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3

        2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교도소 직무환경과 업무역할에 대한 태도 등에 대한 남녀교도관들의 유사성과 차이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남성 중심적인 직무환경과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교정조직에서 소수로 존재하고 있는 여성교도관들이 주류의 남성교도관과 유사한 인식과 적응을 보여주는 지의 문제는 미래 여성교도관의 역할과 직무 다양화의 주장을 위해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교도관으로서의 직업윤리, 직무만족도, 상사와의 관계와 인식, 조직의 교육혁신에 대한 태도와 인식, 그리고 교도소 폭력에 대한 허용도 등 직무환경과 조직문화에 관한 다양한 태도와 인식 등에서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도관들의 젠더가 교정기관의 직무환경과 업무역할에 대한 인식과 태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남성교도관들과 여성교도관들 사이에 직업환경과 업무역할에 대한 차이를 거의 발견하지 못하였고, 이러한 태도에서 성별의 차이가 매우 미미하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여성교도관들이 기존의 남성중심적 업무와 환경이라고 여겨지고 있는 교도소 직무환경에서 전문성 있는 직업인으로서의 자질을 남자교도관과 유사하게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교정행정의 중요한 담당자로서의 여성교도관의 위상에 대한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여성교도관의 성공적 업무수행을 위한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6,000원
        22.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새만금 개발사업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새만금 인근지역인 전북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400가구 및 새만금 인근지역 외 전국 600가구 등 총 1,000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새만금 개발사업의 경제적 효과 및 해양환경 영향을 동시에 고려할 때 새만금 개발사업에 대해 판단하는 공공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서열프로빗 모형을 적용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인식조사 결과, 새만금 개발사업의 경제적 효과와 해양환경 영향을 동시에 고려할 때, 새만금 인근지역조사 및 전국조사 응답자의 70 % 이상이 새만금 개발사업을 반대하였다. 또한 설문조사 응답자의 90 % 이상이 새만금 방조제 외해역의 해양환경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새만금 방조제 외해역 환경관리를 위한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23.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hool dieticians’ awareness of the necessity for nutritional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via qualitative research.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10 school dieticians. Results revealed that all participants said that schools urgently need nutritional education, and dietary attitude and unbalanced eating habits were the most urgent matters to be addressed. They made various suggestions related to revitaliza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turning dieticians into nutritional educators, improving awareness of teachers and parents, receiving training on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and so on. In response to their tasks, they considered bargaining with vendors and examination foods as the most burdensome tasks. In response to questions about how participants were treated in their workplaces, all participants reported low job satisfaction due to excessive work, lack of promotion opportunities, and low salary. To improve this, participants recommended creating a task manual, strengthening their role as managers, increasing their salary, and so on. Therefore, institutional support is necessary for dieticians to efficiently handle their excessive workload. In addition, an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dieticians can effectively carry out nutritional education needs to be created.
        4,000원
        24.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야생조수(황새)보호지역에 사는 주민들의 환경적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문화인류학적 접근방법의 하나인 심층인터뷰 방식에 의존했으며, 연구대상지는 경상북도 금위군 효령면 금매리이다. 연구의 주된 내용은 환경적 인식에 대한 문화적 구조를 밝혀내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황새에 대한 생태적, 긍정적, 부정적, 문화 생태적 관점에서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주민들은 황새의 먹이공급처, 종의 변화, 개체군, 이주, 생육, 서식처 그리고 예측 등의 생활에 대하여 예상을 넘어설 만큼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다. 두 번째는 주민들의 긍정적 존재감과 마을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세 번째는 소음, 악취 그리고 수목에 대한 피해 등 환경적 불편함을 경험하고 있었다. 특이한 조수의 이동을 통해 주민들이 하루, 일년, 계절의 시간 변화를 인식하는데 매우 민감했다. 또한 조수의 이동 현상을 통해 그들은 계절에 대한 일기를 미리 예측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황새 서식지에 대한 문화생태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황새의 존재적 인식, 위계적 인식, 의미부여적 인식 등으로 구분하여 황새의 서식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비록 황새가 환경문제를 어느 정도 유발하고 있지만 마을 공동체의 중요한 일원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평택시는 우리나라 도시 중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변모하고 있는 지역이다. 평택시가 도 농복합도시에서 향후 10년 이내에 인구 100만 명에 이르는 최첨단산업도시로 육성 발전 될 것으로 기대됨으로써 그에 따른 많은 환경오염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인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평택시민들의 자연환경에 대한 인식과 자연보존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환경인식 설문조사는 평택시의 22개 읍 면 동(3읍, 6면, 13동) 단위의 주민 자치 단체를 통해 주민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SPSS 12.0을 사용하여 주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제반 인식을 조사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평택시민들은 대부분이 환경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자연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잘 보전되는 가운데 조화로운 발전을 이루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이러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평택시민들이 갖는 환경현안 중에서 가장 심각하고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분야에 대해서 그 현황을 기술하고 평택지역의 지속가능한 환경보전을 이루기 위해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4,300원
        2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understanding of school foodservice managemen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etween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others. Subjects were 400 elementary school parentsliving in Jeonn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School foodservice program helped to solve unbalanced diets, develop minds and bodies, and improve eating habits. Mothers showed a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for school foodservice contain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primary reason for favor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as improvement of health and securing safe foods.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of school foodservice management was sanitary control of food materials>sanitary control of foods>sanitary conditions of place for meals>sanitary conditions of cooker>sanitary conditions of tableware. In conclusion, school foodservice should be financially responsible to make policies effective.
        4,000원
        2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l assumption that serious games can bring about positive effects for purported social changes. The interactive nature of the serious game was thought to be one of the distinctive aspects of the medium as compared with other traditional non- interactive media. To explore whether the interactivity of serious games yields different psychological influences, we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with a serious game whose narrative concerns the environmental issue, EcoFriendz (N=40). The results illustrate that those who played the video game perceived themselves to be more aware of the environmental problem than those who read the same narrative in a non-interactive text format. Also the game players were more willing to carry out measures to deal with the environmental problem.
        4,000원
        29.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analyze awareness, preferences, and the current state of consuming environmentally friendly organic food while eating-out in 435 adults aged 20 and above in Daegu, Korea. Most subjects (95%) showed awarenes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organic food, and 88.5% of subjects answered environmentally friendly organic food is ‘needed’. The percentage of eating out for families was 58.9%, and 49.0% of subjects said they eat out one to three times per month on average. In addition, subjects preferred a price range between 10,000 and 20,000 won per person when eating out, and they mostly favored Korean restaurants when ordering environmentally friendly organic food. Analysis of awarenes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organic food showed that among ‘health’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social’ factors, and ‘dietary essential’ factors, ‘health’ factor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for awareness. A survey on preferred foods by gender showed that both genders preferred vegetables the most. The results show that subjects in their 20s and 30s favored vegetables and fruits while subjects in their 40s preferred vegetables and grain animal products. Analysis of preferred type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organic foods showed that men preferred polished rice while women preferred brown rice. Subjects in their 20s and 30s preferred strawberries, whereas those in their 40s preferred cherry tomatoes and those in their 50s and above favored tomatoes (p<0.001). Among root and tuber crops (63.4%), sweet potato was the most preferred. Among fruits, subjects preferred apples while among special crops, they most preferred oyster mushrooms; both genders preferred Korean beef. The most preferred livestock product of subjects in their 20s was pork, whereas subjects in their 30s preferred Korean beef. Subjects in their 40s preferred Korean beef and pork in the same proportions, whereas subjects in their 50s and above favored eggs the most.
        4,300원
        3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계와 환경 문제에 대한 초등 영재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대학부설영재교육원 소속 28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13개의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지식수준, 심각성, 확실성, 체험 가능성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학생들이 그린 지구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Draw-An-Earth Test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와 이미지에 담긴 의미를 분명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DAET 체크리스트와 인터뷰 분석 결과 지구계의 구성요소에서 80개, 지구계의 상호작용에서 11개, 지구계의 소양 영역에서 4개의 요소가 확인되었다. 학생들은 지식 수준과 관련하여 대기 오염, 지구온난화, 수질 오염에 가장 잘 알고 있다고 하였으며, 지구온난화, 대기오염, 수질 오염을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하였다. 또한 산성비, 대기 오염, 수질 오염에 대하여 확실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산성비, 대기오염, 산림파괴에 대하여 체험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수 학습 측면에서 초등 과학 영재들이 지구계와 환경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4,200원
        3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households, parental perception, and dietary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from kindergartens with environment-friendly food service (environment-friendly food service group; EFG) versus children from kindergartens with general food service (general food service group; GFG). We sought this basic information to examine the impact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preschool food services. Age, education level, and monthly family income of the EF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FG. The frequency of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FG than the GFG, with the most frequently purchased items in both groups being vegetables. The GFG had a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than the EFG in the superior quality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however, a greater proportion of the GFG than the EFG thought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were too expensive.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both groups was safety. When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most important selection factor for the majority of both groups was the label certifying quality assurance. Both groups also considered price reduction as essential for promot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regard to parental perceptions on food service in kindergarten, the EFG had a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nutritional adequacy of the menu compared to the GFG. Both groups considered food safety and health as primary reasons for using environment-friendly foods in the preschool food service, with a greater proportion of the EFG than the GFG responding this wa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FG and GFG, as the main satisfaction from using environment-friendly foods in the EFG was safety, freshness, and good hygiene, whereas the main satisfaction in the GFG was a good food service menu, freshness and good hygiene. Dietary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EFG were also significantly superior to the GFG. Thus,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ietary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and should be increased in the preschool food service. Lowering prices and a strict supervision of quality assurance is also necessary to promote consumption of environment-friendly food materials.
        4,500원
        33.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태관광지의 유형별 탐방객 특성을 파악하기위해 북한산둘레길, 우포늪, 지리산둘레길, 울진금강소나무 숲길을 대상으로 탐방객의 인구통계적 특성 및 여행동기, 훼손에 대한 인식 등을 분석하였다. 각 대상지를 방문한 탐방객들을 대상으로 1:1 면접조사를 통해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북한산둘레길의 경우 인근 주민들이 건강을 위해 찾는 빈도가 높고 생태관광객의 비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환경훼손에 대한 인식도 높지 않게 나타났다. 우포늪은 동료간의 친목을 다지기 위해 단체로 움직이는 탐방객 수가 많았고, 습지생태계의 관찰·체험, 탐조활동 등 생태관광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산악형에 비하여 물리적인 훼손요인이 많지 않아 훼손에 대한 탐방객들의 인식은 높지 않았다. 지리산둘레길은 생태관광객과 함께 일반 대중관광객과 자연관광객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으며, 평지형 관광지보다 환경훼손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울진금강소나무숲길의 경우 탐방을 제한함으로써 생태관광에 대한 인식이 높고 자연환경 보전의식이 높은 관광객들이 주로 방문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지표에서 다른 생태관광지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관광지의 자연환경훼손이 우려되는 경우에 입장료 징수 또는 탐방예약제를 통해 관광객수를 조절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3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할 수 있는 초등 교사들의 교수 실행의 능력과 교육 환경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참가자들은 초등학교 수준에서 문제중심학습을 강의하는 강사로 활동중이었다. 초등학교 교사 3인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획득되었다. 문제중심학습과 관련된 교사들의 면담은 두 가지 주요 주제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1) 문제중심학습에서 요구되는 교사들의 교수 실행의 능력 (2)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할 수 있는 교육 환경.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은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보다 수업 준비와 교수 과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사들은 자율적이고 허용적인 학습 분위기 속에서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도우미로서 행동한다는 점에서, 학생들은 잠재능력을 효과적으로 계발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받는다. 이를 위하여 교사는 문제중심학습 전체에서 효과적인 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끊임없는 노력과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위하여, 교사들은 동료교사, 학생, 학부모, 교육 행정가들의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교사들의 커뮤니티 형성해야 한다. 문제중심 학습의 확산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들이 직접적으로 교수 활동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해 보는 것이다. 문제중심 학습을 하면 학생들의 변화가 나타날 것이고, 이러한 효과를 경험한 교사는 교수학습과정에 문제중심학습을 채택하게 될 것이다.
        4,300원
        35.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sumption behavior and perception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EAPs) by university students in the Chonbuk area, Ko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09 university students(male 33.0%, female 67.0%). Descriptive and comparative statistical analyses was completed using SPSS v. 12.0.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purchased EAPs was 70.9%. Of those, 87.2% had EAPs purchased by their mothers. The most purchased EAPs were vegetables, the primary reason for which was the perception of ``good for health``(73.1%). The main information source about EAPs was ``familes/freinds``. The average scores of ``attitude toward EAPs``, ``knowledge toward EAPs``, ``concern toward EAPs`` were 3.76±0.57, 2.91±0.61 and 3.29±0.43, respectively. With regards to ``attitude toward EAPs``,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elf-reported health status``(p<0.05). With regard to ``knowledge toward EAPs`` and ``concern toward EAPs``,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upplements for health`` (p<0.05; p<0.001). For university students` right choices of EAPs, information and consumer education wthin the university curriculum on these products are necessary.
        4,000원
        36.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different levels of learning satisfaction concerning bakery and confectionery institute students in relation to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as well 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60 students enrolled in the bakery and confectionery institute at Gyeongju in the Pohang and Ulsan area, and 242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12.0 Window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udents were mostly satisfied with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ing methods of the institut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for recognizing teaching methods and major recognition. Furthermor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ajor recognition of student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learning satisfaction. Therefore, the staff at the bakery and confectionary institute should provide the proper curriculum and facilities for the students.
        4,000원
        38.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exploratory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EAPs) perception on EAPs consumption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to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in Chung-buk area by the help of h o m teachers of each school. Out of 500 questionnaires administered, a total of 305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yielding a response rate of 61%. Regarding buying behavior, 89.6% of respondents have ever bought EAPs, among them, 52.9% usually bought in a mart. The reason to buy EAPs was mostly safety(57.6%), nutrition & health(30.4%), and quality(7.0%). The 11 item representing the attitude and knowledge were analyzed, resulting in three distinct dimensions-`attitude`, `knowledge`, and `concern`. The knowledge level of EAPs was slightly higher than medium. Concerning the influence of EAPs perception on EAPs consumption behavior, the more having high knowledge and attitude level on EAPs, the more lead to the EAPs consumption behavior. This implici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o enhance the knowledge level and positive attitude towards EAP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