS (Program to Enhance Athletes’ Life Skills)로 명명되었다. 결론: PEALS는 최근 학생선수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권, 학습권, 진로문제, 역량 증진 등과 같은 문제를 개선하고 나아가 운동선수들이 긍정적인 관점에서 그들의 삶을 촉진하도록 도울 것이다.
        285.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를 이끌어갈 주역인 초등학생들이 다문화 인권 인식을 함양할 필 요성과 함께 어린이가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다문화 인권교육 요소를 충실히 포함하고 있는 최근 개봉 영화 ‘가버나움’ 에 주목하였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이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또래의 상황을 통한 감정이입과 교육적 효과가 기대되는 ‘가버나움’ 영화 를 활용한 다문화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생에게 적합한 ‘소수자 보호’, ‘차이의 존중’, ‘행복 추구’라는 세 가지 다문화 인권요소를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가버나움’ 영화 중 위 요소에 적합한 2~3분 정도의 5개 장면을 선정하였고, 이를 활용한 총 5개 주제의 10차시 교수학습과정 안을 개 발하였다. 위와 같이 설계된 프로그램은 경기도 소재 H 초등학교 2학년 한 학급 28명을 대 상으로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에 주 1회 2차시로 총 10차시 수업을 시행하였고, 학생들의 수업 참여 관찰과 학습결과물 및 소감 발표 등을 통해 정성적인 평가를 시행하였다. 개발 된 프로그램은,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가버나움 영화 속 등장인물이 되어 일기 써보기 활동, 성차별을 인지하고 차별받는 등장인물이 되어 양성평등을 다짐할 수 있도록 역할극 수행, 난민 문제를 알아보고 도와주는 방법 생각하기, 인종차별 문제의 심각성을 깨 닫고 이와 관련된 표어 짓기 및 캠페인 활동, 다문화가족의 어려움을 알아보고 도와주는 방법 토의의 총 5개 주제로 구성하였다. 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소수자 보호, 차이의 존중, 행복 추구라는 세 가지 다문화 인권요소 측면에서 학생들의 소감 발표 및 활 동 결과물을 통해 학생들의 인식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가버나움’이라는 한 종류의 영화로 수업을 적용하니 초등학교 저학년의 특성상 주인공에게 더욱 몰입하게 되어 다문화 사회에서 고통받는 인물들에 대해 진심으로 공감하고 진지하게 고민하는 모습이 관 찰되어 다문화 인권 인식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가버나 움’ 영화는 학생들의 인지발달단계의 수준에 맞도록 활동을 개발한다면 초등학교뿐만 아니 라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 현실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다문화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소재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86.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래사회가 지향하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택리지』를 중심으로 공동탐구토론에 기반한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함께ㆍ깊게ㆍ둥글게 읽기(함깊둥)’ 활동은 참여 교사와 학생의 융합적 역량을 신장시키고, 협업적이면서 지속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택리지』를 읽고, 스스로 발견하거나 함께 공유한 아이디어를 반복해서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할 수 있었다. 함깊둥 활동을 통해 얻게 된 아이디어는 교사의 융합 수업 설계와 학생의 연구 활동 수행에 적용되었다. 지리교사는『택리지』의 가거지 조건과 오늘날의 가거지 조건을 비교하고, 지리공간서비스를 활용하여 선정한 지역의 도시 내부구조를 분석하며, 거주 공간의 특성을 설명하는 지리 중심 융합 수업을 운영하였다. 학생들은 『택리지』에서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 수학ㆍ과학적 문제와 지리학의 학문적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학생 주도의 연구 활동에 응용하였다. 현재 STEAM 교육에서 인문학적 상상력과 예술적 감성을 길러줄 수 있는 인문ㆍ예술 계열의 역할이 교육계 안팎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앞으로 융합교육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STEAM 교육에 더 관심을 가지고 우리나라의 미래교육을 준비하는 데 보다 적극적으로 임할 필요가 있다.
        287.
        202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 델파이분석, 요구분석을 차례로 실시함으로써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프로그램 개발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분석을 통해 학업 저성취 대학생의 특성 및 저성취 관련요인을 살펴보았다. 이후 델파이 조사와 10인의 전문가협의회를 거쳐 학업 저성취 대학생 지원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구성 요소에 대해 지원 프로그램 구성 시 우선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대학생 2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현재 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차이검증(대응표본 t검증), Borich의 중요도 산출,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델파이 분석을 통해 총 14개의 프로그램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둘째, 14개의 구성요소는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요구분석 결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는 7개, Borich 요구도에서는 6개의 구성요소가 높은 요구도를 나타내었다. 넷째, 우선순위 도출 결과 공통적으로 요구도가 가장 높은 구성요소는 5개 (목표관리, 집중력, 시험관리, 체계성, 내용의 적합성)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종합적이고 수요자 중심적인 관점에서 제안한 구성요소들은 추후 학업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88.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조물의 내진보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이를 담당하는 기관이나 사람은 내진구조 비전공자로 효과적으로 내진보강사업을 발주 및 관리, 감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분석적 계층화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보강대상 건축물의 내진보강공법 우선순위를 제안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담당자는 구조물별, 내진성능 부족요인 별 최적의 내진보강공법을 선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89.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의 변화에 대비하여 농특산품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농업인 역량 범위가 생산에서 가공 및 유통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농촌 관련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농업인 역량 범위 확대에 속하는 포장 및 브랜드 등 농산물 가치를 높이는 디자인 관련 교육이 한시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한계성이 있으며 체계적인 교육의 요구도가 높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참고하여 브랜드 디자인을 중심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며 기초설문을 통해 브랜드 디자인 교육 필요성 및 요구도가 높음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참고하여 농업인(10인)과 전문가(10인)로 나누어 심층면담조사를 통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농업인 의견과 전문가 의견으로 비교 분류하여 종합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브랜드 디자인 및 교육 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하여 3회차를 통해 농업인 브랜드 디자인 단계, 수준, 역량 정의, 교육시간, 방식, 커리큘럼, 세부내용 등을 구성하여 실제 활용할 수 있는 농업인 브랜드 디자인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및 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이를 정부기관과 연계하여 시범 적용을 실시하여 실용화하였다.
        290.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대학교 남자 농구 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스포츠 우리성 및 팀 성과에 대한 변화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2018년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A대학교 남자 농구 팀 11명의 선수들 이 참여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개발은 조사연구를 시작으로 개방형 질문지, 참여관찰, 심층면담을 통해 기초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 분석과 다각 검증을 통해 요구조사 분석을 실시하여 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스포츠 우리성, 팀 성과 설 문지를 활용하여 사전 · 사후 · 추후 반복측정 분석(Repeated Measures ANOVA)과 선수들이 작성한 경험 보고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교 남자 농구 팀의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의 구성 요인은 공감형성, 존 중경험, 의사표현, 선수 간 의사소통, 친밀감, 배려, 단합, 신뢰형성으로 나타났으며 8개의 구성요인을 바탕으로 기초활동, 기본활동, 응용활동 총 3단계 12회기로 구성되었다. 둘째, 대학교 남자 농구 팀의 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은 스포츠 우리성 요인 변화에 대해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며 증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 났고, 사후와 추후 간에서는 감소하였지만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 성과 요인 변화에 대해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며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후와 추후 간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스포츠 현장에서 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필 요성 강조 및 프로그램 활성화를 촉진 시킬 것으로 판단되며 더 나아가 선수들의 목표 달성과 팀의 경기력 향상에 가교 역할을 할 것이다.
        291.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cost-benefit of a road construction project in Vietnam through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hich includes private grants and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In developing countries, it is difficult and costly to use data on markets, the CVM(Contingent Valuation Method) to measure the WTP(Willingness-to-Pay) as the benefits of road construction are used. A total of 232 villagers in 16 villages of Lao Cai Province in Northern Vietnam have been surveyed. It is found that the Benefit-Cost Ratio(B/C) in all 3 models are found to be well over 1.0, ranging from 2.8 to 3.64 with the discount rate of 0.06. These BC ratios imply the road construction project in Lao Cai can be justified. Also, it is found that the shortened travel time is the most relevant factor for WTP among direct benefits and the enhance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hildren is the most relevant factor among indirect benefits, due to easier and faster access to schools, which in turn increase the school attendance rat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justify other similar projects in Vietnam, even though the benefits may have to be reassessed in other countries.
        292.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We investigated changes of motor skills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CD) after participating 12-week intervention program to promote their fundamental motor skills. Methods: The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 (MABC-2) was used to screen DCD. Ten children with DCD participated voluntarily in an after-school program 3 times per week for 12 weeks and were examined using the MABC-2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program was planned to facilitate fundamental gross motor skills based o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public school and their daily life.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 DCD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iming and catching, and balance. The total percentile score of DCD children after the interven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marked higher than 16%, thereby indicating an improvement in their motor development after the program. Conclusion: This current study supports possibility to improve motor coordination of children with DCD with respect to fundamental motor skills. 12-week intervention might be effective to increase their score of MABC-2 from motor delay level to typically developing level.
        293.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국악영재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대구예술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백워드를 활용한 수업활용방안을 통해 국악영재교육과정에 대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예술영재교육이 가지는 가치를 알고 국악영재교육에 대해 내러티브를 활용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제시하여 국악영재교육이 활성화 되는 방안을 모색하고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예술영재교육 수업에 있어 교사와 학생의 내러티브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영재교육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시한다.
        294.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current status of development of assessment program for shock/Fire damage caused by aircraft impacts for NPP(nuclear power plants). According to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gulations, the design of nuclear power plants have to take into account the potential effects of the impact of a large commercial aircraft. In this study, we set up the practical application procedure to assess the shock/fire damage due to aircraft impacts for NPP in accordance with NEI(Nuclear Energy Institute)07-13 rule set and are developing the aircraft impact assessment program to reduce the effort and improve the accuracy.
        295.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다문화수용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전래동화 기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문화수용성의 차원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세계 여러 나라의 전래동화를 선정하여 총 12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체류외국인과 결혼이민자 수를 고려하여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태국 각 나라별로 이야기의 구조, 주제, 교훈 등이 유사하며 문화적 특성이 잘 나타나 있는 각 나라의 대표 전래동화를 선정하였으며, 다문화수용성의 세 가지 차원인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과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중 다문화적 요소인 심미적 감성 역량과 공동체 역량에 중점을 두어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인식-내면화-행동’의 3단계로, 활동주제는 각 단계에 맞춰 ‘세계 전래동화 비교, 분석을 통해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찾기’, ‘다양한 활동을 통해 타인의 감정 이해하고 공감하기’, ‘차별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기르기’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서울특별시 성동구 소재의 E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을 때,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다문화수용성 지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p<.05), 실험집단의 다문화수용성 사후검사 평균은 사전검사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활동지와 소감문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질적 효과성 평가도 병행한 결과, 다문화 가족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타인의 감정 이해, 차별에 대한 반성과 다짐, 행동 변화와 실천의지 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학생 스스로도 자신의 인식이 개선되었음을 느끼며 반성과 다짐 등을 통해 공언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세계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문화수용성 제고 교육 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으며, 향후 다양한 세계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학교현장에서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296.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구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기후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한다. 또한 1차 에너지원의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는 국내의 현실을 감안하면 저급자원이고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폐기물 또는 바이오매스의 적극적인 활용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성이 강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SRF 가스화를 통하여 합성가스를 생산하여 활용할 경우 발전, CO/H2 생산 및 각종 화학물질생산 등 넓은 산업 분야에서 환경 친화적임과 동시에 고효율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전 세계적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SRF를 가스화할 때에 발생하는 합성가스의 조성 및 성능 예측을 통하여 미리 설계조건 또는 운전조건에 반영할 수 있다면 연구 개발 및 상업용 플랜트 설계 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SRF 가스화의 경우 비교적 낮은 출구온도, 이에 따라 화학적 평형상태로 보기 어려운 점 등으로 인하여 조성 및 유량 등의 합성가스의 특성을 사전에 예측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RF 가스화 시의 합성가스 조성과 유량 계산, 성능 예측 및 운전조건 사전 설정 등을 가능하게 하여 연구 및 상업용 플랜트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우선 평형상태 계산으로부터 일반적인 SRF 가스화 운전조건에서 화학적 평형상태에서는 CH4, C2 이상 물질 및 타르 등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이들 물질의 생성에 대한 관계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 진행된 각종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관계식을 만들고, 합성가스 내에 가장 중요한 조성인 CO, CO2, H2, H2O에 대해서는 화학적 평형상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가스화 시스템의 에너지 정산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보조 수식을 적용하여 에너지정산을 수행하고, 합성가스 조성 계산과 에너지 정산이 완벽하게 맞게 되는 산소공급량을 반복계산법으로 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SRF의 발열량, 가스화기의 열손실 및 산소부화조건 등의 운전조건 변화에 따른 합성가스 조성 및 가스화 시스템의 성능 변화를 비교 및 고찰하였다. 열손실 및 탄소전환율이 가스화 시스템의 성능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297.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rural development project utilized Participatory Rural Appraisal(PRA), which has been widely developed and applied as an approach and methods for participatory rural development since 1990’s. In the ODA project titled as “Happiness Program”, a comprehensive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designed and conducted by KOICA for underprivileged ethnic minorities in Lao Cai province, Vietnam, the villagers were able to analyse the realities of their situations, to plan, to act, and to monitor and evaluate their actions for improvement through all the processes of PRA utilization. Apart from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articipatory rural development activities, this project also made a contribution to extending our knowledge about PRA by presenting the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built for the project and the impact analyzed by the system such as increase in villagers’ annual incom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capacity development and etc.
        298.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develop co-farming program for elderly farmers, employ, then evaluate its effectiveness whether it influences purpose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ogram participants. A total of 130 elderly farmers that composed of 65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purpose in lif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t=3.316, p<.001).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The four major problems of elderly farmers which are poverty, health, loneliness and alienation keeps on worsening over time along with the population ageing. According to the result, it is necessary to improve elderly farmer’s quality of life by developing suitable and sustainable occupation.
        299.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image processing program development to consider the domestic situation of GPR detection. Therefore the image processing program will be developed to extract and to visualize the measured raw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