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2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액화천연가스 운송을 위해 사용되는 맴브레인형 Mark Ⅲ 화물창 시스템의 주요 구조물인, 방열 판 구조물의 파손 강도 평가를 수행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Mark Ⅲ 방열 판 구조물을 복합적층 구조물로 고려하였으며 상용화된 범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MSC사의 PATRAN과 MARC를 사용하여 Mark Ⅲ 방열 판 구조물의 유한요소 모델을 개발하였다. 특히, 액화천연가스 화물의 특성으로 인해 Mark Ⅲ 방열 판 구조물이 접하는 상온에서 극저온에 이르는 광범위한 온도분포에 따른 재료 물성치 변화를 유한요소 모델에 포함하였다. 이 유한요소 모델을 기반으로 파손 강도 평가 절차가 확립되었으며, 이 때 Mark Ⅲ 방열 판 구조물의 파손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Hashin, Hill, Hoffman, maximum stress, 그리고 Tsai-Wu와 같은 이방성 파손 기준들을 사용하였다. Mark Ⅲ 방열 판 구조물의 전반적인 구조적 거동을 이해하였으며 이후 초기 파손 영역에서 강도 평가를 수행하여 파손이 발생되었을 때의 위치와 하중 등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NG 방열 시스템의 선형 동적해석 모델을 사용하여 슬로싱 충격 압력을 구조해석에 적용 시 사용되는 이상화된 삼각파 압력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삼각파 압력의 최대값, 지속시간, 비대칭성의 충격파에 대한 구조 안전성 평가를 위해서 멤브레인 구조의 허용기준과 슬로싱 압력에 관련된 간략화된 파괴압력에 대해 검토하고, 슬로싱 충격 압력의 지속시간과 비대칭성으로 특징 지워진 이상화된 삼각파 형상의 압력을 고려한 일련의 선형 동적해석을 수행하여 설계기준으로 사용할 파괴압력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을 통해서 방열시스템 구조 요소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파괴 압력을 선정할 수 있고 모형실험을 통한 슬로싱 압력과의 비교를 통하여 방열시스템의 구조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해석결과를 통해 방열시스템에서의 최대 응력은 매우 짧은 순간의 충격하중 하에서는 압력의 비대칭성 보다는 하중 지속시간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검토하였다.
        4,000원
        23.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축소된 탱크 모델에서 측정되어진 슬로싱 압력을 이용하여 실제 크기의 탱크 모델에서의 압력을 예측하는 것이며, 또한 예측된 압력으로 LNG 코너 블럭의 슬로싱 하중에 의한 구조 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Ansys CFX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38K급 LNG 화물창 시스템의 크기 비율에 따른 슬로싱 해석을 수행 하였으며, 크기 비율에 따른 슬로싱 평균 압력 및 최대 피크 압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된 압력은 프루드 법칙에 의해 실제 138K 크기의 압력으로 변환하여 실선 크기의 KC-1 코너블럭에 대한 구조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4,000원
        24.
        200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valuation of the concrete strength has very important meaning in the maintenance and the structural safety. The reliability of ferroconcrete building is weakening and enlarging the life is strongly demanded due to the early deterioration of concrete. Like this social demand, concrete strength presumption is being indirectly executed using the result in parallel with the concrete pouring by material age. This data is usually different as concrete poured practically and the way of hardening and curing. Although existing concrete strength presumption formula is proposed, the material used and the concrete strength is different. And as a matter of remicon, the concrete strength varies according to the site and the way of curing. So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strength evaluation of the structural body concrete according to the concrete pouring and curing temperature change seasonally after using the system which evaluates the structural body concrete strength which is applied the transparent junction-separation mold that is presented. Also there is an objective to present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constructional quality technique proposal of the structural body concrete developed in relation to field specimen and the strength evaluation method by non-breaking.
        4,000원
        25.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철근콘크리트 단층 구조물의 구조 부재 위치에 대한 비파괴검사법을 이용한 추정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둥, 벽체, 보 및 슬래브로 구성된 실험체를 제작하고, 기존 추정식과 비교 과정에서 정확한 분석을 위해 오차율 비교와 모평균 구간 추정을 사용하여 통계적 접근을 통한 신뢰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 결과, 초음파속도법을 이용하여 압축강도를 추정한 결과와 코어시험 결과를 비교한 전체 평균 오차 율은 18.8%, 반발경도법을 이용하여 압축강도를 추정한 결과와 코어시험 결과를 비교한 전체 평균 오차율은 20.1%가 도출되어 현장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부재별 신뢰성 부분에서 초음파속도법과 반발경도법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조물 안전진단을 하기 위해서 각각 벽체 부재와 보 부재를 중심으로 압축강도 추정 시 신뢰도 높은 결과를 도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26.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건축물 붕괴사고 빈도수가 증가하면서 안전진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신뢰도 높은 안전진단기법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국토교통부(2018) 자료에 따르면 노후건축물 수에 비해 안전진단관련 전문기관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속도법을 이용한 압축강도 추정 값과 코어 시험을 이용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측정값을 비교하여 추정오차율 비교와 신뢰도 구간 추정을 하고, 최소인원으로 신속하게 효율적인 구조물 안전진단 기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공법은 바닥판간 이음부가 존재하며, 이음부의 연결성능에 따라 전체 교량 구조물의 성능이 좌우되므로 이음부 의 연결성능 확보가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강섬유보강콘크리트(High Strength Fiber Reinforced Concrete, HSFRC)가 적용된 비대칭 요철형 이음단면을 갖는 연결형식을 제안하였으며, 이음부의 단면형태, 철근 겹침이음길이 및 겹침이음 형식에 따른 구조실험을 수행 하여 제안된 연결형식의 휨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이음부 상세에 관계없이 이음철근은 항복변형률 수준의 인장변형을 나타내었으며, 제안된 연결형식은 충분한 휨 저항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현행 도로교설계기준의 최소 겹침이음길이에 대한 규정은 이음부 채움재로 HSFRC를 적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이음부에서는 보수적인 규정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음부 채움재로 HSFRC 를 사용함에 의해 철근 겹침이음 상세의 단순화 및 이음부 폭의 감소가 가능하며, 제안된 연결형식은 프리캐스트 바닥판 이음부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28.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optimized design of Coal Silo structure using 2,400MPa PS strand and their economic benefits. Original structural design on the Coal Silo structure using 1,860MPa PS strand was reviewed in order to compare the values from the design with the optimization results.
        29.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mpact resistance of structural member using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ous composite according to compressive strength. A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tructural member using HPFRCC increased, the deflection of the structural member decreased. The highest resistance of deflection occurred at 180 MPa HPFRCC.
        30.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n-destructive test is using rebound hardness and ultrasonography generally. They generate a difference with Core compressive strength in estim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because they are indirectly. Therefor, Inter-rater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Non-destructive Method. Reliability analysis, while there is correlation two times only between the rebound hardness method and Core compressive strength in total eight cases but ultrasonography method has six times. so ultrasonography method is more reliable than Rebound hardness method.
        32.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xamine the in-place strength development of concrete of nuclear containment structures with the wall thickness of 1200 mm, mock-up wall specimens were prepared. For maturity evaluation, the temperature rise in the wall specimens owing to hydration heat of cementitious materials was also measured. The in-place strength of concrete was measured using core specimens collected at different locations of mock-up walls. Test results showed that in-place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was 1.5 times higher than the strength measured from the standard cylinders. This indicates the maturity effect is needed to be considered in predicting the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of concrete in mass structures.
        33.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reports the test results of the floating floor system used to reduce the floor noise of apartment buildings. Recently, many soft resilient materials placing between the reinforced concrete slab and finishing mortar are used. The resilient material should not only reduce the floor impact sound vibration from the floor but also support the load on the floor. Thus, even if soft resilient materials satisfy the maximum limitation of light-weight impact sound and heavy-weight impact sound, these materials may not support the load on the floor. The experimental program involved conducting sixteen sound insulation floating floor specimens. Three main parameters were considered in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resilient materials, loading location, and layers of floor.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iffness of resilient material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structural behavior of floating floor system. In addition, the deflection of the floating concrete floor loaded at the side or coner of the specimen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floor loaded at the center of the specimen. However, the aerated concrete did not effect on the cracking strength of floating floor system.
        34.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high performance concrete structures can be developed using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UHPC) which has mainly high compressive and tensile strength. Therefore, in reinforced concrete (RC) structures, it is possible to reduce structural elements and the cost of construction by reducing the amount of concrete and steel bars. This study compared and evaluated bending performances of RC and UHPC beams respectively and examined the design suitability of UHPC flexural members.
        35.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R/C interior beam-column joints regions, with or without the shear reinforcement. Specimens designed by the interior beam-column joint regions without the shear reinforcement of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showed a unstable mode of failure and an decrease in load-carrying capacity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and ductility ratio.
        36.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전단하중을 받는 부유식 콘크리트 구조물 모듈 접합부의 구조거동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모듈 접합부 전단키의 균열 양상, 전단거동 및 전단강도를 파악하였다. 전단강도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전단키의 경사각도, 횡방향 구속응력 및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등을 실험변수로 고려하였다. 전단키의 경사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접합부의 전단강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구속응력이 증가함에 따라 전단키의 전단강도가 증가하였다. 실험변수에 따른 전단거동 실험결과를 토대로 접합부의 전단강도 평가식을 제안하였으며, 제안식에 의한 전단강도 예측값은 실험값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7.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high strength RC exterior beam-column joints regions, without the shear reinforcement, using high ductile fiber-reinforced mortar. Test results showed that specimen BCJNSP1.0 were increased th maximum load-carrying capacity and showed stable hysteresis behavior and satisfactory crack pattern in comparison with th specimen BCJNS without shear reinforcement in the beam-column joint region.
        38.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부착재료의 변화 및 동결융해에 따른 FRP-콘크리트구조물 경계면의 거동을 조사하였다. 실험 시 고려된 연구변수로는 부착경계면의 부착강도, 경계면 유효부착길이 등을 조사하였다. 경계면 부착재료에 따른 거동변화 실험체의 경우 FRP-구조물 부착경계면에 사용되는 에폭시의 종류를 각각 3가지로 분류하며 FRP-콘크리트간 다양한 부착길이를 고려하여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동결융해에 따른 경계면 거동조사의 경우 0 cycle에서 300cycle까지 계속적으로 증가되는 주기에 대하여 실험체들을 제작, 장기거동 부착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결과, 적용 부착재료의 종류에 따라 최대 유효부착길이는 5~7% 차이가 있었으며 동결융해 주기증가에 따른 최대부착하중 및 유효부착길이의 경우 초기에 나타난 급격한 거동변화 이후 상대적으로 불규칙한 변화를 장기적으로 나타내었다.
        39.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양한 직경-두께비와 콘크리트 강도를 고려한 콘크리트 충전강관의 휨 거동을 다루었다. 유한요소 해석을 위하여 상용 프로그램 LUSAS를 사용하였으며, 충전 강관의 콘크리트와 강 사이의 부착면의 상세거동을 고려하기 위하여 조인트 요소를 적용하였다. 또한, 콘크리트와 강관의 비선형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소성영역에서 증가된 응력을 사용한 콘크리트와 강의 응력-변형률 곡선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으로 구한 수치해석 결과는 등분포하중을 받는 강관의 하중-변위 곡선에 대한 실제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몇 가지 매개변수 연구는 서로 다른 직경-두께비와 콘크리트 강도에 대하여 휨 영향을 받는 콘크리트 충전강관의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었다.
        40.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SD500 고강도 철근에 적합한 강관 스플라이스 슬리브를 개발한 후에 실물크기의 20개 실험체를 제작하여 가력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강도를 비롯한 구조성능을 철근의 정착길이, 슬리브의 타입, 철근의 규격과 같은 실험변수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고, 국내기준을 비롯한 주요기준에 따라서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SD500 고강도 철근용으로 개발된 강관 스플라이스 슬리브 철근이음은 주요기준에서 요구하는 구조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SD500 고강도 철근용 슬리브 철근이음에 대한 구조설계 기준 확립을 위한 기술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