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3

        281.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ld tree (protected tree) and propose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old tree to make hold a sustained function as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in rural area. We surveyed 96 old trees at 69 farm villages in Yaesan-gun,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species of tree was investigated with Zelkova serrata, Ginkgo biloba, Quercus acutissima, Pinus densiflora, Celtis sinensis, and Juniperus cbinensis order. Most of them located at the inside (43.6%) and the entrance (35.1%) of a village, and at mountain slope (31.9%) and alluvial plain (25.3%) in terms of distribution topography. The existing place of pollution source was investigated with 61%, and the pollution sources were blocks, construction materials, cement packings, farm machines and living garbage. The place where the rates of bare ground were more than 50% for the root region of a protection tree was 63%. The tree surgical operation was investigated in 37.5% of protection trees, and 12.5% of protection trees were investigated with a tree surgical operation being immediately. The average score for health condition of old tree at study sites was 18.6 points. A monitoring class was divided by public monitor 59.3%, main monitor 38.5%, and dead tree 2.2% on the basis of that information. Hereafter, we will conduct to promote the management guideline and develope culture contents through additional investigation.
        282.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성들은 대개 고등학교 졸업 후 화장을 시작한다. 이들은 경제력은 낮지만 자신의 화장품을 스스로 선택하여 높은 화장품 수요를 보이는 집단이다. 그래서 이들은 저가 화장품 시장의 주 고객이 될 수 있으며 하나의 독립된 화장품 시장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저가 화장품의 주 타깃인 여대생의 저가 화장품 구매성향을 분석하였다. 타깃 및 시장 세분화를 통하여 더 많은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잠재고객 확보를 통해 저가 화장품의 지속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통해 저가 화장품의 사용실태와 구매 만족도를 파악하고 여대생의 올바른 소비문화를 유도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여대생 320명 중 불성실하게 답변한 자료를 제외한 305명을 실증 분석하여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여대생들 중 저가 화장품을 사용한 적이 있는 사람이 90.1 %이었고 제품 선택 기준으로는 제품 품질을 우선으로 답하였다. 또한 저가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저가 이미지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283.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each three study areas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from March 5th, 2008 to October 15th, 2010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ed bank and the actual vegetation of the lower layer.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layer of actual vegetation and the germination of seed bank, all of three study areas, the similarity of the actual vegetation of the lower layer and seed bank were high in Plot 1 (84.62%) and Plot 3 (89.91%). As for Quercus mongolica community, the similarity was high between the actual vegetation of the lower layer and seed bank in Plot 4 (82.24%) and Plot 6 (89.47%). Especially, the germination of the pine seed banks in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mpared to other tree species appeared in all. In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mongolica did not appear among the seeds germinated in the seek bank, but the other tree species constituting the under layer of the community. In case of the restoration based on the actual vegetation, it is desirable to sue the lower layer of vegetation as the model for the making of its alternatives for restoration works of the species.
        284.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사고에서 선박간의 충돌사고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상당수가 인적오류에 의해 발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에서 항해사의 안전운항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충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다중선박의 충돌 위험도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선박 충돌위험도 추정 알고리즘은 선박들의 항행정보로서 AIS 정보를 사용하고 퍼지 이론을 이용하여 충돌위험도를 계산한다. 지난 연구에서는 고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울산항 해상교통관제(VTS) 센터로부터 실제 울산항에서 운행된 선박들의 AIS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검증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 충돌위험도 추정 알고리즘을 좀더 정밀하게 검증하기 위해 실제 해상충돌사고 데이터에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 부산항에서 발생한 석유제품 운반선과 화물선간의 충돌사고에 대한 AIS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기반 재생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실제 사고 상황에 적용할 경우 충돌 사고가 일어나기 전에 충돌 위험을 표시하여 충돌사고를 경고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8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presentative research institutes in North Korea are the Academy of Science and the laboratories of major universities.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consists of headquarters, Academy of Medicinal Science, Academy of Forestry Science, and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Under the authority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Central Information Agency for Science and Technology (CIAST) has built up a database system integrating all the science technology data to provid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The major universities of North Korea include Kim Il-sung University, Kim Chaek University of Technology, Pyongyang Agricultural College, and Wonsan Agricultural College, and an agricultural college is situated in each province. Out of 3,860 plant species in North Korea, 158 species which amounts to approximately 4% of the total are rare and endangered, and deforestation is under a critical situation. The Oriental Medicine (Koryo Medicine) has been well developed using medicinal plants, and practical researches on biotic pesticide are largely conducted as an alternative to tackle the shortage of farming materials. Hereafter, a South-North joint research on the amount of plant resources and the methods of its conservation is needed and the North Korean research areas of biotic pesticide are worth adopting to the South Korean eco-friendly organic agriculture.
        287.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채 자원의 이용문화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2010년 3월부터 6월 중순 까지 도⋅농복합지역인 전남 광양시 5일장에 출하된 신선 나물류의 유통실태를 조사하였다. 5일장에서 신선 산채류를 판매하는 곳은 100-132개소였다. 출하된 품목 수는 산채류 31종류, 나물용 채소류는 13종류였다. 초장은 쑥, 쑥부쟁이, 씀바귀는 10cm 이하의 것이, 머위, 고사리, 방아풀, 민들레, 방아풀, 미나리, 엉겅퀴, 비비추는 30cm 이상의 것이 많이 유통되었다. 신선 나물류의 유통경로는 채취 및 생산자들이 소비자들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이 81.9-87.7%를 차지하였다. 판매자의 연령대는 61세 이상이 93.0% 이상이었으며, 51세 이상이 97.6%를 차지하였다. 판매처당 판매품목 수는 72.4%이상이 4종류 이하를 판매하고 있었다. 신선나물류의 포장은 84.6% 이상이 플라스틱 용기를 이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확인된 산채 이용 문화의 보존과 발전을 위해서는 유통개선과 함께 도시민을 대상으로 한 이용문화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88.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철기 옥상정원의 식물관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에서 지원한 18개소의 옥상정원을 대상으로 식물관리 실태를 현지 조사 및 정원관리 담당자와의 면접설문을 통해 조사 분석한 결과 동철기 옥상정원관리에서 식물관리(33.3%), 냉해(22.2%), 물 관리(11.1%, 시설관리(11.1 %) 외에도 홍절기 병충해(5.6%) 방생으로 식물관리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옥상정원에서 동절기에 관상이 가능한 식물은 상록수의 Pinus densiflora(반송), Taxus cuspidata(주목), 낙엽수에서는 Coruns alba(말채), 초화류는 Pachysandra tennímllís(수호초)가 가장 많았으나 관상 가능한 식물이 1~3종으로서 종류가 매우 빈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동절기 상록수에 대한 정기적인 물 관리의 중요성 인식이 필요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289.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though there have been carrying out various rural development projects related with village road improvement, most of village roads in Korea are under much poor condition. However, until now, their actual conditions have not been surveyed at all. So, this study aimed at analys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 village roads in the general term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proper improvement policy-making. Case study villages were chosen in flat/mountainous/seashore<SUB>urban areas, which be then classified as improved and not. In terms of road length per household, mountainous villages are highly dispersed and suburban ones moderately dispersed, while flat ones aggregated. Road widths in seashore</SUB>suburban/structure improved villages are narrower than flat/mountainous ones. Because about a quarter of road sites are registered as non-road, more positive scheme for transferring non-road sites into road ones.
        290.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community structure for actual vegetation and their environment variables in Anmyeon Island. Samples were collected for 106 plots using ZM phytosociology method and coincidence method. Actual vegetation were classified into three vegetations types(forest vegetation type, maritime vegetation type, lake vegetation type) and eleven community units. Pourthiaea villosa community in forest vegetation type was divided into 5 groups such as Carpinus coreana group, Pinus rigida group, Chamaecyparis obtusa group, Castanea crenata group and Typical group. Maritime vegetation type was divided into 3 communities, such as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and Suaeda japonica community. V. rotundifolia 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2 groups, Rosa rugosa group and Diodia teres group. K. paniculata 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2 groups,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group and Typical group. Lake vegetation type was divided into 1 community, Nelumbo nucifera community. And it was entirely classified into 11 community units.
        291.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박의 대형화에 따른 풍압면적의 증가 및 갑작스런 돌풍 등 자연환경의 급격한 변화 등으로 묘박 중인 선박이 주묘 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고 있다. 특히, 선박운항자의 관점에서는 풍속 및 파랑 등의 외력 변화에 따른 주묘 발생 시점 및 주묘 형태, 주묘시의 속력과 주변 선박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 등을 고려한 적절한 대응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실습선 한바다호가 단묘박으로 묘박 중 기상이 점점 악화되면서 실제로 주묘가 발생한 현상을 검토한 것으로, 묘박 당시의 풍압력, 유압력, 표류력, 선체운동 그리고 파주력 등을 분석하여 주묘의 발생 가능성 및 한계 외력을 고찰하였다. 또한, 당시의 외력 조건하에서 발생한 주묘패턴을 분석하여 선수방위 변화량, 스윙폭, 주묘 속도 등을 확인하였다.
        292.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지구적 기온상승으로 인해 증발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견되었으나, 다양한 지역에서 관측된 팬증발량은 지난 수십 년간 뚜렷한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60년부터 2007년까지 관측된 국내 18개 기상관측소의 팬증발량과, 증발에 관련된 강수량, 온도, 상대습도, 풍속, 일조시간, 일조율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팬증발량은 뚜렷한 감소현상을 나타내었으며, 강수량과 온도는 증가추세를, 상대습도, 풍속, 일조시간, 일조율은 감소추세를
        293.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실습선 한바다호에 설치된 선박 조종성능 계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타각, 선회방향, 속력 등 다양한 조건으로 수차례에 걸쳐 선회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선회권, 조종성 지수, 신침로 거리 등을 산출하여 상호 비교하였고, 그 결과 IMO 조종성 기준(Maneuvering standards)을 잘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습선 한바다호는 좌현으로 선회하는 경우 모든 타각에서 선회권이 작게 측정되었고, 타 선박과 비교하여 선회성 지수(K)와 추종성 지수(T)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선회과정에서 선회경은 다소 작아질 수 있으나, 전진거리가 길어질 수 있으므로 전방의 위험물 회피에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신침로가 30˚~90˚인 경우 신침로거리는 125m~300m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충돌회피와 항내조선 및 협수도 항해 시 선박을 보다 안전하게 조선하는데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294.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채자원 및 신선나물류의 개발과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2007년 5월부터 6월까지 강원도 태백, 홍천, 횡성과 전남 나주, 담양, 장성의 오일장에 출하된 신선 나물류의 유통실태를 조사하였다. 오일장에서 신선 나물류를 판매하는 곳은 나주 22개소를 제외하고는 34개에서 49개소까지 다양하였다. 신선 나물류의 출하 품목은 강원도는 27-29종류였는데 산채 종류가 많았다. 반면에 전남은 15-19종류였는데 원예식물의 종류가 많았다. 참
        295.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안백련축제 주 무대인 무안군 일로읍 복용리 자생백련의 개화조절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개화특성 및 개화에 미치는 기상요인을 분석하였다. 무안 회산백련지에서 화경이 수면위로 출현되는 시기는 6월 8일(2002년)에서 6월 16일(2006년) 사이였다. 꽃이 처음으로 출현된 시기는 6월 18일(2002년)에서 6월 27일(2000년 및 2006년)사이였다. 첫 꽃 개화시기와 개화량의 최대기 간에는 정의 상관을 나타낸 반면에 화경 출현기와 첫 꽃 개화기 사이에는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개화량의 최대기는 평균기온, 일조시간 및 강수량과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백련의 내적요인 및 관리요인이 기상요인 보다 큰 영향을 미친 결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개화에 미치는 구체적 요인에 대한 자료 확보를 위해서는 연근의 연령 등 내적요인과 수심관리, 굴취와 식재시기, 시비 등 관리요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96.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rticultural therapy is a nationally united association in Korea and has been growing amazingly over the past 10 years. Recently in Korea, however, horticultural therapy has been faced with new social changes and challenges as the interests and needs of horticultural therapy have increased. This study was therefore conducted to gain understand of the actual conditions of horticultural therapists and to consider how to promote their status to ensure continued growth in the specializa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The Korean Horticultural Therapy and Well-being Association (KHTA) grant four kinds of) 5)licenses: expert horticultural therapist, 1st level horticultural therapist, 2nd level horticultural therapist, and horticultural therapist for the promotion of well-being. Licensure for horticultural therapy is issued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 registration process of KHTA and is achieved after completing the long life education center courses at one of the 16 universities who operate under the same curriculum and system supervised by KHTA. An internship, assigned a certain value per hour, and monthly training programs and workshops accredited by KHTA must be fulfilled. Monthly training programs and workshops that run 4-6 hours each relate to multidisciplinary content such as horticultural science, medical science, rehabilitation, welfare, counseling, and the environment, among other topics. Now, horticultural therapists in Korea are rendering their services at more than 400 places throughout the country including schools, hospitals, arboretums, botanical gardens, welfare institutes, and private institutes. Horticultural therapists serve infants, children, young people,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anyone who desires to increase their quality of life mentally, physically, and socially. As of February 2007, KHTA had more than 2,302 members and 514 people were granted licenses including 57 1st level horticultural therapists, 457 2nd level horticultural therapists, and 1 Horticultural Therapist for the promotion of well-being. In this study, a frequency analysis and χ2-test was conducted after a mail-in survey of horticultural therapists with first and second grade licenses as of 2005. Summarily, the low quality of education is the biggest problem that horticultural therapists identified as well as the increase in number of practitioners. Improvement at all levels of the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as satisfaction with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courses, recurrent training programs and workshops was rather low. The institutional alternative plan to promote the status of horticultural therapists was found to be the second consideration. Through a comparison of the opinions of the 1st and 2nd level horticultural therapis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ir view. Currently, over 80% of members have a strong sense of duty concerning their activities as a therapist however, payment levels must be improved because the current payment is not appropriate compared to the quality of the work. To successfully resolve these issues,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discussion to further develop horticultural therapy must be needed as other countries are also experience a similar situation. Firstly, horticultural therapists must try to increase their status through continued professional efforts to improve their capabilities. KHTA must also do its best in a various ways to make opportunities for united action and provide the developmental efforts needed to accomplish the necessary changes.
        297.
        2007.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가 어떠하며, 이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 교사 780명이었으며, 연구도구인 질문지는 4범주 2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기초로 유아역사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한 인식, 내용에 대한 교육실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활용실태, 지원 및 문제점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았다. 자료의 처리는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교사의 경력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유아역사교육에 관한 지원과 연구, 교사교육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298.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화 개성화로 확산되고 있는 21세기 고도화된 산업사회에 진입하면서 소득수준의 향상과 토요일 휴무제에 따른 여가활용 시간의 증대에 수반하여 수상레저활동의 인구가 증가한 동시에 그 내용은 매우 활동적이다. 종래 여가활동이라고 하면 정적인 옥내활동이 주류였으나, 현시점의 여가활동은 사회발전과 더불어 옥외활동, 나아가서는 스스로 활동하고 경험하는 쪽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수상 레저는 안전한 수상활동으로 성취될 수 있는데, 수상레저활동의 급성장으로 인하여 수상안전사고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수상 레저기구 활동자의 체계적인 안전관리를 위하여 종합적인 육성과 관리대책 마련하고자한 결론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위해서는 소양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안전검사 및 등록을 의무화하여 제도권에서 활동하도록 하여야하며 수상레저활동 안전사고에 대한 피해보전을 위해서 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강력한 제도적 보완장치가 필요하다.
        299.
        2006.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가 학력, 경력, 기관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으로써, 인식을 전체적으로 알아본 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관심 정도와 관련 지식은 학력과 경력이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에 관한 현장의 실태를 알아본 결과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사들은 그다지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정도와 실시 방법 면에서는 ‘필요시마다 실시한다’에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반편견 교육에 대한 교수 방법을 알아본 결과 이야기 나누기 시간과 대․소집단 활동에서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반편견 교육 활동 시 참고 자료는 교육부 지도 자료집을 가장 많이 참고하고 있다고 나타났고, 교수 매체는 ‘시각매체(도서자료 등)’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편견 교육의 교사 연수에 관한 참여 정도는 전체적으로 2년에 1회 정도에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학력이 높고 경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반편견 교육의 연수 참여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방법으로는 가정 통신문을 활용하고 있다는 것에 가장 높은 반응이 나타났고, 반편견 교육의 문제점으로 워크숍 또는 연수 기회의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 된다고 분석되었고,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반편견 교육자료 개발과 반편견 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계발이 시급히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300.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국적으로 도로망이 확충되고 소득증대와 함께 주5일 근무제가 실시되면서 수상레저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대되고 수상레저스포츠의 활동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수상레저활동과 관련된 사고도 증가하고 있어 이를 어떻게 예방할 것인가 하는 것에 대해서 많은 논의가 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1999년에 수상레저안전법이 제정되었고, 2005년에는 전면 개정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수상레저안전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수상레저인구를 대상으로 수상레저활동의 현황을 파악하고 수상레저안전법에 관련한 의식실태를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수상레저활동자를 대상으로 개정된 수상레저안전법의 규제를 중심으로 설문분석을 실시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등을 통해 상호변수간의 연관정도와 상관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상레저활동자들 중 60% 이상이 등록, 안전교육, 보험, 안전검사에 대해 각각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으며, 공통적으로 기구의 안전성에 대한 불만과 보험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법적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