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25.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gastache rugosa, a member of the mint family (Labiatae), is a perennial herb widely distributed in East Asian countries. It i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cholera, vomiting, and miasma. This study assessed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s on 65 accessions of Korean mint A. rugosa germplasm based on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 markers. The selected nine ISSR primers produced reproducible polymorphic banding patterns. In total, 126 bands were scored; 119 (94.4%) were polymorphic. The number of bands generated per primer varied from 7 to 18. A minimum of seven bands was generated by primer 874, while a maximum of 18 bands was generated by the primer 844. Six primers (815, 826, 835, 844, 868, and 874) generated 100% polymorphic bands. This was supported by other parameters such as total gene diversity (HT) values, which ranged from 0.112 to 0.330 with a mean of 0.218. The effective number of alleles (NE) ranged from 1.174 to 1.486 with a mean value of 1.351. Nei's genetic diversity (H) mean value was 0.218, and Shannon's information index (I) mean value was 0.343. The high values for total gene diversity, effective number of alleles, Nei's genetic diversity, and Shannon's information index indicated substantial variations within the population. Cluster analysis showed characteristic grouping, which is not in accordance with their geographical affili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developing a strategy for the conservation and breeding of A. rugosa and other medicinal plant germplasm are discussed.
        2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한약추출박은 배출되는 양이 많아 쓰레기화 되어 환경을 크게 오염시키고 있다. 이러한 한약추출박을 퇴비로 재활용하기 위한 기초시험으로 첩약(貼藥)인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의 한약추출박 성분을 분석하였고, 여기에 배초향을 재배하여 비료로 시용한 후 생육특성과 전초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약추출박의 분석 성분 중 유기물은 89.6%가 함유되어 있었고, 염분은 0.1%로 약초의 생장에 지장이 없는 공정규격(1.0%)이하의 범위였다. 약초의 생장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비료 3요소 중 질소는 2.8%가 함유되어 있었고, 인산은 0.6%, 그리고 칼륨은 0.5%가 함유되어 있었다. 미량성분으로 식물체의 영양분이 될 수 있는 성분은 아연과 구리 등이 함유되어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 한약추출박 성분은 유기물과 질소, 인산, 가리, 미량요소 등이 골고루 함유되어 유기질 비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2. 한약추출박의 시용에 따른 배초향의 생육은 한약추출박 시용이 무시용보다 초장과 경직경이 크고, 엽수와 가지수가 많아 생장이 양호 하였고, 수량도 전초 1주중이 무거워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한약추출박의 시용농도는 30~50 g의 시용에서 효과가 인정되었으므로 추출박 30 g의 농도가 적정 시용 농도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약추출박은 배초향과 같은 전초이용 약초에 유기질 비료로 재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28.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osmarinic acid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5계통의 strain (13333, 15834, R1000, R1200, R1601)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A. rhizogenes R1601이 가장 높은 72.9%의 모상근 유도율을 보였다. 모상근 유도시 모상근 발생 수와 길이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도 A. rhizogenes R1601으로 감염시킨 잎 조직에서 평균 5.4개의 모상근이 발생하였으며, 평균 2.0 cm의 길이 신장으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다섯 계통의 A. rhizogenes감염으로부터 유도된 각각의 모상근의 생육은 서러 다른 양상을 보였으나 경향은 모상근유도 결과와 유사하였다. A. rhizogenes R1601 감염으로 유도된 모상근의 생육은 배양 2주후 건물중을 조사한 결과 13.5 g/l로 다른 계통에서 유도된 모상근 보다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Rosmarinic acid 생산량도 22.6 mg/g D.W.로 다른 계통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A. rhizogenes R1601이 배초향 모상근 유도, 생육과 rosmarinic acid 생산에 가장 좋은 적합한 계통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29.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a-green and activated carbon on leaf and stem growth of Agastache rugosa as it is affected by different amounts of sta-green and activated carbo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Growth characteristics including plant height and leaf number were the highest when treated with 30% of sta-green. The weight of fresh leaf and stem of Agastaches rugosa was very low in control. Also, fresh weight of Angelica acutiloba was higher in 10% treatment of activated carbon. However, when the plants were grown in 10% activated carbon. all these promoters were the biggest. Sta-green and activated carbon can be utilized as a soil conditioner in agricultural crop areas.
        30.
        2005.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tivated carbon on leaf and stem production of Agastache rugosa as affected by different amounts of activated carbo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Growth characteristics including plant height and leaf length were the highest when activated carbon added with 10%, suggesting that optimum amount of activated carbon was ranged from 10 to 20%. Growth and enlargement of the root were improved by 10% AC. Activated carbon can be utilized as a soil conditioner in agricultural crop areas.
        31.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채시험장에서 선정한 80종의 자생 산채류 중에서 54종이 보고 되어 있으며 식물종류별로는 더덕에 관한 보고가 61편으로 제일 많았고 17종은 보고 되지 않았다. 분야별 논문편수는 화학분석 분야가 123편으로 제일 많았고 생태를 비롯한 5분야는 미비하였다. 고려엉겅퀴 및 부지깽이는 새로운 에너지원으로서 개발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잔대 및 화살나무는 비타민 C의 함량이 높았다. 잔대 및 산마늘, 개미취, 갈퀴덩굴, 둥글레 등에서 항암물질 추출에 관한 연구가 행해지고 있고 자생향신료 개발을 위한 배초향 및 쥐오줌풀과 같은 식물의 이용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 부가 가치 창출을 위한 가공 및 기능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32.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박하와 배초향 정유의 보존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그 성분조성을 GC-MSD 분석에 의해 실험한 결과 박하 정유의 주된 성분은 isomenthol로서 전체 정유성분 중 25.84%, menthol이 25.48%이었으며 배초향 정유에는 estragole이 79.83%, limonene이 0.12%함유되어 있었다. 2, 5, 10 mg 농도에서도. E. coli O157 : H7 ATCC 43895에 대한 박하 정유의 생육저해환은 (9~14 mm), 배초향 정유는 (10~18 mm), S. typhimurium ATCC 7988에 대해서는 박하 정유가 (9~13 mm), 배초향 정유가 (13~20 mm으로 나타나 두 정유성분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다. 생균수 측정 실험에서 박하 정유는 2 mg이하의 저농도에서 9시간까지 세균의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5 mg 이상의 농도에서는 9시간이후 E. coli O157 : H7 ATCC 43895와 S. typhimurium ATCC 7988을 모두 사멸시켰다. 배초향 정유는 2 mg이하의 농도에서 12시간까지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었고 5 mg이상의 농도에서는 6시간이후 세균이 사멸되었다. E. coli O157 : H7 ATCC 43895에 대한 박하와 배초향 정유 성분의 항균작용을 전자현미경 촬영에 의해 확인한 결과 형태학적인 변화와 세포막과 세포벽의 분리 및 세포내용물 유실이 관찰되어 두 정유성분의 항균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33.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quilibrium headspace analysis in combination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was used to identify volatile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76 individual plants of Agastache rugosa collected from 16 regions in South Korea. Chemometric inves
        35.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rms and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on plant growth and essential oil production of Agastache rugosa. Calcium nitrate had more influenced on length and width of leaves and lateral branch length than did urea. When nitrogen fertilizer level was increased from 12 kgN/I0a to 24kgN/I0a, plant growth was stimulated and dry matter of leaf and inflorescence were increased. Top dry matter of plant with calcium nitrate treatment (38.4 g) was heavier than that of urea treatment (32.8 g). Interactions among accession and nitrogen form and nitrogen ra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op dry matter. The forms and rate of nitrogen fertilizer did not affect estragole content. The estragole contents was higher in leaf (91.8%) than that of inflorescence (81.3%). While the essential oil content was not affected by different nitrogen forms, nitrogen level affected the essential oil contents positively by increasing dry matter. Essential oil yield was not affected by accession or nitrogen form, but by nitrogen rate. With increasing N application from 12kgN/I0a to 24 kgN/I0a, essential oil yield was increased by 95.8 %.
        36.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북, 경남, 전남으로부터 배향초 종자를 수집하여 수원에서 재배하면서 수집종간 정유와 estragol 생산량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상부 건물중을 기준으로 생육정도를 비교한 결과, 가령산종과 순천종은 초기 생육이 좋았으며 목포종과 진도종은 개화 후 생육이 좋았다. 반면 담양종은 수집종 중에서 건물중이 가장 가벼웠다. 2. 대체적으로 estragol 함량은 각각 잎 82.3~89.1%, 화기 81.1~89.2%, 줄기 72.0~45.6%였으며, 수집종간에 큰 차이는 없었고, 개화성기에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3. 정유함량은 개화성기에 1.0% (잎 1.0%, 화기 2.1%, 줄기 0.5%)로 수확시기 중 가장 높았으며, 특히 개화성기에 수확한 목포종의 화기는 3.3%의 정유함량을 보여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4. 건물중과 정유함량이 좋았던 개화성기에 가장 많은 정유와 estragol이 생성되었으며, 수집종중에서는 목포종과 진도종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37.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초향 국내 수집종의 생육특성 및 수확시기별 로즈마린산과 정유함량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집종들의 개화기는 8월 13일~8월25일로 진도 수집종이 가장 늦었고 초장은 120~170cm, 주당 분지수는 13~21개, 화방군(花房群)의 길이는 10~15cm였으며, 화방군(花房群)의 수(數)는 13~22개로 수집종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2. 수집종들의 부위별 건물수량 (kg/10a)은 꽃 109~156kg, 잎 135~252kg, 줄기 421~932kg, 뿌리172~394kg으로 꽃과 뿌리에서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건물수량은 개화 중기 (9월 20일)에 수확한 것이 가장 많았다. 3. 수집종들의 로즈마린산 함량은 모든 부위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꽃 0.32~2.34%, 잎 0.97~1.64%, 줄기 0.03~0.21%, 뿌리 0.91~6.56%로 뿌리의 함량이 가장 높고 줄기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4. 잎의 로즈마린산과 정유함량은 개화전(開花前)이 각각 3.76%, 5.78%로 개화후(開花後)의 1.55%, 2.10%보다 더 높았으며 지상부의 로즈마린산 함량은 개화전에 가장 높았으나 정유 함량은 개화말기에 가장 높았다.
        38.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racteristics of seed and plant growth of the nine local collections of the medicinal plant, Agastache rugosa were evaluated. Seed size of the collection from Garyungsan was larger than the others. Seeds of Damyang collection were the smallest in size. Seeds of the collections were mostly oval shape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brown and black seed coat color groups in seed width, ratio of seed length to seed width and 1,000 seed weight. Stem lengths of Garyungsan and Bongpyung collections were 99.9 and 95.6 cm, respectively, and were longer than Damyang and Jindo collections. Garyungsan collection had long leaf shape. Leaf size was the smallest for Damyang collection, but was the largest for Bongpyung collection. Inflorescence length of Mokpo collection (15.6 cm) was longer than the average over all collections (12.3 cm). Damyang collection was the shortest (10.1 cm) in inflorescence. Top dry weight of each collection from Soonchun, Bongpyung, Mokpo, Jindo, and Gurye was greater than the average over all collections (20.38 g/plant). Jinju and Damyang collections had less top dry matter than other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growth traits examined between brown and black seed coat groups. The brown seed group was greater in leaf weight than the black seed group. However, these two groups were not different in stem and inflorescence weight. Collections of A. rugosa from Bongpyung, Soonchun, and Mokpo were promising for commercial cultivation because of their great top dry weight, especially in leaf and inflorescence.
        39.
        199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influence of planting densities and on some agronomic characters and yield of rresh weight in Agastache rugoso.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stem length was long in dense planing and short in spacious Planting. Stem diameter was thickIn spacious planting, and was thin in dense planting. Yield was higher in dense planting densities (20x20cm : 2spiants/m, 30×20cm : 17plants/m).
        40.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초향의 지상부로 부터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정유성분을 분리한 다음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탄화수소화합물 분획과 함산소화합물 분확으로 나눈후 GC 및 GC-MS에 의해 각 분획의 성분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초향의 정유함량은 건물증량으로 잎에서는 0.29%, 꽃에서는 0.38%였으나 줄기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2. 잎의 정유에서 분리한 탄화수소화합물 분획에서 확인된 13종의 성분중 주성분은 β-caryophyllene(59.3%), limonene(13.1%), δadinene (10.7%) 이었고, 함산소화합물 분획에서 확인된 44종의 성분중 주성분은 methyl chavicol(79.1%), cis-3-(l-propenyl)phenol(4.5%) 등이었다. 3. 잎과 꽃의 정유성분 조성에서 양적으로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은 methylchavicol 이었고, limonene, trans-2-hexenal, 1-octen-3-one, 6,10,14-trimethylpentadecan-2-one 및 phytol등은 잎에서 특징적으로 검출된 반면 jasmone 및 p-methoxyacetophenone등은 양적으로 미량이지만 꽃에서 많이 검출되었다.
        1 2 3