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2

        30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성장기 학생의 각막형상에 적합한 RGP, 특히 Orthokeratology 콘택트렌즈의 설계 및 피팅에 참고할 자료를 얻기 위해, 안질환이 없는 일산 소재 성장기 학생 300 명(초 등학교 저학년 69 명, 초등학교 고학년 68 명, 중학교 99 명, 고등학교 64 명)을 대상으로 조절마비하 자동굴절검사와 각막지형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11. 74土2.97 세,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1.74:t2.40D, 각 막 정점부역 평균 독률반경은 7.97:t0.27 mrn, 각막 정점부에서 30도 반경의 평균 이 섬률은 0.53:t0.11, 비구면계수는 0.29 :t 0.11 로 나타났다. 각막정점부의 평균 곡률반경과 이심률은 연령별 4집단에서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근시군 및 비근시군에서 4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높야질수록 각막 정점부 곡률반경이 짧고, 이심률은 낮았으나, 굴절이상의 유 형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막의 정점으로부터 주변부로 갈수록 이심률이 증가하였고, 큰시군 빚 비근시군에 서 연령이 높아질수록 이심률이 감소하였다 (r = -0.1811) 근시군과 비근시군에서 주 변부 각막은 수평방향에서 비측이 이측보다 더 평평해지고, 수평경선이 수직경선보다 이섬률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여러 가지 광학상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막 정점부 곡률반경과 이심률, 나이 빚 비구면계수 사이에 상관성이 있었고, 이섬률과 나이 사이에서도 낮은 상관성 이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성장기 학생의 각막형상에 적합한 RGP, 특히 Orthokeratology 콘택트렌즈의 설계 빚 제조를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4,600원
        304.
        200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고등학교 지구과학실험 중 가시화가 어렵고, 재현성이 떨어지는 편서풍 파동장치를 개선한 유체실험장치를 개발하였다. 실험장치는 기존 실험장치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수조내 온도 차이를 명확히 하기 위한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개발되었으며, 디지털 가시화 장치를 설치하여 기록과 분석을 용이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 장치를 통하여 편서풍파동의 이론적인 상사성과 재현성을 살펴보았다. 본 장치는 감온 액정 시트지를 이용해 유체 흐름의 가시화뿐만 아니라 유체의 온도분포와 상층기류와 하층기압골의 위치관계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험장치에서 재현된 편서풍 파동은 실제 대기의 편서풍 파동과 잘 상사됨을 확인하였으며,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리커드 척도 평가에 의해 편서풍 파동장치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4,200원
        305.
        200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service satisfaction rate on high school students(637)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marketing direction by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rate of the service quality. In IPA for the service quality, as the following properties are high in expectation as well as satisfaction they needed to maintain. They are the taste, scent, saltiness, proper temperature of the food, the quantity main food, nutritional value, the degree of freshness, and the smell of dining room. The following properties need the excessive efforts. They are the number of side dishes, eating place, the shape and material quality of dish, the costume of dining workers. As the following showed low importance degrees as well as satisfaction degrees, they don't need concentrated efforts. They are the harmony of color and shape, the interior design of the dining room, the arrangement of tables and chairs, the atmosphere of dining room, and the effect of nutrition instruction. As the education of nutrition is compulsory among the school group meal, the analysis based on the response of questioned students is supposed to be more careful. The items showing low satisfaction degrees while high importance degrees are considered to make an operational plans for the improvement through a variety of menu, the quality of food, the quantity for side-dishes, health control, the cleanness of dishes, the kindness of cooks, the performance of nutritionists, the charge of school meal, and meal time.
        4,000원
        306.
        200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307.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and writing relations in English with a focus on analysis of effects of reading journal writing which integrates reading and writing. Three groups (reading, writing, reading journal writing) had different treatments for 8 week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reading journal writing group had the highest post-test writing scores compared with the two other groups. This group’s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from the reading group’s. The same results were also found in the higher-level group. As for the lower-level group, however, the scores of the writing group were highest. These results support the bidirectional hypothesis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interaction of reading and writing. The higher-level and the lower-level reading journal writing group had the highest post-test reading scores; however,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ed among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of the reading test do not seem to be clearly related to any hypothesis of reading-writing relation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and of the analysis of reading journal suggest that effects of reading journal writing can vary with reading texts and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level.
        7,800원
        308.
        2006.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indoor air quality (IAQ) in workplace, residence, and schools has been one of the major concerns of people, scientists and the related public.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quality(IAQ) in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from June 2004 to May 2005 in Korea. We measured indoor air pollutants such as PM10, CO2, formaldehyde, total bacteria colony(TBC), CO, radon,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TVOCs), asbestos, and O3 from school classroom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by building year based on the time span of 1, 1 - 3, 3 - 5, and 5 - 10 years. The levels of pollutants and physical factor in schools were compared with standards and guidelines of indoor air quality o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f Korea.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bestos and O3 were not detected in all surveyed classrooms. However, we were able to detect CO, TBC, TVOCs, and formaldehyde in kindergartens, TBC in elementary schools, TBC, TVOCs and formaldehyde in middle schools, and formaldehyde in high schoo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basis for the management IAQ in school. Therefore, we suggest that a national plan for the management of IAQ in school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a long-term, continuous investigation for the proper assessment of IAQ in school and for the health risk assessment for student.
        4,000원
        310.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지질 시대 관련 개념들에 대한 이해 정도를 알아보고, 교사들의 개념 이해 정도와 원인이 교과서의 서술 내용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 지역 고등학교 과학 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현행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중등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지질시대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많은 교사들은 단순히 지구의 나이를 방사성 동위 원소로 측정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자세한 측정 방법을 알지 못하고 있었다. 50% 이상의 교사들은 지사학의 5대 법칙을 동일 과정설, 지층 누중의 법칙, 생물군 천이의 법칙, 부정합 관계 그리고 관입 관계라고 생각하였다. 중등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지구의 나이, 가장 오래된 암석의 연령, 지질 시대의 정의 및 기간, 지구의 나이 측정 방법 그리고 지사학의 법칙 등과 같은 지질 시대 관련 내용은 상당 부분이 올바른 개념을 제시하고 있지 않으며, 제시된 유형도 다양하다. 설문에 응답한 상당수의 교사들은 지질 시대에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 잘못 이해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사들의 이해는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기술된 내용과 상당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된 지질 시대 관련 내용에 대한 논의와 수정이 필요하다.
        5,100원
        311.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에서는 중등과정 기상학 내용을 지리학 분야에서 배운다. 본 연구는 북한 지리교과서에 나오는 기상학분야 용어를 남한의 지구과학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비교하여 같은 의미이면서 다른 용어 40개를 발췌하여 각 용어에 대해 전남지방 고등학생들이 이해하는 정도를 비교하였다. 용어의 이해도 조사는 전남지역 소재 2개 고등학교 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등학생들이 남한 용어에 대한 이해 수준은 북한용어의 이해 수준에 비해 평균적으로 30% 정도 높다. 더운전선, 합치기과정, 하루변화, 비탈면 등 9개의 북한 용어는 오히려 남한 용어보다 이해 수준이 높다. 이해 수준이 보다 낮은 3때 용어 가운데 2때 용어는 북한 고유어를 이용하여 최근 만들어진 것들이다. 남한의 용어 대부분은 한자어, 외래어 등에서 유래한 용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체로 북한 고유어로 새로 만들어진 용어보다 더 높게 이해되고 있다.
        4,000원
        312.
        200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313.
        200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314.
        200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315.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학습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기 주도적 야외학습을 할 수 있도록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학업 성취도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6개 학급 19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각 3개 학급씩 98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종속변인인 사전 학업성취에서 수준을 구별하기 위해 사전검사를 가지고 각기 상위 25%를 상수준(24명), 중위 50%를 중수준(50명), 하위 25%를 하수준(24명)으로 상·중·하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야외 학습장은 교육현장과 가까운 부산광역시 남부 일원의 두송반도 지역, 송도 지역, 몰운대 지역을 중심으로 야외답사 코스를 개발한 후, 이를 자기 주도적 학습과 야외학습의 이론을 토대로 구안한 자기 주도적 야외학습을 위한 탐구모형에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고려해 볼 때,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야외학습은 학습자의 학업성취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뿐만 아니라 자기 주도적 학습특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500원
        316.
        200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318.
        200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319.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뇌반구 이론에 입각해 뇌반구 우세성에 따라 학업성취, 자아개념 및 성취동기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 고등학교 1개교의 2학년 학생 18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도구로 뇌반구 우세검사, 자아개념 검사, 성취동기검사를 사용하였다. 뇌반구 우세성은 좌뇌 우세형, 우뇌 우세형, 전뇌형 세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뇌 우세형이 좌뇌 우세형 및 전뇌형에 비해 학업 성취도 및 능력에 대한 자아개념이 낮게 나타났다. 우뇌 우세형이 좌뇌형에 비해 성취동기가 낮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현재 학교에서 수리, 논리 중심의 좌뇌형 주제, 과목에 초점을 맞춘 교육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20.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영재학교의 교수활동에 관한 학생의 인식을 밝히고 과학과 실험수업의 실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과학과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 교수·학습방법 평가 방법에 관한 설문 결과와 과학과 실험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였다.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 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수학 및 과학 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학영재학교 과학과 수업시사간에 주로 사용되는 수업방법으로는 강의나 설명, 조별수업, 토론이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방법으로는 강의나 설명, 토론 외에도 탐구학습, 개인연구, 문제해결학습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이 선호하는 평가방법은 지필 평가와 보고서평가, 실험 평가의 순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학교 과학실험 수업에서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한 결과, 교사 질문의 수준에 따라 교사-학생 상호작용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고, 실험과정 중에는 학생-학생 상호작용에 의해 탐구활동이 활성화되었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