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7

        341.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by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Korean traditional commercial beverages.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320 participants in Daegu and Kyungpook area. 'Chain market' scored 49.4% as purchasing place of traditional beverages. 'Tea bag' scored 31.6% as the favorite package of traditional beverages. On the reasons of drinking traditional beverage 'good for health' scored the highest with 31.3% respondents, followed by 'good smell' with 14.4%. Coffee and traditional tea were the choice of beverage after having a rich meal and on occasion of entertaining guests. The favorite foods in ordinary days were 'tea', 'alcohol', 'ice cream', 'nuts' and 'cookie'. More than thirty percent of the respondents, both male and female, raised the need of improvement in taste of traditional beverage. In the intake frequency, Korea traditional beverages obtained 1.80 points as a whole. 'Green tea' scored highest(3.40points) while 'mulberry-leaf tea' received the lowest score of 1.31 points. The preferred Korean traditional drinks were 'greed tea', 'shick hae', 'citron tea', 'misitgaru', 'maesil tea', 'rice tea' in the order. On the other hand, the preference for 'mulberry-leaf tea', 'boxthom tea', 'ginger tea', 'chrysanthemum tea' and 'omija tea' was very low. The people who are on twenties preferred 'shick hae', 'honey tea', 'citron tea', 'black tea' and 'misitgaru' more than the other generation.
        4,000원
        342.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al patterns of Korean traditional food for China-Korean housewives in Yanbian area and to compare the preference for traditional food of Korean national holidays between the perceptional patterns. Data were collected from 261 China-Korean housewives in the Yanbian area and cluster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revealed two different patterns, i.e., tradition-oriented vs. modem-oriented.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that perceptional patterns were likely to vary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background. Also, perceptional pattern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preference of traditional food of national holidays i.e., new years day, first full moon of January, thanksgiving day, han-shik (the 105th day after the winter solstice), and dong-gi (the coldest winter solstic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al patterns as well as preference of traditional food of national holidays were discussed, and future implications for food nutritionists and Asia marketers were provided.
        4,000원
        34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inese in Beijing and Shanghai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Kimch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questionnaire was examined on male 145(45.7%) and female 172(54.3%) of residing in Beijing, and on male 139(49.5%) and female 142(50.5%) of residing in Shanghai. In foods of eating with Kimchi resulted the highest Chinese foods 40.3% on male, and Korean. Chinese foods 25.3% on female in Beijing(p< .05), Korean, Chinese foods 26.7% and 25.3% on male respectively, and Korean foods 50.7% on female in Shanghai. In Kimchi used dishes Beijing resulted high Kimchi Ramyon 61.5%, Kimchi Kuk 51.3%, and Kimchi Chigae 44.9%, and Shanghai were Kimchi Ramyon 51.2%, Kimchi Kuk 41.3%, and Kimchi Fried Rice 22.4% in order. In evaluation by kinds of Kimchi, the taste resulted high onion juice Kimchi(M=6.55) of the third days, and overall acceptability resulted high onion juice Kimchi(M=6.18) of the third days, similary in Beijing, and Kimchi added in shrimp(M=5.70) of two days, and overall acceptability resulted high Kimchi added in shrimp(M=5.70) of the third days, similary in Shanghai. In Sensory evaluation by used Kimchi, the taste resulted high in the order of Kimchi Fried Rice and Chinese style Kimchi Fried Pork(M=6.27), and overall acceptability resulted Kimchi Fried Udong(M=6.40), Chinese style Kimchi Fried Pork(M=6.27), Kimchi Dumpling(M=6.20) in Beijing, and Kimchi Chige(M=6.70), Kimchi Fried Rice(M=6.67) and Kimchi Pancake(M=6.44), and overall acceptability resulted Kimchi Fried Udong, Kimchi Chige(M=6.50), Kimchi Fried Rice and Kimchi Pancake(M=6.44) in Shanghai.
        4,000원
        34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the general public about Japanese foods. Self-admini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17 residents in seoul and its vicinities. Data was analysed by chi-square test, t-test and one-way ANOVA. The preference of Japanese food was generally high except for the items. Thes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 of preference for each kind of Japanese food according to gender and age. Saengsunchobab, Saewootuegim, Gowangawhae, Yhachai tuegim, Naembiwoodong and kimchobab are highly preferred Japanese foods, whereas Domijiri, Moduemnaembi, Haesamchowhae and Mooneachowhae are poorly considered among the general public.
        4,000원
        345.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reference and perception of seafood among soldiers on cook's duty in military meal service. 58.9%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liked seafood and the major eating place were in their home(48.0%) and in the restaurant(40.4%). The favorite seafood cooking methods turned out to eat as raw fish, to grill, to stew, to fry in order. In comparison with the meat dishes, seafoods were considered superior to meat in nutritional value but evaluated inferior to meat in the aspects of sanitation and tasteless problem. 32.9%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liked seafood dishes in military meal service and they disliked them because of taste or cooking method of the seafood. They liked fried or grilled seafood in military meal service. The plate waste amounts of the seafood menu were more than half in almost every surveyed menu and reasons for plate waste were fish smell and taste problems. The difficulties of cooking seafood in military meal service were breaking down of seafood during cooking and complexity of cooking. They scored seafood higher than average in nutrition, taste, diversity of cooking method and aspect of health.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bove, introducing diverse cooking methods and menu are suggested and education of cooking skills and development of cooking facilities are needed in military meal service.
        4,000원
        346.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48.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식 소비자들의 외식행동과 한식에 대한 선호도를 연령별로 살펴봄으로써 연령에 따른 소비행동의 차이와 한식에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연령대별 외식행동의 동기는 아침식사의 경우 전 연령층에서 시간이 없다, 식사준비가 번거롭다, 식사 때이어서 순으로 이었으며, 점심의 외식행동의 동기는 식사 때이어서라는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40대와 50대에서는 사교적인 목적도 외식의 중요한 동기로 작용하고 있었다. 저녁의 외식행동의 동기는 연령별차이를 가장 많이 나타내었는데 30세 이하와 30대에서는 모임이나 데이트를 위한 사교적인 목적의 응답이 가장 높은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가족과의 외식을 가장 중요한 동기라고 응답한 비율이 50%이상을 차지하여서 연령이 높을수록 가족을 중심으로 한 외식소비행태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가족간의 외식행동은 주 5일제 근무의 확산과 여가시간의 확대로 인한 가족중심의 공동 소비행태의 행동양식이 반영되어진 결과라고 보여 진다. 2) 각 연령대별 끼니의 유형에 따른 외식의 빈도는 전 연령층에서 주 1-2회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30대의 외식 빈도가 가장 높아 사회활동과 사교생활이 활발한 연령대의 특징을 잘 반영하였고, 50세 이상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 연령이 높을수록 외식 빈도는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점심과 저녁 외식은 증가하고 있고 반면 아침외식의 빈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30세 이하의 연령층에서는 50%이상이 주1회 이상 아침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외식비 지출은 30대 이하와 30대 연령층에서는 아침과 점심식사보다 저녁식사에 더 높은 비용을 지출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는 한편, 아침과 점심 식사는 타 연령층에 비하여 지출비용의 분포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40대 이상의 연령층은 점심비용으로 더 많은 지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끼니별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아침식사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40대와 5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점심 식사로 가장 선호되는 음식은 중식, 일식이었으며 저녁 식사에서 가장 선호되는 메뉴는 전 연령층에서 일식, 분식류 이었으며, 한식에 대한 선택 정도는 전 연령층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5) 각 연령층에서 선호하는 한식에 대한 조사에서는 된장찌개가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김치는 40대 이상의 선호도가 3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흥미롭게도 30세 이하의 선호도는 3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도 떡과 죽에 대한 선호도는 전 연령층에서 낮게 조사되었다. 장아찌류의 선호도는 전 연령대에서 낮았으며 특히 30세 이하에서 매우 낮게 조사되었다.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연령이 올라갈수록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지고 있었으나,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양과 가격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식사 때와 식사 목적에 따라 연령대 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선호도는 성별이나 세대에 관계없이 폭 넓은 선호도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등에서도 나타난바 같다. 주 5일 근무제의 확산과 초 중 고생들의 토요일 휴무와 더불어 여행과 엔터테인먼트산업은 더욱 더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외식은 여행과 여가 활동의 필수적인 요소로써 그 역할을 일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가시간의 증가는 독신자들에게는 좀더 많은 여유시간을 가족을 이루고 있는 가족구성원들에게는 가족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휴식과 오락의 소비 트렌드를 창출시켰다. 이와 더불어 외식은 식사를 해결하기 위한 단순한 수단에서 벗어나 동기와 동반자에 따라 달라지는 행동 패턴을 나타내고 있으며, 연령과 목적에 따라 세분화되는 분명한 선호도를 나타낸다. 지난 10여 년간 외국으로부터 수입된 다양한 음식과 레스토랑 업태 등은 우리나라의 외식문화 발전과 소비자들의 외식 선택 행동 등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서구식의 패스트푸드점이나 패밀리 레스토랑 등이 외식의 주요 업태로서 비쳐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한식은 여전히 세대의 구별 없이 가장 선호되고 있는 음식이며, 소비자들의 높아진 외식문화 인식도와 더불어 형식적인 발전과 내용적인 발전을 꾀하고 있다. 그러므로 연령과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다양한 소비자들의 외식 소비 행동을 분석하여 이해하고, 그들의 선호도에 알맞은 메뉴구성과 마케팅 전략을 구사함은 복합문화 공간으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는 미래 한국 외식산업의 중요한 전제 조건이 될 것으로 기대 한다.
        4,000원
        349.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작가의 개념과 계획에 의한 주관적 연출로 대부분 이루어지는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에 대한 작가와 관람자 상호 호응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유도로서 관람자의 선호요인, 즉 선호 디자인, 디자인이미지, 디자인요소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실증연구로 off-line의 대인 면접에 의한 일대일로 설문 조사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의 관람자 선호도에 대한 조사 분석으로는 조화로운, 따뜻한, 여성적인의 디자인 이미지의 유사색 조화가 선호되었다 디자인 선호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이미지 형용사는 '조화로운과 조화롭지 않은'으로, '조화로운'의 디자인 요소는 유사 색 조화로 '조화롭지 않은'은 혼합 색 조화로 나타났다 따라서 '색채'가 선호 디자인 요소로서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4,200원
        350.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선호도 평가를 위한 정보 탐색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인지반응의 특성 파악을 기본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그 특성과 제품 선호도의 상관관계를 제품 사용 경험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휴대폰과 제안형 제품사진을 실험 자극으로 선정하여 두 단계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제시된 각 제품사진을 관찰한 후에 선호하는 순서를 정하여 배열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앞에서 선정한 선호도 1순위와 10순위의 제품사진에 대하여 선호도 평가 시 최우선적으로 주목한 부분을 표시하고, 그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두 가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 제품의 사용 경험에 의한 경험적 기억 정보는 인지 대상의 선호도 평정(評定)에 있어, 그 인지 대상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구성 요소에 대한 해석적 반응을 활성화한다. 두 번째, 제품의 비사용 경험은 선호도와 관계없이 인지 대상에 포함되어 있는 심미적 요소를 지각적으로 수용하는 반응을 유발한다.
        4,200원
        351.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자와 여자는 여러 가지 관점에서 많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남녀의 인지행동과 관련된 차이는 많은 관심 대상이 되어 왔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남자와 여자 사이에는 인지행동적 차이가 존재함을 주장하며 그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와 통계들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현재 디자이너들이 제품이나 웹사이트의 정보구조나 네비게이션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남녀 사이의 인지 행동적 차이점은 거의 고려되고 있지 않고 있다. 평가 과정에서도 조사 대상을 남녀로 구분하기는 하지만, 구분 목적도 뚜렷하지 않으며 평가 데이터에서 나타나는 남녀의 차이에 대해서도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나 이론이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웹 네비게이션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 남녀의 차이를 반영하기 위하여 관련된 기초 지식과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네비게이션의 정보 구조에 있어서의 남녀의 선호도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우선 다양한 문헌 조사를 통하여 남녀의 일반적인 인지행동적 차이에 대해서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남자의 인지적 사고방식은 일반적으로 순차적(sequence)이며 단계적인 반면 여자의 인지적 사고방식은 동시적(parallel)이며 임의적인 특성을 보임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차이가 실제로 웹 네비게이션의 사용 과정에도 적용됨을 보이기 위하여 관련된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는 상이한 구조의 웹 네비게이션들을 디자인하였고 이를 남녀로 구성된 실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사용하고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분석을 통하여 남자 실험 대상자들은 여자 실험 대상자들에 비해 좁고 깊은(narrow & deep) 정보 구조의 네비게이션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반면에 여자 실험자들은 넓고 얕은(broad & shallow) 정보 구조의 네비게이션을 상대적으로 더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파악된 남녀 사이의 인지적 차이는 향후에 주사용자 그룹에 따른 보다 적절한 웹 네비게이션을 디자인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지침과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52.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도로 발달되고 있는 산업 사회에서의 디자인의 의미는 기업경영전략의 핵심이며 나아가 국가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이슈이며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 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제품의 기술적 기능보다는 제품의 심미성이 제품 디자인에 중요한 특성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제품선호도와 제품 평가에 영향을 주는 심미적 영향요소를 규명하기 위해 심미적 영향요소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8가지의 심미적 영향요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8개의 심미적영향요소인 단순/복잡(simplicity), 균형(balance), 통일(unity), 율동(rhythm), 시대성/스타일(style), 독특성(novelty), 전형성(typicality), 비례(proportion)를 가지고 사용자 선호와 제품평가에 영향을 주는 심미적 영향요소를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품별로 사용자 선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심미적 영향요소의 중요도 정도와 고려해야 할 요소를 밝혀 제품디자인에 있어 심미적 영향요소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제품디자인 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4,000원
        353.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foreigner to Korean foods in different nationality. Questionnaires consisted of two languages- Chinese and English were given to 180 residing foreigners in Insa-dong and COEX mall areas and interview methods were used. A total of 15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Win(ver 11.0) for descriptive analysis, χ2-test, ANOVA and Tukey's test.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foreigners considered when they chose food of other countries were; 1.new taste, 2.curiosity, 3.foreign culture, 4.foreign tradition. People from European and Asian countries were inclined to 'New taste' first, while people from American and Oceanian countries were inclined to "curiosity". Second, most of respondents have tried Bulgogi and Galbi before and many of them also have tried Kimchi, Kimbop, and Bibimbop as common Korean foods. Third, the preferenc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origins. Asian people liked diverse cuisines including Bulgogi, Galbi, Kimchi, Dubu Doenjan chige, and Samgaetang, while European and Oceanian people liked Bulgogi, Galbi, and Bibimbop. The preference for Kimchi was considerably high among Asian people, however, low among American and Oceanian people(p〈0.05). Fourth, Deviation was little on the taste, color, and table settings of Korean foods; most of the respondents was satisfied on those factors. European and Oceanian people who were familiar with table setting according to time were satisfied at table setting of Korean foods, which focused on space, rather than time. Fifth, most of the respondents, especially Asian people, remarked that Korean foods were spicy. The opinion on the taste of Korean foods was variable according to their nations. Currently many of culinary companies from Korea were leading their active business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China and United States. Their domain was not limited to traditional Korean foods, but expanding to various fields such as fast foods, bakery goods, and fusion snacks.
        4,000원
        354.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섬유유연제 선택기준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향에 대한 주관적 선호도와 감성구조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로 다른 향을 가진 섬유유연제 12종을 선정하여 일차적으로 선호도를 3단계로 평가하도록 하였고, 각 단계별로 빈도가 가장 많은 향을 2종씩 골라서 최종 6종의 향(후리지아, 블루비앙카, 바이올렛, 허브, 그린티, 피치)이 함유된 섬유유연제를 선정하여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주관적 선호도에서 가장 선호된 향과 가장 선호하지 않은 향 두 종류에 대해서 감성을 평가시켰다. 그 결과 가장 선호하는 섬유유연제 향은 후리지아 향이었고 피치 향은 가장 선호하지 않는 향이었는데, 선호하는 향의 순서와 선호도는 성별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후리지아 향과 피치 향의 감성구조는 다르게 평가되었다.
        4,000원
        355.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성 수트소재의 구성적 특성과 역학적 특성이 남성 수트소재의 시각적 질감 이미지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시판하는 남성용 검정색 계열의 춘하 소재 20종을 수집하여, 시각적 질감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실시하였고, 피험자는 의류학과 대학원생과 의류관련 업체 종사하는 20~30대 전문가 여성으로 구성하였다. 요인분석으로 "부피감", "신축감·드레이프성", "강연감", "평활감"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강연성"과 굽힘특성과의 관계를 제외한 역학적 특성 평가와 시각적 질감 이미지 평가가 일치하였다. 선호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은 "평활감", 압축에너지(WC), 밀도, "강연성"이었으며, 시각적으로 매끄럽고 부드럽고 압축에 필요한 에너지가 적고 밀도가 성근 직물을 춘하 남성용 정장으로 선호하였다.
        4,300원
        356.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심미적 영향요소 중 하나인 단순/복잡이 과연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다른 심미적 차원들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정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단순/복잡, 균형 그리고 선호도를 가지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근본적인 질문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첫째, 심미적 차원 중 하나인 단순/복잡이 다른 요소인 균형과의 관계. 둘째, 심미적 영향요소인 단순/복잡 그리고 균형과 선호도와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품들을 범주화하고 각 범주별 제품들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범주별 성향을 찾고 이를 기본으로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검증하도록 한다.
        4,500원
        359.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that surveyed the uses, preference and recognition on app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52 female(married 238, unmarried 214) in Daegu area. Among those respondents, 49.1% answered that they ate apple after dinner. Respondents preferred as purchase place fruits store(34.5%), traditional market(22.6%), and big discount store(21.7%), in order. Taste(46.0%) was the most important as purchase criterion. 49.1% of respondents preferred small amount below 2-3kg every one purchase. In preference survey on apples, 80.5% of total subjects responded 'like' or 'very like', and 73.6% of those subjects who favorably responded liked the 'taste' of apples. The preference survey study on apple foods revealed that respondents preferred the most apple juice(M=3.47), fellowed by apple jam(M=3.35) and apple vinegar(M=3.21). On the other hand, apple bab(M=2.29) and apple jook(M=2.23) had the most low preference score. The recognition survey study on apple revealed that respondents knew relatively well the followings: apple is natural food(M=4.25), apple is good for body and apple is good for beauty(M=4.20). Respondents required apple to be fresher(41.0%) and taster(37.4%). 89.4% of respondents expected that consumption of apples would be increased or maintain at the present level.
        4,000원
        360.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comparison-shopping agent systems are promising to support purchase of buyers in online-shopping environment. This paper proposes a comparison-shopping agent system considered easy access and buyer's preference. Easy access is achieved by minimiz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