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8

        321.
        200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외를 이용한 적절한 가공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참외잼을 제조하였으며, 참외잼에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참외 페이스트 함량(40, 45, 50, 55, 60 g), 첨가당에 대한 과당의 비율(20, 35, 50, 65, ) 및 펙틴함량(1.0, 2.0, 3.0, 4.0, 5.0 g)을 달리하면서 참외잼을 제조하였다. 당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참외잼 제조조건은 첨가된 과당함량의 비율이 , 참외페이스트의 함량이 41.04 g 및 펙틴함량이 2.12
        326.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nascus rubber KCTC 6122를 이용하여 액체 배양을 통한 실험균의 적색 색소의 생산을 위한 배양 조건의 최적화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균주가 생산하는 적색색소의 최적 배양 조건은 탄소원으로 rice powder 4% 첨가, 질소원으로 NaN0 0.2%, 인산염으로 HPO의 농도가 0.3%, MgSO의 농도가 0.15%일 때 가장 높은 적색 색소 생성을 나타내었다. 배양 온도는 3, 초기 pH가 6.5, 진탕속도를 15
        327.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자의 부위별 narinign 및 hesperidin의 함량은 과피가 95.54 mg%, 103.99 mg%, 과육이 65.77 mg%, 77.18 mg%, 씨에는 16.49 mg%, 15.88 mg% 순으로 검출되었다 유자에서 고미의 원인 물질인 naringin을 제거하기 위한 naringinase 최적 첨가량을 검토한 결과, naringinase 20 units 첨가구의 경우 90분 경과후 대부분 분해되었다. 표준시약으로 naringin 10
        328.
        200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치미로부터 분리된 Latobacillus sp. FF-3의 Bacteriocin 생산에 대한 최적 배양조건과 배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Bacteriocin 생산을 위한 최적 생산조건은 MRS(proteose peptone 1%, beef extract 1%, yeast extract 0.5%, glucose 2%, polysorbate 80 0.1%, ammonium citrate 0.2%, sodium acetate 0.5%, magnesiu
        329.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MS medium supplement and coumarin on in vitro microtuber formation of potato was investigated. In vitro tuberization of potato by MS medium supplement differed from cultivars used and a potato cultivar, ‘Superior’, showed significantly highe
        330.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biosurfactant-producing microorganism was isolated from activated sludge by enrichment culture when grown on a minimal salt medium containing n-hexadecane as a sole carbon source. This microorganism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sp. and it was named Pseudomonas sp. EL-G527. It's optimal culture condition is 2% n-hexadecane, 0.2% NH4NO3, 0.3% KH2PO4, 0.3% K2HPO4, 0.02% MgSO4ㆍ7H2O, 0.0025% CaCl2ㆍ6H2O, 0.0015% FeSO4ㆍ7H2O in 1ℓ distilled water and initial pH 7.0. Cultivation was initiated with a 2% inoculum obtained from starter cultures grown in 30 ㎖ of the same medium in 250 ㎖ flask. They were cultivated at 30 ℃ in reciprocal shaking incubator and the highest biosurfactant production was observed after 4 days.
        333.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석용으로 적합한 무색 투명한 큐빅 저코니아를 스컬용융법으로 합성하였다. 사용한 합성 고온로는 고주파 전기로이고, 수냉식 도가니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원료물질은 ZrO2를 주원료 물질로 하였으며 25 wt.%의 Y2O3를 안정제로, 0.03~0.05 wt.%의 Nd2O3를 소색제로 첨가하였다. 육성된 단결정의 크기는 약 20×63 mm이며, 화학성분은 Zr0.73 Y0.27 O1.87 이었다. 등방성을 띠며 굴절율이 2.15~2.18이고 비중은 5.85, 모스 경도는 8~8.5, 반사도는 13.47%이다. 큐빅 저코니아 결정은 등축정계의 면심격자(Z=4)를 하고 있으며 공간군 Fm3 m에 속한다. 단위포 상수는 a=5.157 a이며, CaF2구조를 하고 있다. 합성공정의 최적 조건은 고주파 출력이 50 kW, 2.94 MHz이고 도가니의 직경과 높이는 각각 105 mm, 135mm일 때, 또 도가니의 하강 속도가 16 mm/hr일 때 최대인 42%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큐빅 저코니아의 굴절율(2.15~2.18)은 다이아몬드보다 작기 때문에 크라운과 퍼빌리언의 각도를 다이아몬드의 경우(40.5˚)보다 작게 가공 처리하여야만 최대의 광채 및 화이어를 얻을 수 있다.
        334.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ptimal conditions for hot water extraction of Liriope spicata tuber were investigated with changes in solvent ratio(2∼6 fold) and heating time(1∼5 hr)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content of extractable solids increased with an increased in solvent ratio, and the highest content showed at heating time of 3 hr. The content of total steroid saponin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solvent ratio, and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heating time at increasing the solvent ratio. The content of non-reducing sugar containing oligosaccharides at a lower solvent ratio didn’t show changes depending on heating time, while that at a higher ration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heating tim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using hot water as the limited conditions of 15∼18% extractable solids, 1.5∼2.0% total steroid saponin, 6∼8% reducing sugar, 6∼7% non-reducing sugar and 13∼15 brix were 3 hrs of heating time and 4 fold of solvent ratio.
        335.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random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기 위한 딸기 DNA증폭의 최적조건을 구명하여 조직배양된 딸기 배양묘와 모본과의 유전적인 동일성의 여부 및 품종을 판별할 수 있는 marker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추출한 딸기 커(\ulcorner)잣 DNA를 proteinase-K나 RNase-H를 처리하였을때 깨끗하고 순수한 DNA band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50ng의 template DNA, 10pmol의 primer, 37oC annealing 온도로 45 cycle로서 PCR을 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상기 실험결과로서 PCR적정조건을 확립한 후, UBC primer를 대상으로 딸기 여봉 DNA에서 PCR를 수행하여 RAPD의 양상을 조사한 결과 총 90개의 primer 중에서 딸기 genomic DNA에서 PCR product를 형성한 것은 46개였으며, 총 형성된 band의 수는 158개로 나타났다. Band를 형성한 primer와 band를 형성하지 않은 primer간의 GC content를 비교하면 band를 형성한 primer의 경우 GC content는 평균 67.4%이었다. 그러나 band를 형성하지 못한 primer의 경우에는GC함량이 평균58%이었다.
        340.
        199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 뿌리 절편으로 부터 모상근 유기를 위한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자 Agrobacterium rhirogenes와 인삼 뿌리 절편의 항생제 내성 조사 및 최적의 모상근 유도 배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NaOCl로 인삼 뿌리를 멸균하였을 때, 오염 정도가 감소하면서 조직의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 NaOCl의 농도는 7% NaOCl에서 15-20분, 9% NaOCl에서 5분으로 나타났다. 인삼근은 년수가 증가할수록 오염 정도가 심하였으며, 특히 6년근중 표피가 있는 처리구는 오염 정도가 매우 높았다. Agrobacterium의 성장억제를 위한 항생제는 tetracycline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30mg/L 이상의 농도에서 균의 성장이 억제되었다. 하지만 30mg/L tetracycline에서 인삼 조직이 고사하였으며, cefotaxime(500mg/L), carbenicillin(500mg/L)에서 균의 성장을 완전히 억제하였으며, 조직의 손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3년근 인삼에서 모상근 유도을 위한 배지로는 1/2MS 배지에 500mg/L의 cefotaxime이 첨가된 배지가 가장 좋았으며, 인삼 뿌리 절편에 Agrobacterium을 발라주는 것 보다는 균과 공동배양할때가 절편이 좋았다. Agrobacterium접종 2주 후부터 callus가 유기되기 시작한 후, 다시 2주 후에 모상근이 유도되었다. 유도된 hairy roots는 PCR에 의하여 rol C유전자를 조사함으로서 형질전환체임을 확인하였다.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